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199B1 - 사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사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199B1
KR100384199B1 KR10-2000-0081942A KR20000081942A KR100384199B1 KR 100384199 B1 KR100384199 B1 KR 100384199B1 KR 20000081942 A KR20000081942 A KR 20000081942A KR 100384199 B1 KR100384199 B1 KR 100384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elt
filtration
sand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2556A (ko
Inventor
인효석
Original Assignee
인효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효석 filed Critical 인효석
Priority to KR10-2000-0081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199B1/ko
Publication of KR20020052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2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1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34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ing material and its pervious support 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38Feed or discharge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1/00Types of filters hav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01D2101/04Sand or gravel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폐수가 여과되는 여과조와; 여과조의 중앙에 위치하며,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이동하며, 무한궤도로 형성된 투수성의 벨트와; 상기 벨트를 이동 및 지지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벨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여과사와; 상기 여과조의 상부에 위치하여 폐수를 상기 여과조로 유입시키는 폐수유입장치와; 상기 여과조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사와 벨트를 통과한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수배출장치와; 상기 여과조의 상기 일측부에서 상기 여과조로 여과사를 공급하는 여과사공급장치와; 상기 여과조의 상기 타측부에서 상기 여과사를 배출하는 여과사배출장치와; 상기 여과사회수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사를 세척하는 여과사세척장치와; 상기 여과사세척장치에 연결되어 세척된 여과사를 상기 여과사공급장치로 이송하는 여과사이송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폐수의 여과를 연속적으로 하여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여과조의 규모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처리량에 따른 용량을 적절히 할 수 있으며, 여과사를 완벽하게 연속적으로 세척하므로서 처리수의 수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여과장치{SAND FILTERING MACHINE}
본 발명은 사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한궤도로 구성된 벨트위에 안착된 모래를 통하여 폐수가 여과되고, 상기 모래는 상기 벨트가 회전하며 회수되어 세척되고 재공급되므로써, 여과장치의 운전을 정지하지 않고 여과재인 모래를 세척하여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사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87-18101호에는, 모래가 수장된 상자를 방사상의 구획벽으로 분리 구분하고 그 구획된 모래상자와 일치하는 밀착덮개를 구성하여 타이머가 부착된 전자회로장치에 의해 구획된 다수의 모래상자에 차례로 이동하면서 수중펌프에 의하여 모래에 잔재된 불순물을 차례로 계속 제거할 수 있는, 모래를 이용한 여과장치의 불순물 연속분할제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여과장치는, 그 구조상 대형화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여과사의 세척이 완벽하지 않으며, 여과사의 세척이 단속적이므로 처리수의 수질에 변동이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한궤도로 구성된 벨트위에 안착된 모래를 통하여 폐수가 여과되고, 상기 모래는 상기 벨트가 회전하며 회수되어 세척되고 재공급되므로써, 여과장치의 운전을 정지하지 않고 여과재인 모래를 세척하여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사여과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정면투시도.
도3은 도1의 A-A단면도.
도4는 도1의 B-B단면도.
도5는 도1의 C-C단면도.
도6은 도2의 D부분 상세도.
도7은 도2와 도3에 있어서, E부분 상세도.
도8은 도3에 있어서, F부분 상세도.
도9는 도8의 H-H, I-I, J-J 단면도.
