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268B1 - 분산형 부하 분할 - Google Patents

분산형 부하 분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268B1
KR950002268B1 KR1019890000320A KR890000320A KR950002268B1 KR 950002268 B1 KR950002268 B1 KR 950002268B1 KR 1019890000320 A KR1019890000320 A KR 1019890000320A KR 890000320 A KR890000320 A KR 890000320A KR 950002268 B1 KR950002268 B1 KR 950002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dls
bridge
stp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0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498A (ko
Inventor
에이치. 하아트 존
Original Assignee
바이타 링크 콤뮤니케이숀즈 코오포레이숀
포을 스켈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타 링크 콤뮤니케이숀즈 코오포레이숀, 포을 스켈러 filed Critical 바이타 링크 콤뮤니케이숀즈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90012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48Routing tree calc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04L12/462LAN interconnection over a bridge based backb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04L45/04Interdomain routing, e.g. hierarchical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48Routing tree calculation
    • H04L45/484Routing tree calculation using multiple routing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산형 부하 분할
제 1 도-제 5 도는 스페닝 트리 프로토콜(STP)을 유지하는 주경로로 연결된 브리지를 갖는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각 도면에서의 표제는 본 발명의 분산형 부하 분할(DLS)기능이 STP에 의한 주경로 DLS에 의한 추가경로를 따라 브리지들간의 프레임 교환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또는 허용하는가를 요약한 것이며 STP 경로는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제3b도-제3l도는 (제1도-제5a도와 같이) STP를 유지하기 위해 연결된 브리지를 갖는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낸 것으로 STP 경로는 실선으로 표시되었으며, 또한 이 도면들은 DLS 총괄을 설명하는데 이용되어 본 발명이 어떻게 브리지간의 잉여 경로, 즉 STP 주경로가 아닌 다른 경로를 분산형 부하 분할 구조에 대한 서브네트워크로써, 이용하고, 일정한 조건이 만족할 경우에만 상기 임여경로들중 하나를 DLS경로로 선택하여 일정한 조건이 만족할 경우에만 선택된 DLS 경로를 통해 프레임을 전송시키는가를 설명한다.
제4a도-제4h도는 본 발명의 DLS 방법 및 장치에서 정보를 통신하는데 요구되는 여러가지 형태의 프로토콜 데이타 유니트의 포맷(FORMAT)을 나타낸 것이다.
제5a도-제5e도는 본 발명의 DLS 방법 및 장치에서의 데이타 저장에 관한 것으로 분산형 프로토콜에 의해 유지되어야 하고 필요한 데이타 저장 변수들을 설명한 것이다.
제6a도는 본 발명의 DLS 방법 및 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도표로써 각 행과 열은 사건과 브리지포트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6b도는 제6a도의 5행에 나타낸 사건의 접수()에 따라 발생하는 상태의 변화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고, 제6a도에 열거한 다른 사건들에 관계된 상태의 변화는 이와같은 방식으로 나타내어진다.
본 발명은 다수의 서브 네트워크(Sub-network)를 경로로써 연결할 수 있는 브리지(bridge) 및 관계된 스테이션(station)을 갖는 LAN(Local Area Network), 예를 들어 에써네트(Ethernet) LAN 및 802 LAN과 같은 종류의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브리지를 루트(root)로 선택한 다음 상기 루트에 대해 모든 브리지들간에 하나의 주경로 루프 프리 집합(loop-free set)을 계산하고 이용하는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panning Tree Protocol : 이하 STP라 한다)을 유지하기 위해 연결된 브리지들간에 프레임(frame)들을 교환하여 부하 분할(load sharing)을 분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어떤 스테이션들간에 교환된 프레임이 브리지간의 잉여경로, 즉 상기 STP 주경로가 아닌 다른 경로를 분산형 부하 분할(Distributed Load Sharing : 이하 DLS라 한다) 구조에 대한 서브 네트워크 경로로써 상기 STP경로 조합보다 더 잘 이용할 수 있는가를 검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정한 조건이 만족할 경우에만 상기 잉여 경로들중 하나가 DLS 경로로써 선택되고, 프레임이 일정한 기준을 만족시킬 경우에만 선택된 DLS 경로를 통해 전송된다.
다음 문헌은 각기 미국 특허청의 특허심사편람의 제608,01(P) B조항에 따른 본 발명의 참고문헌으로 채택된 것이다.
(1) The Ethernet, A Local Area Netwoek Data Link Layer and Phsical Layer Specifications, 2.0판 1982.11.
(2) ANSI/IEEE Std 802.3b985 ISO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8802/3…An American National Standard IEEE Standards for Local Area Metworks:Carrier Sense Mutiple with Collision Detection(CSMA.CD) Access Method and physical Layer Specification.
(3) ANSI/IEEE Std 802.4-1985 ISO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8802/3…An American National Standard IEEE Standards for Local Area Metworks: Token-Passing Bus Access Method and physical Layer Specification.
(4) ANSI/IEEE Std 802.5-1985 ISO Draft proposal 8802/5…An American National Standard IEEE Standards for Local Area Metworks: Token Ring Access Method and physical Layer Specification.
(5)IEEE project 802 Local and Metropolitan Area Metwork Standards, IEEE Standard 802.1(D) MAC Bridge(The Spanning Tree Protocal)
(6) 1987년 11월 10일자로 하트(Hart)외 다수인에 허여되고 바이타링크 커뮤니케이션즈 코오포레이션(Vitalink Communications Corporations)에 양도된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의 브리지 방법 및 장치(Mehtod and Apparatus for Bridging Local Area Network)"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4,706,081호.
상표 "TransLAN"은 미국 특허청에 등록된 것이고 바이타링크 커뮤니케이션즈 코어페리이션의 소유이다.
이 "TransLAN상표는 상기 미국 특허 제4,706,081호에서 밝혀진 통신 시스템 의 구성 및 방법에 대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관해 바이타링크 커무니케이션즈 코오포레이션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상표 TransLAN은 미국 특허 제4,706,081호에서 밝혀진 퉁신시스템의 구성 및 방법에 대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관해 본 발명의 하기 내용에서 이용된다.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은 다수의 서브 네트워크가 경로에 의해 연결된 브리지 및 관계된 스테이션을 갖는 국부 LAN, 예를 들어 에써네트 LAN 및 802 LAN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의 모든 브리지들간의 주경로를 계산한다.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은 하나의 브리지를 루트로써 선택한 다음 상기 루트에 대해 모든 브리지들간에 하나의 주경로 루프 프리집합을 계산하고 이용한다.
브리지간의 잉여경로, 즉 상기 STP주 경로가 아닌 경로는 STP 프로토콜에서 일정한 조건하에 백업()경로로써 지정될 수 있으나 STP 프로토콜은 주경로가 그 기능을 계속하고 있는 한(STP 프로토콜에서 주경로의 재구성을 요구하는 일이 발생할 때까지) 프레임을 주경로상으로만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브리지들을 연결시켜 주경로외의 경로을 이용하여 브리지들간에 프레임을 전송시키므로써 네트우ㅏ크에서의 부하 분할을 분배하는 것이다.
관계된 목적은 브리지들간에 루프 프리 경로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부하 분할을 분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다수의 서브 네트워크를 경로로써 연결할 수 있는 브리지 미치 관계된 스테이션을 갖는 LAN, 예를들어 에써네트 및 802 LAN과 같은 종류의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부리지르 루트로써 선택한 다음 상기 루트에 대해 브리지들간에 하나의 주경로 루프 프리 집합을 계산하고 이용하는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을 유지하기 위해 연결된 브리지들간에 프레임들을 교환하여 부하 분할을 분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어떤 스테이션들간에 교환된 프레임이 브리지간의 잉여경로, 즉 상기 STP 주경로가 아닌 다른 경로를 분산형 부하 분할(DLS) 구조에 대한 서브 네트워크 경로로써 상기 STP 경로 조합보다 더 잘 이용할 수 있는 가를 검토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가) DLS 경로에 연결된 두개의 브리지가 한개 이상의 다른 서브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STP 경로 조합보다 더 잘 이용할 수 있는가를 검토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가) 기지의 단일 목적지를 가지고 있고, (나) 스테이션과 관계된 브리보다 루트로 부터 더 멀리 떨어진 스테이션들(1), 또는 브리지의 국부 LAN상에 있는 스테이션들(2)간에 교환될 프레임만을 보낸다.
본 발명은 DLS 경로의 종단에 브리지를 배치하여 스태이션이 상기 루트로 부터 멀리 떨어져 있음을 인식하여 만일 브리지상의 STP 인링그(Inlink)가 국부 LAN이 아니면 공급원 네트워크가 STP 인링크인 스테이션들간에는 프레임이 전송되지 않도록 한다.
DLS 경로의 종점확장기능(DLS 확장)은 단지 두개의 네트워크와 함께 브리지에 의해 DLS 경로를 유지 할 수 있게 해주며 두개 이상의 네트워크를 갖는 브리지에도 또한 적용된다.
본 발명의 DLS 확장기능은 DLS 경로에 연결된 브리지의 에써네트 인링크상에 위치한 스테이션들간에 프레임 교환이 이루어지게 한다. 게다가 DLS 확장기능은 DLS 경로에 연결된 하나 또는 두개의 브리지로 부터 루트보다 더 멀리 떨어져 위치한 스테이션들간에 프레임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스테이션 어드렛그는 STP 경로 및 선택된 DLS 경로간에 교환접속(스위칭)되며 스위칭하는 동안에는 프레임 교환이 선입력 선출력(FIFO)을 유지한다.
잠재적인 DLS 경로상의 자기 학습(Self learning) 브리지는 (가) 상기 브리지가 잠재적 DLS 경로상에 있음을 인식하고, (나) DLS 경로상의 관련 브리지가 상기 인식을 알 수 있게 하고, (다) 관련 브리지가 DLS 경로상에 있는가를 결정하고, (라) 관련 브리지가 DLS 경로를 형성함을 동의하고, (마) 스테이션이 DLS 경로를이용하는데 적합한가를 관련 브리지에 알리고, (바) DLS 경로를이용하여 스테이션을 스위칭하기전에 플러쉬 패킷(flush packet)으로 STP 경로르 ㄹ플러쉬시켜 스테이션간의 프레임 교환이 성입력 선출력(FIFO)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음, (사) DLS 경로를 이용한 스테이션의 스위칭이 시작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단계(바)와 (사)는 DLS 경로를 STP 경로로 스위칭하기 전에 역으로 수행된 것이다.
