KR950004844Y1 - 화재경보 수신기의 지구화재 램프 및 단선램프겸용 표시기 - Google Patents

화재경보 수신기의 지구화재 램프 및 단선램프겸용 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844Y1
KR950004844Y1 KR2019910022091U KR910022091U KR950004844Y1 KR 950004844 Y1 KR950004844 Y1 KR 950004844Y1 KR 2019910022091 U KR2019910022091 U KR 2019910022091U KR 910022091 U KR910022091 U KR 910022091U KR 950004844 Y1 KR950004844 Y1 KR 950004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voltage
lamp
operational amplifier
fire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2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5669U (ko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동방전자산업 주식회사
최만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방전자산업 주식회사, 최만형 filed Critical 동방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2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844Y1/ko
Publication of KR9300156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56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8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화재경보 수신기의 지구화재 램프 및 단선램프겸용 표시기
제1도는 본 고안의 화재 및 단선램프겸용 표시회로도로서 (가)는 외부선로 배선상태도, (나)는 지구화재 및 단선램프겸용 표시회로.
제2도는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로서 A는 외부선로(가)가 정상상태일때의 그래프도 B는 외부선로(가)가 단선상태일때의 그래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1 : 다이오드 R1∼R8 : 저항
Q1 : 트랜지스터 IC1, IC2 : 연산증폭기
LED1∼LEDn : 발광다이오드 RY1∼RYn : 릴레이
RY1-1∼RY1-n : 릴레이 접점 V1 : 단선검출 기준전압
V2 : 선로감시전압 OUT1: 감시선로
A : 화재감지기 R9 : 선로의 종단저항
본 고안은 화재경보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선로의 단선 및 화재상태를 스스로 신속히 검출하여 해당지구(Zone)에 표시되도록 한 화재경보 수신기의 지구 화재표시 및 단선표시를 하나의 램프에 겸용 표시되도록 한 화재경보 수신기의 지구 화재램프 및 선로 단선램프겸용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화재경보 수신기의 선로단선 검출회로는 필요시 각 지구마다 수동으로 조각하여 메타의 미세한 변화량으로 선로의 단선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전문가외에는 단선상태를 판단하기 어려웠다.
또 화재경보기의 감지선로는 1구역당 약 20개 정도의 감지기를 병렬접속(감지기 1개당 선로접속점수 : 4개)하고 있으나 장시간 사용시 감지기 선로의 직렬접속부위가 부식으로 인하여 접촉저항이 증가되거나 쥐등의 동물이 선로의 전선을 훼손하는 경우에는 즉시 선로의 이상상태를 알수 없어 선로보수를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화재의 따른 감지가가 작동 할 수 없어 대형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운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화재신호가 없을때에는 감지선로의 단선 상태를 계속검출하여 선로의 단선이 발생되면, 선로의 점검 및 보수를 위한 주의신호를 해당지구에 점멸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화재시에는 주민의 대피 및 각종 소화설비를 작동 할수 있도록 정보신호를 해당지구에 지속 점등됨으로써 선로의 단선지구(구역)를 쉽게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선로의 단선상태를 스스로 반복체크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지된 발진기(비안정)의 구형파신호가 저항(R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는 분배저항(R3)을 저쳐 연산증폭기(IC1)의 비반전단자에 접속되는 동시에 분배저항(R2)을 거쳐 전원(VCC)에 접속되고, 상기 연산증폭기(IC1)의 출력단은 반전단자에 궤환되는 동시에 연산증폭기(IC2∼1)의 반전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전원(VCC)은 릴레이(RY1∼RYn)에 각각 접속되는 동시에 분배저항(R4-1∼R4-n)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분배저항(R4-1∼R4-n)의 다른측은 외부선로(가)에 접속되는 동시에 각각의 저항(R5-1∼R5-n)을 거쳐 분배저항(R6-1∼R6-n)과 연산증폭기(IC2-1∼IC2-n)의 비반전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각각의 릴레이(RY1∼RYn)는 다이오드(D1∼Dn)를 거쳐 외부선로 (가) 및 분배저항(R4-1∼R4-n, R5-1∼R5-n)의 접속중점에 접속되고, 연산증폭기(IC2-1∼IC2-n)의 비반전단자는 각각의 저항(R6-1∼R6-1)을 거쳐 접지된다.
상기 연상증폭기(IC2-1∼IC2-n)의 출력은 출력저항(R7-1∼R7-n)을 거쳐 발광다이오드(LED1∼LEDn)의 애노드에 접속되는 동시에 전원(VCC)및 릴레이접점(RY1-1∼RY1-n)과 직렬로 접속된 저항(R8-1∼R8-n)에 접속되고, 발광다이오드(LED1∼LEDn)의 캐소드는 각각 접지된다.
상기 구성의 회로중 도면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지구화재 및 단선 램프 겸용표시회로(나)는 다수개가 병렬로 설치되고 있고, 또한 외부선로 (가)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다음은 본 고안의 동작원리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공지의 발잔기에서 생성된 구형파 발진신호는 저항(R1)을 거쳐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면 트랜지스터(Q1)는 온/오프동작하여 전원(VCC)이 분배저항(R2, R3)에 의해 분압된 전압은 연산증폭기(IC1)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되고 연산증폭기(IC1)의 출력전압(V1)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일정전압 상승한 구형파 전압(이하 단선검출 기준전업 이라한다)으로서 연산증폭기(IC2-1∼IC2-n)이 반전 단자에 각각 입력된다.
상기 연산증폭기(IC2-1∼IC2-n){이하의 설명에서는 연산증폭기(IC2-1)에 관계되는 회로만 설명한다)는 전원(VCC)의 분해저항(R4-1, R5-1, R6-1)에서 분압된 선로 감시전압(V2)을 비교하여 저항(R7-1)을 거쳐 발광다이오드(LDE1)에 인가하게 되는데 이때 제2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외부선로(가)가 정상일경우 선로의 종단저항(R9)과 분재저항(R5-1, R6-1)은 병렬접속되어 있으므로 선로 감시전압(V2)은 연산증폭기(IC1)에서 출력되는 단선검출 기준업압(V1)보다 낮으므로(즉 V1>V2가 되므로)연산증폭기(IC2-1)의 출력전압은 로우가 되어 발광다이오드(LED1)는 동작하지 않는다.
한편 외부선로(가)가 단선이 경우 제2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선로감시전압(V2)은 단선검출 기준전압(V1)의 사이에 들게되어 연산증폭(IC2-1)의 출력은 하이와 로우를 반복하므로 저항(R7-1)을 거친 전압은 발광다이오드(LED1)를 점멸시키게 된다.
또 화재시에는 저항(R4-1)에 높은 전압이 걸리게 되어 연산증폭기(IC2-1)에 관계없이 릴레이(RY1)가 동작되고, 상기 릴레이동작으로 인하여 릴레이접점(RY1-1)을 온시키므로 전원(VCC)은 릴레이접점(RY1-1)과 저항(R8-1)을 거쳐 발광다이오드(LED1)를 점등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표시회로를 발광다이오드로 점멸 혹은 점등표시함으로서 누구나 쉽게 식별할수 있을뿐 아니라 외부회로(가)에서 단선이 발생하면 발광다이오드가 점멸동작을 하고, 화재시에는 점등동작을 하게되므로 즉시 그때의 상황을 알수 잇어서 필요한 조치를 제때에 취할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화재경보수신기의 선로단선 검출회로에 있어서, 발진기의 구형파 발진신호에 온/오프하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온/오프동작에 의해 분압된 전압과 궤환전압을 비교하여 일정전압 높은 단선 검출 기준전압(V1)을 출력하는 연산증폭기(IC1)와, 상기 연산증폭기(IC1)의 구형파전압(V1)과 분압된 선로감시전압(V2)을 비교하는 연산증폭기(IC2-1∼IC2-n)과, 화재발생시에 동작되는 릴레이(RY1∼RYn)와 현재의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LED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 수신기의 지구 화재램프 및 단선램프겸용 표시지.
  2. 제1항에 있어서, 발광다이도으(LED1)는 선단단선시에는 점멸동작을 하고, 화재 발생시에는 점등동작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 수신기의 지구 화재램프 및 단선램프겸용 표시기.
KR2019910022091U 1991-12-12 1991-12-12 화재경보 수신기의 지구화재 램프 및 단선램프겸용 표시기 KR950004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2091U KR950004844Y1 (ko) 1991-12-12 1991-12-12 화재경보 수신기의 지구화재 램프 및 단선램프겸용 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2091U KR950004844Y1 (ko) 1991-12-12 1991-12-12 화재경보 수신기의 지구화재 램프 및 단선램프겸용 표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669U KR930015669U (ko) 1993-07-28
KR950004844Y1 true KR950004844Y1 (ko) 1995-06-16

