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235Y1 - 테프론봉 성형기의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테프론봉 성형기의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235Y1
KR950004235Y1 KR92001351U KR920001351U KR950004235Y1 KR 950004235 Y1 KR950004235 Y1 KR 950004235Y1 KR 92001351 U KR92001351 U KR 92001351U KR 920001351 U KR920001351 U KR 920001351U KR 950004235 Y1 KR950004235 Y1 KR 950004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flon
molding
rod
cor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1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921U (ko
Inventor
이무웅
Original Assignee
이무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웅 filed Critical 이무웅
Priority to KR92001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235Y1/ko
Publication of KR9300179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9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2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6Pressing and sintering powders, granules o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0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12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containing fluorine
    • B29K2027/18PTFE, i.e. polytetrafluorethene, e.g. ePTFE, i.e. expanded polytetrafluor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6Rods, e.g. connecting rods, rails, st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프론봉 성형기의 성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테프론 성형기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구성도로써 제3(a)도는 분말상태의 테프론 원료를 주입하는 상태이고, 제3(b)도는 테프론봉이 성형되는 상태이며, 제3(c)도는 테프론봉이 성형이 완료된 상태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해 성형된 테프론봉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성형부 3 : 상부가압부
4 : 하부가압부 5 : 심체부
21a : 성형실 34,42 : 가압봉
44a : 피스톤로스 52 : 코어
본 고안은 분말상태의 테프론 원료를 사용하여 중앙이 통공된 고체상태의 테프론봉을 성형하는 테프론봉 성형기의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번의 공정으로 중앙이 통공된 다수의 테프론봉을 성형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함과 아울러 금형의 제작을 용이하게는 테프론봉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테프론봉은 일반적으로 각종 기계장치의 배관에서 기체나 액체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시키는 링이나 가스켓 또는 패킹의 재료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러한 테프론봉은 분말 상태의 테프론 원료를 가압 성형하여 고체 상태의 봉형태로 성형한 다음 이를 고온으로 열처리하여 각종 기계부품의 재료로 사용하게되는데, 이러한 테프론봉을 내부가 찬 봉형과 중앙이 통공된 중공형을 들수 있다.
이러한 테프론봉에 있어 중앙이 통공된 테프론봉을 성형하는 종래의 성형장치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부가 상하로 연통되어 분말상태의 테프론이 주입되는 성형공간이 구비된 다이가 구성되고, 상기 다이의 상,하부에는 별도의 유압실린더와 같은 가압부재가 각각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하부 승강부재의 중앙에는 다이의 상단과 동일선상으로 코어가 통공되어 고정설치되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테프론봉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중앙이 통공된 테프론봉을 성형하는 과정을 보면, 먼저, 다이의 성형공간에 분말상태의 테프론을 일정량 주입시킨후 거기에 전원을 인가시키게되면, 상,하 가압부재가 다이를 중심으로 각각 승강작동되어 즉, 하부가 가압부재가 성형공간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승되어짐과 동시에 상부가압부재가 분말 테프론의 상부를 가압 부재가 분말테프론의 상부를 가압시키게되면 성형공간내의 분말테프론에 소성 변형이 일어나 중앙이 통공된 고체상태의 테프론봉이 성형되어진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 테프론 성형기는 분말야금에 따른 극히 일반적인 압출 가공에 의해 테프론봉을 성형하게 되므로써 한번의 기계 작동으로 하나의 테프론봉만을 제조하게되어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었을뿐만 아니라 상,하 가압부재의 끝단에 분말상태의 테프론을 가압하는 플레이트를 각각 구성해야하고, 중공상태를 이루게하는 코어 설치가 난이함등 구성이 복잡하여 금형제작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중앙이 통공된 테프론봉의 생산성을 증대 시킴과 아울러 금형에 제작성을 증대시킨 테프론봉 성형기의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한번의 공정으로 다수의 테프론봉을 성형할수 있게함과 아울러 구조를 간소화한 테프론봉 성형기의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 성형장치는 원통형의 고정다이에 원주방향으로 상하연통되는 다수의 성형실을 갖추고 상,하 가압부에 상기 성형실과 일치하여 각각 삽탈되는 다수의 가압봉을 구비하며, 상기 성형실의 중앙에 고정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심체부를 하부 이송 플레이트와 하부 피스톤의 중앙에 고정설치하여 이 심체부를 따라 하부 가압부가 자유로이 승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테프론 성형기의 구성도로써, 1은 성형기이다.
이 성형시(1)은 수직 방향으로 양측선 후방에 고정되는 지지대(11)가 구성되고, 이 지지대(11)의 중앙에는 성형부(2)가 고정설치되고, 이 성형부(2)를 중심으로 지지대(11)의 상,하단에 상부가 압부(3)와 하부 가압부(4)가 승강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며, 하부가압부(4)에는 심체부(5)가 고정설치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성형부(2)는 원통형 고정다이(21)에 상하연통되는 다수의 성형실(21a)이 원주방향으로 구비되어 지지대(11)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며, 상부 가압부(3)는 상기 성형부(2)의 상단에 위치한 지지대(11)에 브라켓트(31)가 구비되고 그 중앙에 실린더(32)가 고정설치되고, 이 실린더(32) 중앙으로 인출된 피스톤로드(32a)의 단부에는 지지대(11)를 따라 승강되도록한 이송부재(33)저면에 상기 고정다이의 성형실(21a)과 일치하는 다수의 가압봉(34)이 입설된다.
이때 가압봉(34)의 중앙은 후술할 코어(52)를 안내하는 안내홀(32a)이 통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 가압부(4)는 지지대(11)를 따라 승강되도록한 이송부재(41)의 상면에 안내홀(42a)을 통공시킨 가압봉(42)이 상기 성형실(21a)과 일치하게 입설되어 브라켓트(43)로 지지대(11)에 고정설치된 실린더(44)의 피스톤로드(44a)에 연결설치되는 것이며, 여기서 상기 피스톤 로드(44a)는 다측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가압부(4)의 브라켓트(43)와 이송부재(41)사이에 심체부(5)가 구성되는데 이심체부(5)는 고정브라켓트(51)의 상면에 고정다이(21)의 성형실(21a)로 관통되어 그 단부가 상단에 위치하도록 코어(52)가 입설되어진다.
이때 다축의 피스톤 로드(44a)는 심체부 브라켓트(51)의 코어(52)사이사이로 관통되어 하부가압부(4)와 심체부(5)가 상호 간섭되지 않고 자유로이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같이 결합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과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하부 가압부(4)의 실린더(44) 작동에 의해 다축의 피스톤(44a)에 연결된 안내부재(41)가 지지대(11)를 따라 상승하게되면 이의 상면에 입설된 가압봉(42)이 코어(52)를 따라 고정다이(21)의 각 성형실(21a)내로 진입되어 제3(a)도에서와 같은 하부위치에 정지되면 분말상태의 테프론을 성형실(21a)의 상측 개구부로부터 주입시킨 후 상부 가압부(3)의 실린더(32)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테프론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부가압부(3)의 실린더(32)를 작동시키게되면 피스톤 로드(32a)가 전진하면서 이송부재(33)를 하강시킴에 따라 그 저면에 입설된 가압봉(34)이 (나)에서와 같이 고정다이(21)의 각 성형실(21a)의 각 성형실(21a)로 진입하여 코어(42)의 단부를 따라 안내되면서 분말테프론을 가압시키게 된다.
이때 성형실(21a)내에 충진된 분말 테프론을 상,하부 가압봉(34),(42)들의 가압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테프론의 재질 특성에 의해 소성 변형을 일으켜 제4도에서와 같이 중앙이 통공된 고체상태의 테프론봉(6)이 성형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테프론봉(6)이 성형이 완료되면 제3(c)도에서와 같이 전술한 성형과정의 역순으로 상부 가압봉(34)이 상승하여 성형실(21a)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하부 가압봉(42)이 성형실(21a)의 상단까지 상승하면서 성형이 완료된 테프론봉(6)을 고정다이(21)의 성형실(21a)외측으로 인출시키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성형부와 상,하 가압부 그리고 심체부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제작 및 조립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특히, 일회의 작업공정에서 다수의 테프론봉을 동시에 성형할수 있게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수 있게하는 것이다.