서브 네트워크 각각에 대한 데이타 저장은 STP 및 DLS 경로와의 작용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특징을 갖고 전술한 바와같이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는 본 발명의 독특한 목적을 이룬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설명 및 청구범위로 부터 분명해질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원리와 원리적용을 위해 설명된 최선의 형태라 여겨지는 것을 보여주는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된다.
동일 또는 등가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 임으로 구조적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절 총괄]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을 유지하는 브리지들은 모든 브리지들간의 하나의 루프 프리 경로 조합을 선택적으로 이용한다. 반면에 루프들과의 위상은 루우터(Router)에 적은 문제를 갖게 한다.
프레임 공급원 으로 부터 알지 못하는 루우터는 자유로히 독립적으로 그들의 경로조합(즉, 컴퓨터 자체의 스패닝 트리)을 고르며 그 결과 독립적으로 대응 경로들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대부분의 형태들에 대해 등가 또는 그 이상의 융통성을 제공하는 TransLAN 분산형 부하 분할(DLS)의 기능을 밝힌다.
어떤 네트워크가 STP에 의해 백업네트워크로써 명칭이 붙게 될 경우 그것의 역할을 대기하는 것이다.
만일 네트워크의 고장이 없으면 그것의 대역폭(bandwidth)은 스테이션들간에 프레임들을 교환하기에 충분치 못하다.
제1도는 브리지 B의 에써네트상의 스테이션들과 브리지 C의 에써네트상의 스테이션들간에 프레임들을 교환할 수 있게하여 한개이상의 경로를 이용하므로서 DLS가 상기 제약을 제거한 것을 설명해 준다. 네트워크 B-A와 네트워크 A-C(경로 B-A-C 라 칭함)를 통한 STP 경로상으로만 진행하는것 대신에 DLS는 또한 STP 백업 네트워크 B-C(DLS 경로 B-C라 칭함)를 통해서도 프레임을 진행시킬 수 있게 해준다. 게다가 DLS의 부하 분담 능력을 구조가 확장될수록 증가한다.
제2도의 구조는 DLS가 브리지 B또는 D에써네트 스테이션들과 브리지 C, E, 또는 G 에써네트 스테이션들간에 프레임을 교환할 수 있게 하여 STP 경로 B-A-C와 DLS경로 B-C를 통해 부하를 분배시킨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제3도에서는 브리지 A 및 브리지 F 에써네트 스테이션과 다른 브리지 에써네트 스테이션들(즉 B,C,D,E 및 G)간에 프레임을 , 과환하는 데에는 단지 STP 경로만을 이용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2도와 제3a도의 구조에서 지적되는 점을 다음 두 경우가 사실일때에만 DLS 경로 B-C를 통한 부하 분배가 스테이션들간의 프레임 교환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스테이션들간의 STP 경로가 브리지 B와 C를 통과할 경우(즉, 브리지들이 백업 네트워크와 교차할 경우).
-STP도로 부터 스테이션들중 하나는 루트로 부터 브리지 B보다 멀리 떨어져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브리지 C보다 떨어져 위치할 경우.
다른 중요한 DLS 특징은 짧은 DLS 경로들을 연결시키므로 직력 DLS 경로를 형성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설명하기 위해 브리지 A와 브리지 G사이에 네트워크를 추가하여 상기 구조를 확장시켰다. 그 결과 새로운 네트워크(네트워크 G-A)를 브리지 G에 대한 인링크(Inlink)로 분류하고 구 인링크인 네트워크 G-C를 STP 백업 네트워크로 분류하는 STP가 생겼다. 이제 백업 네트워크 G-C는 DLS 경로가 될 수 있다. 그 다음 직렬 DLS 경로 B-C-G가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형성된 구성에서의 DLS 프레임 교환을 제4a도에 도 시하였다.
제4a도에서 브리지 G 에써네트 스테이션과 브리지 C 및 E 에써네트 스테이션간의 프레임 교환이 경로 G-A-C및 G-C와 (브리지 E 에써네트 스테이션과의 프레임 교환이 있을 경우에는 경로 C-E)를 통해 이루어져 부하분배가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브리지 G 에써네트 스테이션과 브리지 B 및 D 에써네트 스테이션간의 프레임 교환이 경로 G-A-B 및 G-C-B와 (브리지 D 에써네트 스테이션과 프레임 교환이 있을 경우에는 경로 B-D)를 통해 일어져 부하 분배가 된다. 브리지 B 또는 D 에써네트 스테이션과 브리지 C 또는 E에써네트 스테이션간의 프레임 교환은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경로 B-A-C와 B-C를 통해 계속되어 부하 분할이 이루어진다. 제1도 내지 제4a도에서, DLS 경로에 연결된 하나의 브리지는 두개이상의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DLS 경로를 이용하는 스테니션은 브리지보다 루트로 부터 멀리 떨어지 네트워크에 위치한또는(즉 스테이션은 STP 루트 브리지로 통한 인링크 경로상에 있지 않다). 이러한 특징은 만일 하나의 네트워크가 DLS 경로이면 다른 하나는 인링크 경로이어야 하기 때문에 단지 두개의 네트워크를 갖는 브리지에 의해 DLS 경로이면 다른 하나는 인링크 경로이어야 하기 때문에 단지 두개의 네트워크를 갖은 브리지에 의해 DLS 경로의 유지를 배제한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브리지는 모든 스테이션들을 루트에 대한 폐쇄기(CLOSER)로 보게 된다. DLS 경로의 종점 확장기능(DLS 확장이라 칭함)은 단지 두개의 네트워크를 갖는 브리지에 의해 DLS 경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제5a도는 DLS 확장 기능이 DLS 경로에 직접 연결된 브리지와 에써네트 인링크상의 지정된 브리지의 조합을 포함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합체된 브리지 B'+B와 C'+C는 DLS 경로 B'-C를 유지하고 있다. 'DLS 경로 B'-C는 구역 B 에써네트상의 스테이션과 구역 C 에써네트상의 스테이션간에 프레인 교환을 유지해 준다. 브리지 C'는 세개의 네트워크를 자지고 있기 때문에 제5a도는 DLS 확장 특징이 또한 두개이상의 네트원크를 갖는 브리지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설명해 준다. 요약하면, DLS 확장 기능은 DLS 경로에 연결된 브리지의 에써네트 인링크상에 위치한 스테이션들간에 프레임 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게다가 DLS 화장 기능은 DLS 경로에 연결된 하나 또는 두개의 브리지로 부터 루트보다 더 멀리 떨어져 위치한 스테이션들간에 프레임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즉, DLS 확장은 구역 에써네트상의 스테이션과 구역 B 에써네트상의 스테이션간에 프레임 교환이 이루어지게 한다).
제1.1절-기능 목록
다음의 목록은 TransLAN Release 6.9 DLS의 기능들을 요약한 것이다.
1. DLS 경로에 연결된 두개의 브리지가 두개이상의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STP 루트 브리지가 아닐 경우에만 자동적으로 네트워크를 DLS 경로로써 이용한다.
2. DLS 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막거나 그 경로를 이용할 수 있는 스테이션의 수를 제한하는 REC 배치능력을 제공한다. 백업 네트워크가 두개의 브리지간의 STP 경로보다 비용이 많을 경우에는 DLS 경로를 이용하는 스테이션의 수는 이러한 능력을 이용하여 항상 제한될 것이다.
3. DLS 경로를 통해 다음 프레임만을 보낼 수 있다.
- 기지의 단일 지정 프레임 멀티케스트(Multicast) 및 미지의 단일 지정 프레임은 항상 STP 경로를 이용한다.
-스테이션과 관계된 브리지보다 루트로 부터 더 멀리 떨어진 스테이션들(1) 또는 브리지의 국부 LAN 상에 있는 스테이션들(2)간에 교환될 프레임.
4. DLS 경로를 이용하는 스테이션 어드레스를 자동적으로 탐지한다.
5. DLS와 STP 경로간에 부하를 분할한다.
6. STP 경로와 DLS 경로간에, 그리고 그 역도 마찬가지로 스테이션 어드레스를 스위칭하는 동안 FIFO를 유지하는 기능을 선택기능으로써 제공한다.
7. 하나 내지 네개의 짧은 DLS 경로로 구성된 직렬 DLS 경로로 유지한다.
8. 단일 에써네트 링크를 통해 DLS 확장을 4개까지 유지한다. 이것은 동일 에써네트 링크를 갖는 복수브리지에 의해 유지되는 직력 DLS 경로 및/또는 DLS 경로를 포함한다.
제2절-외부관련 사양서
본절은 재구성 및 뷰 스크린(View screen)에 대한 변경 및 추가사항과 DLS 유지에 필요한 새로운 명령어(command)를 설명한다.
제2.1절-구성 및 뷰 스크린
다음 rec 스크린 새로운 DLS 변수를 포함한다.
제2.1.1절-TrnasLAN 일반 DLS 변수
/1/2/?/? DLS GLOBAL VARIABLES Bridge B
Variables Current Value
1. Sector ID, Configured-Address S 0×000000000000
2. -Count S 0
3. -Tx Net S 0×000000000000000
4. Sector ID, Utilezed-Address D 0×08007C000065
5. -Count D 1
6. -Tx Net Path D 0×020000000000000
7. DLS Round Trip Delay-Configured S 4
8. -Utilized D 4
9. DLS Interval-Configured S 4
10. -Utilized D 4
11. FIFO Required-Configured S True
12. -Utilized D True
13. Transmit Flush Frame-Configured S True
14. -Utilized D True
글로우벌(Global) 변수
모든 DLS 글로우벌 변수들은 구성치와 이용치(Configured and Utilized Value)를 갖는다. TransLAN 스패닝 트리 루티 브리지로 구성된 값들은 자동적으로 다른 TransLAN 브리지에서의 이용치로 된다. TransLAN 브리지가 루트 브리지(즉, LAN 브리지 100)가 아닌 구성에는 각각의 TransLAN 브리지에서의 값이 정해질 수 있다. Sector ID(Configured and Utilized)는 다음 값들을 포함한다.
Address…루트 브리지의 글로우벌 어드레스.
Count…루트 브리지에 대한 네트워크의 수(1-7). 만일 일곱개 이상일때에는 7로 한다.
