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933Y1 - 폐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폐수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933Y1
KR950003933Y1 KR92001646U KR920001646U KR950003933Y1 KR 950003933 Y1 KR950003933 Y1 KR 950003933Y1 KR 92001646 U KR92001646 U KR 92001646U KR 920001646 U KR920001646 U KR 920001646U KR 950003933 Y1 KR950003933 Y1 KR 950003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elt
filter belt
waste wat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1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447U (ko
Inventor
김형선
임경근
이진화
Original Assignee
김형선
임경근
이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선, 임경근, 이진화 filed Critical 김형선
Priority to KR92001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933Y1/ko
Publication of KR9300194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4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9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impervious for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1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5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take-off roll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폐수 여과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개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변형례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FRAME) 1,3 : 로울러(ROLLER)
4 : 여과벨트 5 : 미세다공
6 : 장력조절로울러 7 : 모터(MOTOR)
9 : 아이들로울러(IDLE ROLLER) 12 : 로울러 브러쉬(ROLLER BRUSH)
15 : 공기 공급관 16 : 분사노즐
본 고안은 각종 공장이나 가공실등에서 버려지는 원폐수 가운데 함유하고 있는 비용해성 혼합물(즉 찌꺼기와 미세한 부유물질 그리고 유독성분)을 여과제거시키는 폐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하여 종래의 폐수여과장치로는 일본 특개소 61-64400호와 국내특허공고 91-4065호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전자의 일본 특개소 61-64400호는 여과천재의 무한 벨트로서 콘베어를 일정경사로 설치하여 상, 하부에 오니조와 여과조를 구서하되, 상기 콘베어 벨트의 상단 하부에 나이프를 설치하여 상기 나이프에 의한 콘베어벨트에 걸려진 오니를 긁어 하부의 배출구로 배출하도록 한 예비 탈수장치와, 상기 배출구에서 취출된 오니를 탈수처리하는 탈수장치로 되어있다.
이러한 기술에 있어서는 상기 여과천재의 무한벨트에 의해 걸러지는 오니를 고정된 나이프에 의하여 긁어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 해서 여과천재가 쉽게 손상되는 단점과 사용시에 얼마못되어 여과천재의 여과공에 오니가 막혀서 여과효율이 극감되어 자부 분리하여 여과공을 별도의 수단에 의하여 자주 세척해주어야 하는 단점으로 실용성이 떨어진다.
상기 후자의 국내특허공고 92-4065호는 사각틀의 상, 하에 회동축과 여과판을 설치하고 이 회동축의 양측에 체인기어를 장착하여 이 체인기어간을 체인으로 연결하고 이 체인에 브러쉬판을 일정간격으로 배열하여 브러쉬판이 체인의 회동으로 여과판의 표면을 쓸고 갈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폐수여과장치에 있어서도 체인에 일정간격으로 베열설치된 브러쉬판이 여과판의 표면에 접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체인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도중 체인이 끊어지는 등의 폐단이 빈번히 발생되는 것이었다.
특히, 브러쉬 판으로 여과판을 쓸어낼 때 비용해성 혼합물이 뭉그러지면서 여과판의 미세공이 막히게 되고 이로인해 배수가 원활치 못한 것이었다.
또한, 미세다공이 천공된 여과판, 3개의 체인, 다수의 브러쉬판, 사각틀 및 모우터등의 구성부품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연결조합 작업이 용이치 못하여 생산단가각 고가일 수 밖에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읜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미세다공(0.1㎜)이 천공된 여과벨트에 의해 폐수증의 비용해성 혼합물을 부착하여 상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여과벨트의 상단측에 설치된 로울러 브러쉬나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여과판을 브러쉬판으로 쓸어내는 종래 기술에 비해 회동중인 로울러 브러쉬로 털어내는 방식으로 걸러진 비용해성 혼합물이 뭉그러짐이 없이 용이하게 제거되고 고압의 공기에 의한 여과벨트의 미세다공에 막힘이 극소화되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효과적으로 폐수증의 비용해성 혼합물을 여과 제거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미세다공이 천공된 여과벨트를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로울러에 접속되어 회동되도록 프레임에 설치하고 여과벨트의 상부측에 로울러 브러쉬나 다수의 공기분산노즐을 마련함에 의해서 달성되게 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각형으로된 프레임(1)의 상하단에 회동가능케 설치된 로울러(2)(3)에 미세다공(5)이 천공된 여과벨트(4)를 설치하되 상기 여과벨트(4)가 항시 일정한 장력을 갖도록 장력조절로울러(6)를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1) 상단의 로울러(2)에 취부된 기어(10)가 모터(7)의 피니언(8)으로부터 아이들기어(9)를 통해 연동되도록 연결설치되며 상기 여과벨트(4) 상단측에 비용해성 혼합물 제거수단이 모터(7)의 풀리(11)와 연결설치된 로울러 브러쉬(12)를 여과벨트(4) 외표면과 접속되게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본 고안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여과벨트(4)의 상단측 내부에 다수의 분사노즐(16)이 설치된 고압의 공기공급관(15)을 설치하여서 여과벨트(4)의 미세다공(5)에 걸린 비용해성 혼합물이 콤프레셔(도시되지 않았음)로부터 공급된 고암의 공기가 공기공급관(15)의 분사노즐(16)을 통해 분사되므로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3은 폐수여과조를 나타내고, 14는 풀리(1)와 로울러 브러쉬(12)의 풀리에 설치되는 벨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폐수여과조(13)내에 제2도와 같이 경사지게 설치하고 모우터(7)를 구동하게 되면 모우터(7)의 피니언(8)으로부터 아이들기어(9)와 로울러(2) 측 기어(10)가 연동됨에 따라 여과벨트(4)가 여과벨트 상방으로 이송되게 순환됨과 동시에 모우터(7)의 풀리(11)와 연결된 벨트(14)에 의해서 로울러브러쉬(12)가 벨트(4)의 외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되게 한다.
이때, 폐수에 혼합된 비용해성 혼합물은 여과벨트(4)의 미세다공(5)에 걸리게 되고 여과벨트(4)가 상방향으로 구동되어 이송된 후 상기 여과벨트(4)의 이동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로울러브러쉬(12)에 의해 극히 미세한 비용해성 혼합물을 쓸어 용이하게 외부로 제거되게 된다.
더우기 상기 로울러브러쉬(12)에 의해 덜제거된 여과벨트(4)의 미세다공(5)에 걸려있는 비용해성의 혼합물은 여과벨트(4)의 상단측 내부에 설치된 공기공급관(15)의 분사노즐(16)을 통해 고압으로 분산되는 공기에 의하여 간편하게 제거되어서 장기간 사용에도 여과벨트(4)의 미세다공(5)에 비용해성 혼합물의 막힘이 배제되어서 여과효율 및 장치의 신뢰성이 확보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은 장력조절 로울러(6)에 의해 일정한 장력을 갖도록 프레임(1)상의 로울러(2)(3)에 여과벨트(4)를 설치하고 이 여과벨트(4)의 상단측에 비용해성 혼합물 제거를 위한 로울러브러쉬(12)와 공기공급관(15)을 구성하여 상기 여과벨트(4)의 미세다공(5)에 걸러진 상기 비용해성 혼합물이 용이하게 제거됨으로 해서 기존과 같이 장치 사용에 따른 여과벨트(4)를 분리하여 막힌 미세다공(5)을 세척하여 뚫어줄 필요가 없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여과벨트(4)의 비용해성 혼합물을 로울러브러쉬(12)에 의해 분리시키므로 해서 여과벨트(4) 표면에 손상이 극소화되어 장치수명이 확보되는 것이다.

