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228Y1 - 전자개폐기용 전자코일의 터미널 구조 - Google Patents

전자개폐기용 전자코일의 터미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228Y1
KR920007228Y1 KR2019900009227U KR900009227U KR920007228Y1 KR 920007228 Y1 KR920007228 Y1 KR 920007228Y1 KR 2019900009227 U KR2019900009227 U KR 2019900009227U KR 900009227 U KR900009227 U KR 900009227U KR 920007228 Y1 KR920007228 Y1 KR 9200072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il
connection
view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9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426U (ko
Inventor
김태완
Original Assignee
금성기전 주식회사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기전 주식회사, 김희수 filed Critical 금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9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228Y1/ko
Publication of KR9200014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4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2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2050/446Details of the insulating support of the coil, e.g. spool, bobbin, form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개폐기용 전자코일의 터미널 구조
제1도는 전자개폐기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조립 단면도.
제4도(a)(b)는 코일접속용 터미널의 평면도와 A-A선 단면도.
제5도는 전원 접속용 터미널의 평면도와 측면도.
제6도는 종래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7도는 종래 터미널의 조립상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빈 2 : 터미널 고정부
4 : 코일접속용 터미널 5 : 톱니부
6 : 접속돌기부 7 : 전원접속용 터미널
8 : 톱니부 9 : 절개홈
본 고안은 전자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전자 개폐기내에 내장되는 전자코일의 터미널 구조를 개량하여 코일의 권선작업과 터미널의 조립작업이 보다 용이해짐은 물론 터미널의 유동으로 인한 코일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개폐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크로스바(15), 가동접촉자(16), 가동철심(17), 고정접촉자(18)등으로 이루어진 가동부와 고정철심(19), 마그네트 케이스(20)등으로 이루어진 고정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철심(19)에는 자기력의 발생을 위한 전자코일(A)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코일(A)에 전원을 인가하면 고정철심(19)이 전자석이 되어 가동철심(17)을 흡입함과 동시에 가동접촉자(16)와 고정접촉자(18)가 접속되어 전류가 통전되고, 전원을 제거하면 전자력이 소멸됨과 동시에 스프링(21)의 힘에 의해 가동철심(17)이 고정철심(19)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가동접촉자(16)와 고정접촉자(18)에서 떨어져 전류는 차단된다.
또한 전자개폐기에 사용되는 전자코일은 합성수지로 성형된 보빈과 보빈의 원주벽에 와인딩(winding)된 코일, 그리고 전원선의 연결을 위한 터미널로 구성되며, 터미널은 대략형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종래에 사용되어온 전자코일, 예를들어 제6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전자코일은 코일(13)이 와인딩되는 합성 수지제 보빈(11)의 하단에 한쌍의 터미널 고정부(12)를 형성하고 각 터미널 고정부(12)에 터미널(14)을 끼워 결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전자코일 구조에서 터미널 고정부(12)에 터미널(14)을 삽입한 후 코일(13)을 자동귄선기에서 와인딩하려고 하면 절곡된 터미널(14)형상에 의해 코일(13)을 감을 수 없으므로 통상 전자코일의 제조시 보빈(11)의 원주벽에 먼저 코일(13)을 와인딩한 다음 터미널 고정부(12)에 터미널(14)을 삽이비하고 코일(13)의 시작부분과 끝부분을 터미널(14)에 납땜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코일(13)과 터미널(14)의 납땜작업시 코일(13)의 시작 부분을 쉽게 찾기 위해서는 코일의 와인딩작업전에 시작부분에 미리 테이프등을 감아 표시해 주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코일의 납땜작업시 납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7도와 같이 터미널 고정부(12)에 삽입된 터미널(14)의 선단 부분을 하방으로 90° 각도로 밴딩(Bending)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전자코일 구조에서는 터미널(14)의 선단부분에 코일(13)이 납땜으로 고정되고 후단부분에 전원선(도시는 생략함)이 스크류등에 의해 연결되므로 전원선의 연결작업시 드라이버로 스크류를 풀고 조임에 따라 터미널(14)이 유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터미널의 유동에 의해 코일이 단선되기 쉬운 결점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코일의 시작부분을 미리 터미널에 고정한 상태로 와인딩을 할수 있게 하여 테이핑 작업과 터미널의 밴딩작업등 불필요한 작업을 삭제하고, 또한 전윈선 연결시에 발생되기 쉬운 코일의 단선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전자코일은 코일이 납땜으로 고정되는 거의 평판형의 코일접속용 터미널과 전원선의 연결을 위한 절곡된 형상의 전원접속용 터미널등 2개의 터미널로 구성되며, 조립시 이들 터미널이 긴밀하게 접촉함에 따라 코일과 전원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2도 내지 제6도에 따라 설명한다.
도면 제2도와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조립단면도로서, 코일(3)이 감겨지는 함성수지제 보빈(1)의 하방에 터미널 고정부(2)가 형성되어 있고 이 터미널 고정부(2)에 코일접속용 터미널(4)과 전원접속용 터미널(7)이 상, 하로 중첩되게 끼워져 결합된다.
제4도는 코일접속용 터미널(4)의 평면도와 단면도로서, 코일 접속용 터미널은 일측이 약간 절곡된 거의 평판형으로 되어 코일접속용 터미널(4)을 터미널 고정부(2)내로 삽입하였을 때 제3도와 같이 코일접속용 터미널(4)의 상면이 보빈(1)의 코일 권취면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권선기에서 코일(3)을 권선할 때 코일(3)의 시작 부분을 먼저 코일접속용 터미널(4)에 납땜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권선작업이 가능해지며, 또한 코일접속용 터미널(4)의 일측에는 이 터미널을 터미널 고정부에 견고하게 조립하기 위한 갈퀴형상의 톱니부(5)와 하향돌출된 형상의 접속돌기부(6)가 형성되어 있다.
제5도는 전원접속용 터미널의 평면도와 측면도로서, 전원접속용 터미널(7)은 대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갈퀴형상의 조립용 톱니부(8)와 이 톱니부(8)에 탄력성을 부여하기 위한 절개홈(9)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일측에는 스크류 체결용 나사공(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일측에는 스크류 체결용 나사공(1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의 권선작업이 완료된 후 전원접속용 터미널(7)을 코일접속용 터미널94)의 하방으로 끼워 결합하면 전원접속용 터미널(7)의 상면이 코일접속용 터미널(4)의 접속돌기부(6)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각 터미널(4)(7)이 전기적으로 서로 통하여지는 상태가 되며, 톱니부(8)가 터미널 고정부(2)의 내측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전원접속용 터미널(7)은 터미널 고정부(2)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코일 접속용 터미널(4)과 전원접속용 터미널(7)을 분리 제작한 후 이들을 조립하게 되어 있으므로 권선작업시 코일(3)의 시작부분을 미리 코일접속용 터미널(4)에 납땜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권선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코일의 납땜을 위한 터미널의 밴딩작업이 필요없게 되며, 이에 따라 제조공정의 간소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코일이 접속된 터미널과 전원선이 연결되는 터미널이 각각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전원선의 연결을 위해 드라이버로 스크류를 풀고 조임에 따라 전원연결용 터미널에 약간 유동이 생기는 경우에도 그 움직임이 코일접속용 터미널에는 전달되지 않게 되어 코일의 단선 우려도 없어지게 된다.

