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840Y1 - 선반 재치대 - Google Patents

선반 재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840Y1
KR960009840Y1 KR2019930013158U KR930013158U KR960009840Y1 KR 960009840 Y1 KR960009840 Y1 KR 960009840Y1 KR 2019930013158 U KR2019930013158 U KR 2019930013158U KR 930013158 U KR930013158 U KR 930013158U KR 960009840 Y1 KR960009840 Y1 KR 960009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mounting table
rods
hole
rect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3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839U (ko
Inventor
차영철
Original Assignee
차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영철 filed Critical 차영철
Priority to KR2019930013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840Y1/ko
Publication of KR9500028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8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8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반 재치대
제1도는 본 고안의 선반 재치대와 선판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재치대에 선반을 설치한 상채의 축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재치대에서 선반이 유동되는 상태를 보인 일부 평면도.
제4도는 종래의 선반 재치대에 선반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일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반 2 : 재치대
11 : 보강대 12 : 연결간
13 : 통공 14 : 걸림구멍
21 : 고정구 22 : 받침대
23 : 탄성 걸림편
본 고안은 화장실이나 욕실 및 주방등과 같은 장소에서 비교적 그 비푸가 적고무게가 가벼운 물건등을 간편하게 올려 놓았다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반을 보다 간편하게 분해조립시킬 수 있도록 한 선반 재치대의 구조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반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물건등이 직접적으로 얹혀지는 선반(31)은 소정거리를 두고 등간격으로 배열된 수개의 철재 횡봉(311)의 저부에 비교적 큰 거리를 두고 수개의 종봉(312)을 배열시켜 상호 용접에 의해 일체화시키고, 못등을 이용하여 벽등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31)을 재치시켜 주는 선반 재치대(32)는 고정구(32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길게 돌출된 받침대(322)의 상면에 상기 횡봉(311)이 각각 끼워지는 걸림홈(323)이 전후면에 구비된 걸림구(324)를 소정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선반 재치대(32)에 선반(31)을 조립시키거나 재치대(32)에 조립된 선반(31)을 분해코자 할 때에는 선반(31)의 일측부터 소로 인접한 횡봉(311)을 걸림구(324)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오무린 상태에서 재치대(32)의 걸림구(324)사이로 끼워 자체 복원력에 걸림구(324)들의 걸림홈(323)에 끼워지도록 하거나, 걸림구(324)의 걸림홈(323)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빼내야만 되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은 선반의 횡봉이 수개이고, 또 재치대의 걸림구는 상기 횡방에 반이 숫자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접한 횡봉들을 각각 잡아 오무린 상태에서 두 개의 걸림구 사이로 일일이 빼내거나 집어 넣는 작업을 수회에 걸쳐 반복 실시해야만 비로서 분해 및 조립이 완료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횡봉들의 저부에서 재치대에 인접한 곳에는 종봉이 용접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횡봉을 걸림구 사이의 간격보다 좁히는 데 매우 큰힘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종봉이 오느정도 휘어저야만 상기 횡봉들을 걸림구 사이에서 빼낼 수 있는 데 횡봉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종봉의 지름은 비교적 큰 것을 사용하게 되므로 잘 휘어지지 않아 재치대와 선반을 상호 분해조립시키는 작업이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고, 또 그들의 구성이 보잡하여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됨은 물론 사용자로부터 신뢰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선반의 