도10은 도4에 있어서, G부분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여과조 110. 폐수유입장치 120. 여과수배출장치
130. 여과사균등분배장치 132. 분배스크류 134. 높이조절판
140. 밀봉수단 200. 벨트 300. 구동장치
305. 동력원 310. 구동로울러 320. 아이들러로울러
330. 텐션로울러 332. 텐션실린더 340. 사행리미트스위치
350. 사행조정실린더 360. 사행조절로울러 400. 여과사
500. 여과사공급장치 600. 여과사배출장치 610. 배출스크류
620. 배출구 630. 배출스크류덮개 700. 여과사세척장치
800. 여과사이송장치 900. 벨트세척장치
본 발명에 의한 사여과장치는,
모래를 이용하여 폐수를 여과하는 사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수가 여과되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여과조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이동하며, 무한궤도로 형성된 투수성의 벨트와; 상기 벨트를 이동 및 지지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벨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여과사와; 상기 여과조의 상부에 위치하여 폐수를 상기 여과조로 유입시키는 폐수유입장치와; 상기 여과조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사와 벨트를 통과한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수배출장치와; 상기 여과조의 상기 일측부에서 상기 여과조로 여과사를 공급하는 여과사공급장치와; 상기 여과조의 상기 타측부에서 상기 여과사를 배출하는 여과사배출장치와; 상기 여과사회수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사를 세척하는 여과사세척장치와; 상기 여과사세척장치에 연결되어 세척된 여과사를 상기 여과사공급장치로 이송하는 여과사이송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조는, 상기 벨트를 세척하여 상기 벨트의 투수성을 회복시키는 벨트세척장치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여과조는, 상기 여과사공급장치에서 공급된 여과사를 상기 벨트위에 균일하게 분배하는 여과사균등분배장치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벨트의 진행방향의 좌우에는, 상기 벨트와 상기 여과조 사이로 상기 여과사가 유출되지 못하도록 밀봉하는 밀봉수단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구동장치는, 동력원과, 상기 동력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로울러와, 상기 여과사가 안착되는 벨트의 하부에서 상기 벨트를 지지하는 아이들러로울러와, 상기 벨트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텐션로울러 및 텐션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벨트의 사행된 각도와 편심량을 감지하는 사행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사행리미트스위치의 감지에 따라 구동되는 사행조정실린더와, 상기 사행조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사행조절로울러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여과사배출장치는, 상기 벨트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도록 설치된 배출스크류와, 상기 배출스크류의 일측말단에 설치된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스크류의 상기 일측말단부의 피치는 좁게 구성되어, 상기 여과사가 배출될때 상기 배출스크류의 일측말단부에 여과사가 꽉찬 상태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배출구에는, 수압에 의해서는 개방되지 않으며, 상기 배출스크류의 여과사 배출력에 의하여 개방되는 배출스크류덮개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여과사세척장치는, 고압의 세척수와 공기를 주입하여 강한 와류와 전단력으로 여과사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벨트세척장치는, 상기 벨트의 상부 및/또는 저부에서 상기 벨트로 고압의 세척수를 방출하여 상기 벨트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여과사균등분배장치는, 상기 여과사공급장치의 하부에 위치하며,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여 상기 여과사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여과사를 상기 벨트위에 분배하는 분배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다음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류에 의해 조절된 상기 여과사의 높이를 제한하는 높이조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평면도이며, 도2는 정면투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며 도1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사여과장치는,
여과조(100)가 있는 프레임(도면부호 미표시)을 갖는다.
상기 여과조(100)는 장방형의 호퍼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여과조(100)의 중앙에는 투수성의 벨트(200)가 좌에서 우로 펼쳐져 있다. 상기 벨트(200)는 상기 여과조(100)의 좌우측 상부에 설치된 텐션로울러(330)및 구동로울러(310)를 감싸고, 상기 여과조(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사행조정로울러(360)을 경유하는 무한궤도를 형성한다. 상기 벨트(200)의 무한궤도를 형성하기 위하여는 벨트(200)의 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다수개의 로울러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벨트(200)는 상기 여과조(100)에 유입되는 폐수를 통과시켜야 하므로 투수성의 속성을 갖는다. 상기 벨트(200)는 벨트프레스 탈수기에서 사용되는 벨트 또는 이와 유사하며 투수성이 있는 벨트를 사용한다.
상기 여과조(100)의 상부에는 폐수유입장치(110)가 있으며, 상기 폐수유입장치(110)는 다수로 분지되어 상기 여과조(100)에 폐수를 유입시킨다.
여기서, 폐수는 오염농도가 높은 폐수가 아니라 정수장이나 폐수처리장 또는 하수처리장에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처리를 거쳐 어느정도 처리가 된 물로서, 약간의 미세부유물질과 오염물질이 포함된 물을 가리킨다.
