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093A - 실내음향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실내음향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093A
KR950004093A KR1019930013731A KR930013731A KR950004093A KR 950004093 A KR950004093 A KR 950004093A KR 1019930013731 A KR1019930013731 A KR 1019930013731A KR 930013731 A KR930013731 A KR 930013731A KR 950004093 A KR950004093 A KR 950004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ignal
reverberation
outpu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3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173B1 (ko
Inventor
경일수
최영진
정신일
황해섭
Original Assignee
홍두표
한국방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두표, 한국방송공사 filed Critical 홍두표
Priority to KR1019930013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173B1/ko
Publication of KR950004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1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2Synthesis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8Arrangements for producing a reverberation or echo s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13Application of wave-field synthesis in stereophonic audio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장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진향음, 초기반사음 그리고 고유공진을 만들어 이들을 결합하여 음장을 합성해 내는 실내음향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잔향음 발생패턴에 관련된 8개 음장파라미터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반사음, 잔향음 및 고유공진을 실시간으로 만들어 원음의 음질을 목적하는 음질로 만들어 최고의 음질을 만들 수 있고, 또 잔향음의 발생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정 가능하여 원하는 음향효과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음에 따라 수음환경이 매우 다양한 방송, 공간의 음향특성을 목적하는 음향 특성으로 만들기 원하는 모든 분야에 이용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내음향 처리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실내음향 처리장치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장치중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보드부의 블럭 구성도.

Claims (5)

  1. 스테레오의 음향입력 샘플을 입력받아 지연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S1)와; 소정시간 지연된 음향신호를 이용하여 초기반사음과 잔향기준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S2)와; 각 채널의 콤필터(55)와 올패스 네트워크(553)의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루프시간(Ta,Tc)을 계산함과 동시에 잔향시간, 고역잔향비 및 저역잔향비를 이용하여 각 채널의 대역이득, 고역이득, 중역이득 및 저역이득을 계산하는 단계(S3)와; 16채널의 잔향음을 발생시키는 단계(S4)와; 상기 16개의 잔향음들을 4개의 출력으로 계산하는 신호결합 단계(S5)와; 상기에서 신호결합된 잔향음을 4채널로 출력시켜 주는 단계(S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음향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된 음향신호를 초기반사음으로 사용하여 잔향기준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S2)는, 잔향에 사용되는 소정신호를 읽어내는 과정(S21)과; 초기반사음에 사용되는 지연신호를 읽어내는 과정(S22)과; 잔향기준신호를 계산하는 과정(S23)과; 초기반사음신호를 계산하는 과정(S2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음향 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6채널의 잔향음을 발생시키는 단계(S4)는, 신호처리 채널을 '0'으로 하는 과정(S40)과; 콤필터(55) 지연시간에 따른 M샘플지연회로(522)의 M샘플지연 데이타를 페치시키는 과정(S41)과; 올패스 네트워크(553)의 지연시간에 따른 N샘플지연회로(5534)의 N샘플지연 데이타를 페치시키는 과정(S42)과; 올패스 네트워크(5534)의 출력 데이타를 계산하는 과정(S43)과; 올패스 네트워크(5534)의 출력 데이타에 제5대역이득부(56)의 출력신호를 곱하여 각 채널의 잔향음을 계산하는 과정(S44)과; 올패스 네트워크(5534)의 출력 데이타에 각 채널의 제2 내지 4대역이득부(5542-5544) 출력신호를 곱한 데이타를 계산하는 과정(S45)과; 1샘플지연회로(5547,5548)의 출력 데이타를 페치시키는 과정(S46)과; 제2내지 4대역이득부(5542-5544)를 통과한 데이타신호 데이타와 1샘플지연회로(5547,5548)의 출력 데이타로 이루어진 콤필터(55)의 최종 궤환데이타를 계산하는 과정(S47)과; M샘플지연회로(552) 및 N샘플지연회로(5534)의 데이타를 업데이트시키는 과정(S48)과; 현재 처리된 신호채널이 16보다 큰지를 검출하는 과정(S49)과; 상기 과정(S49)에서 검출한 결과 16보다 작으면, 현재의 신호처리채널을 '1'증가시킨 신호처리채널로 재차 콤필터(55) 지연시간에 따른 M샘플지연회로(552)의 M샘플지연데이타를 페치시키는 과정(S41)으로 되돌아가는 과정(S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음향 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6개의 잔향음들을 4개의 출력으로 계산하는 신호결합 단계(S5)는, 수개의 신호처리기(521-536)들을 통해 각각 서로 다른 값으로 출력되는 16개의 잔향음 출력데이타를 각각 가감하여 4채널의 출력신호(출력1 내지 출력4)를 계산해내는 과정(S51)과; 출력1에 레프트 초기반사음신호를 더한 결과를 출력1의 최종출력값으로 하고, 출력2에 라이트 초기반사음신호를 더한 결과를 출력2의 최종출력값으로 하는 과정(S5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음향처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향음을 4채널로 출력시켜 주는 단계(S6)는, 4채널의 출력신호(출력1 내지 출력4) 이득을 조절하는 과정(S61)과; 부동소숫점 형식의 출력신호(출력1 내지 출력4)를 16비트의 정수로 정수화하여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보드부(8)로 출력시켜 주는 과정(S6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음향 처리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30013731A 1993-07-20 1993-07-20 실내음향 처리방법 KR970004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3731A KR970004173B1 (ko) 1993-07-20 1993-07-20 실내음향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3731A KR970004173B1 (ko) 1993-07-20 1993-07-20 실내음향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093A true KR950004093A (ko) 1995-02-17
KR970004173B1 KR970004173B1 (ko) 1997-03-25

Family

ID=19359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3731A KR970004173B1 (ko) 1993-07-20 1993-07-20 실내음향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415A (ko) * 1999-06-04 2001-01-05 정선종 음색 변화가 없는 잔향 생성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415A (ko) * 1999-06-04 2001-01-05 정선종 음색 변화가 없는 잔향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173B1 (ko) 1997-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9705B2 (en) Audio enhancement for head-mounted speakers
US6580796B1 (en) Sound effect imparting apparatus
CN104584588A (zh) 用于渲染音频声场表示以供音频回放的方法和设备
JP2979848B2 (ja) 電子楽器
US8295508B2 (en) Processing an audio signal
KR950004093A (ko) 실내음향 처리방법
US20080212784A1 (en) Parametric Multi-Channel Decoding
WO2021049424A1 (ja) 音信号発生方法、音信号発生装置、音信号発生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音楽装置
JP5213733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方法、受信方法
JP3287970B2 (ja) 残響音付加方法および装置
JPH06335096A (ja) 音場再生装置
US7403625B1 (en) Signal processing unit
JP2997665B2 (ja) 音場再生装置
KR100191320B1 (ko) 디지탈필터를 이용한 음장모델링장치
JP2526711B2 (ja) 音像定位装置
KR20010001415A (ko) 음색 변화가 없는 잔향 생성 장치
JPH06130942A (ja) 音響効果装置
SU1163350A1 (ru) Электромузыка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с гармоническим синтезом звука
JP3112957B2 (ja) 音響装置
JP3599831B2 (ja) 疑似ステレオ化装置
JP2003122361A (ja) 効果付与装置
KR950003992A (ko) 실내음향 처리장치
JPH04318896A (ja) 電子楽器
JP2001350487A (ja) 残響音信号生成方法、残響音信号生成装置、及び残響音信号付加装置
JPH03136408A (ja) 音質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