Tx Net Path…루트로 부터 브리지까지의 송신 네트워크 ID들의 목록 각각의 송신 ID 목록에서 두개의 헥스 디지트(hex digits)(즉, OxNN)과 같다. 만일 송신 ID가 일곱개 이상일때에는 선두 일곱개만을 채택한다.
DLS Round Trip Delay(Cofigured and Utilized)는 한개 이상의 DLS 네트워크를 갖는 브리지에서 스패닝 트리 루트 브리지를 통해 DLS 네트워크를 거쳐 복귀하는 왕복지연에서의 가장 심한 경우를 표시한다. 구성 DLS 왕복 지연치는 4 내지 32초의 범위에 존재한다.
생략치는 4이다. 이러한 생략치는 제3b도에 도시한 단순한 DLS 구성으로 부터 계산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브리지 B에 대한 DLS 왕복 경로는 B에서부터 A를 거쳐 C로 그다음 B로 복귀한다. 브리지내에서의 가장 심한 경우의 자연은 통상1초(즉, rec구서어 생략치)로 제한되기 때문에 생략치 4는 각각의 리지 B,A 및 C에서 대기하는데 소요되는 1초와 전체 전송 및 처리시간 1초를 더하므로서 얻어진 것이다. DLS왕복(하기의 "Round Trip Delay Expired Count" 참고).
DLS Interval(Configured and Utilized)은 한개이상의 DLS 네트워크를 갖는 브리지에서 STP와 DLS 경로간의 스위칭을 위해 스테이션 어드레스들이 얼마동안 알려지게 될 것인지를 표시한다. "Confogured DLS Interval"의 값은 4내지 32초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생략치는 4이다. 이 생략치는 최상의 구성을 위한 양호한 선택이다. 대역폭이 낮은(즉, 9.6kbps) 네트워크를 갖는 구성에서는 상기 사실이 예외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는 DLS 프로토콜의 제정비를 줄이기 위해 "Confogured DLS Interval"의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FIFO Requirde(Congured and Utilized)는 어드레스의 공급원 네트워크가 "구"STP와 "신"DLS 경로간에 또는 그 반대의 경로간에 즉시 이동할 수 있는지를 표시한다. 만일 "FIFO Required"의 값이 "True"이면 상기 네트워크가 즉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Transmit Flush Frame(Configured and Utilized)
이 변수는 "FIFO Required"가 "True"(생략치)일 경우에만 의미가 있으며 "구"경로에 관계된 통신량을 플러쉬하는 방법을 규정한다. "Transmit Flush Frame"의 이 "True"로 정하여질 경우에는 어드레스를 "지생할 수 없음(do not forward)"으로써 표시하고, 플러쉬(Flush)프레임을 전송하고, 타이머를 "DLS Round Trip Delay"의 값과 같게하여 "구"경로는 플러쉬된다. 통상 플러쉬 프레임이 되돌아올때 어드레스의 공급원 네트워크는 "신"경로로 바뀌고 "do mot forward"는 해제된다. " Transmit Flush Frame"의 생략치는 "True"이다. "Transmit Flush Frame"을 "False"로 조정하는 것을 통상 플러쉬 타임을 길게 하나 다중공급 브리지 조건에서는 필요할 수 있다.
제21,2절-TransLAN 국부(Local) DLS변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2/?/? DLS LICAL VARIABLES Bridge B
Variables Current Value
1. DLS Multicast S 0×09007C...
2.DLS Hello Multicast S 0×09007C...
3.DLS Inlink Hello Multicast S 0×09007C...
4.DLS and Non-DLS Multicast S 0×09007C...
5.DLS Networks X1
6.Short Timers Invokde X9
7.Round Trip Delay Expired Count X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국부변수]
DLS 국부변수는 스패닝 트리 루트 브리지에서 정해진 값들에 의해 바뀌지 않는다.
DLS Muticast
DLS Hello Muticast
DLS Inlink Hello Muticast
DLS and Non DLS Muticast는 DLS에 의해 사용된 세개의 멀티개크트 어드레스값을 표시한다. DLS Networks는 브리지에서의 DLS 네트워크의 수를 표시한다.
Round Trip Delay Expired Count는 하나이상의 DLS 네트워크를 갖는 브리지에서 어떤 DLS 프로토콜 프레임이 왕복하는동안 없어지는지 또는 DLS 왕복 지연치가 너무작다는 것을 표시한다. 만일 왕복 경로에서의 네트워크가 고장나면 스패닝 트리 및/또는 네트워크 확인 프로토콜이 이 고장을 찾아내고 값이 증가하는 것을 멈춘다. 반면 위의 경우가 아니라면(TransLAN 루트에서의) DLS왕복 지연치를 증가할 것이다.
제2,1,3절-전송 데이타저장 구성 변수(Transmit Data Store Confogurable Variable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2/2/1/? TRANSMIT DATA STORE CONFIGURABLE VARIABLES Network B-C
Variables Current Value
1. Name Network B-C
2. Intial state D DLS Backup
3. Intial state S On
4. If Broken, Why D CTS loss
5. Network Topology non roted
6. Link Type strial
· ·
· ·
·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Current State는 전송 네트워크의 상태를 표시한다. 새로운 현재상태(Current State)의 값은 다음과 같다.
DLS Backup만일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논리가 "Current State"의 값이 "Backup"과 같고, "Enable DLS"가 "True"이고, "Parallel Network and/or Nework Validation이 "True"이고, 1. 네트워크이 비용이 네트워크상의 원격 브리지에 대한 경로의 스패닝 프리비용보다 작고, 2. "Force DLS"="True"이며, 3. 원격 브리지가 네트워크가 DLS경로임을 결정하면 부산형 부하분할(DLS)논리는 "Current State"를 "DLS Backup"으로 세트한다.
DLS Forwarding 만일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놀리가 "Current State"의 값이 "Forwarding"이고, "Enalble DLS"가 "True"이고, "Parallel Network and/or Network Validation"이 " True"이며 원격 브리지가 네트워크가 DLS경로임을 결정하면 분산형 부하 분할 논리는 "Current State"를 "DLS Forwading"으로 세트한다.
제2,1,4절-DLS전송 네트워크 변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2/?/? Distributed Load Sharing Variables Network B-C
Variables Current Value
1. Enalble DLS S True
2. Force DLS S True
3. FDSE Total X 3 1
4. FDSE Maximum 5 6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Enable DLS
만일 2지점간 네트워크에 대해 "True"로 정해지면 전송 네트워크의 "Current State"가 전술한 바와같이 DLS백업 또는 DLS 포워팅(Forwarding)으로 정해질수 있음을 표시한다. 만일 에써네트에 대해 "True"로 정해지면 DLS 확장이 발생될 수 있음을 표시한다. 만일 "False"로 정해지면 DLS 경로 또는 DLS 확장이 이 네트워크를 통해 유지됨을 표시한다. 생략치는 "False"와 같다.
Force DLS
"False"로 정해지면 전송 네트워크의 "Currenst State"가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비용이 원격 브리지에 대한 경로의 스패닝 트리 비용보다 적을 경우는 DLS 백업으로만 정해진것을 표시한다. 만일 "Forxe DLS"가 "True"로 정해지면 네트워크 비용 체크는 되지않고 FDSE 최고치가 DLS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스테이션의 수를 제한하는데 이용됨을 표시한다.
생략치는 "True"와 같다.
FDSE Total
공급원과 함께 FDSE를 갖는 단일 지정 어드레스의 수는 이 네트원크 또는 병령 네트워크의 조합과 같다.
FDSE Maximum
네트워크 또는 병렬 네트워크의 조합이 DLS 네트워크로써 동작하는 동안(즉, DLS 진행 또는 DLS 백업과 동일한 상태를 갖는 동안)생성될수 있는 FDSE의 최대수를 표시한다. 생략치는 데이타 링크 보드율(Baud Rate)을 1000으로 나눈값과 같다.
제3절-DLS설계총괄
2개 이상의 작용 네트원크들에 연결된 브리지가 네트워크들중 하나의 "Current State"를 백업과 같게하고 네트워크의 병렬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 확인변수를 "True"로 할 경우 네트워크가 DLS 경로인가를 결정하는 정보르 갖는다. 예를들어 제3b도에서 브리지 B는 다음사항을 모두 알고 있다.
1. 네트워크 B-C의 비용(rec 네트워크 비용=1786)
2. 루트에 대한 브리지 B의 비용(rec 자체비용=1786)
3. 루트에 대한 브리지 C의 비용(백업 네트워크 B-C로 부터 받은 STP 헬로 메시지(Hello message)에 서의 헬로 비용은 446이다)
상기 경보로부터 브리지 B는
B-C DLS 경로비용 〈B-C STP 경로 비용=네트워크 B-C비용〈B의 Hello 비용=1786〈1786+446
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B-C는 DLS 경로가 될 수 있음을 결정한다.
만일 DLS 경로가 이러한 방식으로 선택되면 B의 에테르네트 및 네트워크 B-D와 관계된 스테이션의 어드레스(즉, 루트로부터 떨어진 어드레스)는 DLS 스테이션으로서 브리지 C에 알려진다(즉, 공급원이 어드레스는 STP 경로로 부터 DLS 경로 B-C로 스위칭될 수 있다.
그러나, 브리지 B가 DLS 경로 B-C를 이용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DLS/STP 경로의 비용비교를 무시하는 방법이 있다.
만일 전송 네트워크 B-C의 "Force DLS"가 "True"(생략치)와 같으면 브리지 B는 자동적으로 네트워크 B-C를 DLS 경로로써 이용한 것이나 B-C를 거쳐(브리지 C에 의해 알려진) 스테이션에 접근하는 것이 전송 네트워크 B-C의 변수인 "FDSE Maximum"에 의해 제한된다)" Force DLS"와 FDSE Maximum"은 제2절에서 설명되었음).
브리지 B가 네트워크 B-C가 DLS 경로로써 사용될 수 잇다고 결정할 경우, 브리지 B는 이 사실을 브리지 C(즉, "Hello"를 발생한 브리지)에 알린다. 만일 브리지 C 동의하면,
1. 브리지 C는 네트워크 C-B의 "Current State"를 "DLS Forwarding"으로 세트한다.
2. 브리지 B는 네트워크 B-C의 ""Current State"를 "DLS Backup"으로 세트한다.
