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509B1 - 윈드스크린용 와이퍼장치와 그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윈드스크린용 와이퍼장치와 그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509B1
KR950002509B1 KR1019860008629A KR860008629A KR950002509B1 KR 950002509 B1 KR950002509 B1 KR 950002509B1 KR 1019860008629 A KR1019860008629 A KR 1019860008629A KR 860008629 A KR860008629 A KR 860008629A KR 950002509 B1 KR950002509 B1 KR 950002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wiper
connector
stop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901A (ko
Inventor
세실 페더스 피터
Original Assignee
트리코-폴버드 리미티드
레네 마우리스 반 디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리코-폴버드 리미티드, 레네 마우리스 반 디크 filed Critical 트리코-폴버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70003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60S1/4009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 B60S1/401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hook-shaped end of the arm
    • B60S1/4019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hook-shaped end of the arm the retention means being protrusions or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윈드스크린용 와이퍼장치와 그 연결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에 의해 제 1 위치에서 서로 연결된 윈드스크린의 와이퍼아암과 윈드스크린의 와이퍼브레이드의 부분 측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가 펼쳐진 제 2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
제 3 도 및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와이퍼브레이드 14 : 연결웨브
18 : 개구부 30 : 아암
50 : 연결기 52 : 몸체
53 : 측면부 54 : 지지부
56 : 안내부 58 : 걸림부재
60 : 날름쇠 62 : 자유단
64 : 돌출저지구 66 : 리브
67 : 멈춤측면부 68 : 멈춤선단부
100 : 연결기 101, 102 : 레그
103 : 만곡연결부 104 : 몸체
166 : 리브 167 : 멈춤측면부
168 : 멈춤선단부
본 발명은 윈드스크린이나 그에 유사한 것들에 설치되는 와이퍼장치와 그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윈드스크린과 그에 유사한 것들"이란 윈드스크린 뿐만아니라 윈드스크린 와이퍼를 이용하여 닦아낼 수 있는 임의의 표면을 갖춘 부속물을 일컫는 것으로, 즉 자동차의 후면스크린, 거울 및 헤드라이트보호유리 같은 것들을 말하는데, 통상적으로 와이퍼장치는 서로 연결되어 축선회하는 와이퍼브레이드와 윈드스크린이나 그에 유사한 것들의 호면(弧面)을 닦아내도록된 브레이드의 반대쪽 선단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아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와이퍼의 브레이드는 나란한 2개의 측면을 갖춘 역 채널단면형으로 된 길이가 긴 주요크와 이들 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웨브 및 상기 주요크의 측면 사이를 횡단하여 뻗어있는 피봇트핀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주요크에는 브레이드고무가 차례로 끼워진 레바나 보조요크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퍼아암에는 개구부 및 돌출부나 홈을 갖춘 종단부를 갖추고 있으며, 와이퍼아암과 브레이드는 연결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구동되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장치는 피봇트핀을 연결하기 위한 지지부와 아암에 대해 상기 연결장치가 축선회하도록 아암의 종단부를 각각 설치하기 위한 안내수단과 래치수단을 갖춘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래치수단은 작동수단을 가지면서 자유단을 갖춘 가요성 날름부와 조립작업시에 아암의 종단부에 있는 개구부 및 돌출부나 홈에 삽입결속시키기 위한 래치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결장치에서는 아암이 브레이드에 확실하게 부착되어지는데 반하여, 상기 연결장치가 180°축선회하여 뒤집혀지게 되어 걸림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브레이드가 갑자기 상기 아암으로부터 분리되어지게 된다.