벨트(200)를 거쳐 상기 여과조(100)의 하부에 연결된 여과수배출장치(120)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벨트(200)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진행되며, 상기 벨트(200)의 좌측 상부에는 여과사(400)을 공급하는 여과사공급장치(500)이 있다.
상기 벨트(200)의 우측에는, 좌측에서부터 이동되어 온 여과사(400)를 배출시키는 여과사배출장치(600)가 위치하고, 상기 여과사배출장치(600)의 말단에는 배출된 여과사(400)를 세척하는 여과사세척장치(70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여과사세척장치(700)에 의해 세척된 여과사(400)는 상기 여과사세척장치(700)으로부터 상기 여과사공급장치(500)로 연결되는 여과사이송장치(800)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여과사배출장치(600)는 동력원(305)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 동력원(305)은 상기 여과사배출장치(600)와 구동로울러(310)를 동시에 구동하도록 되어 있으나, 별도의 동력원을 장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과사(400)가 적재되는 벨트(20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아이들러로울러(320)가 상기 여과사(400)의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벨트(200)은 자체의 장력으로도 상기 여과사(4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들러로울러(320)는 유사시에 대비하여 설치한 것이므로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여과사배출장치(600)의 말단에 부착된 여과사세척장치(700)에는 고압의 세척수와 세척공기를 불어넣어 강한 와류와 전단력을 발생시킴으로서 오염물질을 여과사(400)로부터 분리해 내고, 분리된 오염물질은 수류와 공기에 의해 부유되고, 상기 세척수를 월류트라프(710)로 월류시키며, 월류된 세척수는 세척수배출관(720)과 세척수배출구(150)를 경유하여 집수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한 것은 도8에서 설명한다.
상기 여과사배출장치(600)의 우측에는 상기 벨트(200)의 상하로 벨트세척장치(900)가 위치한다. 상기 벨트세척장치(900)는 상기 벨트(200)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벨트(200)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분리시켜 벨트(200)의 투수성을회복시킨다. 상기 벨트세척장치(90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모아져서 상기 여과사세척장치(700)로 합류시킨다. 보다 상세한 것은 도9에서 설명한다.
상기 벨트(200)는 작동이 진행됨에따라 뒤틀릴 수가 있다. 이러한 사행 각도 및 편심량을 감지하는 사행리미트스위치(340)가 상기 벨트(200)에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사행리미트스위치(340)의 검출값에 의하여 사행조정실린더(350)를 작동시키며, 상기 사행조정실린더(350)의 작동에 의하여 사행조절로울러(360)가 작동하여 상기 벨트(200)를 항상 일직선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여과사세척장치(700)와 세척수배출관(720)을 통하여 배출된 세척수는 세척수배출구(150)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도1의 A-A단면도, B-B단면도, C-C단면도를 나타낸 것이 도3 내지 도5이다.
도3을 살펴보면, 벨트(200)을 구동하는 동력원(305)과 구동로울러(310)는 상부에 위치하며, 벨트(200)의 바로위에 접하여 여과사배출장치(600)가 위치한다. 상기 여과사배출장치(600)는 배출스크류(610)와 배출구(620)와 배출스크류덮개(630)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스크류(610)는 우측말단부의 피치가 중앙 또는 좌측의 피치보다 조밀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치의 차이는 여과사(400)가 상기 배출스크류(610)에 의하여 배출될 때, 공극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배출되도록한다. 상기 여과사배출장치(600)의 우측말단에는 여과사(400)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6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620)는 배출스크류덮개(630)에 의하여 덮여 있으며, 상기 배출스크류덮개(630)는 상기 배출스크류(610)에 의하여 여과사(400)가 배출되는 압력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도4를 살펴보면, 여과사공급장치(500)이 상부에 위치하며, 벨트(2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300) 중 텐션로울러(330)에 벨트(200)가 감겨 있으며, 상기 텐션로울러(330)의 양말단은 텐션실린더(332)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상기 텐션실린더(332)는 상기 벨트(200)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도면의 좌측에는 여과수배출장치(120)가 위치한다. 상기 여과수배출장치(120)는 여과조(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여과수배출구(122)에 연결되며, 게이트(124)와 게이트구동모터 (126)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여과장치의 여과속도는 여과조(100)의 수위와 상기 여과수배출장치(120)에서 게이트(124)를 열었을 때의 수위의 차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5를 살펴보면, 여과사균등분배장치(130)가 나타나 있다. 여과사균등분배장치(130)는 분배스크류(132)와 높이조절판(134)을 포함한다. 상기 분배스크류 (132)는 여과사공급장치(500)의 직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여과사공급장치(500)로부터 공급된 여과사(400)를 벨트(200)위에 균등하게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높이조절판(134)은 상기 분배스크류에 의하여 분배된 여과사(200)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판이다.