Claims (2)

  1. 보빈(1)에 형성된 터미널 고정부(2)에 터미널을 삽입, 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터미널을 코일접속용 터미널(4)과 전원 접속용 터미널(7)로 분할 형성하여 이들을 상, 하로 중첩되게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개폐기용 전자코일의 터미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코일접속용 터미널(4)에 하향 돌출된 접속돌기부(6)를 형성하여 상기 접속돌기부가 전원접속용 터미널에 밀착되게 한 전자개폐기용 전자코일의 터미널 구조.
KR2019900009227U 1990-06-28 1990-06-28 전자개폐기용 전자코일의 터미널 구조 KR9200072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9227U KR920007228Y1 (ko) 1990-06-28 1990-06-28 전자개폐기용 전자코일의 터미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9227U KR920007228Y1 (ko) 1990-06-28 1990-06-28 전자개폐기용 전자코일의 터미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426U KR920001426U (ko) 1992-01-28
KR920007228Y1 true KR920007228Y1 (ko) 1992-10-08

Family

ID=1930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9227U KR920007228Y1 (ko) 1990-06-28 1990-06-28 전자개폐기용 전자코일의 터미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2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199B1 (ko) * 2010-10-15 2012-05-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개폐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199B1 (ko) * 2010-10-15 2012-05-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개폐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426U (ko) 199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1436A (en) Electromagnetic relay having an improved terminal structure
KR930007699Y1 (ko) 전자접촉기
US7135946B2 (en) Electromagnetic relay having at least one relay actuator and a receptacle for relay actuators
KR960705334A (ko) 전자 계전기 및 그 제조방법(electromagnetic relay and its manufacture)
US4969844A (en) Electromagnetic contector
US4992765A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KR920007228Y1 (ko) 전자개폐기용 전자코일의 터미널 구조
KR970051610A (ko) 전자계전기의 구조
JP3720642B2 (ja) スイッチ装置
JP3809687B2 (ja) 電磁継電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29966Y2 (ko)
EP3780060A1 (en) Pluggable connecting device for contactor and contactor
JP2589483Y2 (ja) 小型トランス
JPS5843167Y2 (ja) 回路遮断器
KR900007012A (ko) 전자접촉기
EP0370452A2 (en) Electromagnetic relay having an improved terminal structure
US3037182A (en) Terminal lug
KR100480837B1 (ko) 전자접촉기와 회로기판의 접속장치
JPS60130068A (ja) 端子装置
JP4091012B2 (ja) 回路遮断器
JP2539734Y2 (ja) 電磁継電器
JPH0414834Y2 (ko)
JP2506485Y2 (ja) 電磁継電器のコイルボビン固定装置
JP3357922B2 (ja) 電磁継電器
JPS634804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