Claims (1)

  1. 폐수속의 비용해성 혼합물을 상,하단에 회동가능케 설치되는 로울러(2)(3)에 의해 미세다공(5)이 천공된 여과벨트(4)로 걸러 회전 이송시키면서 상하단부의 제거수단에 의하여 비용해성 혼합물을 분리 배출토록 하는 폐수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거수단은 상기 여과벨트(4)의 회전이송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로울러브러쉬(12)로 구비하고 상기 여과벨트(4)의 상단내측에 다수의 분사노즐(16)이 취부된 공기공급관(15)을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여과장치.
KR92001646U 1992-02-01 1992-02-01 폐수 여과장치 KR9500039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1646U KR950003933Y1 (ko) 1992-02-01 1992-02-01 폐수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1646U KR950003933Y1 (ko) 1992-02-01 1992-02-01 폐수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447U KR930019447U (ko) 1993-09-23
KR950003933Y1 true KR950003933Y1 (ko) 1995-05-18

Family

ID=19328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1646U KR950003933Y1 (ko) 1992-02-01 1992-02-01 폐수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9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199B1 (ko) * 2000-12-26 2003-05-14 인효석 사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447U (ko) 199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938B1 (ko) 3방향 스크린 장치
KR100557985B1 (ko) 오폐수 및 하수 여과장치
JPH0710440B2 (ja) 固液分離装置
CA1091494A (en) Stockwasher
US4731180A (en) Water-solids separator and wiper blade
JP4067471B2 (ja) ベルト型濃縮機
KR950003933Y1 (ko) 폐수 여과장치
KR100902816B1 (ko) 오폐수 처리용 자동 바 스크린 장치
US5641398A (en) Device for removing screened material from a liquid flowing in a flume
KR100781315B1 (ko)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KR102601272B1 (ko)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KR100783024B1 (ko) 원통형의 메쉬스크린과 헬리컬바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KR940007016B1 (ko) 이단 폐수 여과장치
JP2916363B2 (ja) 沈砂洗浄機
KR100840373B1 (ko) 협잡물 처리장치
DE3637425C2 (ko)
KR0126034Y1 (ko) 탈수기용 탈수 벨트 자동세정장치
KR960008352B1 (ko) 탈수기의 세척용수 재생시스템
KR100271193B1 (ko) 슬러지 정화장치(sludge purification apparatus)
KR200226503Y1 (ko) 폐수 및 산업용수여과기.
KR200142731Y1 (ko) 폐수여과장치
KR200327685Y1 (ko) 필터프레스
CN218859614U (zh) 一种皮带输送机用清洁装置
KR200195732Y1 (ko) 세척수정화장치
KR19990004619U (ko) 산업폐기물 처리용 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