도6은 도2에 표시된 D부분의 상세도이다. 여과사공급장치(500)와 여과사이송장치(800)가 교차하는 부분의 상세도이다. 상부의 도면은 평면도이며, 하부의도면은 정면투시도이다. 도면의 우측으로부터 여과사이송장치(800)를 통해 공급된 여과사가 여과사공급장치(500)과 교차하는 부분에서 중력에 의해 상기 여과사공급장치(500)으로 하강하면, 상기 여과사공급장치(500)에서는 스크류에 의해 여과조(100)로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드레인콕(510)은, 본 발명에 의한 사여과장치에서 사용되는 여과사(400)를 외부로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밸브로서, 상기 드레인콕(510)이 개방되고 상기 여과사공급장치(500)의 스크류가 역회전하면 상기 여과사(400)가 상기 드레인콕(510)을 통하여 배출된다.
도7은 도2와 도3에 표시된 E부분의 상세도로서, 벨트(200)와 구동장치(300)와 여과사배출장치(600) 및 벨트세척장치(900)가 도시되어 있다. 좌측도면은 본 발명에 의한 사여과장치의 E부분을 배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우측도면은 좌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좌측도면을 살펴보면, 여과사(400)와 벨트(200)는 도면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진행된다. 여과사(400)가 진행되는 마지막에는 여과사배출장치(600)가 위치하며, 여과사배출장치(600)는 접근하는 여과사(400)를 도면의 뒤쪽으로 이동시켜 배출시킨다. 여과사(400)와 같이 진행되던 벨트(200)가 더 진행하면 벨트세척장치(900)에 의하여 감싸지게 되고, 상기 벨트세척장치(900)에 의하여 상기 벨트(200)는 세척된다. 상기 벨트세척장치(900)를 거친 벨트(200)는 구동로울러(310)를 감싸면서 진행한다. 상기 여과사배출장치(600)의 하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여과사배출장치(600)를 좌측으로 감싸며 상부까지 진행하고 수직상방으로 연장된 차단판(160)은 여과조(100)의 폐수가 여과사(400)을 거치지 않고 벨트(200)에 의하여 여과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우측도면에서는 여과사배출장치(600)가 명확히 표시되어 있으며, 도10에서 설명할 밀봉수단(140)이 표시되어 있다.
