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102Y1 -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102Y1
KR950003102Y1 KR2019890008056U KR890008056U KR950003102Y1 KR 950003102 Y1 KR950003102 Y1 KR 950003102Y1 KR 2019890008056 U KR2019890008056 U KR 2019890008056U KR 890008056 U KR890008056 U KR 890008056U KR 950003102 Y1 KR950003102 Y1 KR 950003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drive
winding mandrel
shaft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8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403U (ko
Inventor
바이에르 에른스트
카를피셔
Original Assignee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이반 밀러 레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이반 밀러 레르너 filed Critical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Publication of KR9000014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4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1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83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for record carriers inside conta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Landscapes

  • Winding Of Web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제1도는 자기 테이프 형태의 레코드 캐리어를 구비하는 카셋트를 수용하도록 구조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켓식 구술 장치인 녹음 및 재생 장치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에 따른 카셋트의 부분 확대 평면도.
제3도는 장치 상단부를 절개한 제1도와 제2도에 비해 더 확대된 평면도로서 장치의 부품이 2개의 권선 맨드릴의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카셋트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면.
제4도는 구동휨이 구동축에 의해 베어링 지지체상에 회전가능하게 저널된 구동 장치의 구동휨을 횡단하며 2개의 권선 맨드릴을 횡단하는, 제3도의 선 IV-IV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제1도 장치에서의 2개의 권선 맨드릴의 구동장치 부품을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제1도 장치의 구동축에 의해 지지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저널된 구동휨과 함께 베어링 지지체를 도시하고 있는 제3도의 선 V-V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와 유사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인 장치의 권선 맨드릴에 대한 구동 장치의 구동휨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지지체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제3도와 유사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인 장치의 권선 맨드릴에 대한 구동 장치의 구동휨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유동 레버상에 배열된 베어링을 지지체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녹음 및 재생장치 2 : 상부측
4 : 커버 5 : 카셋트
6 : 전방 권선 맨드릴 7 : 역권선 맨드릴
11 : 슬라이드 버튼 12 : 하우징
19 : 자기 테이프 21 : 릴허브
32 : 장착판 34,35 : 스핀들
43 : 모터 44,46 : 풀리
본 고안은 장치내에 적재되어 레코드 캐리어를 수용하기 위해 나란히 설치된 2개의 릴 허브를 구비하는 카셋트에 테이프 형태로 수용된 레코드 캐리어의 녹음 및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장치는 카셋트가 장치내에 존재할 때 각기 레코드 캐리어를 구동시키기 위해 2개의 릴 허브중 하나와 결합하고, 2개의 권선 맨드릴과 동축이며 권선 맨드릴 휠과 접하는 카셋트 주측면과 인접하는 동일한 축방향 레벨에 각기 배치된, 2개의 권선 맨드릴중 하나와 맞물려 회전하는 전방 권선 맨드릴과 역권선 맨드릴을 구비하며, 2개의 권선휠을 구동시키기 위해 구조되었고 권선 맨드릴의 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구동축을 구비하며 권선 맨드릴의 축에 횡단하여 움직이는 베어링 지지체상에 저널되어 회전하는 구동장치를 또한 구비하며, 상기 구동축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권선 맨드릴 휠과 동일한 레벨에 설치된 제1축부와, 권선 맨드릴 휠의 레벨과 권선 맨드릴 휠과 떨어진 카셋트 주측면의 레벨사이의 레벨에 설치된 제2축부를 구비하는 구동 휠을 운반하며, 이것에 의해 2개의 권선 맨드릴 중 하나의 축부가 베어링 지지체의 움직임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며, 상기 축부에 의해 구동되는 권선 맨드릴 휠과 제2축부 사이에 구동 전달기가 배치되어 이들 레벨사이의 차이점을 연결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공지된 이런 형태의 장치는 자기 테이프 형태의 레코드 캐리어를 구비하는 카셋트용 포켓식 구술기로써 사용되며, 작동시에는 사용자에 의해 한손으로 취급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크기, 특히 전체 높이 즉, 두께 폭등을 소형화하는 추세이며 따라서, 용이하게 자켓의 포켓에 넣어 가지고 다닐 수 있다. 이런 공지된 장치는 장치의 세로방향으로 카셋트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또한 자기 테이프를 주사하기 위하여, 자기 헤드에서 떨어진 길고 좁은 카셋트 측면의 근처에 배열된 권선맨드릴의 축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베어링 지지체상에 회전가능하게 저널된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베어링 지지체를 구비한다. 구동축상의 구동휠은 권선 맨드릴 휠의 레벨에서 보다 카셋트 주측면의 레벨에서 더욱 먼 거리에 위치한 맨드릴 휠을 향해 권선 맨드릴 휠에 접하는 카셋트 주측면으로 부터의 방향인 축방향 레벨에 설치된다. 카셋트와 권선 맨드릴 휠에 대한 구동휠은 권선 맨드릴 휠의 하부에 위치한다. 구동휠의 배열로 인해, 휠에 필요한 스페이스인 권선 맨드릴 휠 하부의 장치 내부는 장치의 권선 맨드릴의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권선 맨드릴의 축방향으로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즉, 가능한한 편평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방식을 띄게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요구에 부응하고 상술한 형태의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권선 맨드릴의 축방향으로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이것은 구동축상의 구동휠을 권선 맨드릴 휠의 레벨과 권선 맨드릴 휠에서 떨어진 카셋트 주측면의 레벨사이의 레벨에 설치하여 성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동휠은 카셋트의 인접영역에 있는 레벨에 위치되어, 카셋트 하부의 스페이스를 점유하지 않기 때문에 권선 맨드릴의 축방향으로의 장치 크기가 카셋트에 인접한 권선 맨드릴휠의 전체 높이와 카셋트의 크기에 의해서만 형성되기 때문에 크기가 최소가 되며 따라서 최소의 높이를 갖는 편평한 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구동휠은 구동축상, 예를들어 제1 및 제2축부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구동축상의 구동휠의 레벨이 구동축의 축방향에서 보았을때, 구동축의 제2축부의 레벨보다 권선 맨드릴 휠의 레벨로부터 더욱 떨어져 위치한다면 더욱 양호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동휠이 권선 맨드릴 휠에서 떨어진 카셋트 주측면의 레벨에 가능한한 밀접하게 장착될 수 있어, 구동휠을 구동시키기 위해 제공된 모터의 전체 높이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동휠은 예를들어, 길고 좁은 카셋트 양측면중 하나의 근처에서 카셋트에 인접하여 배열되나, 구동휠이 2개의 짧고 좁은 카셋트 양측면중 하나 근처에서 카셋트에 인접하여 위치하면 양호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런 방식으로, 장치의 세로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갖는 카셋트를 수용하도록 구조된 장치가 얻어져 세로 방향의 크기를 갖는 장치의 크기가 소형화 될 수 있어, 장치의 폭이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구동휠이 전방 권선 맨드릴 근처의 짧고 좁은 카셋트 측면의 근처에서 카셋트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으면, 매우 양호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런 방식으로 전방 권선 맨드릴과 맞물려 회전하는 권선 맨드릴 휠을 구동하도록 배치된 구동축부와 최소 수효의 부재를 구비하는 구동 전달기 사이를 연결하여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지며, 이로 인해 장치의 크기 및 균일성, 그리고 전방 권선 맨드릴의 부드러운 작동등의 이점을 얻게된다.
구동축으로부터 전방권선 스핀들로 동력이 전달될 때, 전방 권선 맨드릴과 맞물려 회전하는 권선 맨드릴 휠이 마찰 휠로서 구조되어 구동축의 제1부에 의해 구동되고, 전방 권선 맨드릴과 맞물려 회전하는 마찰휠이 구동축의 제1부가 베어링 지지체의 움직임에 의해 결합되는 방식의 마찰휠을 통해 구동된다면 양호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런 방식으로 구동축의 제1부와 녹음 및 재생 신호를 위한 레코드 캐리어의 전방 권선 맨드릴과 맞물려 회전하는 마찰휠 사이에서 구동이 단순하고 확실하게 되며, 이러한 형태에 의해 동요없는 전방 권선 맨드릴의 구동을 보장하게 된다.
또한, 베어링 지지체를 움직이기 위한 작동 스프링이 다른 마찰휠을 향해 움직이는 지지체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지지체 근처에 배치되면, 스프링에 의해 베어링 지지체를 통해 구동축의 제1부가 다른 마찰휠을 구동시키도록 또다른 마찰휠과 함께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 스프링이 마찰휠에 대해 제1축부를 작동시켜, 이 결과 제1축부와 다른 마찰휠 사이, 그리고 마찰휠과 전방 권선 맨드릴과 맞물려 회전하는 마찰휠 사이에서, 정확하게 제한된 스프링력의 압력이 충분한 마찰을 하게 하고, 동시에 장시간의 마찰휠 전달을 하게 한다.
