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685B1 - 충격 운동공구의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충격 운동공구의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685B1
KR950004685B1 KR1019890011903A KR890011903A KR950004685B1 KR 950004685 B1 KR950004685 B1 KR 950004685B1 KR 1019890011903 A KR1019890011903 A KR 1019890011903A KR 890011903 A KR890011903 A KR 890011903A KR 950004685 B1 KR950004685 B1 KR 950004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rubber
bracket
impact
cush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899A (ko
Inventor
히로무 데라다
다께히데 미야자끼
쇼오고 아께찌
Original Assignee
니혼 뉴우매틱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네 요시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뉴우매틱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네 요시하루 filed Critical 니혼 뉴우매틱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90011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685B1/ko
Publication of KR910004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충격 운동공구의 완충장치
제1도는 실시예의 일부노치 종단측면도.
제2도는 그 정면도.
제3도는 주요부의 확대도.
제4도는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의 확대도.
제5도는 사용상태의 측면도.
제6도는 종래예의 정면도.
제7도는 다른 종래예의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충격운동공구 3 : 아암
2 : 대차 4 : 브래킷
21 : 완충고무 22,23 : 규제부재
24 : 오목홈 25 : 설치구멍
26 : 끼워맞춤판
본 발명은 충격 운동공구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파워셔블등의 자주식 대차의 아암 선단에 설치하는 충격 운동공구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석현장, 토목건설 현장등에 있어서의 파쇄, 해체 작업등에 넓게 사용되고 있는 유압 또는 공압작동의 대형충격 운동공구(1) (소위 브레이커)는, 파워셔블 등의 대차(2)의 아암(3)의 선단에 브래킷(4)을 통하여 설치하여 사용된다.
상기의 충격 운동공구(1)는 작동시에 격심하게 상하로 진동하기 때문에, 이것을 아암(3)에 강하게 결합하면, 그 진동이 대차에 전달되고, 조작자나 대차자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 운동공구(1)와 이것을 지지하는 브래킷(4)과의 사이에 완충 고무(5)를 개재하는 것이 유효한 수단으로서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이하 제 1예라함.) 이 완충고무(5)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면에 고착한 워셔(6,7)를 충격 운동공구(1)와 브래킷(4)에 나사고정 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장착된다.
또, 제7도제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형상의 완충고무(8)를 사용한 예도 있다. 이 경우의 완충장치는, 완충 운동공구(1)의 측면에 홈(9)을 설치하고, 그 홈(9)에 원기둥형상 돌출부(11)를 가지는 판형상물(10)을 끼워넣음과 동시에, 충격 운동공구(1)에 고정된 설치 시이트에 상기 판형상물(10)을 고정한 것이다. 상기의 고리형상 완충고무(8)는 내외양통(13,14)에 의하여 끼워지고, 링(15)을 통하여 브래킷(4)에 고착된다. (이하 제2 예라 함)
상기의 제1예의 구성에 의하면, 원기둥형상의 완충고무(5)는 이 양단면에 있어서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공구(1)의 상하 방향의 진동을 흡수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공구(1)의 선단에 장착하는 끌(16)에 비스듬히 치거나 세게 긁기작업에 의하여 브래킷(4)의 면과 평행의 전후방향(제5도 X방향)의 힘이 작용했을 경우 완충고무(5)에 뒤틀리는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고무의 성상을 조기에 열화시키는 원인으로 됨과, 동시에, 고무부의 변형량이 너무 크기 때문에, 충격 운동공구(1)의 조작이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또, 끌(16)에 비집어트는 작업에 의해 좌우방향(제6도 Y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완충고무(5)를 통하여 양쪽의 브래킷(4)상호간에 그 간격을 밀어벌리는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완충고무(5)에 큰 인장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것도 고무의 성상을 조기에 열화시키는 원인으로 된다.
완충고무(5)의 두께(a)는, 필요한 완충효과를 얻기 위하여 일정 이상의 두께가 필요하지만, 이 두께(a)는 2매의 브래킷(4)사이의 간격(b)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이 간격(b)은, 공구(1)를 좁은 작업 공간내에서 사용하는 경우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될 수 있는대로 작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때문에 완충고무(5)의 두께(a)가 직접 브래킷(4)의 간격(b)에 영향을 주는 구성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다.
또, 완충고무(5)에 고착된 와셔 (6,7)를 충격운동 공구(l)의 각각의 브래킷(4)과의 사이에 각각 나사고정하는 설치방법이기 때문에, 완충고무(5)의 교환이나 수리 작업이 행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또, 상기 제2예의 경우는, 고리형상 완충고무(8)에 압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완충작용을 행하는 것이지만, 고무의 변형량이 완충고무(8)의 두께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충분한 크기 변형량을 얻을 수가 없다. 이 때문에, 제1예와 같이 원기둥형상 완충고무(5)에 전단방향의 힘을 작용시켜서 완충작용을 행하게 하는 것에 비하여 완충효과가 작은 결정이 있다. 또, 완충고무(8)는 원기둥형상 돌출부(11)와 링(15)사이에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흡수에 의해 고무내부에 발생한 열이 방열하기 어렵고, 고무성상의 열화를 초래하기 쉽다.