Claims (1)

  1. 분말 테프론을 고정다이에 주입시켜 중앙에 통공된 고체상태의 테프론봉을 성형하는 테프론봉 성형기에 있어서, 내부에 다수의 성형실을 갖춘 고정다이가 지지대에 고정설치되는 성형부와, 상기 성형부의 상부에 안내홀을 가지는 다수의 가압봉이 안내부재의 저면에 입설되는 상부 가압부와, 상기 성형부의 하부에 안내홀이 통공된 다수의 가압봉을 상면에 입설시킨 안내부재가 다수의 피스톤로드에 의해 실린더에 연결되는 하부 가압부와, 상기 하부가압부의 안내부재 하부에 다수의 코어가 상향 입설되며 상기 다수의 피스톤로드가 통과하여 승강가능하도록 지지대에 고정설치되는 심체부를 갖춘것을 특징으로하는 테프론 성형기의 성형장치.
KR92001351U 1992-01-29 1992-01-29 테프론봉 성형기의 성형장치 KR950004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1351U KR950004235Y1 (ko) 1992-01-29 1992-01-29 테프론봉 성형기의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1351U KR950004235Y1 (ko) 1992-01-29 1992-01-29 테프론봉 성형기의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921U KR930017921U (ko) 1993-08-20
KR950004235Y1 true KR950004235Y1 (ko) 1995-05-24

Family

ID=19328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1351U KR950004235Y1 (ko) 1992-01-29 1992-01-29 테프론봉 성형기의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2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921U (ko) 199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3330A (en) Reciprocating injection molding apparatus and mold clamping means
US4106885A (en) Hydraulic moulding presses
KR100873335B1 (ko) 사출성형기의 형체장치
US2792592A (en) Clamping mechanism for molding machine
KR960006777B1 (ko) 취입 금형(blow mold)의 체결장치
KR950004235Y1 (ko) 테프론봉 성형기의 성형장치
JPS6338284B2 (ko)
ES462721A1 (es) Mejoras introducidas en las prensas para la produccion de materiales ceramicos o refractarios.
US1474066A (en) Metal-shaping machine
US3761215A (en) Mold press
JPS55161548A (en) Device for molding casting part
KR950004234Y1 (ko) 테프론봉 성형기의 성형장치
US3397424A (en) Press for pressing of fibre materials such as dried wood pulp, cellulose, etc.
GB1489667A (en) Mould clamping apparatus for moulding machinery
CN211165462U (zh) 一种自动伺服粉末成型液压机
EP0319487B1 (en) Vertical press for the moulding of plastics materials, particularly thermosetting plastics materials
JP2000135599A (ja) 熱プレス装置
WO1989002357A1 (en) Improved die press
KR900001657B1 (ko) 반도체 수지밀봉용 성형장치
JPH0314559B2 (ko)
JPH0365248B2 (ko)
SU1079359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гор чего прессовани порошка
CN100406246C (zh) 压制物料用静压双向压装置
JPS6333199A (ja) プレス装置
CN213441333U (zh) 一种药材压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