도8은 도3에 표시된 F부분의 상세도로서, 상부의 도면은 여과사세척장치(700)의 평면도이고 하부의 도면은 정면투시도이다. 도9는 도8의 평면도에 표시된 H - H, I - I, J - J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9를 참조하며 도8을 설명한다. 여과사(400)는 배출스크류(610)을 통과하여 배출스크류덮개(630)를 열고 배출구(620)를 통하여 여과사세척장치(700)로 투하된다. 투하된 여과사(400)는 여과사세척장치(700)의 하부에서 유입되는 고압의 세척수와 공기에 의한 전단력과 와류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여과사(400)에 부착되어 있던 오염물질은 상기 여과사(400)와 분리되게 된다. 세척된 여과사(400)는 중력에 의하여 침강하고, 오염물질은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여 월류트라프(710)으로 월류된다. 상기 여과사세척장치(700)의 하부에는 여과사이송장치(800)가 위치하여, 침강하는 여과사를 이송하고, 월류된 오염물질은 세척수배출관(720)을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벨트세척장치(900)는 도8과 도9의 J - J단면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벨트(200)의 상하에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벨트(200)를 세척한 세척수는 합류시켜 상기 여과사세척장치(700)에 유입시킨다. 상기 벨트(200)를 세척한 세척수에는 상기 여과사배출장치(600)에 의해 배출되지 않은 여과사(400)가 일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세척수를 여과사세척장치(700)에 합류시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0은 도4의 G부분에 대한 상세도이다. 벨트(200)는 여과조(100)의 내부에 형성된 안착턱(170)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벨트(200)의 하부에는 메커니컬 씰에 의해 상기 여과조(100)에 부착된 아이들러로울러(320)에 의하여 상기 벨트(200)가 지지된다. 벨트(200)의 상부에 적재된 여과사(400)는 여과조(100) 및 안착턱(170)과 상기 벨트(200)와의 틈으로 유출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형태의 밀봉수단(140)을 여과조(100)에 설치하므로써, 상기 벨트(200)가 상기 밀봉수단(140)과 안착턱(170) 사이에 개재되어 여과사(400)가 유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밀봉수단(140)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시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폐수의 여과를 연속적으로 하여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여과조의 규모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처리량에 따른 용량을 적절히 할 수 있으며, 여과사를 완벽하게 연속적으로 세척하므로서 처리수의 수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모래를 이용하여 폐수를 여과하는 사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수가 여과되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여과조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이동하며, 무한궤도로 형성된 투수성의 벨트와;
    상기 벨트를 이동 및 지지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벨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여과사와;
    상기 여과조의 상부에 위치하여 폐수를 상기 여과조로 유입시키는 폐수유입장치와;
    상기 여과조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사와 벨트를 통과한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수배출장치와;
    상기 여과조의 상기 일측부에서 상기 여과조로 여과사를 공급하는 여과사공급장치와;
    상기 여과조의 상기 타측부에서 상기 여과사를 배출하는 여과사배출장치와;
    상기 여과사회수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사를 세척하는 여과사세척장치와;
    상기 여과사세척장치에 연결되어 세척된 여과사를 상기 여과사공급장치로 이송하는 여과사이송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는, 상기 벨트를 세척하여 상기 벨트의 투수성을 회복시키는 벨트세척장치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여과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는, 상기 여과사공급장치에서 공급된 여과사를 상기 벨트위에 균일하게 분배하는 여과사균등분배장치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여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진행방향의 좌우에는, 상기 벨트와 상기 여과조 사이로 상기 여과사가 유출되지 못하도록 밀봉하는 밀봉수단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여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동력원과, 상기 동력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로울러와, 상기 여과사가 안착되는 벨트의 하부에서 상기 벨트를 지지하는 아이들러로울러와, 상기 벨트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텐션로울러 및 텐션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여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벨트의 사행된 각도와 편심량을 감지하는 사행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사행리미트스위치의 감지에 따라 구동되는 사행조정실린더와, 상기 사행조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사행조절로울러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여과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사배출장치는, 상기 벨트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도록 설치된 배출스크류와, 상기 배출스크류의 일측말단에 설치된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스크류의 상기 일측말단부의 피치는 좁게 구성되어, 상기 여과사가 배출될때 상기 배출스크류의 일측말단부에 여과사가 꽉찬 상태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여과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수압에 의해서는 개방되지 않으며, 상기 배출스크류의 여과사 배출력에 의하여 개방되는 배출스크류덮개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여과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사세척장치는,
    고압의 세척수와 공기를 주입하여 강한 와류와 전단력으로 여과사에 부착된오염물질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여과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세척장치는,
    상기 벨트의 상부 및/또는 저부에서 상기 벨트로 고압의 세척수를 방출하여 상기 벨트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여과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사균등분배장치는,
    상기 여과사공급장치의 하부에 위치하며,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여 상기 여과사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여과사를 상기 벨트위에 분배하는 분배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다음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류에 의해 조절된 상기 여과사의 높이를 제한하는 높이조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여과장치.