또한 소위 "로크 백(lock back)"아암을 이용하는 이러한 아암들은 윈드스크린에서 와이퍼가 되돌아올때 아암과 브레이드 사이에서 큰 축선회 운동이 발생되기 때문에 윈드스크린이 닦여지게 되는 안정위치로부터 상기 윈드스크린에서 들려지게 됨에 따라, 브레이드가 윈드스크린의 선단을 치게되거나 뒤집혀지게 되므로 윈드스크린에 흠집이 발생할 뿐만아니라 브레이드가 손상되어지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시켜주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1 목적은 윈드스크린이나 이와 유사한 부속물에 설치되는 와이퍼브레이드에 아암을 연결시켜주기 위한 연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연결장치는 아암의 종단부를 지지 및 수납하기 위한 안내 및 위치수단과, 브레이드의 주요크에 형성된 구멍안으로 피봇트핀을 연결시키기 위한 지지수단 및 연결기의 적어도 한쪽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지지수단의 축으로부터 평행하도록 이격되어 있는 멈춤수단으로 이루어진 몸체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멈춤수단은 연결기가 요크에 평행한 제 1 위치와 브레이드 고무로부터 이격된 측면상에 경사진 제 2 위치 사이에서 단지 축선회 되도록된 방식으로 상기 요크구멍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웨브내의 개구부에서 요크의 측면 사이를 가로질러 연장된 피봇트핀과 연결웨브 및 2개의 측면이 액채널단면의 요크를 갖춘 브레이드와, 구멍과 돌출부 혹은 홈이 형성된 종단부를 갖춘 아암 및, 상기 아암의 말단부를 지지 및 수납시키기 위한 안내 및 위치수단과 피봇트핀을 연결하기 위하여 한쪽 선단쪽으로 향한 지지수단 및 연결기이 한쪽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지지수단의 축으로부터 평행하도록 이격되어 있는 멈춤수단으로 이루어진 몸체를 갖춘 연결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멈춤수단은 요크내에 형성된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므로서 상기 연결기가 요크에 평행한 제 1 위치와 브레이드고무로부터 조금 떨어진 측면상에 있는 주요크에 경사진 제 2 위치 사이를 단지 축선회되어지도록된 윈드스크린 및 이와 유사한 부품의 와이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상기 멈춤수단은 브레이드 고무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는 연결기 몸체의 길이방향의 측면 한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측면부에 직각으로 돌출되어진 리브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리브는 상기 측면부와 일치하는 위치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돌출되어 몸체의 길이방향 측면부 양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 1 도 및 제 2 도에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와이퍼브레이드와 아암을 도시해 놓고 있는데,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와이퍼브레이드(10)는 평행한 측면(12)으로된 역채널형 단면을 갖는 길이가 긴 요크와 연결웨브(14)로 이루어진 통상의 것과 같은 형태로 되어 있는데, 상기 요크의 연결웨브(14)내에 형성된 개구부(18)로부터 이 요크의 측면(12) 사이에는 피봇트핀(16)이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는데, 이 피봇트핀(16)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요크부분의 개구부(18)를 동일하게 또는 동일하지 않은 간격으로 구획지우게 된다.
또한 아암(30)은 공지의 형태로된 것으로서, 이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종단후크부를 갖추되, 상기 종단 후크부에는 주요크와 림(limb)부분에 각각 평행한 반원형 굽힘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아암(30)에는 걸림작용이 일어나도록 종단부의 림부분을 통하여 연장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종단후크부는 필요에 따라 아암(30)의 나머지 부분쪽으로 약간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도시된 연결기(50)는 2개의 측면부(53)와 상기 피봇트핀(16)에 연결시켜주기위해 몸체(52)의 한쪽 선단쪽으로 형성된 지지부(54)로 이루어져 있고, 또 아암(30)의 종단후크부를 위치시키기 위한 한쪽 선단둘레와 상기 연결기의 상부와 저부를 따라 뻗어 홈형태를 이루는 안내부(56)를 갖추고, 또 상기 아암(30)의 종단후크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부재(58)가 설치되어져 있다. 또 상기 연결기의 안내부(56)와 걸림부재(58)는 아암(30)을 축선회시킬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58)는 연결기(50)의 몸체(52) 뒷쪽으로 약간 연장되어져 있는 자유단(62)을 가지면서 상기 안내부(56)의몸체에 위치한 가요성의 날름쇠(60)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아암(30)의 종단후크부의 림부분을 통하여 연장된 구멍(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에 결속시켜주기 위한 돌출저지구(64)의 형태로된 걸림부를 갖추고 있다.