3. 두 브리지들은 서로에게 STP 경로로 부터 DLS 경로(즉, 네트워크 B-C)로 스위칭될 스테이션 어드레스를 알린다. 스테이션 어드레스는 다른 브리지에 전송되는 DLS 프레임에 알려진다.
제1절에서 밝힌 바와같이, 알려진 스테이션 어드레스 조합은 브리지보다 루트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한다(즉, 브리지 B는 자체 에써네트에 그리고 네트워크 B-D르 ㄹ거쳐 위한 스테이션을 알리고 브리지 C는 자체 에써네트에 그리고 네트워크 C-E를 거쳐 위치한 스테이션을 알린다).
제3b도에서 브리지 C는 네트워크 B-C가 DLS 경로로써 사용될 수 잇음을 항상 동의할 것이지마, 그러한 경우가 아닌 구성이 존재한다. 제3c의 구성 1에서 브리지 A는 루트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A-C는 DLS 경로가 될 수 없다. 만일 네트워크 A-C가 DLS 네트워크로 허용되면 브리지 B와 브리지 C는 적절하게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것이다. 브리지 A는 모든 어드레스를 잠재적 DLS 어드레스로 알리게 될 것이다. 그 결과 브리지 C는 브리지 B에서 네트 스테이션과 잠재적으로 자체 에써네트 스테이션을 DLS 경로 C-A를 통해 접근할 수 있게한다.
수성 1에서 브리지 C는 자체 에써네트 어드레스의 재할당을 금지하는 한편, 브리지 B 에써네트 스테이션을 재할당을 정지시킬수 없다. 그 결과 브리지 B는 스테이션의 위치를 기의 계속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보게된다.
이러한 위치변경은 브리지 B에서 발생하는데 그 이유는 브리지 C 에써네트 스테이션(스테이션 x)이 DLS 경로 C-A에 재할당된 브리지 B 에써네트 스테이션에 단일지정 프레임을 보낼때, 프레임은 경로 C-A-B를 통해 전송되며 브리지 B는 네트워크 B-A를 스테이션 x의 공급원으로 지정하기 때문이다. 스테이션 x가 멀티캐스트 프레임을 발생할때, 프레임을 STP 경로 C-B-A를 통해 이동하며 브리지 B는 네트워크 B-C를 스테이션 x의 공급원으로 저장한다.
이러한 계속적인 변경은 브리지 B의 에써네트로부터 스테이션 x로 보내지는 프레임에 대해서 선입력 선출력(FIFO)이 보장되지 않음을 뜻한다.
마찬가지로 만일 구성 2에서의 네트워크 A-C가 DLS 경로로써 허용되는 브리지 B에 대해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루터에 대한 동일 STP 경로를 따라 위치한 두개의 브리지간에는 DLS경로가 형성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두 브리지간에 동일 STP 경로를 통해 위치한 브리지들은 선입력 선출력(FIFO)을 보장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DLS 스프트웨어는 자동적으로 구성 1및 2의 경우를 검출하고 DLS 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성 1의 경우는 검출하고 방지하는 것이 쉽다. DLS는 DLS 경로의 한쪽 끝이 STP 루트 브리지에 연결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구성 2의 경우는 보다 어렵고 "Sector ID"라 불리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을 필요로 한다. 이 새로운 개념을 이하에 설명한다.
Sector ID's
제3c의 구성 2를 보이는 한가지 방법은 그것을 섹터(Sector)와 서브섹터(sub-sector)로 구성하는 것이다.
루트 브리지 D는 구성의 중앙에 위치해 있다. STP 경로(즉, 백업 네트워크가 아닌 경로)로서 사용된 네트워크는 각각 하나의 섹터를 형성한다. 그 결과 구성 2는 4개의 섹터들로써 나누어진다. 각각의 섹터는 전송 네트워크 ID들(즉, 1-4)에 의해 각각 식별된다.
브리지 A는 하루 섹터(즉, 섹터 3)에 위치하여 두개의 서브섹터로 분리되고 STP경로의 부분으로 이용된다. 두개의 서브섹터는 각각 브리지 A 전송 네트워크 ID 3c상에 연결하므써 식별되낟. 그결과 2개의 서브섹터 ID는 3c-1 및 3c-2와 같다. 브리지 C는 서브섹터 3c-2에 위한다.
모든 서브섹터를 구성한 다음 브리지를 포함하는 섹터 및 서브섹터간의 STP 백업 네트워크를(점선을 사용하여) 도시하였다. 점선이(제3d도에서의 네트워크 A-C에 대한 경우에서와 같이) 루트로 향하게 되면 관계된 네트워크는 DLS 네트워크가 될 수 없다. 반면 그렇지 아니하면 DLS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선의 방향은 종점과 관계된 섹터 ID를 분석하므로써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A-C 의 섹터 ID는 3과 3c-2이다. 3은 완전히 3c-2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네트워크 A-C는 루트로 향한다.
어떤 네트워크가 DLS 후보가 될 수 있는가를 훨씬 쉽게 결정하는 방법은 백업 네트워크의 종점을 유지하는 브리지들에 관한 루트에 대해 STP 경로를 도시하는 것이다. 만일 하나의 브리지에 대한 STP 경로가 다른 브리지를 통해 지나갈 경우에는 그 네트워크는 DLS 후보가 될수 없다. 제3c도의 구성 2에서 브리지 C에 대한 STP 경로가 브리지 A를 통해 지나가고 있다.
[DLS 가능성의 극대화 ]
제 3e도는 DLS 네트워크를 수성하기 위해 제3c도의 구성을 변경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구성 1 및 2에서 브리지 B는 루트로 재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네트워크 A-C 는 두 구성에서 DLS 경로가 되었다(즉, 구성1에서는 네트워크 A-C가 루트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구성 1및 2에서는 루트에 관한 브리지 A 또는 브리지 C에 대한 STP 경로가 서로를 통해 지나가지 않는다).
구성 1에 대한 이러나 변경은 악영향을 갖지 않지만 구성 2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 루트를 브리지 A로 이동시키는 것이 원격 지점에서의 DLS 경로의 손실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전체 구성이 분석되어야 한다.
또한, 루트의 고장이 있을 경우의 역할 전환의 가능성도 분석되어야 한다.
제3f도는 DLS 경로를 구성하기 위해 제3c도의 구성을 변경하는 다른 방법을 보여 주고 있다.
제3f도는 구성 1및 2에서 네트워크 A-C는 네트워크 비용이 감소하여 브리지 C에 대한 STP 경로가 충분히 될수 있다. 이로써 네트워크 B-C는 두 구성에서 DLS 경로가 된다. (즉, 구성 1에서는 네트워크 B-C 가 루트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구성 1및 2에서는 루트에 관한 브리지 B 또는 브리지 C에 대한 STP 경로가 서로를 통해 지나가지 않는다)
제3g도에는 제3f도의 구성 2에 관계된 섹터 및 서브섹터가 도시되었다. 제3g도에서 루트 브리지 D는 구성의 중앙에 위치하고 STP 경로의 일부분으로 사용되는 자체 네트워크는 섹터 1-4를 형성한다. 브리지 A는 섹터 3에, B는 섹터 3c에 위치한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제3d도에서와 같다. 그러나 제3g도에서는 네트워크 A-C가 브리지 C의 STP 경로의 부분이기 때문에 브리지 C는 섹터 3d에 위치한다.
제3g도에서 백업 네트워크 B-C는 섹터 3c와 3d간에(점선으로)도시된다. 점선은(제3d도의 네트워크 A-C와는 다르게) 루트로 향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 B-C는 DLS의 경로로 사용될 수 있다.
제3d도에서와 같이 네트워크 B-C에 대한 점선의 방향은 종점에 관계된 섹터 ID를 분석하므로서 결정된다. 네트워크 B-C의 섹터 ID는 3c 및 3d이다. 네트워크 B-C는 서로 완전히 포함되지 않으므로 루트로 향하지 않는다.
[직렬 DLS경로(Tandem Paths)]
제1절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DLS 경로들은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3h도는 제3b도의 구성이 제2의 DLS 경로, 즉 네트워크 C-G를 포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일단 DLS 경로 B-C와 C-G가 작용하게 되면, 직렬 네트워크경로 B-C-G 는 브리지 B 및 브리지 D에 의해 발견될 것이다.
이것은 두 브리지가 DLS 경로를 이용하여 다음의 스테이션과 통신할 수 있음을 뜻한다.
1. 브리지 C보다 루트로 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한 스테이션(즉, 브리지 C의 에써네트에 그리고 네트워크 C-E를 거쳐 위치한 스테이션).
2. 다른 브리지 보다 루트로 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한 스테이션(즉, 브리지 B에 대해서는 브리지 G의 에써네트상에 위치한 스테이션, 그리고 브리지 G에 대해서는 브리지 B의 에써네트에 그리고 네트워크 B-D를 거쳐 위치한 스테이션).
제3i도는 제3h도의 "Translan"도를 보여주고 있다.
TransLAN은 세개의 분리된 DLS 경로 즉, B-C, C-G및 B-C-G를 알게된다. 직렬 DLS 경로 B-C-G는 경로 B-C및 C-G와 같게 평가된다. 예를 들어, 만일 "Force DLS"가 브리지 B에서의 네트워크 B-C, 또는 브리지 G에서의 네트워크 G-C에 대해 "True"가 아니면, DLS 경로 B-C-G의 "네트워크 비용(Network Cost)"은 경로 B-A-G의 STP 비용과 비교된다. 만일 B-C-G의 네트워크 비용이 작지 않으면, B-C-G는 DLS 경로로 이용되지 않는다.
또한 경로 B-C-G의 종점 브리지의 섹터 ID를 분석하였다. 설명한 바와같이 브리지 B는 4의 섹터 ID를 가지고, 브리지 C는 2의 섹터 ID를 가지고 있으므로 경로 B-C-G는 DLS 경로임이 분명하다(즉, 루트에 대한 B의 STP경로는 G와 교차하지 않고 또한 그역도 마찬가지이다).