KR10-2000-0081942A 2000-12-26 2000-12-26 사여과장치 KR100384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942A KR100384199B1 (ko) 2000-12-26 2000-12-26 사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942A KR100384199B1 (ko) 2000-12-26 2000-12-26 사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556A KR20020052556A (ko) 2002-07-04
KR100384199B1 true KR100384199B1 (ko) 2003-05-14

Family

ID=27685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942A KR100384199B1 (ko) 2000-12-26 2000-12-26 사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1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012B1 (ko) 2004-08-23 2007-01-10 이대형 여상 회전 순환식 오수여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419B1 (ko) * 2006-11-17 2008-02-13 대한기업주식회사 하수처리장 및 정수장의 여과지 여재 재생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804A (ja) * 1981-07-27 1983-02-02 Shinko Fuaudoraa Kk 緩速濾過池の汚砂自動掻取装置
JPS59112812A (ja) * 1982-12-17 1984-06-29 Chikafumi Nishida ろ過池除砂装置
JPS6438115A (en) * 1987-08-04 1989-02-08 Yuji Fukuda Filter medium charging and recovery type filter device for water passage
KR910004233A (ko) * 1989-08-11 1991-03-28 구판홍 폐수 여과 장치
US5089143A (en) * 1989-04-17 1992-02-18 H. R. Black Company, Inc. Method of filtering industrial liquids and apparatus therefor
KR930000394A (ko) * 1991-06-15 1993-01-15 김길선 이단 폐수 여과장치
KR930019447U (ko) * 1992-02-01 1993-09-23 김형선 폐수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804A (ja) * 1981-07-27 1983-02-02 Shinko Fuaudoraa Kk 緩速濾過池の汚砂自動掻取装置
JPS59112812A (ja) * 1982-12-17 1984-06-29 Chikafumi Nishida ろ過池除砂装置
JPS6438115A (en) * 1987-08-04 1989-02-08 Yuji Fukuda Filter medium charging and recovery type filter device for water passage
US5089143A (en) * 1989-04-17 1992-02-18 H. R. Black Company, Inc. Method of filtering industrial liquids and apparatus therefor
KR910004233A (ko) * 1989-08-11 1991-03-28 구판홍 폐수 여과 장치
KR930000394A (ko) * 1991-06-15 1993-01-15 김길선 이단 폐수 여과장치
KR930019447U (ko) * 1992-02-01 1993-09-23 김형선 폐수 여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012B1 (ko) 2004-08-23 2007-01-10 이대형 여상 회전 순환식 오수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556A (ko) 200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0500B (fi) Ennaltamäärättyä suurikokoisemman hienojakoisen aineen poistoon tarkoitettu vedenselkeytyslaitteisto
KR102153224B1 (ko)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747916B1 (ko) 필터스크린장치를 이용한 하·우수 정화 시스템
KR101759931B1 (ko) 경량 여재식 다단 습지여상
KR102147259B1 (ko) 회전 벨트방식의 이중 필터스크린 시스템
KR102397619B1 (ko)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0384199B1 (ko) 사여과장치
RU1836301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0897359B1 (ko) 슬러지용 탈수장치
KR102397623B1 (ko) 산소기포를 이용한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847930B1 (ko)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20210002060A (ko)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0762416B1 (ko) 침전상등수용 여과장치
JPS583726B2 (ja) 汚泥の脱水装置
KR102397626B1 (ko) 부유물질의 제거효율이 높은 하폐수처리장치
JP2000262817A (ja) 廃液処理装置
KR101516726B1 (ko) 상향 중력식 연속 여과장치
KR102481167B1 (ko) 삼방향종합물질제거기
US3024189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urifying sewage
KR102441762B1 (ko)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SU1095942A1 (ru) Фильтр дл очистки воды
KR200195732Y1 (ko) 세척수정화장치
RU109418U1 (ru) Щелевой сгуститель
KR101748431B1 (ko) 골재 생산 과정의 부유물 제거장치
KR200198897Y1 (ko) 인산염 처리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