또한, 그 장착 방법은, 우선 충격운동공구(1)에 설치한 설치 시이트에 관형상물(10)을 볼트로 굳게 붙이고, 다음에 링(15)에 완충고무(8)를 조립한 브래킷(4)을 판형사울(10)의 원기둥 형상돌기(11)에 끼워넣기 때문에 대단히 어려운 작업으로 된다.
또, 고리형상 완충고무(8)가 파손하여 교환하는 경우에도, 브래킷 (4)에 완충고무(8)를 조립한 상태대로 원기둥 형상 돌출부(11)에서 떼어내며, 링(15)에서 완충고무(7)를 떼어내며 정(15)에서 완충고무(7)을 떼어내고 교환하고 나서 다시 번잡한 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완충고무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그 위에, 브래킷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할 수가 있고, 또한 충격 운동공구의 장착 작업이나 완충 고무의 교환작업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차(2)의 아암(3)에 설치한 대향하는 한쌍의 브래킷(4)사이에 충격 운동공구(1)를 장착하고, 그 충격 운동공구(1)의 양측면과 각 브래킷(4)과의 사이에 완충고무(21)를 개재하여 이루어지는 충격 운동공구의 완충장치에 있어서, 양쪽의 브래킷(4)의 대향하는 내면 사이에 충격 운동공구(l)의 전후 양면과 각각 대향한 전후의 규제부재(22,23)를 설치하고, 충격 운동공구(1)의 양측면의 오목홈(24)에 대향한 설치구멍(25)을 각 브래킷(4)에 설치하고, 각 형상의 완충고무(21)의 한쪽의 끝면에 끼워맞춤판(26), 다른쪽의 끝면에 설치판(27)을 각각 고정되게 부착하고, 상기 완충고무(21)를 설치구멍 (25)에 통하여 끼워맞춤판(26)을 오목홈(24)에 통하여 끼워맞춤판(26)을 오목홈(24)에 끼워맞춤과 동시에, 설치판(27)을 브래킷(4)의 외측면에 고정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충격 운동공구(1)는, 전후의 규제판(22,23)에 의해 전후에서 규제되고, 또 완충고무(21), 끼워맞춤판(26), 설치판(27)의 조립체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지지된다. 충격 운동 공구(1)의 진동(제5도의 Z방향)은, 완충고무(21)에 대하여 전단 방향으로 작용하고, 흡수완화된다. 또, 끌(16)에 작용하는 (X)방향 및 (Y)방향의 힘은, 각각 양쪽브래킷(4)을 연결하는 규제부재(22,23)에 의해 규제되고, 탄성시이트(28,31) 또는 완충고무(21)의 압축에 의해 완충된다. 제1도에서 제3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완충장치는, 대향하는 한쌍의 브래킷(4)의 선단부내면에 충격 운동공구(1)의 각 기둥형상 본체를 끼워두고, 그 공구(1)의 양측면과 브래킷 (4)과의 사이에 각 형상의 완충고무(21)를 개재한 것이다.
브래킷(4)의 대향내면에는, 후방규제부재(23)가 용정으로 상하로 고정되게 부착된다. 공구(1)는 브래킷(4)의 앞끝에서 안쪽으로 향하여 끼워 넣어지고, 후방규제부재(23)에 고무판등의 탄성시이트(28)를 개재하여 맞닿게 된다.
공구(1)의 양측면에는 상하 2개소의 오목홈(24)이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브래킷 (4)에는 각 오목홈(24)에 대향하여 설치구멍 (25)이 형성되어 있다.
완충고무(21)는 외주면이 어느 정도 잘룩한 각 형상을 이루고, 그 한끝면에 끼워맞춤판(26), 다른 끝면에 설치판(27)이 소부등의 수단에 의해 일체화되고 조립체를 형성하고 있다. 끼리맞춤판(26)은 오목홈(24)에 합치하고, 또 설치판(27)은 설치구멍(25)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완충고무(21)는 그 끼워 맞춤판(26)측을 내측으로 하여 브래킷(4)의 바깥쪽에서 끼워넣고, 끼워맞춤판(26)은 오목홈(24)에 걸어 맞춤과 동시에, 설치판(27)을 설치구멍(25)의 둘레에 있어서 브래킷(4)의 외측면에 볼트(29)에 의해 고정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설치구멍(25)은 완충고무(21)에 대하여 충분히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완충고무(21)가 변형하여도 설치구멍(25)의 내주 가장자리에 접속하는 일이 있도록 형성된다.