장치에 있어서, 구동휠은 전방 권선 맨드릴에 근접한 짧고 좁은 카셋트 측면에 근접하여 위치하였으며, 역권선 맨드릴과 맞물려 회전하는 권선 맨드릴 휠은 이빨을 갖는 휠로서 구조되었으며, 구동축의 제2부는 베어링 지지체의 움직임에 의해 구동 메카니즘과 연결되는 돌출휠을 운반하며, 이에따라 역권선 맨드릴과 맞물려 회전하는 이빨을 가진 휠이 구동되며, 구동 메카니즘은 제2축부의 레벨과 권선 맨드릴 휠의 레벨사이의 차이를 연결하는 구동 전달기를 구비하여, 구동축으로부터 역권선 맨드릴로의 동력 전달에 있어서, 구동 메카니즘의 제1구동부에 의해 돌출휠이 베어링 지지체의 움직임에 의해 결합되고 돌출회의 레벨과 권선 맨드릴 휠의 레벨 사이의 차이점을 연결하는 구동전달기를 구성하게 되면 이점을 갖는 것이 발견되었다.
제2축부상의 돌출휠은 가요성 부품을 구비하는 축전달기를 구동하도록 정착되었으며 권선 맨드릴 휠과 동일한 레벨에 배치되었고, 구동 메카니즘의 제2구동부를 통해, 구동부는 역권선 맨드릴과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이빨을 갖는 휠을 구동시키는 권선 맨드릴 휠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결과 구동축의 제2부와 역권선 맨드릴과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이빨을 갖은 휠 사이의 전달 효율은 역권선 맨드릴과 역작동 형태에 있어서의 재권선시에 레코드 캐리어의 효율적인 에너지 절약 구동의 잇점을 갖게 되며, 더우기, 최소의 스페이스를 점유하게 되어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가 있다.
축 전달기의 구조에 있어서, 축 전달기의 가여성 부품이 제1구동부에 의해 구동된 제1축에 부착된 한 단부와 제2구동부에 의해 구동하는 제2축에 부착된 다른 한 단부를 갖는 헬리컬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면 양호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것은 축 전달기를 표준 헬리컬 스프링에 의해 매우 단순하고 경제적으로 구조될 수 있게 해준다.
제1구동부가 베벨 휠에 의해 구조될 수도 있으나, 제1구동부가 베어링 지지체를 움직여 제2축부상에 있는 돌출휠과 결합될 수 있는 다른 돌출휠과, 돌출휠에 동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빨 포인트가 권선 맨드릴 휠의 레벨을 향한 크라운 휠과, 크라운 휠과 맞물려서 축 전달기의 제1축에 연결된 피니언을 구비하면 매우 양호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제1구동부의 구조는 단순하며 쉽게 제조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제2구동부에 있어서, 역권선 맨드릴과 맞물려 회전하는 이빨을 갖는 휠은 윔 휠로써 구조되었고 제2구동부가, 제2축과 함께 윔이 권선 맨드릴의 축에 횡단하여 움직이는 지지체에 의해 지지 회전되고 또 다른 지지체의 움직임에 의해 윔 휠과 함께 결합되는 축 전달기의 제2축에 연결된 윔에 의해 구조되면 양호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최소 수효의 구동부재를 사용하여, 제2축과 역권선 맨드릴과 맞물려 회전하는 이빨갖인 휠 사이에 매우 단순한 구동 전달을 창출하며, 이들의 축은 서로 직각으로 연장한다.
지지체의 움직임에 있어서, 지지체를 움직이기 위한 작동 스프링은 지지체에 대해서 고정 정지부를 향해 움직이는 지지체를 적재하도록 지지체 근처에 배열되었고 윔은 역권선 맨드릴과 맞물려 회전하는 윔 휠에서 해체된다. 따라서, 작동 스프링은 윔 휠로 부터 윔을 해체하려 하기 때문에, 윔이 윔 휠과 맞물려서 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레코드 캐리어의 전방 작동과 역작동의 제어에 있어서, 윔과 함께 축 지지체의 움직임과, 구동휠과 함께 구동축의 베어링 지지체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서, 전방 작동 위치와 역작동 위치사이에 손으로 움직일 수 있는 단일 제어 슬라이드가 제공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어링 지지체와 또다른 지지체가 오직 단일 제어 슬라이드로 움직일 수 있어 단순한 구조와 정확한 싸이클의 움직임이 얻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작동 스프링은, 하나의 레그가 다른 지지체에 대해서 작동하고 다른 레그가 제어 슬라이드의 움직임 방향에 횡단하여 움직이도록 안내되는 래칭부재에 대해서 작동하는 레그 스프링으로서 제조되어, 제어슬라이드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 위치에서 또 다른 작동 스프링의 영향아래 제어 슬라이드에 형성된 래칭 리쎄스와 결합되어 상기 작동위치에 대응하게 된다. 이것은 또다른 지지체를 위한 다른 작동 스프링이 부가적인 기능 즉, 적어도 하나의 작동 위치에서 제어 슬라이드를 래칭하기 위한 래칭 스프링의 부가적 기능을 수행하는 이점을 갖는다.
베어링 지지체와 다른 지지체의 움직임을 제어 하기 위해서, 제어 슬라이드는 상기 지지체와 직접 협력할 수 있으나, 역작동 위치에서는, 제어 슬라이드가 상기 슬라이드의 제1작동부를 통해, 베어링 지지체가 적재되지 않는 위치에서 베어링 지지체를 적재하기 위해 제공된 작동 스프링을 유지시키고, 상기 슬라이드의 제2작동부를 통해, 윔이 윔 휠과 맞물린 위치에서 또 다른 지지체를 적재하기 위해 제공된 또 다른 작동 스프링을 유지시키며, 전방 작동 위치에서는 제1작동부와 제2작동부가 2개의 작동 스프링과 떨어져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전방 작동에서 제어슬라이드는 베어링 지지체 및 또 다른 지지체와 협력하지 않으며, 역작동 위치에서는 상기 지지체와 직접 협력하지 않으나 2개의 작동 위치에 의해 2개의 작동 스프링을 통해 협력되어, 제어슬라이드에 의해 베어링 지지체와 또 다른 지지체 움직임의 공차 독립 제어의 이점을 갖는다.
역작동 위치에 있어서, 제어 슬라이드는 또 다른 스프링을 통한 위치에서 베어링 지지체를 유지할 수 있으며, 구동축의 제2부상의 돌출휠은 역권선 맨드릴과 맞물려 회전하는 이빨갖인 휠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메카니즘과 맞물려 유지된다. 그러나, 구동축상의 구동휠은 풀리로서 구조되었으며 또 다른 풀리가 모터의 모터축상에 장착된 장치에 있어서, 벨트를 통해 풀리를 구동시키기 위해, 역권선 맨드릴과 맞물려 회전하는 이빨갖인 휠을 구동시키는 구동 메카니즘과 맞물린 제2구동축부 상에서 베어링 지지체가 돌출휠을 정지시키도록 벨트가 풀리를 통해 유동가능한 베어링 지지체상에 힘을 가하게 된다.
이것은 역권선 맨드릴과 맞물려 회전하는 이빨갖인 휠을 구동시키는 구동 메카니즘과 맞물려 제2구동축상에서 돌출휠을 정지시키기 위한 베어링 지지체의 움직임이 벨트를 사용하여 어떠한 분리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얻어질 수가 있다.
또한, 베어링 지지체를 움직이기 위하여 지지체가 피벗가능한 작동 레베상에 장착되었고, 역권선 맨드릴과 맞물려 회전하는 이빨갖인 휠을 구동시키는 구동 메카니즘과 맞물린 제2구동축상의 돌출휠을 정지시키기 위해 베어링 지지체의 유동시에 풀리가 또 다른 풀리로부터 떨어져 이동하여 또 다른 풀리와 풀리사이의 벨트를 부가적으로 인장시키게 된다.
이 결과 벨트에서의 인장과 마찰은 역작동 형태에서의 레코드 캐리어의 확실한 구동과 전방 작동 형태에서의 레코드 캐리어의 에너지 절약 구동등의 이점을 갖는 레코드 캐리어 이송의 전방 작동 형태에서 보다 역작동 형태에서 더욱 크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제1도는 언어 신호를 녹음 및 재생하기 위하여 포켓식 구술장치로 구조된 녹음 및 재생 장치(1)를 보여 준다. 이 장치(1)는 자기 테이프 형태의 레코드 캐리어를 구비하는 제2도에 도시된 카셋트(5)의 카셋트 수용기를 폐쇄하기 위하여, 장치의 상부측(2)에 피벗식으로 부착되었으며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길고 좁은 곡면(3)까지 연장하는 커버(4)를 구비하며, 상기 카셋트 수용기는 장치(1)의 세로 방향에 평행한 세로 방향 방위를 갖는 카셋트를 수용하도록 구조되었다.