상기 날름쇠(60)의 자유단(62)에는 돌출부(63)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돌출부를 통하여 날름쇠가 아암(30)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아암을 해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연결기는 실제로 그 형상과 기능은 이미 공지된 통상의 연결기와 동일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연결기에 대한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연결기 몸체(52)의 측면부(53)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뻗어있는 리브(66) 형태의 멈춤수단을 설치한 것이 종래의 연결기와 다른 점인데, 여기서 이 리브(66)는 연결기의 과도한 축선회를 방지하여 아암(30)이 와이퍼브레이드(10)에 대해 과도하게 축선회 되는 것을 방지해 주게될뿐만아니라 상기 와이퍼브레이드가 윈드스크린에서 뒤집혀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와이퍼브레이드의 뒤집혀지는 현상은 후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와 제 2 도는 와이퍼브레이드(10)에 대하여 연결기(50)이 종단부 위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그중 제 1 도는 연결기(50)의 길이방향축이 상기 와이퍼브레이드(10)의 길이방향축에 평행하게 놓여지는 제 1 종단부위치가 도시되어 있는 것인데, 이러한 위치에서의 멈춤은 상기 와이퍼브레이드(10)내에 형성된 개구부(18)의 가장자리에 결속되게 되는 리브(66)의 멈춤측면부(67)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되고, 실제로는 아암을 와이퍼브레이드에 조립시킬때 아암이 상기 브레이드와 뒤엉키게 되므로 항상 이 위치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도는 연결기(50)의 다른 종단부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위치에 있어서 리브(66)의 멈춤선단부(68)는 스톱퍼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아암(30)과 그의 연결기(50)는 2개의 선단부 사이에서 자유롭게 축선회하게 된다. 이는 연결기(50)상에 아암(30)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여 축선회운동을 자유롭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아암(30)과 와이퍼브레이드(10)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되게 한다.
상기 와이퍼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기 위하여서는 약 10°정도로 축선회될 수 있어야 하고, 아암을 착탈시키기 위하여서는 약 30°정도의 축선회 운동이 가능하여야 하지만 필요에 따라 어떤 경우에는 더큰 각도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지라도 약 15°가 적당하다.
상기 연결기와 브레이드를 적당하게 축선회시키는 데에는 리브(66)의 멈춤선단부(68) 위치가 상당히 중요한데, 이 멈춤선단부(68)는 연결기가 제 1 도에 도시된 위치에 놓여 있을때 연결기(50)의 지지축 한쪽 측면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이 위치에서 상기 선단부는 연결기의 길이방향축에 직각하는 라인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여 지지부(54)의 축을 관통하도록 놓여져 있게되며, 상기 리브(66)에 형성된 멈춤선단부(68)의 정확한 위치는 이루고자 하는 경사각도에 따라 결정되어지게 된다.
와이퍼브레이드(10)에 대한 연결기(50)의 축선회 운동이 제한되어지기 때문에 상기 연결기(50)의 180°회전이 불가능하므로 연결기(50)를 꺼꾸로 아암(30)에 부착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아암(30)이 연결기(50)에 항상 적당하게 걸려져 있으면서 갑작스럽게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더욱, 로크백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드(10)는 윈드스크린에서 뒤집혀지거나 한쪽끝이 위로 올라가 앞으로 향하게 되어지지 않게 되므로서 윈드스크린이나 와이퍼브레이드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된다.