제3j는 제3i의 구성이 하나의 구역과 두개의 네트워크에 의해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브리지 H, 네트워크 B-H 및 E-H의 추가로 E-H는 DLS 경로가 된다(섹터 ID 3c는 4-3에 포함되지 않고 또한 그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DLS 경로 E-H는 H 및 E의 에써네트상의 스테이션 들간의 통신에만 이용된다. 예를들어 브리지 C 에써네트 스테이션은 H의 에써네트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해 STP 경로 C-E와 DLS 경로 E-H를 이용할수 없다. 브리지 C 에써네트 스테이션 H의 에써네트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해서는 STP 경로 C-A-B-H를 이용하거나 DLS 경로 C-B 및 STP 경로 B-H를 이용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일단 DLS 경로가 발견되면 조점 브리지들은 DLS 네트워크에 스위칭될 수있는 스테이션 어드레스를 주기적으로 알리기 시작한다. 한번은 극히 소수의 어드레스 DLS 프레임에 알려진다. DLS 프레임은 또한 DLS 경로의 STP 네트워크 비용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3j에서 브리지 B는 DH "DLS Interval"마다 네트워크 B-C를 통해 한번의 DLS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 프레임은 B의 에써네트에 그리고 네트워크를 거쳐 위치한 스테이션의 어드레스를 소수 포함하고 네트워크 B-C의 네트워크 비용을 포함한다. 브리지 C는 DLS 프레임을 처리한 다음 네트워크 C-G를 통해 브리지 G로 보낸다.
전송된 프레임에서의 네트워크 비용은 네트워크 C-G의 네트워크 비용에 의해 증가한다. 이러한 DLS 프레임의 발생, 처리 및 전송은 브리지 C와 G가 브리지 B로 부터 필요한 정보를 받아 그들의 STP 경로로부터 DLS 경로 C-B 및 G-C-B로 각각 스위칭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어드레스의 스위칭은 다음에 설명하기로 한다. DLS 경로로 부터의/경로에는 어드레스 스위칭, 제3b0도는 편의상 브리지 G의 에써네트에 스테이션 0-9, 브리지 C의 에써네트에 스테이션 10-19, 브리지 E의 에써네트에 스테이션 20-29, 브리지 H의 에써네트에 스테이션 30-39, 브리지 B의 에써네트에 스테이션 40-49를 할당하였다.
처음에 에써네트에 스테이션 0-9와 모든 다른 스테이션간의 모든 통신은 제거하고 스테이션 10-29 및 30-49는 루트 브리지 A를 통해 직력 스위칭된다(즉, 이 통신은 STP 경로를 이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 DLS 경로(즉, B-C,C-G,B-C-G 및 E-H)가 발견되면 DLS 경로의 종점을 유지하는 브리지들은 스위칭될 스테이션 어드레스를 알리기 시작한다.
브리지 C가 DLS 경로 B-C 에 스위칭될 수 있는 스테이션 10을 브리지 B에 알리게 될때, 브리지 B는 스위칭이 이루어질수 있는가를 결정한다. 통상, 만일 브리지 B가 네트워크 B-C의 "Current State"를 "DLS Forwarding" 또는 "DLS Backup"과 같게하고 B-C의 "Force DLS"=True),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만일 브리지 B가 스테이션 10의 FDSE 공급원 네트워크를 B-C로 즉시 스위칭하면 선입력 선출력(FIFO)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10으로 가기로 되어 있는 프레임은 STP 경로 B-A-C를 거쳐 이동하는 한편 10으로 가기로 되어 있는 후발 프레임은 B-C 경로를 통해 먼저 스테이션 10에 도착한다.
먼저 10의 FDSE에서의 공급원 네트워크를 네트워크 B-C와 같게 한다. 만일 브리지 B의 "FIFO Required"가 False와 같으면 처리는 완료된다. 반면에 10의 FDSE에서의 "Do Not Forward"를 True와 같게 하여 FIFO의 잠재적 손실을 피할수 있다. 만일 브리지 B의 "Transmit Flush Frame"을 True와 같게하면, 브리지 B는 브리지 C에 어드레스된 플러쉬 프레임을 발생하여 루트를 거쳐 브리지 C에 보낸다음 (즉, 경로 B-A-C), 브리지 C는 DLS 경로 C-B를 통해 브리지 B에 되돌려 보낸다. 브리지 B가 프러쉬 프레임을 받게 되면, 블러쉬 프레임은 "Do Not Forward"를 10의 FDSE 에서의 False와 같게한다.
플레쉬 프레임이 왕복하는데 걸린시간은 보통 가장 심한 경우 1-2초가 된다. B의 에서네트와 네트워크 B-D 및 B-H로부터 스테이션 10과의 통신은 플러쉬 프렝임이 옹복하는 동안 일시적으로 멈추게 된다. 만일 플러쉬 프레임이 없어지거나 "Transmit Flush Frame"이 False와 같으면 브리지 B 는 "DLS Round Trip Deley"와 같이 시간동안 대기한 후 "Do Not Forward"를 10의 FDSE에서의 False로 복귀시킨다.
요약하면, 복수의 어드레스가 브리지 C에 의해 알려지고 브리지 B에 의해 스위칭되면 하나의 플러쉬 프레임이 브리지 B에 의해 발생하여 왕복 전송 동안 완전하게 남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복수의 어드레스가 브리지 E에 의해 알여지고 브리지 H에 의해 스위칭될 경우에는(브리지 H에서의 " FIFO Required"와 "Transmit Flush Frame"이 True와 같다는 가정하에 맞지 않는다.
후자의 경우 "Do Not Forward"를 FDSE에서 True와 같게 하기전에 어드레스의 경로가 실제로 플러쉬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브리지 H가 브리지 B(브리지 E가 아님)에 어드레스된 플러쉬 프레임을 발생시켜 네트어워크 H-B를 통해 그것을 보내야 한다. 그러나, 브리지 B DLS경로를 유지하고 브리ㅈ H와 루트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프러임은 브리지 B의 경우와 달라서 루트를 거쳐 브리지 E로 (즉, STP 경로 H-B-A-C-E로) 직접 보내질 수 없다.
따라서 브리지 H는 루트에 대한 인링크 경로를 따라 플러쉬 프레임을 "Next DLS Bridge"로 어드레스 시키게 된다.
브리지 B가 브리지 H의 플러쉬 프레임을 받게 되면 브리지 B는 그 어드레스를 시험한다.
만일 플러쉬 어드레스들중 어느 하나가 FDSE를 공급원 네트워크에 일치시켜 DLS 네트워크 B-C와 같게하면 원래의 플러쉬 프레임은 두개의 프레임, 즉 DLS 어드레스를 갖는 프레임과 "non-DLS" 어드레스르 갖는 프레임으로 분리시켜야 한다. DLS 어드레스를 갖는 프레임은 DLS 경로를 거쳐 다음 DLS 브리지인 브리지 C로 보내진다. 브리지 B와, 루트에 대한 STP 경로 사이에는 다음 DLS 브리지가 없기 때문에 "non-DLS" 어드레스를 갖는 플러쉬 프레임은 경로 B-A-C-E를 거쳐 직접 브리지 E로 보내진다. 브리지 C가 DLS 어드레스를 갖는 플러쉬 프레임을 처리할 경우에는 네트워크 C-E를 거쳐 그것을 브리지 E로 보낸다. 브리지 E는 브리지 C보다 루트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고 루트에 대한 E의 STP 경로가 브리지 C를 통과하기 때문에 상기 동작이 실행되는 것이다.
브리지 E가 DLS 또는 " non-DLS" 어드레스를 갖는 프러쉬 프레임을 받게 되면 네트워크 E-H를 거쳐 브리지 H로 직접 보낸다. 프러쉬 프레임이 브리지 H에 의해 받게 되면 "Do Not Forward"를 플러쉬 프레임과 관계된 어드레스를 갖는 FDSE에서의 "False"와 같게 한다.
만일 스테이션 30-39와 20-29가 통신을 위해 더 많은 STP/DLS 경로를 이용한다면 플러쉬 프레임은 같은 방식으로 더 쪼개개져야 한다. 사실상, 만일 충분히 이용할수 잇는 경로가 있다면 플러쉬 프레임은 단지 하나의 어드레스를 갖게 될때까지 계속 분리될수 있는 것이다.
에이징(aging)에 의해 FDSE가 STP 경로로 스위칭될때에도 같은 순서로 동작이 발생한다. 먼저 FDSE에서의 공급원 네트워크가 STP 경로에 관계된 네트워크와 같게 된다.
만일 "FIFO Required"가 False와 같으면, 처리는 완료된다. "Do Not Forward"를 FDSE에서의 True와 같게하고, 만일 "Transmit Flush Frame"이 True이면 플러쉬 프레임을 전송하므로써 FIFO의 잠재적 손실을 막을수 있다. 플러쉬 프레임을 받게되고 "DLS Round Trip Delay" 기간이 종료될때 "Do Not Forward"는 FDSE에서의 False로 바뀌게 된다.
[DLS 경로로부터의/경로에의 프레임 전송]
제3b0도에서 일단 브리지 C가 스테이션 40-49를 DLS 경로 C-B로 스위칭시키면, 만일 브리지 C의 에써네트, 네트워크 C-E 또는 C-G로부터 받은 단일 지정 프레임이 스테이션 40으로 보내질 예정이면 단일 지정 프레임은 네트워크 C-B로 전송될 것이다. 만일 인링크인 네트워크 C-A로부터 받은 프레임이 스테이션 40으로 보내질 예정이면, 프레임은 전송되지 않는다. 브리지 A가 스테이션 40을 미지의 단일 목적지로 보는한, (또는 40이 이동하거나 STP가 구성을 변경하는 한: 이 두 조건은 나중에 설명하기로 한다) 프레임이 네트워크 C-A로 통해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네트워크 C-A로부터 받은 프레임은 버려진다. 게다가, 브리지 A가 이러한 미지의 단일 목적지를 갖는한, STP 경로를 이용해 40에 도달하는 복제 프레임이 존재한다(예를들어, 만일 브리지 A가 자체 에써네트, 네트워크 A-F 또는 A-G로부터 프레임을 받는다면 브리지 A는 네트워크 A-B를 통해 복제 프레임을 전송할 것이다). 스테이션 40이 브리지 A에 대해 기지의 단일 목적지가 되면 브리지 C는 이렇나 프레임을 네트워크 C-A를 통해 더이상 받지 못한다(즉, 브리지 A는 프레임을 네트워크 A-C로는 보내지 않고 네트워크 A-B로만 보낼 것이다).
