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119Y1 - 멀티채널 무선 도어폰 송신장치 - Google Patents

멀티채널 무선 도어폰 송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119Y1
KR950002119Y1 KR92005358U KR920005358U KR950002119Y1 KR 950002119 Y1 KR950002119 Y1 KR 950002119Y1 KR 92005358 U KR92005358 U KR 92005358U KR 920005358 U KR920005358 U KR 920005358U KR 950002119 Y1 KR950002119 Y1 KR 950002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frequency
transmitt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5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605U (ko
Inventor
백종하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92005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119Y1/ko
Publication of KR9300246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6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1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멀티채널 무선 도어폰 송신장치
제1도는 종래의 도어폰을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멀티채널 무선 도어폰 송신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이머 2 : 전원발생부
3 : 전원제어부 4 : 카메라부
5 : 딥 스위치 6 : D/A컨버터
7 : 전압제어 오실레이터 8 : 주파수 발생부
9 : 변조기 10 : 전력 증폭기
11 : 송신부 VC1: 가변용량 다이오드
본 고안은 멀티채널 무선 도어폰 송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개의 무선 채널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채널을 사용하여 방문자가 무선으로 송신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도어폰은 제1도와 같이 방문자가 스위치(SW)를 온시키면 방문자가 영상처리하고 멜로디를 발생하며 모(母)기부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21), 멜로디 발생기 (22), 송수화기 (23)로 된 자 (子)기부(24)와, 상기 자기부(24)의 신호를 유선으로 받아 방문자의 영상을 나타내며 멜로디를 발생하고 자기부(24)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표시기(25), 송수화기(26)로 된 모기부(27)로 구성되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은 방문자가 스위치(SW)를 온하면 자기부(24)의 카메라(21)는 방문자를 영상처리함과 동시에 멜로디 발생기(22)는 멜로디를 발생하고, 이에따라 모기부(27)의 화상표시기(25)는 자기부(24)의 신호를 유선으로 받아 방문자를 영상화하여 지속적으로 나타내 주는 동시에 자기부(24)의 멜로디를 발생시켜 주었다.
또한, 통화모드가 되면 두 송수화기 (23) (26)는 통화할 수 있고, 통화 모드가 오프되면 상기 모든 동작이 오프되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기술은 자기부(24)와 모기부(27)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별도의 케이블이 필요하므로 기존 주택에 시공하기가 어려우며 원가도 상승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여러개의 무선 채널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입의의 채널을 사용해서 방문자가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는 무선 도어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멀티 채널 무선 도어폰 송신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방문자가 스위치(벨)를 온시킨 후 일정시간동안 전원을 발생하는 저항(R1), 캐패시티 (C1), 타이머(1), 스위치(SW1), 전원 발생부(2)로 된 전원 제어부(3)와, 상기 전원 제어부(3)의 전원을 인가받아 방문자를 영상처리하는 카메라부(4)와, 상기 카메라부(4)의 영상신호와 마이크로부터 받은 방문자의 음성신호를 사용자가 선택한 주파수로 합성 변조시켜 안테나를 통해 무선 송신시키는 딥 스위치(5), D/A 컨버터 (Digital/Analog Converter) (6), 주파수 발생부 (8), 변조기(9), 전력 증폭기 (10)로 된 송신부(11)로 구성되며 상기 전원 발생부(2)는 저항(R2~R4), 트랜지스터 (Q1) (Q2)로 구성되고 주파수 발생부 (8)는 OP앰프 (IC1), 저항 (R5) (R6), 캐패시터 (C2~ C4), 가변용량 다이오드 (Varactor) (VC1), 코일 (L1), 전압제어 오실레이터(7), 가변저항기 (VR1)로 구성된다.
단, 상기 도면중에서 설명되지 않은 n은 임의의 정수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방문자가 전원 제어부(3)의 스위치(SW1)를 온하면, 저항 (R1)과 캐패시터 (C1)에 의해 타이머(1)에 트리거 펄스가 인가되어 상기 저항 (R1)과 캐패시터 (C1)의 시정수동안 타이머(1)가 전압을 발생하므로 트랜지스터(Q1) (Q2)가 온되어 카메라부(4)와 송신부(11)에 전원(Vcc)이 인가된다.
따라서, 카메라부(4)에 의해 방문자가 영상처리됨과 동시에 송신부(11)의 딥 스위치(5) 조작(예로서 111, 110, … 등)에 의해 정해진 한가지 값 (디지탈 신호)이 D/A 컨버터 (6)를 통하여 직류전압으로 변환되어 OP앰프(IC1)에 인가되므로 전압제어 오실레이터(7)에 필요한 전압으로 증폭된 후 저항(R6)을 통해 가변용량 다이오드 (VC1)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가변용량 다이오드(VC1)는 상기 OP 앰프(IC1)의 전압에 의해 내부 캐패시턴스가 변화되어 코일(L1)과 함께 전압제어 오실레이터(7)로 부터 출력되는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어수단을 이룬다.
즉, 전압제어 오실레이터(7)의 발생주파수는 가변용량 다이오드(VD1)의 내부 캐패시턴스와 코일(L1)에 의해 정해지며, 가변용량 다이오드 (VC1)의 입력 전압이 변동되면 전압제어 오실레이터(7)의 발생주파수도 변동된다.
또한, 변조기(9)는 카메라부(4)의 영상신호와 마이크로 부터 방문자의 음성신호를 받아 전압제어 오실레이터(7)의 발생 주파수로 합성 변조하고 전력 증폭기(10)를 통해 증폭하여 수신측(사용자)에서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발생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여러가지 무선 채널중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무선 채널을 사용하여 방문자가 송신하므로 인접 이웃 상호간에 주파수 간섭없이 도어폰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무선으로 통화가 가능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스위치가 온되면 일정시간동안 전원을 발생하는 전원 제어부(3)와, 상기 전원 제어부(3)의 전원을 인가받아 방문자를 영상처리하는 카메라부(4)와, 상기 카메라부(4)의 영상신호와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인접 주파수와 간섭되지 않도록 선택한 주파수로 합성 변조시켜 수신측으로 무선 송신시키는 송신부(1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멀티채널 무선 도어폰 송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원 제어부(3)는 설정된 시간동안 전압을 발생하는 타이머(1)와, 상기 타이머(1)의 전압을 받아 설정된 시간동안 전원을 발생하는 전원 발생부(2)로 이루어진 멀티채널 무선 도어폰 송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송신부(11)는 디지탈 신호를 발생하는 딥 스위치(5)와, 상기 딥 스위치(5)의 디지탈 신호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D/A 컨버터(6)와, 상기 D/A컨버터(6)의 직류에 따라 변조용 주파수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부(8)와, 상기 주파수 발생부(8)의 변조용 주파수를 받아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합성 변조시키는 변조기(9)와, 상기 변조기(9)의 변조신호를 증폭하여 무선으로 송신시키는 전력 증폭기 (10)로 이루어진 멀티채널 무선 도어폰 송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주파수 발생부(8)는 가변용량 다이오드(VC1)의 내부 캐패시턴스를 변화시켜 코일(L1)과 함께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7)의 발생 주파수를 변동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무선 도어폰 송신장치.
KR92005358U 1992-04-02 1992-04-02 멀티채널 무선 도어폰 송신장치 KR950002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5358U KR950002119Y1 (ko) 1992-04-02 1992-04-02 멀티채널 무선 도어폰 송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5358U KR950002119Y1 (ko) 1992-04-02 1992-04-02 멀티채널 무선 도어폰 송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605U KR930024605U (ko) 1993-11-27
KR950002119Y1 true KR950002119Y1 (ko) 1995-03-24

