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330Y1 - 로울러 보드 - Google Patents

로울러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330Y1
KR950004330Y1 KR2019910015560U KR910015560U KR950004330Y1 KR 950004330 Y1 KR950004330 Y1 KR 950004330Y1 KR 2019910015560 U KR2019910015560 U KR 2019910015560U KR 910015560 U KR910015560 U KR 910015560U KR 950004330 Y1 KR950004330 Y1 KR 950004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oard body
bracket
board
fron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5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291U (ko
Inventor
황선익
Original Assignee
황선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익 filed Critical 황선익
Priority to KR2019910015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330Y1/ko
Publication of KR9300062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2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3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4Wheel arrangements
    • A63C17/016Wheel arrangements with wheels arranged in one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로울러 보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롤러보오드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롤러보오드의 저면도.
제3도는 전방 롤러조립체의 확대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롤러 조립체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제4도 (a)는 제4도의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장치이 장착예의 일부 전개도.
제6도 (a)(b)및 (c)는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오드 본체에 장착될 수 있는 스케이트날과 스키플레이트의 사시도.
제7도 (a)및 (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오드 본체에 장착될수 있는 새들(saddle) 조립체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저면도.
제8도는 본 롤러보오드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지면 상황에서 주행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통상의 도로주행을, (b)는 보오드 본체에 장착된 스케이트날과 새들을 이용한 빙판상 주행을, 그리고 (c)는 스키플레이트를 장착한 눈위에서의 주행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오드본체 2 : 발판부
3 : 전방롤러조립체 4 : 후방롤러 조립체
5 : 브레이크장치 6 : 전방롤러
7 : 전방롤러지지브래킷 8 : 플레이트
9 : 전방롤러축 10 : 피봇측
11 : 플레이트 고정공 12 : 그루브
13 : 볼 14 : 인장스프링
15, 15' : 후방롤러브래킷 16 : 후방롤러
17 : 스프링 20 : 브레이크슈우
21 : 브레이크슈우브래킷 22 : 스프링
23 : 긴볼트 24 : 체결너트
25 : 와셔 26 : 힌지핀
27 : 볼트 28 : 넛트
29 : 보조롤러 30, 31 : 스케이트날
32 : 스키플레이트 33 : 삽입부
34 : 구멍 35 : 측방돌기부
36 : 새들 37 : 다리
38 : 장착부
본 고안은 로드스키용 롤로보오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양발로 타고 스키폴(ski-pole)과 유사한 한쌍의 폴을 이용하여 도로등의 평지상에서 스키를 타듯이 즐길수 있는 신종 레저스포츠용의 롤로보오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평탄한 도로등에서 양발을 이용하여 타고 즐길수 있는 수단으로써 롤러스테이트, 스케이트보오드 혹은 롤러스키등이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들은 추진력, 조향 및 균형유지를 사용자의 다리와 전신의 운동에 전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에, 고속주행 및 기교에 의한 스릴감을 안전하게 즐길수 있기 위해서는 고도의 숙달을 요구될 뿐 아니라, 그 숙달이 어렵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숙달이 용이하고, 도로등의 평지에서 안전하게 속도감 및 기교를 즐길 수 있는 신종 레저스포츠용 롤로보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로등의 평지에서뿐만 아니라 빙판이나 눈위에서도 마찬가지로 즐길 수 있는 썰매 및 스키겸용의 롤로보오드르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종축선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두개의 발판부를 가진 보오드 본체와, 보오드 본체의 하부에 전후로 설치되는 전방 롤러 조립체와, 보오드 본체의 후단부 영역에 설치되는 브레이크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 롤러 조립체는 전방 롤러를 수평으로 축지하며 보오드 본체에 고정된 장착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피봇 설치되어 피봇측을 중심으로 종축선을 대해 일정각도내에서 요동가능한 전방롤러 지지브래킷을 가지고, 상기 후방롤러 조립체는 상기 발판 영역하부에 설치되어 후방 롤러 축지지하는 후방 롤러브래킷을 가지며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일단부가 보오드 본체의 후단부 영역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부에 노면과 마찰 작용할 수 있는 교체 가능한 브레이크 슈우가 고정되는 브레이크슈우브래킷과, 상기 보오드 본체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롤러보오드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오드 본체에 한쌍 혹은 단일의 스케이트날 또는 스키플레이트가 장착될수 있는 롤로보오드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본 롤러보오드는 평지뿐만 아니라 빙판이나 눈위에서 썰매 혹은 스키와 같이 이용될수 있다.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방롤러 조립체와 보오드 본체 사이에 완충수단 제4도(17)이 재개되어 있는 롤러보오드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노면의 불균일성에 기인하여 신체에 전달될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킬수 있다.
