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544Y1 - 공조기의 전기집진 필터 - Google Patents

공조기의 전기집진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544Y1
KR950003544Y1 KR92014838U KR920014838U KR950003544Y1 KR 950003544 Y1 KR950003544 Y1 KR 950003544Y1 KR 92014838 U KR92014838 U KR 92014838U KR 920014838 U KR920014838 U KR 920014838U KR 950003544 Y1 KR950003544 Y1 KR 950003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electrode
collecting
plat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48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191U (ko
Inventor
임경석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920148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544Y1/ko
Publication of KR9400051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1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5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06Ionising electrode being a needl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조기의 전기집진 필터
제1도는 종래 공조기에 설치되는 전기집진 필터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전기집진 필터 포집부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포집전극판과 가속전극판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포집전극판과 가속전극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포집전극판과 가속전극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리부 케이스 2 : 방전대응극
3 : 침방전극 인가단자 6 : 침방전극
7 : 절연애자 8 : 포집부 케이스
10 : 가속전극판 인가단자 12 : 금속망
13 : 필터지지판 14 : 전극판 지지대
15,15a : 돌기 16,16a,16b : 포집전극판
17 : 도체 18,18a,18b : 가속전극판
20 : 철심
본 고안은 공조기의 전기집진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청정기, 에어콘, 팬히터 등의 공조기에 설치되는 전기 집진 필터의 전리부와 포집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포집된 먼지로 인한 절연파괴가 발생됨과 없이 안전한 상태로서 분진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공조기의 전기집진 필터는 제1도 내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리부의 전리부 케이스(1a) 내에 방전대응극(2a)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전리부 케이스(1a) 일측의 절연판(21)상에 지지대(22)가 설치되어 스프링(23)의 일끝단이 연결되며, 스프링(23)의 타끝단에는 방전선(24)이 연결되어 상기 방전대응극(2a)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방전선(24)으로의 고전압 인가는 전리부 케이스(1a), 절연판(21) 및 지지대(22)를 통하여 인가된다.
또한, 전리부와 결합되는 포집부의 포집부 케이스(8a) 하부에는 하부커버(25)가 체결부재(5)로서 고정되고, 상기 포집부 케이스(8a) 내에는 순차적으로 절연성이 좋은 수지물인 포집전극판(16c)과 가속전극판(18c)이 삽입되며, 포집전극판(16c)과 가속전극판(18c) 각각의 외주연에는 간격을 유지하는 돌기(15b)가 형성되고, 각각의 중앙부에는 일정 넓이의 도전성 도료 또는 알루미늄 박지 등으로 도전층(26)을 형성하여 극판이 형성되고, 상기 포집부 케이스(8a)의 상부는 상부커버(28)가 체결부재(5)로서 고정된다.
또한, 포집부 케이스(8a)의 상부 양측에는 포집전극판 인가단자(27)와 가속전극판 인가단자(10a)가 설치되어 상기 포집전극판 인가단자(27)는 전리부의 방전선(24)과 접지되고, 상기 가속전극판 인가단자(10a)는 방전선(24)과 동일 전극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리부의 전리부 케이스(1a)에 설치된 지지대(22)를 통하여 방전선(24)에 통상 직류 6~8KV의 고전압이 인가되면, 방전대응극(2a)과의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되어 이 사이를 먼지 등이 통과하게 되면 먼지는 하전을 갖고 전리된다.
전리부에서 하전된 먼지가 포집부 케이스(8a) 내부를 통과하면, 포집전극판(16c)과 가속전극판(18c) 사이의 전계강도에 의해 상기 포집전극판(16c)의 도전층(26)에 쿨룽힘의 작용으로 먼지가 포집되고, 상기 가속전극판(18c)의 도전층(26)에도 일부 먼지가 포집된다.