Family

ID=19331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5358U KR950002119Y1 (ko) 1992-04-02 1992-04-02 멀티채널 무선 도어폰 송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1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605U (ko) 199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831501T2 (de) Heimunterhaltungsnetzwerk basierend auf einem netzwerk-protokoll
FI83576C (fi) Foerfarande och kopplingsarrangemang foer reglering av ljudstyrkan vid en mobiltelefon.
JP3586071B2 (ja) カラーテレビドアホン装置
US4315109A (en) Electronic ring sounder for a speaker telephone
KR950002119Y1 (ko) 멀티채널 무선 도어폰 송신장치
US3823375A (en) System for transmitting priority messages and secondary messages
US4359610A (en) Telephone ringing circuit
KR940023256A (ko) 무선 비디오 도어폰 장치
ATE249704T1 (de) Rufgeneratorschaltung
JPS61179643A (ja) 呼出音量自動調整機能付電話機
KR900007064B1 (ko) Tv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화기의 핸드셋 장치
KR960007199Y1 (ko) 전화통화시 오디오볼륨 제어회로
US3286184A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JP3116433B2 (ja) 電話装置
KR930005470A (ko) 방문자 확인 및 문 개폐 방식과 회로
RU1811026C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номной двухабонентной телефонной св зи
KR890003426Y1 (ko) 무선전화기로 사용 가능한 무선인터폰 회로
JPS6033765A (ja) ト−ンリンガ回路
KR19990001525A (ko) 리모콘 위치알림장치
US4107495A (en) Electronic tone ringer
KR900002738B1 (ko) 무선전화기의 혼선방지 기능제어회로
KR920001540Y1 (ko) 전화기의 전용회선 시험장치
IE872384L (en) Speech circuit for telephone
KR200293750Y1 (ko) 비디오폰의 콜음 출력회로
KR0136338B1 (ko) 통화상태 검출장치를 구비한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