그외의 본 고안의 목적, 실시예 및 장점들에 대하여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롤로보오드의 사시도 및 저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써, 본 롤러보오드는 전체적으로 스포츠카나 비행기를 모방한 유선형의 보오드본체(1)를 가지며, 이 보오드본체(1)의 상부에는 종축선의 양측에 라이더의양발을 지지하고 양발과의 접촉력을 유지하는 발판부(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발판부(2)에는 발과의 접촉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작은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발판부(2)는 통상 보오드본체(1)의 성형시 일체로 형성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별도로 제조되어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보오드본체(1) 하부에는 그 종축선상에 전방롤러 조립체(3) 및 후방롤러 조립체(4)가 전후로 배치되고, 보오드 본체(1)의 후단부 영역에 브레이크 장치(5)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방 롤러 조립체(3)은, 제2도 및 제3도에서 볼수 있는 바와같이, 보오드본체(1)에 고정 장착되는 플레이트(8)에 상기 종축선에 대해 좌우 회동자재로 피봇 설치된 전방롤러지지브래킷(7)를 가진다. 전방롤러(6)은 접지점과 전방롤러 브래킷(7)의 피봇측 사이에 일정의 간격을 두고 전방롤러 브래킷(7)에 접지 회전가능하도록 축지지된다.
이에따라 전방롤러(6)은 보오드본체(1)의 종축선에 대해 일정각도내에서 요동할수 있도록되어있어, 롤로보오드의 조향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이에 의해 라이더는 주행중에 폴을 사용하여 지면을 밀거나 자신의 무게 중심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진행 방향을 전활할수 있다.
전방롤러 조립체(3)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8)와 전방롤러 브래킷(7)사이에, 플레이트(8)에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그루브(12)와 상호 작용을 하도록 전방 롤러 브래킷(7)에 형성된 요부내에 들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볼(13)로 이루어지는 베어링기구를 마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베어링기구는 전방 롤러 브래킷(7)의 회동을 부드럽게 할뿐만 아니라, 전방롤러(6)에 가해지는 하중을 수용하여 전방롤러 브래킷(7)과 이의 피봇측(10)에 발생할 수 있는 굽힘 모멘트를 경감시킨다. 또한 전방 롤러 브래킷(7)과 보오드 본체(1)의 종축선상의 일지점 사이에, 전방롤러(6)의 구름 방향이 항상 종축선과 일치하도록 인장 스프링(14)을 설치한 경우에는, 롤러보오드의 직진성이 보장될뿐만 아니라 라이더에 의해 주행 방향이 전환된 후에 전방롤러(6)는 신속하게 본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후방롤러 조립체(4)는 도면 제4도에서와 같이 보오드 본체(1)에 고정되는 후방롤러 브래킷(5)과 이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후방롤러(16)로서 이루어진다.
이 후방롤러조립체(4)의 접지 위치는 보오드본체(1)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발판부(2)의 중앙근처에 위치하도록 보오드본체(1)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주행중 제동의 필요가 있을때 라이더가 자신의 발뒤굽에 힘을 가하면 전방롤러 조립체(3)가 들리면서 보오드본체(1)가 뒤로 젖혀져, 후술할 보오드본체(1) 후단부의 브레이크장치(5)의 브레이크슈우(20)이 접지 마찰되어 제동기능을 발휘할수 있게 된다.
그리고, 노면의 불균일성에 기인한 충격이 라이더의 신체에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도에서 예로서 도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후방롤러 브래킷(15)과 (15')사이에는 스프링(17)과 같은 완충수다을 개재하여 보오드본체(1)에 장착된다.
보오드본체(1)의 후단부 영역에 설치되는 도면 제2도의 브레이크장치(5)는 보오드본체(1)에 일단부가 힌지 고정되고 타단부에 브레이크슈우(20)가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우브래킷(21)과, 보오드본체(1) 사이에 게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제2도 (22)}을 구비한다.
이 스프링(22)에 의해 브레이크슈우(20)의 제동작용시 브레이크 슈우브래킷(21)은 후방 혹은 상방을 향하여 탄성회동 가능하게 된다. 브레이크슈우(20)는 지면에 대한 마찰계수가 크고 충분한 강성을 갖는 마찰재로 만들어지며, 마모되었을때 용이하게 교체할수 있도록 되어있다.
