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071Y1 - 씽크대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씽크대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071Y1
KR950002071Y1 KR92007705U KR920007705U KR950002071Y1 KR 950002071 Y1 KR950002071 Y1 KR 950002071Y1 KR 92007705 U KR92007705 U KR 92007705U KR 920007705 U KR920007705 U KR 920007705U KR 950002071 Y1 KR950002071 Y1 KR 950002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ywood
reinforcing member
sink
upper plywood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7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902U (ko
Inventor
김대경
Original Assignee
김대경
주식회사 신일비닐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경, 주식회사 신일비닐상사 filed Critical 김대경
Priority to KR92007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071Y1/ko
Publication of KR9300249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9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0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씽크대의 조립구조
제1도는 종래에 의한 씽크대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씽크대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조립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보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씽크대 11 : 상측합판
11a : 전측수직부 12 : 하측합판
13 : 보강부재 13a : 선단부
13b : 타원곡면 13c : 후단부
13d : 경사부 14 : 고정부재
15 : 장식부재 H : 두께
R : 틈새
본 고안은 씽크대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씽크대 위에 고인 물이 선단부를 통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선단에 물흐름방지턱으로 사용되는 타원곡면을 갖는 보강부재를 결합하는 씽크대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씽크대의 조립구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씽크대(1)는 재질이 목재인 상측합판(2)과 보강합판(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합판(3)은 상측합판(2)에 대해 짧은 길이를 갖고 상측합판(2)의 단부에 본딩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상측합판(2)의 하부면에 대해 상기 보강합판(3)이 결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재질이 목재인 하측합판(4)이 본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호결합된 상태의 상기 상측 및 보강합판(2)(3)의 선단부는 완만한 타원형곡면을 이루도록 가공 처리되어 있고, 그 상측합판(2)의 상부면에는 상측합판(2)의 상부면보다 약간 높게 돌출되어서 상측합판(2) 위에 고인물(액체)등이 가장자리주변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물흐름 방재부재(5)가 록킹되어 있다.
즉, 물흐름방재부재(5)는 단면이 대체로 "T"자 형상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면은 상기 상측합판(2)과 보강합판(3)이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된 타원곡면의 연장선이 되도록 호형부(5a)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에는 양측이 톱니형상을 갖는 록킹돌기부(5b)가 형성되어서 그 록킹돌기부(5b)가 상기 상측합판(2)에 형성된 오목홈(2a)에 록킹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측 및 보강합판(2)(3)과 물흐름 방지부재(5)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표면에는 임의의 무늬형상과 모양을 갖는 장식부재(6)가 인력(引力)에 의해서 접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이 결합된 씽크대(1)는 물품보관함의 기능을 갖는 받침대(7)에 의해 지지되어, 씽크대(1) 상에는 도시하지 않은 가전제품(전자레인지, 가스레인지, 식기세척기 등) 및 주방용품 등을 재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예에 의한 씽크대의 조립구조는, 여러작업공정에 의해 상측 및 보강합판(2)(3)과, 물흐름방지부재(5) 및 장식부재(6)가 각각 가공처리되어 있어 상호 록킹 및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조립시에 작업공수가 증가됨에 따라 작업능률이 저하되었고, 이로 인하여 대량 생산을 할 수 없어 제조코스트를 상승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공정을 단순화시켜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씽크대를 대량 생산할 수 있어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는 씽크대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씽크대의 조립구조는, 하측합판의 상부에 포개져서 선단부가 상기 하측합판보다 더 앞쪽으로 돌출된 상측합판과 상기 상측합판의 앞쪽 및 상부면에 본딩에 의해 조립된 장식부재를 구비한 씽크대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측합판위에 고인물이 선단측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측합판의 선단에 돌출된 저면 및 상기 하측합판의 앞쪽면에는 고정부재에 의해 보강부재가 당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참조부호(10)은 공지의 받침대(7)에 의해 지지되는 씽크대로서, 이 씽크대(10)는 재질이 목재인 상측합판(11)과 하측합판(12)이 포개져서 상호 접착제를 개재하여 본딩 결합될 때 상측합판(11)이 하측합판(12)에 대해 일정한 길이만큼 선단부가 돌출되도록 되어 있고, 이 돌출된 상측합판(11)의 전면 및 하부면에는 전면이 타원형곡면을 갖도록 사출성형된 보강부재(13)가 결합되어 있다.
즉, 보강부재(13)의 선단부(13a)는 상측합판(11)과 하측합판(12)이 결합되어서 형성된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 타원곡면형(13b)으로 형성하고, 이 타원곡면형(13b)에 대해 상부측은 상기 상측합판(11)의 상부면보다 높이 H만큼 높은 위치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후단부(13c)는 하측합판(12)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서 그 상부면은 상기 상측합판(11)의 돌출부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후단부(13c)를 통해 상측합판(11)내에 매설되어서 적어도 2개이상의 고정부재(14)에 의해 상호 결합해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선단부(13a)와 후단부(13b)로 구획되는 보강부재(13)의 상측 후면에는 경사부(13d)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부(13d)의 하단부는 상기 상측합판(11)의 프론트측수직부(11a) 하단과, 대체로 맞닿고 상부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상측합판(11)이 계절에 따라 변화되는 기온과 습기등에 의해서 신축되는 여유공간, 즉 틈새(R)를 제공한다.