제1도는 카셋트 수용기가 카셋트를 포함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전방 권선 맨드릴(6)과 역권선 맨드릴(7)은 장치의 하부로부터 카셋트 수용기 내로 돌출하고 있으며 커버(4)의 투명 윈도우부(8)를 통해 볼 수 있다. 또한 장치의 상부측면(2)은 붙박이 마이크로폰이 장치된 뒤의 연장된 사운드 통과공의 로우(9)와 붙박이 확성기가 장치(1)에 장치된 뒤의 사운드 통과공의 필드(10)가 형성되어 있다. 제1도에서 볼 수 있는 길고 좁은 측면(3)에서 장치(1)는 장치의 테이프 이송 형태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장치의 측면 세로 방향으로 활주가능한 슬라이드 버튼(11)을 구비한다. 이 슬라이드 버튼(11)은 테이프 이송 형태인 “고속 역회전”“정치” “정상 회전” “고속 회전” 등에 대응하는 4개의 작동 위치를 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카셋트(5)는 제2도의 제1카셋트 주측면(13)을 갖는 직사각형 하우징(12)과, 제2도에 도시없는 제2카셋트 주측면(14)과, 길고 좁은 카셋트 전측면(15)과, 길고좁은 카셋트 후측면(16)과, 제2도에 도시된 짧고 좁은 좌측 카셋트 측면(17)과, 제2도에 도시된 짧고 좁은 우측 카셋트 측면(18)을 구비한다. 이 카셋트는 언어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자기 테이프(19) 형태의 레코드 캐리어를 수용하며, 2개의 나란한 회전 릴 허브(20, 21)는 자기 테이프(19)를 수용하기 위해 2개의 카셋트 주벽(13, 14)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었다.
이 자기 테이프(19)는 제2도에 도시된 카셋트에서 양단부에 릴 허브(20, 21)에 부착되어 릴 허브(20)상에 완전하게 권선된다. 이 자기 테이프(19)는 릴 허브(20)상의 롤로부터 3개의 원통형 테이프 가이드(22, 23, 24)를 경유해 다른 릴 허브(21)로 연장한다.
테이프 가이드(22, 23, 24)에 의해, 자기 테이프(19)는 2개의 공동(25, 26)이 형성된 길고 좁은 카셋트 전측면(15)을 따라 안내된다. 2개의 공동(25, 26)을 통해, 장치상의 2개의 자기 헤드는 자기 테이프(19)와 접촉하여 주사할 수 있으며, 자기 테이프(19)는 카셋트에서 유동가능하게 지지되는 2개의 압력 패드(27, 28)에 의해 2개의 자기 헤드의 헤드면에 대해 압력이 가해진다. 2개의 자기헤드는 자기 테이프(19)로 부터의 녹음 및 재생 언어 신호를 위한 자기 녹음 및 재생 헤드와 자기 테이프(19)상에서의 언어 신호를 소거하기 위한 자기 소거 헤드를 구비한다.
카셋트(5)는 상호적인 2개의 역위치에서 장치(1)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장치의 권선 맨드릴(6, 7)은 카셋트의 위치에 의존하는 2개의 카셋트 주벽(13, 14)중 하나를 통해 릴허브(20, 21)와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장치가 카셋트를 포함하였을 때 2개의 권선 맨드릴(6, 7)중 각각은 2개의 릴 허브(20, 21)에 각각 연결되어 자기 테이프(19)를 구동시키게 된다. 본 장치(1)에 있어서, 자기 테잎(19)은 모든 테이프 이송 형태에 있어서 2개의 권선 맨드릴(6, 7)중 하나만의 구동에 의해 구동된다.
본 고안의 장치 부품을 제3도 및 4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겠다. 장착판(32)은 길고 좁은 측면(3)에 위치한 2개의 길은 측벽(29, 30)과 하우징의 하부벽(31) 사이에 고정되어 있으며, 각측벽(29, 30)과 개구(33)에 인접한 오프셋 부품을 갖는다. 2개의 스핀들(34, 35)은 장착판(32)에서의 회전을 정지시키며, 전방 권선 맨드릴(6)은 스핀들(34)상에 장착되어 회전하며 역회전 맨드릴(7)은 스핀들(35)상에 회전가능하게 저널되어 있다. 2개의 권선 맨드릴(6, 7) 각각은 2개의 권선 스핀들과 동축인 2개의 권선 맨드릴 휠중 하나와 맞물려 회전한다. 전방 권선 맨드릴과 맞물려 회전하는 권선 맨드릴 휠(36)은 마찰 휠로서 구조되었다.
역권선 맨드릴(7)과 맞물려 회전하는 권선 맨드릴 휠(37)은 윔 휠로서 구조되어, 이빨갖인 휠로서 간주될 수 있다. 2개의 권선 맨드릴 휠(36, 37)은 제4도 및 5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거의 동일한 축방향 레벨(38)에서 권선 맨드릴 휠과 접하는 카셋트 주측면(14)에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다.
장치(1)는 2개의 권선 맨드릴 휠(36, 37)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39)를 구비한다. 권선 맨드릴(6, 7)의 스핀들(34, 35)에 교차하여 움직이는 베어링 지지체(40)상의 구동 장치(39)는 권선 맨드릴 스핀들에 평행하여 연장하는 저널되어 회전하는 구동축(41)을 구비한다. 베어링 지지체(40)는, 장착판(32)에서의 회전에 대해 물려있으며 하부벽(31)이 장착판(32)과 동일한 레벨에 배열되어 있으며 제4도 및 5도에 도시되었듯이 장착판(32)의 개구(33)에 위치한 스핀들(42) 주변에 대해서 선회한다. 풀리로 구조된 구동휠(44)은 구동축(41)상에 장착되어 장착판(33)에 고정된 모터(43)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모터(43)의 모터축(45)은 풀리(46)를 운반하여 벨트(47)를 통해 풀리(44)를 구동시킨다.
구동축(41)은 제4도 및 5도에 도시되었듯이 제1축부(48)와 제2축부(49)를 구비한다. 제1축부(48)는 2개의 권선 맨드릴 휠(36, 37)의 레벨(38)에 설치되어 있다. 제2축부(49)는 권선 맨드릴휠(36, 37)의 레벨(38)과 권선 맨드릴 휠(36, 37)에서 떨어진 카셋트 주측면(30)의 레벨사이의 레벨(51)에 설치되어 있다. 제4도와 5도에 있어서, 2개의 레벨(50, 51)은 각기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베어링 지지체(40)의 움직임에 의해, 2개의 권선 맨드릴 휠(36, 37)중 하나가 2개의 축부(48, 49)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본 장치(1)에 있어서, 권선 맨드릴 휠(36)은 제1축부(48)에 의해 구동되도록 장치되고, 권선 맨드릴 휠(37)은 제2축부(49)에 의해 구동되도록 장치되었다. 구동 전달기(52)는 제2축부(49)와 권선 맨드릴 휠(37) 사이에 제공되었으며, 이 권선 맨드릴 휠(37)은 각 레벨(51, 38)사이에서의 차이를 연결하기 위해 이 축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듯이, 장치(1)내의 구동축(41) 상의 구동휠(44)은 권선 맨드릴 휠(36, 37)의 레벨(38)과 권선 맨드릴 휠(36, 37)에서 떨어진 카셋트 주측면(13)의 레벨(50) 사이의 레벨(53)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휠(44)은 카셋트(5)의 전체 높이내에서 수용되어 카셋트의 높이 방향으로 구동휠이 카셋트를 넘어 연장할 수 없게되, 이 결과 장치의 상부측면(2)과 장착판(32)사이의 높이가 카셋트(5)에 필요한 스페이스에 의해 형성되고 권선 맨드릴 휠(36, 37)에 필요한 스페이스는 결과적으로 최소이다.