이러한 프레임은 브리지 C에 의해 자체 에써네트, 네트워크 C-E 또는 C-G로만 보낸다. 그 이유는 브리지 B에 대한 DLS 후보로써 알려진 어드레스는 이러한 방행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브리지 C는 네트워크 C-B로부터 받은 미지의 단일 지정 프레임을 버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개트스 지정 프레임은 DLS경로 상으로 전송되지 않고 STP 경로로만 전송된다.
[ DLS FDSE 에이징(Aging)]
전술한 바와같이, DLS 공급원 네트워크를 FDSE에 할당하는 것이 non-DLS 공급원 네트워크를 FDSE에 할당하는 것과는 다르게 행해진다. 초기에 FDSE는 받은 프레임에서의 공급원 어드레스를 근거로 하지 않고, DLS 프레임 내에서 알려진 어드레스 정보를 근거로 하여 DLS 경로에 할당된다.
또한 공급원 어드레스의 값을 STP 경로로부터(예를 들어 멀티개스트 프레임으로부터) 받게될 경우에는 공급원 네트워크의 값은 DLS FDSE에서 변경되지 않는다.
이러한 변경은 또한 DLS FDSE의 에이징(Aging)에 영향을 준다. FDSE 에이징은 스테이션 이동 및 STP 경로 변경을 조작하는데 이용되는 메카니즘이기 때문에 이렇나 영향은 주의깊게 다루어져야 한다(STP가 새로운 STP 경로를 편성하는 경우, 모든 브리지에서 쇼트 에이징 타이며 (Short Aging Timer)가 동작하여 비활동 어드레스와 관계된 FDSE의 에이징 오프를 촉진시킨다).
제3b0도의 브리지 B에서 쇼트 에이징 타이머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브리지 B의 DLS FDSE들중 하나(예를들어 스테이션 10의 FDSE)에서의 에이징 값은 두가지 경우에 "영 (Young)"으로 세트된다. 스테이션 10의 어드레스 값을 네트워크 B-C로부터 프레임의 공급원 어드레스로써 또는 브리지 C의 DLS 프레임내의 값으로써 받게될 경우 상기 에이징 값은 "영(Young)"으로 세트된다. 쇼트 에이징 타이머에 관계없이 스테이션 10의 FDSE 에이징 값은 네트워크 B-C가 아닌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받은 프레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STP와의 DLS 상호작용]
제3b0도에서 브리지 G의 인링크(즉, 네트워크 G-A)가 고장나면, G는 네트워크 G-A의 "Current State"를 "Broken"으로 세트한다.
이점으로부터 브리지 G및 C에서의 처리는 네트워크 G-C의 "Current State"값에 의존함을 알수 있다. 만일 브리지 G에서의 네트워크 G-C의 "Current State"가 "DLS Backup"과 같으면 브리지 C에서의 네트워크 C-G의 "Current State"는 "Forwarding"과 같도 또한 그역도 마찬가지이다.
만일 네트워크 G-C의 "Current State"가 "DLS Backup"과 같으면 브리지 G는 즉시 G-C를 그것의 새로운 인링크로 결정한다. 그결과 브리지 G는 네트워크 G-C의 "Current State"를 "Pre-Forwarding 2"로 세팅하고 네트워크 G-C를 통한 DLS 프레임의 발생을 정지한다. 약 10초 이상( "Pre-Forwarding ÷2)이 경과한후 브리지 G느느 네트워크 G-C의 "Current State"를 "Forwading"으로 바꾸고 쇼트 타이머의 동작을 개시시킨다. 약 10초 이상(" DLS Interval×5"-"Pre-Forwarding Delay"÷2)이 경과한후 DLS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으면 브리지 C는 네트워크 C-G의 "Current State"를 "DLS Forwarding"으로부터 "Forwarding"으로 바꾸며 그결과 네트워크 G-C는 완전히 STP 경로가 된다. 만일 네트워크 G-C의 "Current State"가 "DLS Forwarding"과 같으면, 브리지 G는 일시적으로 루트로 가정하고, 네트워크 G-C 의 "Current State"를 "Forwarding"과 같게하고, DLS 프레임의 발생을 중지하며 자체 에써네트와 네트워크 G-C에 "STP Hello" 프레임을 보낸다. 그결과 약20초(즉, 브리지 C의 "Pre-Forwarding Delay")가 경과한 후 브리지 C는 네트워크 C-G에 관해 "Current State"를 "Pre-Forwarding 2"와 같게 하고, DLS 프레임의 발생을 중지하며 "STP Hello" 프레임을 보내기 시작한다. 브리지 G가 이 "Hello" 프레임을 받게되면 즉시 네트워크 G-C를 새로운 인링크로 결정한다. 약 10초이상 경과한후 브리지 C C는 네트워크 C-G의 "Current State"를 "Forwarding"으로 바꾸고, STP 쇼트 타이머를 동작시켜 오래된 FDSE를 에이지 오프시킨다. 그 결과 네트워크 G-C는 완전히 동작하는 STP 경로가 된다.
전술한 경우에서 브리지 G로부터의 DLS 프레임이 없으면 브리지 B는 DLS경로 B-C-G 를 이용하는 것을 중지하고, 브리지 B에서 쇼트 타이머가 동작하면 스테이션 0-9가 정지상태에 잇을 경우 상기 스테이션을 에이지 오프시킨다.
그러나, 브리지 B는 스테이션 0-9와의 통신을 위해 DLS 경로 B-C를 계속 이용할 것이다. 왜냐하면 네트워크 A- G가 고장상태에 있는한, 브리지 C는 네트워크 C-B상으로 보내진 그것의 DLS 프레임에 어드레스 0-9를 알리기 때문이다(즉, 0-9는 브리지 C보다 루트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네트워크 A-G가 복귀될때, 그 구성은 원래의 조건으로 되돌아온다. 네트워크 G-A는 G의 인링크가 되고, STP 쇼트 타이머는 작동되며 네트워크 G-C는 초기에 STP 백업 경로가 된다. 그 다음 DLS 경로 C-G 및 B-C-G가 재발견된다.
제3b0도에서의 다른 고장 및 복귀의 결과도 동일하다. 고장이 발생한 경우 DLS 경로를 STP 경로로 전환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STP 백업 경로를 STP 경로로 전환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동일하다.
복귀의 경우에서는 최초 STP 경로 및 백업 경로가 재구성 된다음 DLS 경로가 재구성된다.
[DLS 확장]
제 3l도는 제3b0도의 구성이 어떻게 DLS 확장 기능에 필요하게 수정되는지를 예로서 보여주고 있다.
제3l도는 추가된 브리지 G 및 H는 DLS 경로에 직접연결되고 에써네트 인링크를 갖게 되었다. DLS 확장 기능이 이우러지기 우해서는 "Enable DLS"를 브리지 G 및 H 에써네트 전송 네트워크에 대해 "True"로 세트해야 한다. 물론 "Enable DLS"는 브리지 G' 및 H'에서 DLS 경로 전송 네트워크에 대해서도 "True"로 세트되어야 한다. 만일 이러한 것이 실행되면, 제3bo도에서의 구성과 관계된 모든 DLS 능력이 제3bo도에서의 구성과 관계된 모든 DLS 능력이 제3l도의 구성에도 적용된다.
제3l도에서 브리지 H는 H' 대신에 DLS 프레임을 발생시켜 그것을 국부 LAN에 전송한다. 브리지 H'는 DLS 프레임을 받고, 국부 LAN 상에 있지않는 어드레스를 삭제하며 DLS 프레임을 브리지 E로 보낸다. 브리지 E는 전술한 바와 같이 DLS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찬가지로 브리지 H'는 브리지 E의 DLS 프레임을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한 다음 브리지 H로 보낸다.
브리지 H는 DLS 프레이에서의 받은 모든 어드레스에 관계된 FDSE를 "Do Not Forward"로 한다.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수 있으며, 따라서 설명된 상세사항에만 제한시키지 않고 다음 청구범위 내에서의 변화 및 변경을 이용하고자 한다.