제 5 도는 머리핀 형태의 다른 연결기(100)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도 물론 이 연결기는 탄발성을 갖는 만곡연결부(103)에 의해 함께 연결되어져 있는 각 상부레그(101)와 하부레그(102)를 갖춘 연결기몸체(104)로 이루어진 통상의 것과 같은 것인바, 상기 연결기(100)의 레그에는 아암의 종단후크부를 안내하기 위한 도면부호 105로 표시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레그(102)에는 아암(30)을 걸기 위한 걸림저지구(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가 형성되어져 있다. 또 이들 2개의 레그들은 강체로 되어 있으면서 만곡연결부(103)쪽 또는 반대쪽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만곡연결부(103)의 안쪽은 와이퍼레이드요크(10)의 피봇트핀(16)과 결속되어지는 지지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제 5 도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연결기(100)에는 상부레그(101)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2개의 리브(166)가 갖추어져 있으며, 이 리브(166)들은 제 1 실시예의 리브(66)들과 동일한 기능을 갖추고 있으므로 이 리브들에는 멈춤측면부(167)과 멈춤선단부(168)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술한 실시예에 여러가지 구체예가 적용될 수 있는바, 그 예로서 리브가 연결기의 양쪽 측면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리브(66)중의 하나를 없애고도 가장 바람직하게 할 수도 있고, 또 상기 리브 대신 멈춤수단을 2개의 멈춤돌출부의 형태를 하되 그중 하나는 멈춤선단부(68이나 168)의 위치에 놓여지고 다른 하나는 리브의 라인을 따라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각도들을 직선적으로 취할 필요가 없을 뿐만아니라 단일 멈춤수단을 리브의 라인을 따라 떨어져 위치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후크종단부의 하나의 형태만 설명하였지만 다른 후크종단부를 이용하여도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와이퍼브레이드요크에 형성된 개구부에 위치하는 연결기와 그 요크 자체 사이에 축선회 운동을 임의대로 제한할 수 있다면 종단부의 형태를 다르게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다른 종단부들은 직선부 형태나 소위 베이어닛(bayonet)형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윈드스크린에 이용되는 와이퍼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물론 이와 비슷한 예를들면 자동차의 후면스크린과 거울이나 헤드라이트보호유리등에도 적용되어진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들은 연결기와 와이퍼브레이드 사이에 축선회 운동을 제한하는 연결기 내지는 윈드스크린 와이퍼를 설명한 것으로, 특히 브레이드에 대하여 약 180°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연결장치가 아암의 반대방향으로 조립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10)

  1. 윈드스크린이나 그와 유사한 부속물의 와이퍼브레이드에다 아암을 연결시켜 주는 장치에 있어서, 아암(30)의 종단부를 지지 및 수납시키기 위한 안내수단 및 위치수단과, 와이퍼브레이드(10)의 주요크에 형성된 개구부(18)에 설치되어 있는 피봇트핀(16)에 끼워지도록 한쪽 선단이 개방된 지지부(54) 및 연결기(50)의 적어도 한쪽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54)의 축으로부터 평행하게 조금 떨어져 있는 멈춤수단으로 이루어진 몸체(52)를 갖추되, 상기 멈춤수단은 연결기(50)가 주요크에 평행한 제 1 위치와 와이퍼브레이드 고무로부터 떨어져 있는 측면으로 경사져 있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축선회 되도록 상기 주요크 개구부(18)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용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수단은 브레이드 고무로부터 이격되어지는 연결기 몸체(52)의 길이방향 측면 한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측면부(53)에 오른쪽 각도로 돌출되어진 리브(6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66)는 측면부(53)에 일치하는 위치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몸체(52)의 길이방향 측면부(53)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리브(66)들은 지지수단으로부터 이격된 길이방향 위치와 상기 지지수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 몸체(52)의 측면부(53)를 따라 접해있는 상기 리브(66) 측면에는 제 1 위치를 멈추게하는 멈춤측면부(6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수단에 인접한 리브(66) 선단에는 제 2 위치를 멈추게 하는 멈춤선단부(68)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 몸체(52)에 형성된 안내부(56)는 U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어 아암(30)의 종단후크부를 수납하여 장착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수단은 아암(30)의 종단부에 있는 구멍, 홈이나 돌출부와 작용하는 돌출부, 구멍이나 홈을 갖추고 상기 홈 바닥에 위치한 탄발성의 날름쇠(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 몸체(104)는 한쪽 선단면에서 탄발성을 갖게 함께 연결된 상부레그(101)와 하부레그(10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홈바닥에 있는 상기 하부레그(102)는 아암(30)의 종단부에 있는 구멍, 홈이나 돌출부와 작용하는 돌출부, 홈이나 구멍을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10. 