장치의 상부측면(2)과 장착판(32) 사이의 최소 높이로 구성된 본 장치의 전체 높이는 장착판(32)과 여기에 장착된 구성부와 함께 보오드를 수용하는 하부벽(31) 사이의 스페이스 높이를 더한 높이이다. 따라서 전체 높이가 최소가 된다. 구동축은 전방 권선 맨드릴(6) 근처의 짧고 좁은 카셋트 측면(18) 주변의 카셋트(5)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따라서 구동휠(44)은 카셋트의 폭 크기내에 위치되어 카셋트의 폭방향으로 구동휠이 카셋트를 넘어 연장하지 않게되, 이에따라 이 방향으로의 장치 크기는 오직 카셋트에 필요한 스페이스에만 국한되어 크기가 최소가 된다. 이 결과 장치의 구조는 가능한한 편평하고 좁게되어 포켓에 넣어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제4도 및 5도에 도시되었듯이, 구동축(41) 상의 구동휠(44)의 레벨(53)은 구동축(41)의 제2축부의 레벨(51)보다 구동축(41)의 축방향으로 권선 맨드릴 휠(36, 37)로부터 더욱 먼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구동휠(44)은 권선 맨드릴 휠(36, 37)에서 떨어져 있는 카셋트 주측면(B)의 레벨(50)에 가능한한 밀착하여 위치한다. 이 결과, 모터(43)의 모터축상에 장착되었고 벨트를 통해 구동휠(44)에 연결된 풀리(46)와 구동휠(44)은 각기 하부벽(31)과 장착판(32)으로부터 최대거리에 배열되어 모터(43)의 비교적 큰 스페이스가 변할 수 있어 모터의 전체 높이의 선택에 관계없이 큰 이점을 갖는다.
상술하였듯이, 전방 권선 맨드릴(6)과 맞물려 회전하며 마찰 휠로서 구조된 권선 맨드릴 휠(36)은 구동축(41)의 제1축부(48)에 의해 구동되도록 배열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마찰휠(54)이 전방 권선 맨드릴(6)과 맞물려 회전하는 마찰휠(36)을 구동시키도록 제공되었다. 마찰휠(54)은 스핀들(55)에 의해서 피벗가능한 계단식 레버(56)상에 장착되어 회전한다. 이 레버(56)는 장착판(32)에서의 회전에 대해 물린 스핀들(57) 주변에서 회전가능하며, 스핀들(55)을 운반하는 계단진 부분은 장착판(32)의 레벨에 배치되어 제4도에 도시되었듯이 장착판(32)의 개구(33)에 위치한다. 베어링 지지체(40)의 움직임에 의해, 구동축(41)의 제1축부(48)는 마찰휠(54)과 결합될 수 있다. 이 마찰휠(54)은 구동축(41)과 전방 권선 맨드릴(6)과 맞물려 회전하는 마찰휠(36) 사이에 매우 간단하고 안정하며 확실한 구동 전달기를 제공하여, “정상회전” 상태에서 카셋트(5)의 자기 테이프(19)를 균일하고 진동없는 구동을 하게 한다.
작동 스프링(58)은 마찰휠(54)을 향해 베어링 지지체(40)를 작동시키도록 베어링 지지체(40) 근처에 배열되어 있다. 이 작동 스프링(58)은 레그 스프링으로 구조되었으며, 권선 중앙부가 장착판(32)으로 부터 돌출한 핀(59) 상으로 활주한다. 작동 스프링(58)의 제1레그(60)는 2개의 환형부를 구비하며 베어링 지지체(40)를 적재시키도록 지지체(40)상의 돌출부(61)에 대해 지탱된다. 작동 스프링(58)의 제2레그(62)는 장착판(32)상의 고정 정지부(63)에 대해 지탱된다. 구동축(41)의 제1축부(48)는 베어링 지지체(40)를 통해 작동 스프링(58)에 의해 마찰휠(54)과 결합된다. 작동 스프링(58)이 제1레그(60)로 지지체(40)에 대해 지탱되면, 베어링 지지체는 마찰휠(54)과 마찰휠(54)에 대해 접촉하는 제1축부(48)를 향해 피벗되며, 이 휠은 이것이 전방 권선 맨드릴(6)과 맞물려 회전하는 마찰휠(36)과 결합될 때 까지 레버(56)의 피벗 운동에 의해 움직인다. 스프링 힘의 적당한 선택에 의해, 작동 스프링(58)은 스프링 힘에 의해 제1축부(58)와 마찰휠(54) 사이, 그리고 마찰휠(54)와 전방 권선 맨드릴(6)과 맞물려 회전하는 마찰휠(36) 사이에 형성된 압력을 제공하여, 정확한 동력 전달을 보장하기 위한 충분한 마찰과 오랜 마찰휠 동력에 대한 이점을 갖는다.
구동축(41)의 제2축부(49)는 역권선 맨드릴(7)과 맞물려 회전하고 윔 휠로서 구조된 권선 맨드릴 휠(37)을 구동시키도록 베어링 지지체(40)에 의해 구동 메카니즘(65)과 결합가능한 돌출휠(64)을 운반하며, 이 메카니즘(65)은 제2축부(41)의 레벨(51)과 권선 맨드릴 휠(36, 37)의 레벨(38) 사이의 차이를 보상하는 구동 전달기(52)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2축부(49)상의 돌출휠(64)에 의해서, 권선 맨드릴 휠(36, 37)과 동일한 레벨(38)에 배치되어 가요성부(66)를 구비하는 축 전달기(67)는 구동축(41)상의 돌출휠(64)이 베어링 지지체(40)에 의해 결합되고, 구동부가 돌출휠(64)의 레벨(51)과 권선 맨드릴 휠(36, 37)의 레벨(38) 사이의 차이를 보완하는 구동전달기를 구성하는 메카니즘(65)의 제1구동부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축 전달기(67)는 구동 메카니즘의 제2구동부(68)를 통해 역권선 맨드릴(7)과 맞물려 회전하는 윔 휠(37)을 구동시키며, 상기 제2구동부는 권선 맨드릴 휠(36, 37)과 동일한 레벨(38)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축 전달기(67)의 가요성부(66)는 통상의 표준 형태의 헬리컬 스프링으로 구조되며, 헬리컬 스프링의 한 단부는 제1구동부(52)에 의해 구동되는 제1강성축(69)과 맞물려 회전하고, 다른 한단부는 제2구동부(68)를 구동하는 제2강성축(70)과 맞물려 회전한다. 또한, 헬리컬 스프링의 단부 회전은 2개의 강성축상으로 느슨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비교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고, 비교축상에 제공된 정지부와 상호 작용함에 의해 회전을 허락하는 환형 단부부를 구비하며 상기 헬리컬 스프링의 길이는 덜 임계적이다. 제1축(69)은 장착판(32)상에 제공된 2개의 고정 베어링(71, 7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저널되며, 제2축(70)은 권선 맨드릴(6, 7)의 교차하여 움직이는 스핀들(34, 35)의 지지체(73)상에 배열된 2개의 베어링(74, 7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저널되었다.
이 지지체(73)는 장착판(32)의 회전에 물려있는 스핀들 주변에서 피벗가능하며, 이에따라 제2축(70)도 피벗가능하게 된다.
제1구동부(52)는 장착판(32)의 회전에 물려 있는 스핀들(77) 주변에서 회전하며 베어링 지지체(40)에 의해 결합되는 제2축부(49)상의 돌출휠(64)를 갖는 돌출휠(78)과, 권선 맨드릴 휠(36, 37)의 레벨(38)을 향한 이빨 포인트를 갖으며 제1돌출휠(78)에 동축으로 연결된 크라운 휠(79)과, 크라운 휠(79)과 맞물려 있으며 축 전달기(67)의 제1축(69)에 연결된 피니언(80)을 구비한다. 또한 돌출휠(78)과 크라운 휠(79)은 서로 연결되어 일체를 형성하고 있다.
제2구동휠(68)은, 축 전달기(67)의 제2축과 맞물려 회전하고, 제2축(70)은 권선 맨드릴(6, 7)의 스핀들(34, 35)이 교차하여 움직이는 지지체(73)상에 회전가능하게 저널된 다중 나사윔을 구비하며, 이 윔은 지지체(73)의 움직임에 의해 역권선 맨드릴(7)과 맞물려 회전하는 윔 휠(37)과 결합될 수 있다.
작동 스프링(81)은, 윔 휠(37)로 부터 윔(68)을 분리하게 하는 지지체(73)에 의한 탄성에 의해, 역권선 맨드릴(7)과 맞물려 회전하는 장착판(32)상의 고정 정지부(82)를 향해 지지체(73)를 작동시키도록 지지체(73) 주변에 배치된다. 윔(68)이 윔 휠(37)과 맞물려 있을때, 지지체(73)는 장착판(32)상의 고정 정지부(83)에 대해서 접촉하고 있어 윔(68)의 이빨과 윔 휠(37) 사이에 작동 깊이를 형성한다. 작동 스프링(81)은 2개의 레그를 갖는 레그 스프링으로 구조되었으며, 이것의 권선 중앙부는 장착판(32)상에서 고정핀(84)을 통해 고정된다. 레그 스프링(81)은 2개의 환형부를 갖으며 지지체(73)에서 슬로트(86)와 결합하여 지지체상에서 작동하는 제1레그(85)를 구비한다. 레그 스프링(81)의 레그(87)는, 교차하는 측벽(29)에 의해 안내되고 장착판(32)에서 돌출하는 2개의 L자형 안내부재(89, 90)에 의해 장착판(32)에 평행한 원통형 안내 래칭 롤러(88)를 통해 작동한다.