Claims (20)

  1. 다수의 서브 네트워크를 경로로써 연결할 수 있는 브리지 및 관계된 스테이션을 갖는 LAN, 예를들어 에써네트 LAN 및 802 LAN과 같은 종류의 통신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브리지를 루트로 선택한 다음 상기 루트에 대해 모든 브리지들간에 하나의 주경로 루프 프리 집합을 계산하고 이용하는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을 유지하기 위해 연결된 브리지들간에 프레임들을 교환하여 부하분할을 분배하는 방법에 있어서,스테이션들간에 교환된 프레임이 브리지간의 나머지 경로, 즉 상기 STP 주경로가 아닌 다른 경로를 분산형 부하분할(DLS) 구조에 대한 서브 네트워크 경로로써 상기 STP 경로 조합보다 더 잘 이용할 수 있는가를 검토하고, (가) DLS 경로에 연결된 두개의 브리지가 한개이상의 다른 서브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STP 루트 브리지가 아닐 경우에만 나머지 경로들중 하나를 DLS 경로로 선택하여, 선택된 DLS 경로를 통해 (가) 기지의 단일 목적지를 가지고 있고, (나) 스테이션과 관계된 브리지보다 루트로부터 더멀리 떨어진 스테이션(1) 또는 브리지의 국부 LAN상에 있는 스테이션들(2)간에 교환될 프레임만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분산형 부하 분할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DLS 경로의 종단에 브리지를 배치하여 스테이션이 상기 루트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음을 인식하여 만일 브리지상의 STP 인링크가 국부 LAN이 아니면 공급원 네트워크가 STP 인링크인 스테이션들 간에는 프레임 전송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STP 경로 및 선택된 DLS 경로간에 스테이션 어드레스를 스위칭하여 스위칭하는 동안에는 프레임 교환이 선입력 선출력(FIFO)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짧은 DLS 경로로 이루어진 직렬 DLS경로로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DLS경로브리지가 자기학습 브리지인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잠재적 DLS 경로상의 자기학습 브리지가 (가) 상기 브리지가 잠재적 DLS 경로상에 있음을 인식하고, (나) DLS 경로상의 관련 브리지가 상기 인식을 알수 있게 하고, (다) 관련 브리지가 DLS 경로상에 있는가를 결정하고, (라) 관련 브리지가 DLS 경로를 형성함을 동의하고, (마) 스테이션이 DLS 경로를 이용하는데 적합한가를 관련 브리지에 알리고, (바) DLS 경로를 이용하여 스테이션을 스위칭 하기전에 플러쉬 패킷으로 STP 경로를 플러쉬시켜 스테이션간의 프레임교환이 선입력 선출력(FIFO)을 유지할수 있게 한 다음 (사) DLS 경로를 이용한 스테이션의 스위칭을 시작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DLS 경로를 STP 경로상으로 스위칭 하기 전에 상기 단체 (바)와 (사)를 역으로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DLS 경로상의 브리지가 각각 (1) 상기 루트로 향한 STP 경로에 관계하는 제 1 포트, 상기 루트에 대해 역방향으로 향한 STP 경로에 관계하는 제2 포트 및 DLS 경로에 관계하는 제 3 포트를 갖거나, (2) 상기 루트로 향하는 STP 경로에 관계하는 제 1 포트와 DLS 경로에 관계하는 제 2 포트만을 갖는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DLS 경로가 구성되는 동안 브리지가 STP와 양립할 수 있도록 브리지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STP 및 DLS경로와 동작하는 서브 네트워크 각각에 대한 데이타 저장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1. 다수의 서브 네트워크를 경로로써 연결할수 있는 브리지 및 관계된 스테이션을 갖는 LAN, 예를들어 에써네트 LAN 및 802 LAN과 같은 종류의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브리지를 루트로 선택한 다음 상기 루트에 대해 모든 브리지들 간에 하나의 주경로 루프 프리 집합을 계산하고 이용하는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을 유지하기 우해 연결된 브리즈들 간에 프레임들을 교환하여 부하분할을 분배하는 장치에 있어서,스테이션들 간에 교환된 프레임이 브리지간의 나머지 경로, 즉 상기 STP 주경로가 아닌 다르 경로를 분산형 부하분할(DLS) 구조에 대한 서브 네트워크 경로로써 상기 STP 경로 조합보다 더 잘 이용할수 있는가를 검토하는 자기학습 브리지 수단을 갖고, 상기 자기학습 브리지 수단은 또한 (가) DLS 경로에 연결된 두개의 브리지가 한개이상의 다른 서브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STP 루트 브리지가 아닐 경우에만 나머지 경로들중 하나를 DLS 경로로 선택하여, 선택된 DLS 경로를 통해 (가)기지의 단일 목적지를 가지고 있고, (나) 스테이션과 관계된 브리지 보다 루트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스테이션들(1) 또는 브리지의 국부 LAN상에 있는 스테이션들(2)간에 교환될 프레임만 보내는 DLS 경로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부하 분할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학습 브리지 수단이 (1) 상기 루트로 향한 STP 경로에 관계하는 제 1 포트, 상기 루트에 대해 역방향으로 향한 STP 경로에 관계하는 제2포트 및 DLS 경로에 관계하는 제 3 포트를 갖거나, (2)상기 루트로 향하는 STD 경로에 관계하는 제 1 포트와 DLS 경로에 관계하는 제2포트만을 갖는 브리지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학습 브리지 수단이 DLS 경로의 종단에 브리지를 배치하여 스테이션이 상기 루트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음을 인식하여 만일 브리지상의 STP 인링크가 국부 LAN이 아니면 공급원 네트워크가 STP 인링크인 스테이션들간에는 프레임이 전송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구성 수단이 DLS 경로가 구성되는 동안 브리지가 STP와 양립할 수 있도록 브리지를 구성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구성 수단이 STP 및 DLS 경로와 동작하는 서브 네트워크 각각에 대한 데이타 저장을 구성하는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학습 브리지 수단이 STP로부터 인식한 비용 정보를 임의로 이용하여 STP의 서브 네트워크가 STP 백업 네트워크 및 DLS 경로임을 확인하여 그러한 STP 백업 네트워크를 DLS 경로로 이용하게 하는 비용 결정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자기학습 브리지 수단이 STP 경로와 선택된 DLS 경로간에 스테이션 어드레스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과, 스테이션 어드레스를 스위칭하기전에 플러쉬 패킷으로 DLS경로를 플러쉬시켜 상기 스케이션 어드레스를 스위칭하는 동안 선입력 선출력(FIFO) 프레임 교환이 유지되도록 하는 플러쉬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자기학습 브리지 수단이 짧은 DLS 경로로 이루어진 직렬 DLS 경로를 유지하는 직렬 경로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구성수단이 (가) 상기 브리지가 잠재적 DLS 경로상에 있음을 인식하고, (나) DLS 경로상의 관련 브리지가 상기 인식을 알수 있게 하고, (다) 관련 브리지가 DLS 경로상에 있는가를 결정하고, (라) 관련 브리지가 DLS 경로를 형성함을 동의하고, (마) 스테이션이 DLS 경로를 이용하는데 적합한가를 관련 브리지에 알리고, (바) DLS 경로를 이용하여 스테이션을 스위칭하기전에 플러쉬 패킷으로 STP 경로를 플러쉬시켜 스테이션간의 프레임 교환이 선입력 선출력(FIFO)을 유지할수 있게 한다음 (사) DLS 경로를 이용한 스테이션의 스위칭을 시작하도록 구성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구성 수단이 DLS 경로를 STP 경로상으로 스위칭 하기전에 상기 단계 (바)와 (사)를 역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 장치.
KR1019890000320A 1988-01-15 1989-01-13 분산형 부하 분할 KR950002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145443 1988-01-15
US07/145,443 1988-01-15
US07/145,443 US4811337A (en) 1988-01-15 1988-01-15 Distributed load sha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498A KR890012498A (ko) 1989-08-26
KR950002268B1 true KR950002268B1 (ko) 1995-03-15

Family

ID=22513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0320A KR950002268B1 (ko) 1988-01-15 1989-01-13 분산형 부하 분할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811337A (ko)
EP (1) EP0324277B1 (ko)
JP (1) JPH025647A (ko)
KR (1) KR950002268B1 (ko)
AT (1) ATE103745T1 (ko)
AU (1) AU607571B2 (ko)
CA (1) CA1323704C (ko)
DE (1) DE3888818T2 (ko)
DK (1) DK733588A (ko)
IL (1) IL88799A (ko)
NO (1) NO885521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38945A1 (de) * 1987-11-18 1989-06-08 Hitachi Ltd Netzwerksystem mit lokalen netzwerken und mit einer hierarchischen wegewahl
US5086426A (en) * 1987-12-23 1992-02-04 Hitachi, Ltd.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different protocal LAN's
JP2584647B2 (ja) * 1988-01-28 1997-02-26 株式会社リコー 通信網のノード装置
NL8802132A (nl) * 1988-08-30 1990-03-16 Philips Nv Lokaal kommunikatiebussysteem, station voor gebruik in zo een systeem, en poortverbindingselement voor gebruik in zo een systeem, en apparaat bevattende zo een poortverbindingselement.
US5323387A (en) * 1989-03-23 1994-06-21 Sharp Kabushiki Kaisha Data transmission apparatus
US5455865A (en) * 1989-05-09 1995-10-03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Robust packet routing over a distributed network containing malicious failures
US5175765A (en) * 1989-05-09 1992-12-29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Robust data broadcast over a distributed network with malicious failures
US5860136A (en) * 1989-06-16 1999-01-12 Fenner; Peter R.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associated memory with large key spaces
US5088091A (en) * 1989-06-22 1992-02-11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High-speed mesh connected local area network
AU620994B2 (en) * 1989-07-12 1992-02-27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Compressed prefix matching database searching
US5150360A (en) * 1990-03-07 1992-09-22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Utilization of redundant links in bridged networks
US5309437A (en) * 1990-06-29 1994-05-03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Bridge-like internet protocol router
US5253248A (en) * 1990-07-03 1993-10-12 At&T Bell Laboratories Congestion control for connectionless traffic in data networks via alternate routing
US5187706A (en) * 1990-10-30 1993-02-16 At&T Bell Laboratories Dual access rings for communications networks
GB9100389D0 (en) * 1991-01-09 1991-02-20 Digital Equipmen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arently bridging traffic across wide area networks
US5956335A (en) * 1991-01-25 1999-09-21 Cabletron Systems, Inc. Many to few group address translation through a network bridge
US5434864A (en) * 1991-01-25 1995-07-18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Encapsulation of an address within a forwarded frame in a computer communications system
US5317568A (en) * 1991-04-11 1994-05-31 Galileo International Partnershi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d facilitating communications in a distributed hetergeneous network
US5420862A (en) * 1991-06-14 1995-05-30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Router using remote address resolution to enable bridge like data forwarding
US5500860A (en) * 1991-06-14 1996-03-19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Router using multiple hop redirect messages to enable bridge like data forwarding
US5404353A (en) * 1991-06-28 1995-04-04 Digital Equipment Corp. Dynamic defer technique for traffic congestion control in a communication network bridge device
US5339313A (en) * 1991-06-28 1994-08-16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ffic congestion control in a communication network bridge device
US6407991B1 (en) * 1993-05-06 2002-06-18 Intermec Ip Corp. Communication network providing wireless and hard-wired dynamic routing
US6084867A (en) * 1991-10-01 2000-07-04 Intermec Ip Corp. Apparatus and method of routing data in a radio frequency local area network
US6400702B1 (en) * 1991-10-01 2002-06-04 Intermec Ip Corp. Radio frequency local area network
IL99923A0 (en) * 1991-10-31 1992-08-18 Ibm Israel Method of operating a computer in a network
US5600309A (en) * 1991-12-06 1997-02-04 Reseaux De Communications D'entreprise Operationally secure communication assembly
US5844902A (en) * 1992-04-07 1998-12-01 Cabletron Systems, Inc. Assigning multiple parallel bridge numbers to bridges
US5398242A (en) * 1992-04-07 1995-03-14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Automatically configuring LAN numbers
US5323394A (en) * 1992-04-07 1994-06-21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Selecting optimal routes in source routing bridging without exponential flooding of explorer packets
US5327424A (en) * 1992-04-07 1994-07-05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Automatically configuring parallel bridge numbers
US5400333A (en) * 1992-04-07 1995-03-21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Detecting LAN number misconfiguration
JPH0619771A (ja) * 1992-04-20 1994-01-28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異種のクライアントによる共用ファイルのファイル管理機構
US5315592A (en) * 1992-04-23 1994-05-24 Xyplex Inc. Parallel bridging
US5309433A (en) * 1992-06-18 1994-05-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routing packets in packet transmission networks
