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860Y1 - 탄성 연마구 - Google Patents

탄성 연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860Y1
KR950003860Y1 KR92027827U KR920027827U KR950003860Y1 KR 950003860 Y1 KR950003860 Y1 KR 950003860Y1 KR 92027827 U KR92027827 U KR 92027827U KR 920027827 U KR920027827 U KR 920027827U KR 950003860 Y1 KR950003860 Y1 KR 950003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abrasive
workpiece
adhesive layer
grind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7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4923U (ko
Inventor
박한기
Original Assignee
박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한기 filed Critical 박한기
Priority to KR92027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860Y1/ko
Publication of KR9400149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49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8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5/00Hand tools or other devices for non-rotary grinding, polishing, or stropping
    • B24D15/04Hand tools or other devices for non-rotary grinding, polishing, or stropping resilient; with resiliently-mounted operativ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s; Speci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such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탄성 연마구
도면은 본 고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연마구 1 : 스폰지블럭
3 : 연마사 4 : 돌부
4' : 요입부 5 : 요철면
본 고안은 주로 경연삭에 이용되는 탄성 연마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인의 선등록 고안 제68098호(공고번호 제92-3382호)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이다.
본인의 선등록 고안은 스폰지블럭(1)의 표면에 접착층(2)을 형성하고, 접착층(2)에는 연마면이 평활한 연마사(3)를 접착시켜 연마구(a)를 구성하였으나 상기한 고안은 연마사의 연마면이 평활하기 때문에 연마시에 생기는 피삭물의 스크랩이 연마면 틈새에 흡착되면 연마면이 처음 상태와 같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어 연마기능이 점차 저하되므로 일단 스크랩을 털어내거나 또는 물세척 등으로 제거한 후 재사용하였는 바, 이는 연마면이 매우 미세하고 조밀한 관계로 인하여 틈새에 흡착된 피삭물의 스트랩을 완전 제거하기가 불가능하여 장시간 사용하면 연마효율이 떨어지게 되어 재사용하지 못하고 버려야 하는 폐단을 그대로 내재하는 것이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공개 실용신안공보 평4-47971호에서와 같이 연마부재의 일측 표면에 무수한 돌기를 구비시켜 연마면이 엠보싱 처리되도록 형성시킨 구조가 알려지고 있으나 이는 스크랩의 분리 제거가 용이한 반면 다음가 같은 문제점이 노출되는 것이다.
돌기가 개체로 구성되어 돌출되는 관계로 파손이 쉬워 수멍이 짧아지게 괴고 또한 피연삭물의 연마면의 조도가 고르지 못하게 되어 사용효과를 저감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마시의 연마면에 파형의 요철면을 형성함으로써 연마시에 생기는 피삭물의 스크랩이 요철면의 틈새, 즉 돌부간의 요입부에 주로 흡착되도록 하여 기존의 방식과 같이 털어내거나 물세척 등으로 스크랩을 깨끗하게 제거하여 연마효율을 보다 향상시킴은 물론 요철면으로 피삭물의 연마면을 균등하고 효과적으로 연마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내구성을 보강토록한 탄성 연마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육면체의 스폰지블럭(1)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2)을 형성하고, 접착층(2)에는 연마사(3)를 접착하여서된 연마구(a)에 있어서, 연마사(3)의 연마면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물결무늬형 돌부(4)와 요입부(4')로 요철면(5)을 구성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스폰지블럭(1)의 표면에는 기포에 의해 크고 작은 굴곡이 무수히 형성되어, 굴곡이 형성된 표면에 접착층(2)이 형성되어 있고 표면 굴곡부로 침투된 접착층(2) 위에 연마사(3)가 접착되어 있어서, 사용중에 심한 마찰이나 충격 또는 굴신작용이 반복되더라도 연마사가 스폰지블럭(1)에는 탈리되는 일이 없으며, 스폰지블럭(1)면에 직접 연마사(3)가 부착된 상태여서, 피삭물을 가공할 때 연마사 자체가 스폰지의 소프트한 소재 특징에 의해 가공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유동되면서 연마되기 때문에 연마사(3)의 입도는 일정하더라도 피삭물이 연마되는 부위는 연마구(a)를 누르는 입력의 차이에 따라 깊이 차이가 나므로, 동일한 입도에서도 스폰지의 굴신도와 압입력에 따라 피삭물의 조도가 달라질 수 있어 피삭물의 조건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것이며, 스폰지블럭(1)의 탄력성 때문에 피삭물의 스크랩이 연마사(3)의 연마면, 즉, 요철면(5) 사이에 흡착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피삭물의 스크랩이 연마사(3)의 연마면의 요철면(5)에 흡착되더라도 돌부(4) 간의 사이 요입부(4')에 주로 흡착되어 지므로 가볍게 털면 스크랩이 깨끗하게 제거되며, 털어서 제거되지 않는 스크랩은 물세척을 행하게 되면 완전하게 제거되고 특히 돌부(4)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단일로 연결구성되므로 종래의 개체구성에 비해 내구성이 뛰어나게 되어 그 수명이 연장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요철면(5)의 돌부(4)(6)에 의해 피삭물의 연마면을 균등하고 효과적으로 연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연마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내구성과 작업 능률 또한 기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육면체의 스폰지블럭(1)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2)을 형성하고, 접착층(2)에는 연마사(3)를 접착하여서된 연마구(a)에 있어서, 요철면(5)을 물결무늬형 돌부(6)와 요입부(6')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연마구.
KR92027827U 1992-12-30 1992-12-30 탄성 연마구 KR950003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7827U KR950003860Y1 (ko) 1992-12-30 1992-12-30 탄성 연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7827U KR950003860Y1 (ko) 1992-12-30 1992-12-30 탄성 연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923U KR940014923U (ko) 1994-07-19
KR950003860Y1 true KR950003860Y1 (ko) 1995-05-17

Family

ID=1934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7827U KR950003860Y1 (ko) 1992-12-30 1992-12-30 탄성 연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8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923U (ko) 199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3123A (en) Deformable sanding block
AU2000277465A1 (en) Abrasive article and methods for grinding glass
US5007483A (en) Hoof-buffing tool kit for farriers
US5095660A (en) Polishing means for lens generating apparatus
KR950003860Y1 (ko) 탄성 연마구
CA2036294A1 (en) Soft contact lens processing aid
MY130149A (en) Process for smoothing the edge of semiconductor wafers.
KR920003382Y1 (ko) 탄성 연마구
US7867967B2 (en) Mixture article for cleaning superficially-adhered substances
CN215281460U (zh) 一种抛光垫
TWM587934U (zh) 電動指甲研磨器
JP3619578B2 (ja) レンズホルダー
JPS62259759A (ja) 回転体を有する表面研削仕上装置
KR20190017478A (ko) 글라스 연마용 브러쉬 휠
KR20040098883A (ko) 손발톱연마용 줄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0131555Y1 (ko) 유연성을 가지는 경면연마용공구
JP3027841U (ja) 凹凸平面対応掃除用具
KR200270372Y1 (ko) 손톱 연마구
DE59804662D1 (de) Honschleifwerkzeug zur spanabhebenden bearbeitung von werkstücken
ATE417705T1 (de) Rotierendes maschinen-schleifwerkzeug
JP2772473B2 (ja) 研磨具
JPS6048266A (ja) 研磨具
KR200175181Y1 (ko) 연마기
JP3072542U (ja) 鍋みがき
KR920002807Y1 (ko) 굳은살 제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