한편, 상측합판(11)과 보강부재(13)가 상호결합된 상태의 겉표면에는 임의의 무늬 형상과 모양을 갖는 장식부재(15)가 인력에 의해서 본딩되어 있다. 이때 상측합판(11)과 보강부재(13)와의 겉표면에 장식부재(15)를 접착고정한 상태에서 보강부재(13)의 상부측 타원형곡면(13b)부분은 상측합판(11)의 상부면보다 상향돌출되는 높이(H)를 갖도록 하여서 상측합판(11) 위에 고인 물등이 보강부재(13)의 표면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합판(11)과 하측합판(12)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합판(11)의 앞쪽에 돌설된 부분에 사출성형된 합성수지제의 보강부재(13)를 조립할려면, 먼저 보강부재(13)의 후단부(13c)를 후측을 향해 위치시킨 다음, 그 후단부(13c)의 상부면과 후측면이 돌출된 상측합판(11)의 하부면과 하측합판(12)의 앞쪽 수직면에 각각 맞닿도록 밀착시킨 후, 보강부재(13)의 후단부(13c)와 상측합판(11)의 돌출부(부호 도시안됨)를 밀착시키고 상측합판(11)과 보강부재(13)을 고정부재(14)에 의해 상호 고정결합시킨다. 다음에 이어지는 고정에 따라 장식부재(15)를 상측합판(11)과 보강부재(13)의 겉표면에 접착제를 개재시켜 인력에 의해 본딩시켜 조립을 완료시킨다.
이때, 보강부재(13)의 경사부(13d)는 상측합판(11)의 앞쪽 수직부(11a)에 대해 하부쪽이 맞닿으면서 상부쪽으로 올라 갈수록 벌어지는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그 사이의 틈새(R)가 상측합판(11)이 계절에 따라 변화되는 기온과 습기 등에 의해서 신축될 때 상측합판(11)과 보강부재(13)와의 균일 및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13)의 타원형곡면(13b)의 상측부분은 상측합판(13)의 상부면보다 두께가 H만큼 두껍게 되어 있으므로, 상측합판(11)위에 고인물 등이 보강부재(13)의 표면을 따라 하부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씽크대의 조립구조는, 상측합판 위에 고인물이 보강부재의 표면을 타고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부재를 사출성형에 의해 대량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씽크대를 대량생산할 수 있어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측합판(12)의 상부에 포개져서 선단부가 상기 하측합판(12)보다 더 앞쪽으로 돌출된 상측합판(11)과, 상기 상측합판(11)의 앞쪽 및 상부면에 본딩에 의해 조립된 장식부재(15)를 구비한 씽크대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측합판(11)위에 고인 물이 선단측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측합판(11)의 선단에 돌출된 저면 및 상기 하측합판(12)의 앞쪽면에는 고정부재(14)에 의해 보강부재(13)가 당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의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13)는 선단부(13a)와 후단부(13c)로 구획되어서 상기 선단부(13a)는 상기 상측합판(11)과 하측합판(12)을 합친 두께보다 H만큼 높은 타원형곡면(13b)를 형성하고, 이 타원형곡면(13b)이 끝나는 상측중간에는 상기 상측합판(11)의 앞쪽 수직부(11a)와 떨어져 틈새(R)를 형성하도록 경사부(13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의 조립구조.
KR92007705U 1992-05-07 1992-05-07 씽크대의 조립구조 KR950002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705U KR950002071Y1 (ko) 1992-05-07 1992-05-07 씽크대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705U KR950002071Y1 (ko) 1992-05-07 1992-05-07 씽크대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902U KR930024902U (ko) 1993-12-16
KR950002071Y1 true KR950002071Y1 (ko) 1995-03-24

Family

ID=1933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7705U KR950002071Y1 (ko) 1992-05-07 1992-05-07 씽크대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0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902U (ko) 199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9008A (ko) 가구의 덮개와 이 가구의 지지체와의 체결 구조체
US2981580A (en) Counter construction
US20100107937A1 (en) Worktop for Household Appliance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950002071Y1 (ko) 씽크대의 조립구조
USD490611S1 (en) Wooden basket
CN115844153A (zh) 复合结构板和包括该复合结构板的家具
WO1998021727A1 (en) Two-piece control panel used for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s
RU2000123434A (ru) Клапанная форсунка для впрыскивания топлива
KR970064554A (ko) 위성형 보조 노즐이 장착된 식기 세척기용 분사 노즐
KR200417993Y1 (ko) 가정용 욕조
KR200263629Y1 (ko) 씽크대 상판의 조립구조
KR200284180Y1 (ko) 싱크대 상판의 뒷선반
KR200236336Y1 (ko) 양면도마
KR960003130Y1 (ko) 책상모서리용 보조 덮개 부재
KR910002188Y1 (ko) 합성수지제 조립식의자
KR960009840Y1 (ko) 선반 재치대
KR950010452Y1 (ko) 자외선 식기 살균기
CN210612083U (zh) 一种洗碗机内胆组件
KR200338110Y1 (ko) 냉장고용 유리선반
KR101226800B1 (ko) 냉장고용 선반 구조
JPH04191023A (ja) 蓋形成形品の成形方法
KR100309216B1 (ko) 씽크대 상판
JPH0513228Y2 (ko)
KR100439904B1 (ko) 웨이스트라인 몰딩의 표면수축 방지구조
KR19990012961U (ko) 냉장고 캐비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