그러나, 전기집진 필터를 일정시간 사용하면 먼지가 포집되고 계속 청소없이 사용하게 되면, 포집전극판(16c)과 가속전극판(18c) 사이의 간격이 밀접되어 있으므로 포집전극판(16c)과 가속전극판(18c)상에 포집된 먼지로 인해 절연 파괴가 발생하여 분진포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불꽃 방전에 의해 화재 발생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도전층(26) 상에 부착된 먼지는 금속재질의 전극에 부착된 먼지에 비해 쉽게 세척이 되지 않아서 청소시의 만족도가 미흡할 뿐만 아니라, 도전층(26)을 형성하는 도전성 도료 등은 잦은 청소를 하게 되면 물질이 벗겨져서 포집전극판(16c)과 가속전극판(18c) 사이의 전계강도가 떨어져 분진포집 효율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공조기에 설치되는 전기 집진필터의 전리부와 포집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집된 먼지로 인한 절연파괴가 발생됨이 없이 분진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조기의 전기집진 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방전대응극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압을 인가하는 침방전극 인가단자가 설치된 전리부 케이스와, 상기 전리부 케이스에 고정되어 방전대응극의 사이에 위치하여 통과되는 먼지에 대한 이온화율을 증대시키는 침방전극과, 상기 전리부 케이스와 결합되며 침방전극에서의 코로나 방전시 발생되는 방전전류와 방전하여 방전전류를 증대시키는 금속망과 전압을 인가하는 가속전극판 인가단자가 설치된 포집부 케이스와, 상기 포집부 케이스에 장착되며 전극판 지지대가 설치된 필터지지판과, 상기 전극판 지지대에 상호 순차적으로 스크롤형으로 감겨 전극을 형성하며 간격을 유지하여 공기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돌기가 형성된 포집전극판 및 도체가 인서팅 압출된 가속전극판으로 구성된 공조기의 전기집진 필터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포집전극판과 가속전극판의 단면도이며,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포집전극판과 가속전극판의 다른 실시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포집전극판과 가속전극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전기집진 필터의 전리부는 전리부 케이스(1)와 일체로 방전대응극(2)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리부 케이스(1)의 상부일측에는 침방전극 인가단자(3)가 설치되며, 상기 전리부 케이스(1)의 양측에는 체결고리(4)가 체결부재(5)로서 고정된다.
또한, 전리부 케이스(1) 후방에는 침방전극(6)이 방전대응극(2)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리부 케이스(1)와 침방 전극(2)의 사이에는 절연을 유지하는 절연애자(7)가 체결부재(5)로서 고정되어 설치된다.
또한, 포집부는 포집부 케이스(8)의 양측에 체결고리(4a)가 체결부재(5)로서 고정되어 전리부 케이스(1)의 체결고리(4)와 결합되고, 상기 포집부 케이스(8)의 양측에는 손잡이(9)가 설치되며, 상기 포집부 케이스(8)의 일측에는 가속전극판 인가단자(10)가 설치되고, 상기 포집부 케이스(8)의 후방 내측에는 고정돌기(11)가 형성되며, 상기 포집부 케이스(8) 내부에는 금속망(12)이 설치된다.
또한, 포집부 케이스(8) 내부의 포집부 케이스(8) 후방에 장착되는 필터지지판(13)의 중앙에 설치된 전극판 지지대(14)에는 상, 하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간격을 유지하는 돌기(15)가 형성된 금속도체의 포집전극판(16)과 내부에 얇은 판상의 도체(17)가 절연성이 뛰어난 수지물로 인서팅(Inserting) 압축된 가속전극판(18) 각각의 일끝단이 상호 순차적으로 스크롤(Scroll) 형으로 감겨서 전극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포집전극판(16)은 포집부 케이스(8)에 접지되고, 가속전극판(18)은 상기 포집부 케이스(8)와 필터 지지판(13) 사이에 절연을 유지하는 절연애자(7)에 체결부재(5)로서 고정되어 다시 가속전극판 인가단자(10)를 통해 고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필터지지판(13)의 외주연에는 고정공(19)이 형성되어 상기 포집부 케이스(8)의 고정돌기(11)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필터 지지판(13)의 양측으로 체결부재(5)가 관통하여 포집부 케이스(8)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3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집진 필터의 전리부 케이스(1) 상부 일측에 설치된 침방전극 인가단자(3)를 통해 고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전리부 케이스(1)와 일체로 형성된 방전대응극(2)과 침방전극(6) 사이에 코로나 방전 전류가 흐르면서 통과되는 먼지를 하전시켜 전하를 갖게 한다.