상술한 구동 메카니즘(65)은 구동축(41)과 역권선 맨드릴(7)과 맞물려 회전하는 윔 휠(37) 사이에 강력하고 고효율의 구동 전달기를 구성하여, 빠른 역회전시에 카셋트에서 자기테이프(19)의 확실한 구동을 보장하게 된다. 돌출휠(78)과, 이 휠과 일체인 크라운 휠과, 이 크라운 휠과 맞물린 피니언(80)은 구동축(41)상의 돌출휠(64)의 레벨(51)과 권선 맨드릴 휠(36, 37)의 레벨 사이의 상이함을 보상하는 매우 단순하고 컴팩트하며 값싼 구동전달기(52)를 구성한다. 헬리컬 스프링(66)에 의해 구성된 가요성부를 갖는 축 전달기(67)는 매우 컴팩트한 구동 전달을 형성하여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다중 나사윌(68)과 윔 휠(37)을 구비하는 웜 구동기는 제2축(70)으로 부터 역권선 맨드릴(7)로 동력을 전달하는 매우 간단한 수단을 제공하며, 이것의 축은 오른쪽 모서리에서 서로에 대해 연장한다.
이런 웜 구동기는 또한 컴팩트 구조의 이점을 갖는다.
본 장치(1)에서, 모터축(45)상의 풀리(46)와 모터(43)는, 구동휠을 형성하는 폴리(44)가 벨트(47)을 통해 베어링 지지체(40)상에 힘을 발휘하여 이 힘이 역권선 맨드릴(7)과 맞물려 회전하는 윔 휠(37)을 구동시키도록 구동 메카니즘(65)과 맞물린 구동축(41)의 제2축부(49)상에 돌출휠(64)을 멈추도록 작동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런 방식으로 돌출휠(64)은 벨트(47)에 의해 발휘된 힘에 의해 돌출휠(78)과 맞물리어, 이 결과 서로 맞물린 2개의 돌출휠을 멈추게 하는 분리 작동 수단이 필요없게 된다.
상술하였듯이, “빠른 전방 회전”, “정상 회전”, “정지” 및 “빠른 역회전” 상태등은 장치의 좁은 측면(3)의 세로 방향으로 전후 움직이는 슬라이드 버튼(11)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제3도는 “정지” 상태에 대응하는 작동 위치에서의 슬라이드 버튼(11)을 도시하고 있다.
슬라이드 버튼(11)의 돌출부(91)는, 측벽(29)과 장착판(32)의 인접 환형부(92)에 형성된 개구(93)를 통해 연장하여 세로방향으로 활주되도록 장착판(32)상에서 안내되는 제어 슬라이드(94)에 연결되었다. 제어 슬라이드(94)는 윔(68)과 함께 제2축(70)에 대한 지지체(73)의 움직임과 구동휠(44)과 함께 구동축(41)에 대한 베어링 지지체(40)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작동한다. 슬라이드 버튼(11)에 의해, 제어 슬라이드(94)는 빠른 전방 위치, 정상 전방 위치, 정지 위치, 역회전 위치 사이에서 손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어 슬라이드(94)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 공급기에 모터를 연결시키고 녹음 및 재생 증폭기인 전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전방 권선 맨드릴(6)과 전기 스위치 장치와 맞물려 회전하는 마찰휠(36)에 대한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제어 슬라이드(94)는 정지 작동에 대응하는 래칭 리쎄스(95)와 전방 작동에 대응하는 래칭 리쎄스(96)등의 2개의 채널형 래칭 리쎄스(95, 96)를 갖는다.
제어 슬라이드(94)의 작동 위치에 대응하여, 작동 스프링(81)의 제2림브(87)는 래칭 롤러(88)를 래칭 리쎄스(95, 96)안으로 들어가게 한다. 따라서, 지지체(73)용의 작동 스프링(81)은 래칭 롤러(88)를 적재하기 위하여 래칭 스프링의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래칭 롤러(88)에 의해, 제어 슬라이드(94)는 2개의 작동 위치에서 래칭한다. 슬라이드 버튼(11)의 돌출부(91)가 개구(93)의 인접벽(98)에 접촉될 때까지 작동 슬라이드(94)가 화살표(97)로 가리킨 방향에서 제3도에 도시된 정지위치로 부터 이동할때, 제어 슬라이드는 이것이 래칭되지 않는 역작동 위치로 가게 된다. 이런 움직임동안, 도시없는 왕복 스프링은 인장되고 이것의 역작동 위치로 부터 슬라이드 버튼(11)이 이완되고 난후, 스프링은 래치되지 않은 정지 위치로 제어 슬라이드(94)를 돌아가게 한다.
제어 버튼(11)의 돌출부(91)가 개구(93)의 인접벽(100)에 접촉할 때까지 제어 슬라이드(94)가 전방 작동 위치를 통해 화살표(99) 방향으로 제3도에 도시된 정지 위치로 부터 움직일때, 제어 슬라이드(94)는 이것이 래치되지 않는 고속의 전방 자동 위치로 가게 된다. 제어 슬라이드(94)가 고속의 전압 작동 위치로 움직이는 동안, 도시 없는 왕복 스프링은 인장되고, 이것의 고속 전방 작동 위치로 부터 슬라이드 버튼(11)이 이완되고 난후, 스프링은 래치된 전방 작동 위치로 제어 슬라이드(94)를 돌아가게 한다.
베어링 지지체(4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슬라이드(94)는 계단진 부분(101)으로 구조된 제1작동부를 구비하며, 지지체(73)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하여는 돌출부(102)로 구조된 제2작동부를 구비한다.
역작동 위치에서, 제어 슬라이드(94)의 계단진 부분(101)은 작동 스프링(58)의 제1레그(60)를 유지시키며, 이 레그는 베어링 지지체(40) 상에 하중이 부여되지 않은 위치에서 베어링 지지체(40)를 적재할 수 있다. 더우기, 역작동 위치에서, 제어 슬라이드(94)의 돌출부(102)는 작동 스프링(81)의 제1레그(85)로를 유지시키고, 이 레그는 역권선 맨드릴(7)과 맞물려 회전하는 윔휠(36)과 윔이 맞물린 위치의 지지체(74)상에서 작동한다.
제어 슬라이드(94)의 전방 작동 위치에서, 슬라이드의 계단진 부분(101)과 돌출부(102)는 2개의 작동 스프링(58, 81)을 해제하며, 계단진 부분(101)은 작동 스프링(58)의 제1레그(60)를 상승시키고, 돌출부(102)는 작동 스프링(81)의 제1레그(85)를 상승시킨다.
정지 위치에서 제어 슬라이드(94)가 도시된 제3도에서, 래칭 롤러(88)는 래칭 리쎄스(95)안으로 들어가고, 벨트(47)에 의해 발휘된 힘의 결과, 구동축(41)상의 돌출휠(64)은 구동 메카니즘(65)의 돌출휠(78)과 이미 맞물려 있으며, 작동 스프링(81)의 제1레그(85)는 상기 지지체(73)가 고정 정지부(83)와 접촉하는 위치에서 지지체(73)을 유지시키기 때문에 윔(68)은 윔휠(37)과 맞물린다. 그러나, 상기 위치에서, 장치(1)의 모터(43)는 공급 전압을 수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모터는 작동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카셋트(5)에서 자기테이프(19)는 구동하지 않는다.
슬라이드 버튼(11)이 제3도에 도시된 정지 위치에서 화살표(97)로 가리킨 방향의 역작동 위치로 제어 슬라이드(94)를 손으로 작동시킬때, 도시없는 왕복 스프링은 인장되고 계단진 부분(101)을 통해 작동 스프링(58)의 제1림브(60)는 베어링 지지체(40)의 돌출부(61)를 상승시키며, 벨트(47)는 돌출휠(78)과 맞물린 구동축(41)상에서 돌출휠(64)을 유지시켜, 전방 권선 맨드릴(5)과 맞물려 회전하는, 마찰휠(36)과 구동축(41) 사이의 구동 전달기가 분리되어 이에 따라 자기 테이프(19)가 “고속 역회전” 상태에서 구동할때, 부하를 형성하지 않게돼, 자기테이프(19)가 전방 권선 맨드릴(6)과 상호 작동하는 릴허브를 끌어당긴다. 더우기, 돌출부(102)와 작동 스프링(81)의 제1레그(85), 그리고 지지체(73)에 의해, 윔(68)은 윔휠(37)과 맞물려 유지되게 된다. 또한, 마찰휠(36)용 브레이크가 제어 슬라이드(94)에 의해 상승되며, 모터(43)는 제1고전압에 연결되어, 제3도에 도시되었듯이 고속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한다. 풀리(46), 벨트(47), 구동휠(44), 구동축(41), 돌출휠(64) 및 구동 메카니즘(65) 등에 의하여, 모터(43)는 제3도에 도시되었듯이, 고속으로 시계 방향으로 역권선 맨드릴(7)을 구동시키고, 카셋트(5)내의 자기테이프(19)는 “고속 역회전” 상태의 고속 전달 속도로 구동되며, 역권선 맨드릴(7)에 연결된 릴 허브상으로 권선을 하게 된다. 본 장치에서, “고속 역회전” 상태의 자기테이프 속도는 “정상 전방 회전” 상태의 약 7배 정도의 속도이다. 슬라이드 버튼(11)의 이완후, 왕복 스프링은 자동적으로 정지 위치로 비래칭 제어 슬라이드(94)를 귀환시키며, 이리하여 자기테이프(19)는 더이상 구동을 하지 않게 된다.