분해조립을 적은 힘으로 매우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선반 재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그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신뢰도를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반 재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선빈이 올려지는 재치대의 고정구에서 전방으로 길게 돌출되는 받침대의 상면에 비교적 적은 숫자의 탄성걸림편을 형성하여 선판에 천공된 장방형 걸림구멍에 끼워지도록 하므로서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선반 재치대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수개의 보강대(11)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대(11)사이의 공간부엔느 비교적 그 두께가 얇은 판상의 연결간(12)들을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연결간(12)상에는 각각 소정간격을 두고 크고 작은 통공(13)을 형성함과 동시에 수개의 연결간(12)에는 장방형의 걸림구멍(14)을 형성하여서된 합성수지재의 선반(1)과; 고정구(21)와 받침대(22)를 구비하고 벽면등지에 고정되아 싱기 선반(1)의 장방형 걸림구멍(14)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탄성 걸림편(23)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선반(1)의 장방형 걸림구멍(14) 주변의 보강대(11)는 연결간(12)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재치대(2)의 탄성 걸림편(23)이 장방형의 걸림구멍(14)에 끼워졌을시, 그의 단부 높이가 보강대(11)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이 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선반 재치대(2)에 장착되어 소정의 물건들이 직접적으로 올려지는 선반(1)을 형성할 시, 선반(1)이 부러지거나 휘는 것을 감안하여 비교적 그 굵기가 횡방향으로 보강대(11)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대(11)사이에는 그 두께가 비교적 얇은 연결간(12)을 형성하여 연결간(12)을 사이에 두고 보강대(11)들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보강대(11)의 양단부 사이는 상기 보강대(11)의 굵기와 동일하게 형성하므로서 결과적으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 선반(1)의 상하부가 상기 보강대(11) 및 연결간(12)에 의해 각각 길아방향으로 산과 골을 이루는 형성이 되어 선반(1)의 전체적인 강도가 철사를 사용하여 형성한 종래의 선반과 거의 동일하게 된다.
또, 상기 보강대(11)들은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의 마찰력이 양호하여 선반(1)에 올려지는 몰건이 미끄러져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재치대(2)에 얹혀지는 선반(1)이 종래의 철재 선반과 같이 물이나 습기등에 녹슬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그 강도는 강하면서도 그 무게는 매우 가볍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간(12)상에는 크고 작은 타원형의 통공(1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선반(1)을 청소할시 상기 통공(13)을 통해 물이나 작은 이물질 등이 손쉽게 빠져 나갈수 있고, 동시에 연결간(12)이 완전시 막혀 있는 상태보다 그 외관이 미려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간(12)중 수개의 연결간에는 장방형의 걸림구멍(14)을 형성하여 선반(1)에 종방향으로 이루도록 하되, 걸림구멍(14)의 전, 후부에 존재하는 보강대(11)의 상부 일부는 연결간(12)의 상면과 일치되게 형성하므로써, 재치대(2)의 탄성 걸림편(23)이 상기 장방형의 걸림구멍(14)에 끼워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걸려졌을시, 그의 단부가 높이가 제2도와 같이 보강대(11)의 놀이와 동일하게 되어 탄성 걸림편(23)이 보강대(11)의 높이 보다 높게 돌출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걸리적 거림 및 물건이 경사지게 올려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못걸이홈(24)이 상하부에 형성되어 벽등지에 직접 고정되는 선반 재치대(2)의 고정구(21)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선반(1)의 넓이만큼 돌출 형성된 받침대(22)의 상면에는 상기 장방형 걸림구멍(14)에 끼워지는 걸림편(23)을 소정이 탄성력을 갖도록 일체로 돌출 형성시켜 준다.
따라서, 상기 재치대(2) 2개를 벽등지에 못등을 이용하여 소정간격(즉, 선반(1)양측의 장방향 걸림구멍(14)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거리)을 두고 고정 설치한 다음, 상기 재치대(2)의 고정구(21) 상면에 선반(1)을 적절히 올려 놓고 상부로부터 눌러주면, 상기 걸림편(23)의 양단부가 걸림구멍(14)의 양측면에 의해 상호 내측으로 밀리면서 끼워지게 되므로 상기 선반(1)이 재치대(2)에 고정된다.