또, 공구(1)전면에는, 상기의 후방규제 부재(23)와 대향한 위치에 전방규제부재(22)가 브래킷(4)에 볼트(30)에 의해 고정되고, 그 내면을 탄성시이트(31)를 통하여 공구(1)의 전면에 밀어맞춘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탄성시이트(28,31)는, 각 규제부재(23,22)가 직접 공구(1)에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기타, 도면중(32)에는 대차(2)에 대한 설치핀구멍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완충장치는 이상과 같은 구성이고, 후방규제부재(23)는 미리 브래킷(4)의 내면에 고착함과 동시에, 완충고무(21)의 끼워맞춤판(27)을 브래킷 (4)의 외측면에 볼트(29)에 의해 고정되고, 그 선단부분을 브래킷 (4)의 내면에 돌출시킨 상태로 조립된다.
그후, 공구(1)를 브래킷(4)의 앞쪽에서 끼워넣고, 그 오목홈(24)에 완충고무(21)의 걸어맞춤판(26)을 긴밀하게 걸어 맞춤시키면서, 그 후단면이 후방규제 부재(23)외 맞닿을 때까지 밀어 넣는다. 그후, 공구(1)의 앞끝면에 전방규제부재(22)를 밀어대고, 볼트(30)를 체결항으로써 공구(1)의 전후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또. 공구(1)를 브래킷(4)과 전후의 규제부재(23,23)사이에 끼워넣은 후, 완충고무(21)를 설치구멍(25)의 외측에서 끼워넣고, 끼워맞춤판(26)을 공구(1)의 오목흠(24)에 걸어맞춤시켜서 설치판(27)을 브래킷(4)의 외측면에 볼트(29)에 의해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의 완충장치는, 공구(1)의 상하방향의 진동에 의해 완충고무(21)에 전단력이 작용하고, 브래킷(4)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완화한다. 이때, 각각의 규제부재(22,23)는 탄성시이트(28,31)를 통하여 공구(1)의 전후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화하지만, 상하 방향의 움직임은 구속되지 않기 때문에, 공구(1)의 상하 방향의 진동의 방해하는 일이 없고, 그 진동이 규제부재(22,23)을 거쳐 브래킷(4)에 전파하는 일도 없다.
또, 끌(16)에 (X)방항의 외력이 작용했을 경우, 브래킷 (4)과 공구(1)와의 상대이동은, 전후의 규제부재 (22,23)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완충고무(21)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일은 없다. (Y) 방향의 외력이 작용했을 경우에는, 브래킷(4)의 사이의 폭이, 전후의 규제부재(22,23)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2도에 있어서의 좌우의 어느 것인가의 완충고무(21)에 압축하중이 활동하고, 공구(1)의 큰 변화를 억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공구(1)의 전후의 면에 규제부재(22,23)를 탄성시이트(28,31)를 통하여 맞닿게함으로써, 공구(1)의 진동을 한 방향으로 규제하고, 완충고무(21)에는 전단력만 작용시키고, 뒤틀림힘과 인장력이 사용하는 것을 규제한다. 따라서 완충효과가 높고, 또 완충고무(21)의 내구성의 향상과 공구(1)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완충고무(21)의 표시의 상당 부분이 대기에 노출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에서 발생한 열의 방출이 충분히 행하여지고 온도 상승에 의한 고무성상의 열화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완충고무(21)의 설치판(27)은 브래킷(4)의 외측면에 고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완충고무(21)를 와셔를 통하여 브래킷(4)의 내면에 설치하는 종래의 형식(제6도 참조)에 비해, 브래킷(4)의 간격을 브래킷(4)의 두(d)와 설치판(27)의 두께(d2)의 합의 2배만큼 좁게 할 수가 있다. 그위에, 완충고무(21)를 각 형상으로 함으로써, 끼워 맞춤판(26), 설치판(27)으로의 고무의 접착면이 중가하므로, 완충고무(21)의 높이를 원기둥형상의 완충고무(15)보다 낮게 할 수 있고, 브래킷(4)의 폭을 한층 좁게 할 수 있다.
또, 완충고무(21)와 끼위맞춤판(26) 및 설치판(27)의 조립체는, 브래킷(4)의 외측면에서 끼워 넣어지고 그 외측면에 고정되게 부착되기 때문에 브래킷(4)에 그 조립체를 고정되게 부착되고 나서, 공구(1)를 조립하는 경우, 또는 공구(1)를 브래킷(4)에 쌓아넣고 나서 상기 조립체를 굳게 붙이는 경우의 어느것에 있어서도 조립이 대단히 용이하다. 또한, 사용중 어느것인가의 완충고무(21)가 파손했을 경우에는, 그 판손한 완충고무(21)의 조립체만을 볼트의 탈착에 의하여 바꿀 수 있기 때문제 보수가 간단하고 또한 수리비도 싸다.
