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795Y1 - 전자 접촉기용 보빈의 코일 터미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접촉기용 보빈의 코일 터미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795Y1
KR950004795Y1 KR92018542U KR920018542U KR950004795Y1 KR 950004795 Y1 KR950004795 Y1 KR 950004795Y1 KR 92018542 U KR92018542 U KR 92018542U KR 920018542 U KR920018542 U KR 920018542U KR 950004795 Y1 KR950004795 Y1 KR 9500047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oil
coil terminal
terminal dev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8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605U (ko
Inventor
조현수
Original Assignee
성기설
금성계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기설, 금성계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기설
Priority to KR92018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795Y1/ko
Publication of KR9400086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6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7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2050/446Details of the insulating support of the coil, e.g. spool, bobbin, form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 접촉기용 보빈의 코일 터미널 장치
제1도는 종래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종래 보빈에서 코일의 시작점을 권선하는 상태도.
제3도는 종래 보빈에서 코일의 끝점을 권선한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 장치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보빈 12 : 안내홈
13 : 날개편 14 : 코일
15 : 결합편 16a, 16b : 코일터미널
17 : 삽입홈 18 : 지지면
19 : 수직바 20 : 돌기부
본 고안은 전자 접촉기용 보빈의 터미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 그 구조를 개선하여 배선이 용이함과 동시에 보빈을 케이스에서 용이하게 분리,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의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 차단시켜 주는 전자개폐기에서 전자 접촉의 보빈에 감긴 코일로 전원을 도통시키면 자속이 발생되어 철심을 잡아 당기게 되므로 전원측의 접점과 부하측의 접점이 통전되어 모턱 구동 된다.
종래에는 전자 접촉기의 보빈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1)에 형성된 구멍(1a)으로 코일 터미널(2)이 고정된 와이어(3a)를 삽입하여 상기 와이어(3a)의 선단과 코일(4)의 내측 끝단을 납땜한 후 절연테이프(5)로 절연시키고 보빈(1)의 원주면에 코일(4)을 원하는 회수 만큼 권회하여 절연테이프(6)를 감아 절연시킨 다음 제3도와 같이 코일 터미널이 고정된 또 다른 와이어(3b)를 코일(4)의 바깥측 끝단에 납땜 고정하고 절연테이프(7)로 완전 절연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인 구성된 보빈(1)의 각 코일 터미널(2)는 케이스(도시는 생략함)에 고정된 단자(8)의 구멍(8a)에 끼원 다음 단자(8)에 외부의 전원을 연결시키므로서 보빈(1)의 코일(4)에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코일 터미널 장치는 단자(8)와 코일 터미널(2) 그리고 와이어(3a)(3b)등의 여러 부품을 이용하여 코일(4)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어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성이 저하 됨은 물론 전자 접촉기의 케이스에 보빈(1)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이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케이스에 고정된 단자(8)에서 코일 터미널(2)을 반드시 분리시켜야 하므로 보빈(1)의 분리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보빈의 구조를 변경하여 코일터미널을 보빈에 직접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보빈의 구조를 간단화 시킴과 동시에 전자 접촉기의 케이스에서 보빈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보빈의 상부에 코일의 안내홈이 형성되게 양측으로 날개편을 형성하고 상기 날개편의 일측으로는 보빈과 일체가 되도록 한쌍의 코일터미널 결합편을 형성하여 상기 각 결합편에 코일 터미널을 결합 고정 하여서 된 전자접촉기용 보빈의 코일터미널 장치가 제공 된다.
이하, 보 고안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4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4도는 본 고안 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보빈(11)의 상부에 코일(14)의 안내홈(12)이 형성되게 양측으로 한쌍의 날개편(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편(13)의 일측으로는 보빈(11)과 일체로 되도록 한쌍의 코일터미널 결합편(1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각 결합편(15)에 코일터미널(16a)(16b)을 결합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결합편(15)에는 코일터미널(16a)(16b)의 삽입홈(17)과 지지면(18)이 형성되어 있고 코일터미널(16a)(16b)에는 돌기부(19)와 수직바(20)가 형성되어 있어 일측의 코일터미널 돌기부(19)에 코일(14)의 시작점을 고정하여 납땜한 다음 코일 터미널(16a)을 삽입홈(17)에 끼운후 보빈(11)에 코일(14)을 권선하도록 되어 있으며 권선이 완료된 후 다른 일단은 또 다른 코일 터미널(16b)의 돌기부(19)에 전술한 바와같이 감은 다음 납땜 고정하여 삽입홈(18)에 끼워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때 코일터미널(16a)(16b)은 수직바(20)가 결합편(15)에 형성된 지지면(18)에 걸려 견고히 고정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빈(11)에 감기는 코일(14)의 일단을 코일터미널(16b)의 돌기부(19)에 감아 납땜한 다음 상기 코일터미널(16b)을 결합편(15)에 형성된 삽입홈(17)에 밀어 넣으면 수직바(20)가 지지면(17)에 걸려 견고히 고정된다.
이와 같이 일측의 코일터미널(16a)이 결합편(15)에 고정되면 코일(14)을 보빈(11)과 날개편(13)사이에 형성된 안내홈(12)을 통해 밀어넣어 보빈(11)에 권선을 하게 된다.
그후 권선이 완료되면 코일(14)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반대편측에 형성된 안내홈(12)으로 밀어넣어 또다른 코일터미널(16a)의 돌기부(19)에 감아 납땜하므로서 권선이 완료 된다.
이와 같이 납땜이 완료된 코일터미널(16a)은 전술한 바와같이 반대편 결합편(15)에 형성된 삽입홈(도시는 생략함)에 넣기만 하면 고정이 된다.
이때 보빈(11)에 감긴 코일(14)은 절연테이프(21)로 감아 절연시키게 된다.
그후 코일터미널(16a)(16b)이 케이스(도시는 생략함)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므로서 케이스의 외부에서 코일 터미널(16a)(16b)에 전원을 연결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장치는 종래 장치와 같이 와이어와 단자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빈(11)에 감긴 코일(14)에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게 되어있어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코일터미널(16a)(16b)이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인해 보빈을 케이스와 분리, 이탈시 케이스에서 단자를 분리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그 작업이 편리해지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2)