제5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장치(5)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단부에 브레이크슈우(2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브레이크 슈우브래킷(21)의 타단부는 보오드본체(1)에 설치된 힌지핀(26)에 의해 힌지고정되고, 구형의 두부를 가진 긴볼트(23)는 슈우브래킷(21)와 보오드본체(1)를 통과하고 이에 스프링(22)이 삽입된 다음, 와셔(25) 및 체결너트(24)에 의해 조여져 보오드본체(1)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이에따라 브레이크슈우(20)가 노면에 마찰되어 제동 작용을 행할때 상기 슈우브래킷(21)이 후방을 향하여 탄성회동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스프링(22)의 탄성에 의해 제동력이 더욱 강화될뿐만 아니라, 제동력의 크기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브레이크장치(5)의 장착방법은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슈우브래킷을 수직으로 장착한 도시예와 달리 이를 수평으로 보오드본체(1)의 내측 하부에 힌지 고정하고, 보오드본체(1)와 이 브래킷 사이에 압축 스프링을 개재시킬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오드 본체(1) 하부의 양측방에는 전후방롤러(6, 16)와 동일방향으로 전, 후진상을 회전하게 설치되는 각각 하나의 보조롤러(29)가 추가로 마련된다. 이들 보조롤러(29)는 롤로보오드의 주행중 특히 선회시에 보오드본체(1)의 측부가 뜻하지 않게 노면에 닿는 경우에 발생할수 있는 전복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6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롤로보오드에 장착될수 있는 스케이트날(30, 31)과 스키플레이트(32)를 각각 예시로서 도시한 것이다. 빙판상에서는 한쌍의 스케이트날(30) 또는 단일 스케이트날(31)을 장착하여 양날 혹은 외날썰매로서 사용될수 있고, 눈이나 잔디상에서는 스키플레이트(32)를 장착하여 스키보오드나 눈썰매로써 사용될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장착을 위하여 이들(30, 31, 32) 및 보오드 본체(1)에는 상호 작용하는 장착부가 각각 형성 설치되어 있다. 이 장착부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예로서 스케이트날(30, 31) 또는 스키플레이트(32)의 삽입부(33)와 보오드본체(1)의 구멍(34)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삽입부(33) 및 구멍(34)에는 탄성을 갖는 측방돌기부(35)와 이에 맞물리는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이들이 서로 확실히 맞물릴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는 많은체결방법, 예를 들어 적절한 탄성 후크기구, 핀고정기구, 볼트체결기구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7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오드본체(1)상부에 라이더가 앉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새들(36)을 도시한 것이다.
새들(36)은 세개의 다리(37)에 의해 보오드본체(1)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대응하는 장착부(38)(제1도)에 장착된다.
이 새들(36)은 롤러보오드의 주행중에 특히 스케이트날(30, 31)을 장착하여 빙판상을 주행할때 통상의 썰매를 타듯이 라이더가 앉아서 운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이상 설명한 요소외에도 본 롤러보오드는 여러가지 유리한 부속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람의 저항을 줄이고 발을 보호하며 롤러보오드의 외적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방커버, 발판부(2)에 대한 발의 고정을 위한 발고정띠, 보오드본체(1) 충격이나 마손을 방지하기 위한 몰딩등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롤로보오드의 이용 형태가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8도(a)에 도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도로등의 평지에서는 라이더가 양발을 보오드본체(1) 상부에 발판부(2)에 올려놓고 스키폴을 이용하여 진행한다. 주행방향을 전환하고자하는 경우에는, 폴을 이용하여 측방으로 밀거나 신체의 체중 중심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전방롤러(6)가 피봇측(1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용이하게 주행방향이 전환되게 된다. 주행중 제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라이더가 자신의 발뒷굽에 힘을 가하면 후방롤러 조립체(4)를 중심으로 보오드본체(1)가 회동하여 전방롤러(3)가 들리면서 후단부에 있는 브레이크장치 제2도(5)의 브레이크슈우 제5도(20)가 지면에 닿아 제동작용을 수행한다. 이때 브레이크장치(5)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은 스프링 장치를 구비한 경우에는 스프링(22)의 탄성의 도움으로 제동력이 더욱 강화되고 또 라이더는 제동력을 적절히 조절할수 있다.
그리고 후방롤러조립체(4)가 제4도와 같이 완충 수다을 구비하면 노면의 불균일성에 기인한 충격을 흡수하여 라이더에게 양호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보오드본체(1)의 양측방에 마련되어 있는 한쌍의 보조롤러(29)는 주행중 특히 선회중에 보오드본체(1)의 측부가 지면등에 닿게되는 경우, 편측의 급정지에 의한 불의의 사고를 방지할수 있도록한다.