제4도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21)은 완충고무이고, 그 양측에는 강판등으로 이루어지는 설치부재(26,37)가 소부등의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한쪽의 설치부재(26')는 제4도와 같이 이 완충고무(21)와의 접합면(38)이 수직의 공구(1)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되고, 다른쪽의 접합면(39)도 경사되어 있다.
또, 설치부재(37)는 그 외측설치판(27)을 일체로 설치하고, 이 설치판(27)을 제4도와 같이 브래킷(4)의 외측에 복수의 볼트(29)에 의해 고정하고 설치부재(37)는 브래킷(4)에 설치된 설치구멍(25)에서 내부로 돌출시킨다.
한편, 내측의 끼워 맞춤판으로 이루어지는 설치부재(26')는 제4도와 같이 충격 운동공구(1)의 외측으로 설치된 오목홈(24)에 걸어 맞춤시킨다.
상기 이외는 최초의 실시예에 기술한 대로이다. 이 실시예와 같이 완충고무(21)의 접합면을 경사시킴으로서 공구(1)의 상하 방향의 진동은, 압축방향과 전단 방향의 하중으로 고무(21)에 움직이기 때문에 접합부의 고무의 박리가 없어지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Claims (2)

  1. 대차(2)의 아암(3)에 설치한 대향하는 한쌍의 브래킷(4)사이에 충격 운동공구(1)를 장착하고, 이 충격운동 공구(1)의 양측면과 각 브래킷(4)과의 사이에 완충고무(21)를 개재하여 이루어지는 충격 운동공구의 완충장치에 있어서, 양쪽의 브래킷(4)의 대향내면 사이에 충격 운동공구(1)의 전후양면과 각각 대향한 전후의 규제부재(22,23)를 설치하고, 충격 운동공구(1)의 양측면의 오목홈(24)에 대향한 설치구멍(25)를 각 브래킷(4)에 설치하고, 각 형상의 완충고무(21)의 한쪽의 끝면에 끼워 맞춤판(26), 다른쪽의 끝면에 설치판(27)을 각각 굳게 붙이고, 상기 완충고무(21)를 설치구멍(25)을 통하여 끼워 맞춤판(26)을 오목홈(24)에 끼워 맞춤과 동시에 설치판(27)을 브래킷(4)의 외측면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운동공구의 완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완충고무의 적어도 한쪽의 끝면이 충격 운동공구(1)의 축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운동공구의 완충장치.
KR1019890011903A 1989-08-21 1989-08-21 충격 운동공구의 완충장치 KR950004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1903A KR950004685B1 (ko) 1989-08-21 1989-08-21 충격 운동공구의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1903A KR950004685B1 (ko) 1989-08-21 1989-08-21 충격 운동공구의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899A KR910004899A (ko) 1991-03-29
KR950004685B1 true KR950004685B1 (ko) 1995-05-04

Family

ID=1928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903A KR950004685B1 (ko) 1989-08-21 1989-08-21 충격 운동공구의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6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6850B2 (en) * 2017-09-27 2021-06-29 Evonik Operations Gmbh Mixed metal catalys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polyurethane fo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899A (ko) 199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8222B2 (en) Breaker mounting bracket
US8146677B2 (en) Hydraulic breaker assembly
US5285858A (en) Device for supporting impact tool
RU2501711C2 (ru) Хвостовая часть самолета и способ ее сборки
KR100651103B1 (ko) 건설 기계
KR100839618B1 (ko) 캐브 완충장치
KR20090077382A (ko) 사이드미러 고정수단이 구비된 중장비
KR950004685B1 (ko) 충격 운동공구의 완충장치
EP0412203A1 (en) Cushioning device for impact tool
KR20080008564A (ko) 건설중장비 부품 진동저감장치
JPH0129029Y2 (ko)
KR200153898Y1 (ko) 충격 운동 공구의 완충 장치
US20160356338A1 (en) Attachment bracket for coupling work tool with machine
KR20080003017U (ko) 브레이커의 방진장치
JP2001162564A (ja) 油圧ブレーカの防振機構
KR101581370B1 (ko) 충격완화 장치가 구비된 유압브레이커
KR101359322B1 (ko) 유압브레이커의 방진장치
KR20050049851A (ko) 이중 구조를 갖는 브레이커의 방진 쿠션
JPH09155766A (ja) 衝撃動工具の支持装置
JPS6315394Y2 (ko)
KR101396286B1 (ko) 유압브레이커의 댐퍼장치
JPH0320358Y2 (ko)
KR200337265Y1 (ko) 이동차 레일의 고정장치
JP4657625B2 (ja) 油圧ブレーカ本体支持構造
JP2009119538A (ja) 衝撃動工具の緩衝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