슬라이드 버튼(11)에 의해서 제어 슬라이드(94)가 제3도에 도시된 정지 위치로 부터 래칭 롤러(88)가 래칭 위치에서 제어 슬라이드(94)를 유지시키도록 래칭 리쎄스(96)을 결합하는 전방 위치로 손으로 설정될때, 계단진 부분(101)은 작동 스프링(58)의 제1레그(60)를 상승시키며 돌출부(102)는 작동 스프링(81)의 제1레그(85)를 상승시켜 이에 따라 제어 슬라이드(94)가 제2개의 작동 스프링(58, 81)에 의해 힘을 발휘하게 된다. 작동 스프링(58)의 제1레그(60)는 베어링 지지체(40)의 돌출부(81)에 대해 작동하여 베어링 지지체(40)를 마찰휠(54)을 향해 선회하게 된다.
구동축(41)의 제1축부(48)는 마찰회(54)에 대해 접촉하여 이것이 전방 권선 맨드릴(6)과 맞물려 회전하는 마찰휠(36)에 대해 결합하는한 마찰휠(54)을 선회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구동축(41)과 마찰휠(36) 사이에 구동이 전달된다. 돌출부(102)가 작동 스프링(81)의 제1레그(85)와 해체됨에 따라 작동 스프링(81)의 제1레그(85)는 지지체(73)가 정지부(82)에 의해 접촉할 때까지 지지체(73)를 고정 정지부(82)를 통해 선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윔(88)는 윔 휠(37)과 해체되어 이에 따라 자기 테잎(19)이 역권선 맨드릴(7)과 작동하는 릴 허브로 부터 권선되지 않는 “정상 전방 회전” 상태에서 자기테이프(19)의 구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것이 전방 작동 위치로 움직일때, 제어 슬라이드(94)는 마찰휠(37)용 브레이크를 상승시키고 모터(43)를 제2의 저전압에 연결시켜, 제3도에 도시되었듯이 모터(43)를 반시계 방향으로 저속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그후 모터(43)는 풀리(46), 벨트(47), 구동휠(44), 구동축(41), 마찰휠(54), 마찰휠(36) 등을 통해 저속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전방 권선 맨드릴(6)을 구동시키게 돼, 카셋트(5) 내의 자기테이프(19)를 “정상 전방 회전” 상태에서 낮은 전달 속도로 구동시키고 전방 권선 맨드릴(6)과 작동하는 릴 허브상으로 권선시키게 된다.
슬라이드 버튼(11)에 의해 제어 슬라이드가 전방 작동 위치로 부터 정지 위치로 설정되면 구동축(41)의 제1축부(48)는 마찰휠(54)을 상승시키고, 구동축(41)상의 돌출휠(54)은 구동 메카니즘(65)의 돌출휠(78)과 다시 맞물리며 윔(68)은 윔휠(37)과 다시 맞물리고, 스위치가 점멸되었으나 여전히 작동중인 모터(43)은 제3도에 도시된 시계 방향으로 역권선 맨드릴(7)을 간단하게 구동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기테이프(19)는 짧은 길이로 자동적으로 권선되어 “정상 전방” 형태가 지시된 반대 통과 스위치를 점멸 할때 장치의 자기녹음 및 재생 헤드가 상기 자기 헤드에 대해 짧은 길이를 통해 후진되어 다시 “정상 전방” 이송이 재생 상태에서 선택될때 재생되게 된다.
구술시에 이것은 모든 간섭후의 구술 단부를 구술이 연속되기전 자동적으로 재생 및 모니터 되게 한다.
슬라이드 버튼(11)에 의해 제어 슬라이드(94)가 전방 작동 위치로 부터 화살표(99) 방향에 왕복 스프링(도시없음)의 힘에 대항하여 빠른 전방 작동 위치안으로 손에 의해 움직이면, 기계적 위치는 상술한 “정상 전방” 상태의 위치와 비교하여 변화가 없게 된다. 그러나, 작동 슬라이드(94)가 빠른 전방 작동 위치에 설정될때, 이 슬라이드는 모터(43)를 “정상 전방” 상태에서의 제2저전압 보다 높은 제1전압에 연결시키게돼, 모터(43)가 고속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하게 된다. 그후 모터(43)는 “정상 전방” 상태에서 보다 높은 속도로 상술한 구동 전달기를 통해 전방 권선 맨드릴(6)을 구동시키고, 전달기를 통해 전방 권선 맨드릴(6)을 구동시키고, 카셋트(5)내의 자기테이프(19)는 “정상 전방” 상태에서 보다 “빠른 전방” 상태에서 높은 이송 속도로 구동되며, 전방 권선 맨드릴에 연결된 릴허브 상으로 권선되게 된다.
본 장치에 있어서, “빠른 전방” 상태에서의 자기테이프의 이송 속도는 거의 “정상 전방” 상태 속도의 2배 속도이다.
슬라이드 버튼(1)의 이완후, 비래칭 작동 슬라이드(94)는 왕복 스프링에 의해 전방 작동 위치로 자동적으로 설정되며, 이 위치에서 작동 슬라이드는 래칭 리쎄스(96)와 결합하는 래칭 롤러(88)에 의해 래치되게 된다. 따라서, “빠른 전방” 상태가 스위치 점멸된후, 장치가 즉시 “정상 전방” 상태로 설정되어 이미 녹음된 구술의 통과를 설정시키는 이점이 있다.
상술함에 의해 명백하여 졌듯이, 2개의 권선 맨드릴(6, 7)의 구동시에 포함되는 장치 부품의 제어 기능이 오직 한개의 제어 슬라이드(94)에 의해 수행되어, 단순한 구조와 정확한 싸이클 움직임의 이점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장치(1)의 베어링 지지체(40)는 제5도에 자세히 도시되었다. 베어링 지지체(40)는 축(42)을 둘러싸는 슬리브부(103)를 구비한다. 2개의 환형부를 구비하는 제1아암(104)가 제2아암(106)은 슬라이브(103)로 부터 돌출하며, 구동축(41)의 한단부는 저널되었으며 구동축(41)을 둘러싸는 디스크(105)는 상기 제1아암에 고정되었고, 구동축(41)의 다른 한단부는 저널되었으며 베어링 디스크(105)에 대해 구동축(41)을 움직이게 하는 블레이드 스프링(107)은 장착판(32)에서 떨어진 상기 제2아암에 고정되었다.
제5도로 부터 알 수 있듯이, 베어링판(105)을 운반하는 제1아암(104)의 아암부는 장착판(32)과 동일한 레벨에 배치되어 있으며, 아암(104)의 상기 아암부는 장착판(32)의 개구에 위치하고 있다.