이때, 침방전극(6)은 통과되는 먼지에 대한 침끝단에서의 국부적인 강한 하전능력을 발휘하여 먼지의 이온화율을 증대시키며, 전리부에서 하전된 포집부 케이스(8)의 내부를 통과하면 상기 침방전극(6)에서의 코로나 방전시 일어나는 방전전류는 상기 포집부 케이스(8)내에 설치된 금속망(12)과도 방전하여 코로나 방전전류를 증대시켜 먼지의 하전능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포집부 케이스(8) 후방에 장착되는 필터지지판(13)의 중앙에 설치된 전극판 지지대(14)에 각각의 일끝단이 상호 순차적으로 스크롤형으로 감겨서 전극이 형성된 포집전극판(16)은 상기 포집부 케이스(8)에 접지되고, 가속전극판(18)이 절연애자(7)를 통하여 절연을 유지하면서 상기 포집부 케이스(8)의 일측에 설치된 가속 전극판 인가단자(10)를 통해 고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포집전극판(16)과 가속전극판(18)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어 하전된 먼지가 통과하면서 먼지가 포집전극판(16)에 포집된다.
이때, 전기집진 필터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가속전극판(18)이 내부에 얇은 판상의 도체(17)가 인서팅 압출되어 절연성이 뛰어난 수지물로 피복되어 있으므로 포집전극판(16)과 가속전극판(18) 사이에 전계는 형성되나, 상기 도체(17)가 밖으로 노출되지 않아서 상기 포집전극판(16)과 가속전극판(18)에 부착된 먼지로 인하여 포집전극판(16)과 가속전극판(18) 사이에 절연 파괴로 인한 불꽃 방전이나 화재의 발생 위험이 전혀 없게 된다.
또한, 상, 하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간격을 유지하여 공기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돌기(15)가 형성된 포집전극판(16)과 가속전극판(18)을 상호 순차적으로 스크롤형으로 감아 전극을 형성하므로써, 포집면적이 확대되어 평판포집 전극 보다 뛰어난 포집 성능을 발휘하여 분진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포집전극판(16)이 금속도체로 제작되므로써, 잦은 청소를 하더라도 포집전극판(16)의 손상으로 인한 분진 포집 효율이 저하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포집전극판과 가속전극판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집전극판(16a)을 알루미늄으로 제작하고, 가속전극판(18a)의 상, 하면에 공기흐름 통로를 위해 간격을 유지하는 돌기(15a)를 형성시키며, 상기 가속전극판(18a) 내부에 얇은 판상의 도체(17)가 인서팅 압출되도록 하여 전극을 형성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집전극판과 가속전극판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속전극판(18b)의 상, 하면에 요부보다 철부가 표면적이 넓은 요철을 형성하여 내부에 철심(20)을 인서팅 압출시키고, 상기 가속전극판(18b) 사이에 주름형의 포집전극판(16b)을 삽입하여 전극을 형성하여 사용하므로써, 먼지가 상기 가속전극판(18b)의 철부에 부착되어 장시간 표면전위의 저하없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포집전극판(16b)을 주름형으로 하여 집진표면적이 확대되어 분진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공기청정기, 에어콘, 팬히터 등의 공조기에 설치되어 전리부와 포집부로 이루어진 전기집진 필터로서 포집된 먼지로 인한 절연 파괴가 발생됨이 없이 안전한 상태로서 분진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리부와 포집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전기집진 필터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방전대응극(2)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압을 인가하는 침방전극 인가단자(3)가 설치된 전리부 케이스(1)와, 상기 전리부 케이스(1)에 고정되어 방전대응극(2)의 사이에 위치하여 통과되는 먼지에 대한 이온화율을 증대시키는 침방전극(6)과, 상기 전리부 케이스(1)와 결합되며 침방전극(6)에서의 코로나 방전시 발생되는 방전전류와 방전하여 방전전류를 증대시키는 금속망(12)과 전압을 인가하는 가속전극판 인가단자(10)가 설치된 포집부 케이스(8)와, 상기 포집부 케이스(8)에 장착되며 전극판 지지대(14)가 설치된 필터 지지판(13)과, 상기 전극판 지지대(14)에 상호 순차적으로 스크롤형으로 감겨 전극을 형성하며 간격을 유지하여 