JPH07503116A (ja) * 1992-08-11 1995-03-30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ツ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 再配置チャネル
US5630173A (en) * 1992-12-21 1997-05-13 Apple Computer,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bus access arbitration of nodes organized into acyclic directed graph by cyclic token passing and alternatively propagating request to root node and grant signal to the child node
DE69331705T2 (de) * 1992-12-21 2002-12-19 Apple Computer Verfahren und gerät zur umwandlung einer beliebigen topologie von einer knotensammlung in einen acyclischen gerichteten graph
US5617421A (en) * 1994-06-17 1997-04-01 Cisco Systems, Inc. Extended domain computer network using standard links
US5561669A (en) * 1994-10-26 1996-10-01 Cisco Systems, Inc. Computer network switching system with expandable number of ports
JP3327716B2 (ja) * 1995-01-20 2002-09-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回転電機用ステータコイルの端末線処理方法及び装置
US5717745A (en) * 1995-04-24 1998-02-10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efficiently evaluating different messages by a server in a telecommunications environment
US6026425A (en) * 1996-07-30 2000-02-15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Non-uniform system load bal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threshold of tasks according to estimated load fluctuation
US6567410B1 (en) 1996-08-08 2003-05-20 Enterasys Networks, Inc. Assigning multiple parallel bridge numbers to bridges having three or more ports
US6081511A (en) * 1996-08-14 2000-06-27 Cabletron Systems, Inc. Load sharing for redundant networks
US6236659B1 (en) * 1996-11-29 2001-05-22 3Com Technologies Network configuration
JP3603524B2 (ja) * 1997-02-05 2004-12-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ネットワーキング方法
US6111858A (en) * 1997-02-18 2000-08-29 Virata Limited Proxy-controlled ATM subnetwork
US6128666A (en) * 1997-06-30 2000-10-03 Sun Microsystems, Inc. Distributed VLAN mechanism for packet field replacement in a multi-layered switched network element using a control field/signal for indicating modification of a packet with a database search engine
US6119196A (en) * 1997-06-30 2000-09-12 Sun Microsystems, Inc. System having multiple arbitrating levels for arbitrating access to a shared memory by network ports operating at different data rates
US6081512A (en) * 1997-06-30 2000-06-27 Sun Microsystems, Inc. Spanning tree support in a high performance network device
US6016310A (en) * 1997-06-30 2000-01-18 Sun Microsystems, Inc. Trunking support in a high performance network device
US6049528A (en) * 1997-06-30 2000-04-11 Sun Microsystems, Inc. Trunking ethernet-compatible networks
US6081522A (en) * 1997-06-30 2000-06-27 Sun Micro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layer network element
US6052738A (en) * 1997-06-30 2000-04-18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in a packet routing switch for controlling access at different data rates to a shared memory
US6044087A (en) * 1997-06-30 2000-03-28 Sun Microsystems, Inc. Interface for a highly integrated ethernet network element
US6088356A (en) * 1997-06-30 2000-07-11 Sun Micro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layer network element
US6044418A (en) * 1997-06-30 2000-03-28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resizing queues utilizing programmable partition pointers
US6246680B1 (en) 1997-06-30 2001-06-12 Sun Microsystems, Inc. Highly integrated multi-layer switch element architecture
US6094435A (en) * 1997-06-30 2000-07-25 Sun Micro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a quality of service in a multi-layer network element
US5938736A (en) * 1997-06-30 1999-08-17 Sun Microsystems, Inc. Search engine architecture for a high performance multi-layer switch element
US6038600A (en) * 1997-07-16 2000-03-14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detection of bridged and repeated network device connections
US6230219B1 (en) * 1997-11-10 2001-05-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multichannel DMA controller for a PCI host bridge with a built-in cache
US6188694B1 (en) 1997-12-23 2001-02-13 Cisco Technology, Inc. Shared spanning tree protocol
US6032194A (en) 1997-12-24 2000-02-29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ly reconfiguring computer networks
US6976088B1 (en) 1997-12-24 2005-12-13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ly reconfiguring bridged networks using a spanning tree algorithm
US6202114B1 (en) 1997-12-31 2001-03-13 Cisco Technology, Inc. Spanning tree with fast link-failure convergence
FR2778295B1 (fr) * 1998-04-30 2003-01-17 Canon Kk Procede et dispositif de communication, de transmission et/ou de reception d'information
US6898189B1 (en) 2000-08-23 2005-05-24 Cisco Technology, Inc. Restartable spanning tree for high availability network systems
US6628624B1 (en) 1998-12-09 2003-09-30 Cisco Technology, Inc. Value-added features for the spanning tree protocol
GB9919853D0 (en) * 1999-08-20 1999-10-27 Lucent Technologies Inc Parallel core networks for gsm/umts
US6678241B1 (en) 1999-11-30 2004-01-13 Cisc Technology, Inc. Fast convergence with topology switching
AU2000242890B2 (en) 2000-03-15 2005-07-14 Infosim Informationstechnik Gmbh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of data via an optimum data path in a network
US7027453B2 (en) 2000-10-13 2006-04-1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Spanning tree alternate routing bridge protocol
US6937576B1 (en) * 2000-10-17 2005-08-30 Cisco Technology, Inc. Multiple instance spanning tree protocol
US7177946B1 (en) 2001-12-06 2007-02-13 Cisco Technology, Inc. Optimal sync for rapid spanning tree protocol
US7996517B2 (en) * 2002-01-23 2011-08-09 Novell, Inc. Transparent network connection takeover
US20030154398A1 (en) * 2002-02-08 2003-08-14 Eaton Eric Thomas System for providing continuity between session clients and method therefor
JP3729265B2 (ja) * 2002-08-22 2005-12-21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スパニングツリー構成方法、スパニングツリー構成ノード、及びスパニングツリー構成プログラム
KR100456674B1 (ko) * 2002-11-09 2004-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패닝 트리와 회로 검출에 의한 네트워크 경로 설정 방법및 장치
CN100337428C (zh) * 2003-01-24 2007-09-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生成树协议的环网管理方法
JP4370999B2 (ja) * 2004-07-30 2009-11-25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ノード及びノード制御プログラム、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
FR2882939B1 (fr) * 2005-03-11 2007-06-08 Centre Nat Rech Scient Dispositif de separation fluidique
US7872992B2 (en) * 2005-12-09 2011-01-18 Panasonic Corporation Network system and relay device
US7995499B2 (en) * 2006-11-23 2011-08-09 Cisco Technology, Inc. Minimizing spanning-tree protocol event processing and flooding in distribution networks
US8077709B2 (en) 2007-09-19 2011-12-13 Cisco Technology, Inc. Redundancy at a virtual provider edge node that faces a tunneling protocol core network for virtual private local area network (LAN) service (VPLS)
EP2374250B1 (en) * 2009-01-19 2014-10-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ad balancing
US8650285B1 (en) 2011-03-22 2014-02-11 Cisco Technology, Inc. Prevention of looping and duplicate frame delivery in a network environment
US9521074B2 (en) * 2012-05-10 2016-12-13 Sono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irect routing between nodes of networks
GB2524749B (en) * 2014-03-31 2018-12-19 Metaswitch Networks Ltd Spanning tree protoco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7498A (en) * 1979-11-21 1982-08-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means for demand accessing and broadcast transmission among ports in a distributed star network
US4399531A (en) * 1980-09-29 1983-08-16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Distributed digital data communications network
US4556974A (en) * 1983-10-07 1985-12-03 Honeywell Inc. Method for passing a token in a local-area network
GB8407102D0 (en) * 1984-03-19 1984-04-26 Int Computers Ltd Interconnection of communications networks
US4706081A (en) * 1984-12-14 1987-11-10 Vitalink Communication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ridging local area networks
US4706080A (en) * 1985-08-26 1987-11-10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Interconnection of broadcast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03745T1 (de) 1994-04-15
NO885521D0 (no) 1988-12-13
EP0324277B1 (en) 1994-03-30
US4811337A (en) 1989-03-07
DK733588D0 (da) 1988-12-30
EP0324277A2 (en) 1989-07-19
CA1323704C (en) 1993-10-26
DK733588A (da) 1989-07-16
DE3888818D1 (de) 1994-05-05
EP0324277A3 (en) 1991-06-26
DE3888818T2 (de) 1995-01-26
AU607571B2 (en) 1991-03-07
KR890012498A (ko) 1989-08-26
AU2830389A (en) 1989-07-20
IL88799A0 (en) 1989-07-31
JPH025647A (ja) 1990-01-10
NO885521L (no) 1989-07-17
IL88799A (en) 199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268B1 (ko) 분산형 부하 분할
US6820210B1 (en) System and method for fault recovery for a two line bi-directional ring network
JP4031500B2 (ja) ノード冗長方法、インタフェースカード、インタフェースデバイス、ノード装置およびパケットリング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4034782B2 (ja) リング間接続装置、及びデータ転送制御方法
US6006090A (en) Providing roaming capability for mobile computers in a standard network
US8255575B2 (en) Apparatus for constructing ring network
JP4370999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ノード及びノード制御プログラム、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
CN101523803B (zh) 通信网络中的弹性方案
CN100512292C (zh) 一种实时恢复业务的装置及方法
US20070165518A1 (en) VPLS failure protection in ring networks
CN109361597B (zh) 一种多路由选择方法和装置
JP2009500915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の区分装置及び方法
JP2002271372A (ja) 通信ネットワーク及びパス設定方法並びにパス設定用プログラム
KR20060092947A (ko) 논리 및 물리적 메시 네트워크 분할 방법
CN101197733A (zh) 网络连通性的自动检测方法及装置
CN113794637A (zh) Sid列表的处理方法及装置
EP1264450A2 (en) Layer 3 routing in self-healing networks
CN100373866C (zh) 跨越多域连接的网络故障恢复的方法
CN101542982B (zh) 分组环形网络系统、分组传输方法以及互联节点
Huynh et al. RRR: Rapid ring recovery submillisecond decentralized recovery for ethernet ring
EP2953299B1 (en) Protection switching method, system and node
EP1858198A1 (en) Policy based telecommunications ad-hoc network and method
CN111885630B (zh) 数据传输方法及通信装置
WO2001005102A1 (en) Interconnecting network domains
EP1206859A1 (en) Distributed label switching ro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