제6도는 장치의 베어링 지지체(40)를 도시하고 있다. 이 장치에서, 하부벽(31)은 직접 장착판(32)에 인접하고 있어, 장치의 두께가 카셋트와 권선 맨드릴 휠을 수용하기 위해 필요한 전체 높이에 의해서만 국한되어 크기가 최소가 되며 매우 편평한 장치가 된다. 이 장치의 베어링 지지체(40)에 있어서, 슬리브부(103)로 부터 돌출하는 2개의 아암(104, 106)은 각기 하나의 환형부만을 구비한다. 또한, 이 베어링 지지체(40)는 슬리브부(103)에 연결된 제1아암(104)을 가지며, 슬리브부(103)에 인접한 아암부는 마찰휠로서 작동하는 제1축부(48)의 레벨(38)과 돌출휠(64)을 운반하는 제2축부(49)의 레벨(51) 사이의 레벨에 위치하며, 아암(104)에 고정되었으며 구동축(41)을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체(105)는 환형 구조 형태이며, 구동축(41)을 지지하는 디스크부는 제1축부(48)의 레벨(38) 이하에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어링 지지체(40)는 구동축(41)의 축방향으로 스페이스의 양을 최소로 요구하고 장착판(32)의 레벨을 넘어 연장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장착판(32)은 이 베어링 지지체(40)의 통과를 위한 개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제7도는 베어링 지지체(40)를 움직이기 위한 장치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지지체는 선회가능한 작동 레버(108)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선회가능한 베어링 지지체(40) 주변의 스핀들(42)은 작동 레버(108)의 제1아암(109)에 고정되어 있다. 작동 레버(108)는 장착판(32)에서의 회전에 맞물린 스핀들(110) 주변에서 선회 가능하다. 베어링 지지체(40)의 작동 스프링(58)은 고정 정지부(63)에 대해 작용하는 제1레그(60), 제2레그(62)를 갖는 작동 레버(108)의 제1아암(111)에 대해 작용한다. 작동 스프링(58)의 권선 중앙부는 작동 레벨(108)의 원통형 부분상에 권선되며, 이 부분은 스핀들(110)과 동축이다. 작동 레버(108)는 벨트에 의해 발휘된 힘의 영향하에서 접촉되는 베어링 지지체(40)에 대한 돌출부(113)를 구비하며, 작동 레버(108)는 작동 스프링(58)의 영향 아래 베어링 지지체(4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작동 레버(108)의 제2아암(111)의 자유 단부는 제어 슬라이드(94)의 영역으로 연장하여 제어 슬라이드는 작동레버(108)의 움직임과 제2아암(111)을 통한 베어링 지지체(4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작동 레버(108)상의 베어링 지지체(40)의 배열과 장치내의 작동 레버(108)의 스핀들(110)의 배열은, 역권선 맨드릴과 맞물려 회전하는 이빨갖은 휠을 구동시키기 위해, 베어링 지지체(40)가 구동 메카니즘(65)의 돌출휠(78)과 구동축(41)의 제2축부상의 돌출휠(64)과 맞물리도록 움직일때, 구동휠로서 작동하는 풀리(44)는 모터(43)의 모터축(45)상의 풀리(46)로 부터 떨어져 움직여서, 풀리(46)와 풀리(44) 사이에서의 벨트(47)가 부가적으로 인장되게 된다. 이러한 벨트(47)의 부가적인 인장은 “정상 전방”상태에서보다 “빠른 역회전”상태에서 더욱 높은 마찰을 일으켜, 빠른 역회전 상태에서 카셋트가 원활히 작동되지 않을 경우라도 자기테이프의 확실한 구동을 할 수 있으며 “정상 전방” 상태에서 자기테이프의 에너지 절약 구동의 잇점을 갖는다. “정상 전방” 상태에서의 이러한 에너지 절약 구동은 모터의 밧데리 수명을 연장하는 잇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구동축상의 구동휠은 마찰휠로서 구조될 수도 있으며 마찰휠 구동을 통해 모터에 의해 구동 될 수도 있다. 구동축의 제1축부는 구동축보다 큰 직경을 갖는 마찰휠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전방 권선 맨드릴과 맞물려 회전하는 마찰휠을 구동시키도록 또 다른 마찰휠과 결합할 수도 있다. 더우기, 제1축부는, 풀리로서 구조되어 전방 권선 맨드릴과 맞물려 회전하여 벨트 구동을 통해 구동되는 권선 맨드릴 휠에 의해 풀리를 운반한다.
돌출휠이 제2축부상에 장착되었을때, 역권선 맨드릴은, 돌출휠을 구비하며 구동축상의 돌출휠의 레벨과 권선 맨드릴 휠의 레벨 사이의 차이점을 연결하기 위해 구조되었고, 또한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적어도 2개의 동축 돌출휠을 구비하는 기어 구동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제2축부는, 전방 권선 맨드릴과 맞물려 회전하며 마찰휠로서 구조된 권선 맨드릴 휠이 상기 마찰휠의 레벨과 권선 맨드릴 휠의 레벨 사이의 차이점을 연결하기 위해 구조된 마찰휠 구동기를 통해 구동되어 마찰휠을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제1축부는, 역권선 맨드릴이 오직 돌출휠만을 구비하는 기어 구동을 통해 구동되어 돌출휠을 운반할 수 있다. 더우기, 역권선 맨드릴용으로 구조된 컴팩트 구동기를 위하여, 벨트 구동기가 제공되어 베어링 지지체의 움직임에 의해 2개의 축부중 하나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본 장치의 제1및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모터는 폭방향으로 카셋트를 넘어 연장한다. 그러나, 모터뿐만 아니라 구동휠은 카셋트의 폭방향내에 배열될 수가 있어 매우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Claims (16)

  1. 카셋트(5)가 장치(1)내에 존재할 때 각기 레코드 캐리어(19)를 구동시키기 위해 2개의 릴 허브(20, 21) 중 하나와 결합하고, 2개의 권선 맨드릴(6, 7)과 동축이며 권선 맨드릴휠(36, 37)가 대면하는 카셋트의 주 측면(14)과 인접하는 동일한 축방향 레벨(38)에 각각 배치된, 2개의 권선 맨드릴 휠(36, 37)중 하나와 맞물려 회전하는 전방 권선 맨드릴(6)과 역권선 맨드릴(7)을 구비하며, 2개의 권선 맨드릴 휠(36, 37)을 구동시키기 위해 구조되었고 권선 맨드릴(6, 7)의 측(34, 35)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구동축(41)을 구비하며 권선 맨드릴(6, 7)의 축(34, 35)에 횡단하여 움직이는 베어링 지지체(40)상에 저널되어 회전하는 구동 장치(39)를 또한 구비하며, 상기 구동축은, 모터(43)에 의해 회전하며 권선 맨드릴휠(36, 37)과 동일한 레벨(38)에 설치된 제1축부(48)와, 권선 맨드릴 휠(36, 37)의 레벨(38)과 권선 맨드릴 휠(36, 37)로부터 원격된 카셋트의 주측면(13)의 레벨(50) 사이의 레벨(51)에 설치된 제2축부(49)를 구비하는 구동휠(44)을 보유하며, 상기 축부에 의해 2개의 권선 맨드릴 휠(36, 37)중 하나가 베어링 지지체(40)를 이동시킴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며, 제2축부(49)에 의해 구동되는 권선 맨드릴 휠(37)과 상기 축부(49) 사이에 구동 전달기(52)가 배치되어 이들 레벨(51, 38) 사이의 상위를 이어주게 되는, 장치(1) 내에 적재될 수 있고 레코드 캐리어(19)를 수용하기 위해 회전가능하게 나란히 설치된 2개의 릴허브(20, 21)를 구비하는 카셋트(5)에 수용된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19)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1)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41)상의 구동휠(44)은 권선 맨드릴 휠(36, 37)의 레벨(38)과 권선 맨드릴 휠(36, 37)로부터 원결된 카셋트의 주 측면(13)의 레벨(50) 사이의 레벨(53)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구동축(41)상의 구동휠(44)의 레벨(53)은 구동축(41)의 축방향으로 보았을때 구동축(41) 상의 제2축부(49)의 레벨(51)보다 권선 맨드릴 휠(36, 37)의 레벨(38)로 부터 더욱 큰거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44)은 2개의 짧고 좁은 카셋트의 양측면(17, 18)중 하나의 근처에서 카셋트(5)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44)은 전방 권선 맨드릴(6)의 근처의 짧고 좁은 카셋트의 측면(18)의 근처에서 카셋트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전방 권선 맨드릴(6)이 맞물려 회전하며 권선 맨드릴 휠(36)이 마찰휠로서 구조되었으며 구동축(41)의 제1축부(48)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전방 권선 맨드릴(6)과 맞물려 회전하는 마찰휠(36)은 구동축(41)의 제1축부(48)가 베어링 지지체(40)를 이동시킴에 의해 결합가능하게 되는 또 다른 마찰휠(54)을 통해 구동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베어링 지지체(40)를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 스프링(58)이 또다른 마찰휠(54)을 향해 움직이는 베어링 지지체(40)를 적재하기 위해 상기 지지체 근처에서 배열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베어링 지지체(40)를 거쳐 구동축(41)의 제1축부(48)는 또다른 마찰휠(54)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또 다른 마찰휠(54)과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역권선 맨드릴(7)과 맞물려 회전하는 권선 맨드릴 휠(37)은 이빨을 갖는 휠로서 구조되고, 구동축(41)의 제2축부(49)는 역권선 맨드릴(7)과 맞물려 회전하는 이빨을 갖는 휠(37)을 통해 구동 메카니즘(65)과 결합되는 베어링 지지체(40)를 이동시킴으로써 구동될 수 있는 스퍼어 휠을 보유하고, 구동 메카니즘(65)은 제2축부(49)의 레벨(51)과 권선 맨드릴휠(36, 37)의 레벨(38) 사이의 상위를 이어주는 구동전달기(52)를 구비하며, 구동 메카니즘(65)의 제1구동부(52)를 거쳐 상기 구동부에 스퍼어 휠(64)이 베어링 지지체(40)를 이동시킴으로써 결합되며, 상기 구동 메카니즘은 스퍼어 휠(64)의 레벨(51)과 권선 맨드릴 휠(36, 37)의 레벨(38) 사이의 상위를 이어주는 구동 전달기를 이루며, 제2축부(49)상의 스퍼어 휠(64)은 가요성 부분(66)을 구비하는 축 전달기(67)를 구동시키도록 배치되고 권선 맨드릴 휠(36)과 동일한 레벨(38)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축전달기는 구동 메카니즘(65)의 제2구동부(68)를 거쳐 역권선 맨드릴(7)과 맞물려 회전하는 이빨을 갖는 휠(37)을 구동하고, 상기 구동부는 