공기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돌기(15)가 형성된 포집전극판(16) 및 도체(17)가 인서팅 압출된 가속전극판(1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의 전기집진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리부 케이스(1)와 침방전극(6) 사이에 절연을 유지하는 절연애자(7)가 설치된 공조기의 전기집진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전극판(16)은 금속도체로 되어 포집부 케이스(87)에 접지되고, 가속전극판(18)은 수지물로 되어 포집부 케이스(8)와 필터지지판(13) 사이의 절연애자(7)에 고정된 공조기의 전기집진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전극판(16a)은 알루미늄재의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가속전극판(18a)은 상, 하면에 돌기(15a)가 형성되어 내부에는 도체(17)가 인서팅 압출되어 전극을 형성하는 공조기의 전기집진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전극판(18b)은 요부 보다 철부가 표면적이 넓은 상, 하 요철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철심(20)이 인서팅 압출되고, 가속전극판(18b) 사이에는 포집전극판(16b)이 삽입되어 전극을 형성하는 공조기의 전기집진 필터.
KR92014838U 1992-08-07 1992-08-07 공조기의 전기집진 필터 KR950003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4838U KR950003544Y1 (ko) 1992-08-07 1992-08-07 공조기의 전기집진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4838U KR950003544Y1 (ko) 1992-08-07 1992-08-07 공조기의 전기집진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191U KR940005191U (ko) 1994-03-16
KR950003544Y1 true KR950003544Y1 (ko) 1995-05-04

Family

ID=19338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4838U KR950003544Y1 (ko) 1992-08-07 1992-08-07 공조기의 전기집진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54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156A (ko) * 2002-03-25 2003-10-0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청정기의 전기식 집진장치
KR100495627B1 (ko) * 2002-07-16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우레탄 필터를 이용한 전기 집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191U (ko) 199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657B1 (ko) 전기 집진기
KR920001421B1 (ko) 집진전극
US2978066A (en) Gas cleaning apparatus
JPS60122062A (ja) 空気清浄器
JP2000042447A (ja) 静電集塵器のアークノイズを抑制するためにフェライトスペーサを使用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234085B1 (ko) 전기집진기
JP2001121033A (ja) 電気集塵装置
KR950003544Y1 (ko) 공조기의 전기집진 필터
JPH06165949A (ja) 電気集塵機
KR200179330Y1 (ko) 전기집진기의 포집부 전극필림
JP3444511B2 (ja) 電気集塵装置
KR200179858Y1 (ko) 전기집진기의 포집부 전극필림
KR200179856Y1 (ko) 전기집진기의 포집부 전극필림
TW202130419A (zh) 電集塵機
KR20000004183U (ko) 전기집진기의 포집부 전극필림
JPH08266928A (ja) フィルターユニット
JP2539206Y2 (ja) 電気集塵器のアイオナイザ
JPH09248489A (ja) 空気清浄装置
KR0147748B1 (ko) 공기정화기의 전기집진필터
KR20000004182U (ko) 전기집진기의 포집부 전극필림
KR20000004181U (ko) 전기집진기의 포집부 전극필림
JPH06182255A (ja) 電気集塵器
JPS62149359A (ja) 電気集塵装置
JPH04187252A (ja) 電気集塵機
JP2909121B2 (ja) 電気集じ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