Family

ID=19324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2091U KR950004844Y1 (ko) 1991-12-12 1991-12-12 화재경보 수신기의 지구화재 램프 및 단선램프겸용 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8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669U (ko) 199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0869A (en) Gas sensing signaling system
FI56908C (fi) Brandalarmanlaeggning
JPH0518159B2 (ko)
US3909813A (en) Ionization-type fire sensor
GB1228931A (ko)
CA2122173C (en) Alarm system
US6567001B1 (en) Fire control panel monitoring for degradation of wiring integrity during alarm state
JP2936301B2 (ja) 発光ダイオードを用いた信号灯の断線検知装置
KR950004844Y1 (ko) 화재경보 수신기의 지구화재 램프 및 단선램프겸용 표시기
US4568923A (en) Fire alarm system
US4668935A (en) Visual alarm reliability assurance system
US4481502A (en) Central smoke alarm and annunciator
KR100327497B1 (ko) 화재경보 시스템용 라인단선 및 화재발생 감시장치 및감시방법, 이를 갖는 화재 경보 장치
US4544921A (en) Fire alarm system
US3029420A (en) Network for monitoring alarm systems
US3942166A (en) Fault detection and signaling system
JP2001143179A (ja) 火災報知設備
US3745547A (en) Lamp supervisory circuit
US2488622A (en) Fault indicator for closed circuit installations
US4095220A (en) Alarm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system
US3689906A (en) Monitoring and alarm system
GB2237461A (en) Monitoring faults in electric circuit arrangements
JP3223365B2 (ja) 火災報知機の線路監視用の終端器
JPS5925275B2 (ja) 火災報知設備に於ける断線検出装置
KR900002485Y1 (ko) 자동 소화장치의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