권선 맨드릴 휠(36, 37)과 동일한 레벨(38)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축 전달기(67)의 가요성 부분(66)은 제1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제1축(69)에 부착된 그 단부중 하나와 제2구동부(68)에 의해 구동되는 제2축(70)에 부착된 그 다른 단부를 갖는 헬리컬 스프링으로 구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52)는 베어링 지지체(40)를 이동시킴으로써 제2축부(49)상의 스퍼어 휠(64)과 결합되는 또다른 스퍼어 휠(78)과, 상기 또 다른 스퍼어 휠(78)에 동축관계로 연결되며 그 이빨의 포인트가 권선 맨드릴 휠(36, 37)의 레벨(38)을 향하고 있는 크라운 휠(79) 및, 상기 크라운 휠(79)과 맞물려 있으며 축 전달기(67)의 제1축(69)에 연결된 피니언(8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역권선 맨드릴(7)과 맞물려 회전하는 이빨을 갖는 휠(37)은 윔 휠로서 구조되고, 제2구동부(68)는 축 전달기(67)의 제2축(70)에 연결된 윔에 의해 구조되며, 제2축(70)과 함께 윔은 권선 맨드릴(6, 7)의 축(34, 35)을 횡단하여 움직이는 또 다른 지지체(7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또 다른 지지체(73)를 이동시킴으로써 윔 휠(37)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지지체를 움직이는 또다른 작동 스프링(81)이 상기 또 다른 지지체를 고정 정지부(82)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상기 또 다른 지지체(73)를 적재하기 위해 상기 또 다른 지지체(73)의 근처에 배열되고, 상기 또 다른 지지체(73)를 통해 상기 스프링에 의해서 윔(68)이 역권선 맨드릴(7)과 맞물려 회전하는 윔 휠(37)로부터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윔(68)과 함께하는 제2축(70)을 위한 지지체(73)의 이동과 구동 휠(44)과 함께하는 구동축(41)을 위한 베어링 지지체(4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방 작동 위치와 역작동 위치 사이에 손으로 움직일 수 있는 단일 제어 슬라이드(94)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작동 스프링은 레그 스프링으로서 구조되어 하나의 레그(85)는 상기 또 다른 지지체(73)에 대해서 작용하고 다른 레그(87)는 상기 또 다른 제어 슬라이드(94)의 이동 방향을 횡단하여 움직이도록 안내되고 작동 스프링(81)의 영향하에서 제어 슬라이드(94)의 작동 위치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어 슬라이드(94)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 위치에 대응하는 래칭 리쎄스(95, 96)에 결합하는 래칭부재(88)에 대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14. 제6항, 11항 및 12항, 또는 13항에 있어서, 제어 슬라이드(94)가 그 역작동 위치에서는 상기 슬라이드의 제1작동부(101)를 거쳐서는 베어링 지지체(40)를 적재하기 위해 제공된 작동 스프링(58)을 베어링 지지체(40)가 적재되지 않는 위치로 유지시키고 상기 슬라이드의 제2작동부(102)를 거쳐서는 또 다른 지지체(73)를 적재하기 위해 제공된 또 다른 작동 스프링(81)을 윔(68)이 윔 휠(37)과 맞물린 위치로 유지시키며 그 전방 작동 위치에서는 제1작동부(101)와 제2작동부(102)가 2개의 작동 스프링(58, 81)에 대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구동축(41)상의 구동 휠(44)은 풀리로서 구조되고 또 다른 풀리(46)가 벨트(47)를 통해 풀리(44)를 구동시키기 위해 모터(43)의 모터축(45)상에 장착되며, 벨트(47)는 이동가능한 베어링 지지체(40)가 역권선 맨드릴(7)과 맞물려 회전하는 이빨을 갖는 휠(37)을 구동시키는 구동 메카니즘(65)과 맞물린 구동축(41)의 제2축부(49)상에 스퍼어 휠(64)를 인도하도록 풀리(44)를 거쳐 베어링 지지체(40)상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베어링 지지체(4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체는 피봇식으로 선회하는 작동 레버(108)상에 배치되고, 역권선 맨드릴(7)과 맞물려 회전하는 이빨을 갖는 휠(37)을 구동시키는 구동 메카니즘(65)과 맞물린 구동축(41)의 제2축부(49)상에 스퍼어 휠(64)을 인도하기 위한 베어링 지지체(40)의 이동중에 풀리(44)는 또 다른 풀리(46)와 풀리(44) 사이의 벨트(47)가 부가적으로 인장되도록 또 다른 풀리(46)로부터 이격되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KR2019890008056U 1988-06-14 1989-06-12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KR95000310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0154488A AT390153B (de) 1988-06-14 1988-06-14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et fuer einen bandfoermigen aufzeichnungstraeger
AT1544/88 1988-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403U KR900001403U (ko) 1990-01-18
KR950003102Y1 true KR950003102Y1 (ko) 1995-04-21

Family

ID=3515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8056U KR950003102Y1 (ko) 1988-06-14 1989-06-12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62436A (ko)
EP (1) EP0346971B1 (ko)
JP (1) JPH0226144U (ko)
KR (1) KR950003102Y1 (ko)
AT (1) AT390153B (ko)
DE (1) DE5890763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99610B (de) * 1993-02-11 1995-06-2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ät mit einem chassis und daran angebrachten geräteteilen
AT399061B (de) * 1993-02-11 1995-03-2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ät für einen bandförmigen aufzeichnungsträger
US5909335A (en) * 1997-01-17 1999-06-01 Tandberg Data Asa Tape drive start up and stop tape speed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5549A (en) * 1980-04-15 1981-1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tape device
JPS57113449A (en) * 1980-12-29 1982-07-14 Sony Corp Tape driver
JPS58171748A (ja) * 1982-03-31 1983-10-08 Sony Corp テ−プレコ−ダのモ−ド切換機構
JPS58196647A (ja) * 1982-05-12 1983-11-16 Toshiba Corp テ−プレコ−ダのリ−ル台装置
US4720755A (en) * 1984-12-03 1988-01-19 Tokyo Pigeon Co., Ltd. Tape reco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46971A2 (de) 1989-12-20
EP0346971A3 (en) 1990-03-07
ATA154488A (de) 1989-08-15
AT390153B (de) 1990-03-26
DE58907632D1 (de) 1994-06-16
US4962436A (en) 1990-10-09
JPH0226144U (ko) 1990-02-21
EP0346971B1 (de) 1994-05-11
KR900001403U (ko) 1990-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6436A (en) Automatic shutoff mechanism for magnetic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S6313253B2 (ko)
KR940006134B1 (ko) 기록 및 재생 장치
US4360846A (en) Operating mode change-over apparatus in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5472151A (en) Fast winding device for video cassette tape recorder
US4499513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950003102Y1 (ko) 테이프 형태인 레코드 캐리어용의 녹음 및 재생 장치
JPH0535461Y2 (ko)
US4404606A (en) Automatic music selecting device for tape recorder
JPS6144293Y2 (ko)
JPH0528576Y2 (ko)
EP0345739B1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JPS6349296B2 (ko)
US5460336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for a record carrier in the form of a tape
JP3289729B2 (ja) 磁気テープ記録再生装置のリール制動機構
CA1161163A (en) Loading change-over mechanism for a video tape recorder
US5494233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comprising a chassis and apparatus parts arranged on said chassis
JPS6141147Y2 (ko)
JPH0810866Y2 (ja) テープ走行方向切換装置
JPH0725880Y2 (ja)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486959B2 (ja) テーププレーヤ
KR100274645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아이들러 동력 전달 제어장치
JP2727338B2 (ja) テープレコーダの駆動装置
JPH0633555Y2 (ja) テープ駆動モード切換装置
JPS62478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