  1. 보빈(11)의 상부에 코일 터미널의 삽입홈(17)이 있는 한쌍의 코일 터미널 결합편(15)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17)에 각각 코일 터미널(16a)(16b)을 끼워 결합하고 보빈(11)에 권회된 코일(14)의 양측단이 보빈 상측에 형성된 안내홈(12)을 통해 각 코일 터미널(16a)(16b)에 연결 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용 보빈의 코일 터미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15)에 지지면(18)을 형성하고 코일 터미널(16a)(16b)에는 코일의 연결을 위한 돌기부(19)와 수직바(20)를 형성하여 수직바(20)가 지지면(18)에 걸려 지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용 보빈의 코일 터미널 장치.
KR92018542U 1992-09-29 1992-09-29 전자 접촉기용 보빈의 코일 터미널 장치 KR9500047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8542U KR950004795Y1 (ko) 1992-09-29 1992-09-29 전자 접촉기용 보빈의 코일 터미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8542U KR950004795Y1 (ko) 1992-09-29 1992-09-29 전자 접촉기용 보빈의 코일 터미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605U KR940008605U (ko) 1994-04-21
KR950004795Y1 true KR950004795Y1 (ko) 1995-06-15

Family

ID=1934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8542U KR950004795Y1 (ko) 1992-09-29 1992-09-29 전자 접촉기용 보빈의 코일 터미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7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605U (ko) 199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641Y1 (ko) 외장(外裝) 몰드 코일
EP0438412B1 (en) Motor field winding with intermediate tap
US3663914A (en) Bobbin wound coil assembly and electrical terminals therefor
MY109836A (en) Stator of rotating electric machine.
KR930022684A (ko) 소형 모터
KR950004795Y1 (ko) 전자 접촉기용 보빈의 코일 터미널 장치
US4937546A (en) Ring-core transformer
FI902058A0 (fi) Spolhus foer elektriska spolar.
JPH0655228U (ja) チョークコイル
US6737950B2 (en) Winding structure of starter
KR950000764Y1 (ko) 전자접촉기의 여자코일장치
JP2000166196A (ja) 電動機の固定子
US3541493A (en) Molded plug-in connector for motor
JPS6032732Y2 (ja) 電磁石装置
JPS63190265A (ja) モ−タのリ−ド線接続構造
JP2001196233A (ja) トロイダルコイルおよびその支持具
KR0134104Y1 (ko) 정류자 전동기의 고정자용 절연물 구조
KR200233840Y1 (ko) 전자접촉기용보빈의단자체결구조
KR900005093Y1 (ko) 소형 모우터코일 보빈의 단자부 절연장치
KR920007228Y1 (ko) 전자개폐기용 전자코일의 터미널 구조
KR200144947Y1 (ko) 모터
JPH0350807A (ja) 巻線用ボビン
JP2000324762A (ja) モータ
JPH048601Y2 (ko)
JPH0556600A (ja) リード線引き出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