2개의 측면(12)이 역채널형 단면의 주요크와 연결웨브(14) 및 상기 연결웨브(14)내의 개구부(18)에서 주요크의 측면(12)을 가로질러 연장된 피봇트핀(16)들로 이루어진 와이퍼브레이드(10)와, 구멍과 돌출부 혹은 홈이 형성된 종단부를 갖춘 아암(30), 상기 아암(30)의 종단부를 지지 및 수납시키기 위한 안내 및 위치수단, 상기 피봇트핀(16)을 연결하기 위하여 한쪽 선단쪽으로 향한 지지수단 및, 연결기(50)의 적어도 한쪽 측면으로 뻗어있고 상기 지지수단의 축으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멈춤수단으로 이루어진 몸체(52)를 갖추되, 상기 멈춤수단이 주요크내에 형성된 개구부(18)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므로서 상기 연결기(50)가 주요크에 평행한 제 1 위치와 와이퍼브레이드 고무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측면쪽으로 주요크에 기울어져 있는 제 2 위치 사이를 단지 축선회 되어지도록 이루어진 윈드스크린이나 그와 유사한 부품의 와이퍼장치.
KR1019860008629A 1985-10-17 1986-10-15 윈드스크린용 와이퍼장치와 그 연결장치 KR950002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58525590A GB8525590D0 (en) 1985-10-17 1985-10-17 Windscreen
GB85/25590 1985-10-17
GB8525590 1985-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901A KR870003901A (ko) 1987-05-06
KR950002509B1 true KR950002509B1 (ko) 1995-03-21

Family

ID=10586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629A KR950002509B1 (ko) 1985-10-17 1986-10-15 윈드스크린용 와이퍼장치와 그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220883B1 (ko)
JP (1) JP2634587B2 (ko)
KR (1) KR950002509B1 (ko)
AU (1) AU599930B2 (ko)
BR (1) BR8605064A (ko)
DE (1) DE3678098D1 (ko)
ES (1) ES2003384A6 (ko)
GB (2) GB8525590D0 (ko)
NZ (1) NZ217955A (ko)
ZA (1) ZA8675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18848D0 (en) * 1986-08-01 1986-09-10 Trico Folberth Ltd Pivot joint
US5084933A (en) * 1990-10-19 1992-02-04 Franz Buechele Adaptor for windshield wiper arms
GB9101039D0 (en) * 1991-01-17 1991-02-27 Trico Folberth Ltd Windscreen wiper blade arrangement
FR2730689B1 (fr) * 1995-02-22 1997-04-25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comportant un connecteur perfectionne pour le montage et l'articulation d'un balai d'essuie-glace a l'extremite du bras d'essuie-glace
US6119008A (en) * 1997-10-30 2000-09-12 Northern Telecom Limited Flexible multiple subscriber radio access system
DE19833666B4 (de) * 1998-07-27 2015-06-25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EP1190921A4 (en) * 1999-04-12 2009-04-22 Mitsuba Corp WISCHBLATT MOUNTING ARRANGEMENT
DE19941499B4 (de) * 1999-08-31 2018-08-16 Robert Bosch Gmbh Verbindungsstück zum Verbinden eines Wischblatts mit einem Wischerarm
BR0003099A (pt) 2000-07-06 2002-02-05 Dyna Electromecanica Sistema de articulação entre componentes de palheta de limpador de pára-brisa
JP4133187B2 (ja) * 2002-10-04 2008-08-13 日本ワイパブレード株式会社 ワイパーブレード用の結合部材及びワイパーブレード
US20160016556A1 (en) * 2014-07-17 2016-01-21 Valeo Systemes D'essuyage Streamlined flat windscreen wiper
FR3043618B1 (fr) * 2015-11-17 2017-12-15 Valeo Systemes Dessuyage Ensemble forme d'un bras d'entrainement et d'un connecteur pour essuie-glace.