제8도 (b)및 (c)는 본 롤러보오드에 스케이트날(30)(31)과 스키플레이트(26)를 장착하여 빙판이나 눈위에서 주행하는 것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통상의 도로 주행시와 마찬가지로 폴을 이용하여 썰매나 스키와 같이 즐길수있다. 특히 새들(36)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상의 썰매나 눈썰매와 같이 사용될수 있다.
이상 설명과 같이, 본 고안의 롤러보오드는, 폴을 이용하여 도로등을 주행하므로 안전하고 숙달이 용이하며, 종래의 롤러스케이트등에서 느낄수 없었던 속도감과 도로에서도 스키와 같이 달릴 수 있다는 전혀 새로운 즐거움을 라이더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이것은 스포츠맨 특히 스키어들의 하계 훈련용으로 적합하다.
더우기 스케이트날등을 간단히 장착함으로서 도로에서 뿐만아니라 빙판이나 눈위에서도 편리하게 주행할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다양하게 즐길수 있다.

Claims (3)

  1. 종축선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한개의 발판부를 가진 보오드본체와, 보오드본체의 하부에 전후로 설치되는 전방롤러조립체 및 후방롤러조립체와, 보오드본체의 후단부 영역에 설치되는 브레이크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롤러조립체는 전방롤러를 수평으로 축지지하며 보오드본체에 고정 장착된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피봇설치되어 피봇측을 중심으로 종축선에 대해 일정각도내에서 요동 가능한 전방롤러지지 브래킷을 가지고, 상기 후방롤러조립체는 상기 발판 영역하부에 설치되어 후방롤러를 축지지하는 후방 롤러브래킷을 가지며, 상기 브레이크장치는 일단부가 보오드본체의 후단부 영역에 힌지고정되고 타단부에 노면과 마찰작용을 할 수 있는 교체 가능한 브레치크 슈우브래킷과, 이 슈우브래킷과 상기 보오드본체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보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롤러브래킷(7)과 상기 보오드본체(1)의 종축선상의 일치점 사이에 인장스프링(14)이 개재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보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롤러조립체(4)는 상기 후방롤러브래킷(15)과 롤러브래킷(15')사이에 완충수단(1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보오드.
KR2019910015560U 1991-09-24 1991-09-24 로울러 보드 KR950004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5560U KR950004330Y1 (ko) 1991-09-24 1991-09-24 로울러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5560U KR950004330Y1 (ko) 1991-09-24 1991-09-24 로울러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291U KR930006291U (ko) 1993-04-23
KR950004330Y1 true KR950004330Y1 (ko) 1995-05-25

Family

ID=1931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5560U KR950004330Y1 (ko) 1991-09-24 1991-09-24 로울러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33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141B1 (ko) * 2000-02-21 2003-11-28 서기영 롤러 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291U (ko) 199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5687A (en) Rollerboard for road-skiing
US5549331A (en) Inline skateboard
US4460187A (en) Roller ski having a bridle
US6428022B1 (en) Inline skateboard
JP3086500U (ja) 滑走装置
US5795277A (en) Tilt walker sport board sport tilt walker board
US5931480A (en) Footgear suspension device
US62063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fable skateboards
US20170007900A1 (en) Stand-on land vehicle for simulating skiing
CA1264777A (en) Wheel mounting in an amusement rolling device
JP2004534626A (ja) カービング小型そり
AU2009202603B2 (en) Skate Board With Wear Resisting Means
US20070200305A1 (en) Individual foot-skates for transportation, exercise, and sport
KR950004330Y1 (ko) 로울러 보드
US3421773A (en) Sport vehicle
KR200401158Y1 (ko) 상체 전방 위치형 스키 타입 썰매
JPH077988Y2 (ja) ローラーボード
KR920000719B1 (ko) 썰매 및 스키겸용 로울러보드
KR200435676Y1 (ko) 3륜 스케이트 보드
KR200376060Y1 (ko) 인라인 썰매
KR200360796Y1 (ko) 발걸이구와 압축스프링의 위치조정구조를 가진 마운틴 보드
KR200204598Y1 (ko) 지상스키
WO2017192150A1 (en) Stand-on-land vehicle for simulating skiing
WO1998057836A1 (fr) Velo a patins
KR100407141B1 (ko) 롤러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