JP6620071B2 (ja) * 2016-06-23 2019-12-11 株式会社松本製作所 ワイパブレード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7033A (en) * 1972-05-04 1974-09-24 Monroe Belgium Nv Windshield wiper construction
DE2501179A1 (de) * 1975-01-14 1976-07-15 Bosch Gmbh Robert Wischvorrichtung fue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2715148A1 (de) * 1977-04-05 1978-10-19 Rau Swf Autozubehoer Scheibenwischer
US4177587A (en) 1977-07-27 1979-12-11 Stupell Industries, Inc. Name plate assembly for tote bag and the like
DE2742022A1 (de) * 1977-09-17 1979-03-29 Bosch Gmbh Robert Wischvorrichtung fue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2755895A1 (de) * 1977-12-15 1979-06-21 Bosch Gmbh Robert Wischvorrichtung fue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2756317A1 (de) * 1977-12-17 1979-06-21 Bosch Gmbh Robert Wischvorrichtung fue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FR2421765A1 (fr) * 1978-04-04 1979-11-02 Renault Embout d'articulation d'essuie-vitre
US4195382A (en) * 1978-10-12 1980-04-01 The Anderson Company Of Indiana Removable plastic connector
US4177537A (en) * 1978-11-27 1979-12-11 The Anderson Company Of Indiana Arm to blade connector
FR2486002B1 (fr) * 1980-07-07 1985-06-21 Marchal Equip Auto Essuie-glace comportant un bras a embout rapport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JPS59150667U (ja) * 1983-03-29 1984-10-08 市光工業株式会社 ワイパ−ブレ−ド
JPS6075158U (ja) * 1983-10-31 1985-05-27 市光工業株式会社 Uフツク型ワイパ−ブレ−ドの回転規制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20883A2 (en) 1987-05-06
GB2181639B (en) 1989-10-25
GB2181639A (en) 1987-04-29
ES2003384A6 (es) 1988-11-01
AU6414686A (en) 1987-04-30
GB8624857D0 (en) 1986-11-19
EP0220883A3 (en) 1988-01-07
JPS62137250A (ja) 1987-06-20
GB8525590D0 (en) 1985-11-20
ZA867573B (en) 1987-07-29
BR8605064A (pt) 1987-07-21
KR870003901A (ko) 1987-05-06
DE3678098D1 (de) 1991-04-18
NZ217955A (en) 1989-03-29
EP0220883B1 (en) 1991-03-13
JP2634587B2 (ja) 1997-07-30
AU599930B2 (en) 199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509B1 (ko) 윈드스크린용 와이퍼장치와 그 연결장치
JP5009999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とワイパーアームとを枢着結合するための結合部材
JP2007512186A (ja) ワイパアーム並びにワイパアーム用のカバーユニット
MXPA04009085A (es) Dispositivo limpiaparabrisas con hoja plana y brazo de limpiaparabrisas.
KR20000069490A (ko) 윈드실드 와이퍼
FR2630069A1 (fr) Essuie-glace pour vehicule automobile a deflecteur incorpore
EP2988977A1 (fr) Connecteur entre un balai d'essuyage et un bras d'entraînement
US6209166B1 (en) Windshield wiper
US3750227A (en) Windshield wiper clip assemblies
KR950034332A (ko) 자기복귀기능을 가지는 스위치장치
US3525114A (en) Windshield wiper system
US3883919A (en) Blade connection structure to arm
US5090086A (en) Pivoting device for connecting two oscillating elements of a windshield wiper blade
JPS6349416Y2 (ko)
GB2163043A (en) Windscreen wipers
JP2001260823A (ja) ワイパーとアームとの連結具
KR100362111B1 (ko) 자동차용 와이퍼
US3007190A (en) Connector for windshield wiper blade
KR100681177B1 (ko) 차량용 리어 와이퍼
EP3400153A1 (en) A connecting device for the vehicle wipers
KR100769710B1 (ko) 와이퍼 커넥터
KR20200059217A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JPS6332777Y2 (ko)
JPH09272408A (ja) ワイパーの連結保持具
KR0138774Y1 (ko) 차량용 와이퍼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6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