즉, 상기 받침대(22)의 탄성 걸림편(23)의 단부가 장방형 걸림구멍(14)을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므로 제2도와 같이 장방형 걸림구멍(14)의 전,후부에 걸리게 되어 상기 선반(1)이 재치대(2)의 고정대 상면에 완벽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선반과 같이 각각의 횡봉들을 일일이 오무릴 필요가 없이 재치대(2)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측에서 눌러주기만 하면 선반(1)이 재치대(2)에 고정되므로 그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선반(1)의 걸림구멍(14)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지치대(2)이 설치위치에 따라서 또는 선반(1)의 일측면이 벽과 같은 고정물에 닿을 경우, 제3도의 화살표와 같이 상기 선반(1)을 일측으로 잡아 당기거나 밀어 주면, 상기 탄성걸림편(23)가 장방형 걸림구멍(14)내에서 어느정도 범위내에서 (즉 장방형걸림구멍(14)의 길이 범위내에서)습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재치대(2)에 고정된 선반(1)을 재치대(2)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기존에서와 같이 선반의 횡봉을 고정구로부터 일일이 빼낼 필요없이, 재채대(2)의 고정구(21)상면에 돌출 형성된 3개의 탄성 걸림편(23)을 각각 장방형 걸림구멍(14)의 넓이보다 작게 오무린 상태에서 선반(1)을 상방으로 잡아당겨 주면되므로 그의 분해작업에 있어서도 매우 간편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선반이 올려져 고정되는 재치대의 고정구에서 전방으로 길게 돌출되는 받침대의 상면에 비교적 적은 숫자의 탄성 걸림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선판에 천공된 장방형 걸림구멍서 습동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므로서 선반의 분해조립을 적은 힘으로 매우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횡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수개의 보강대(11)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대(11)사이의 공간부에는 비교적 그 두께가 얇은 판상의 연결간(12)들을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연결간(12)상에는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크고작은 통공(13)을 형성함과 동시에 수개의 연결간(12)에는 장방형의 걸림구멍(14)을 형성하여서된 합성수지재의 선반(1)과; 고정구(21)와 받침대(22)를 구비하고 벽면등지에 고정되어 상기 선반(1)을 고정시켜 주는 선반 재치대(2)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재치대(2)의 받침대(22) 상면에서 선반(1)의 장방형 걸림구멍(14)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한 걸림편(23)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재치대.
KR2019930013158U 1993-07-16 1993-07-16 선반 재치대 KR960009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158U KR960009840Y1 (ko) 1993-07-16 1993-07-16 선반 재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158U KR960009840Y1 (ko) 1993-07-16 1993-07-16 선반 재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839U KR950002839U (ko) 1995-02-16
KR960009840Y1 true KR960009840Y1 (ko) 1996-11-13

Family

ID=1935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3158U KR960009840Y1 (ko) 1993-07-16 1993-07-16 선반 재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8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407Y1 (ko) * 2012-09-26 2014-07-02 임서용 조립식 앵글 선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160Y1 (ko) * 2020-01-20 2021-08-18 왕자엔에이치시 주식회사 조립식가구용 선반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407Y1 (ko) * 2012-09-26 2014-07-02 임서용 조립식 앵글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839U (ko) 199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0090A (en) Slat assembled chair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US6439220B1 (en) Barbecue grill and cart assembly
CA1067022A (en) Pallet construction
IE48579B1 (en) Shelving system
US4658467A (en) Luggage handle
KR960009840Y1 (ko) 선반 재치대
US3163132A (en) Support assembly for a perforated board
US6003694A (en) Wall mounted clothes hanger support
KR100683494B1 (ko) 넉다운 가구
KR100466260B1 (ko) 다용도 조립식 수납 가구
KR200494160Y1 (ko) 조립식가구용 선반조립체
KR101392000B1 (ko)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
KR200418240Y1 (ko) 조립식 책상
KR100614156B1 (ko)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
US20040195480A1 (en) Display assembly
KR200257658Y1 (ko) 다용도 조립식 수납 가구
KR200349008Y1 (ko) 조립식 수납장
KR200259369Y1 (ko) 조립식선반
KR102603544B1 (ko) 싱크대 상판 보강프레임
KR200332577Y1 (ko) 내구재 결합용 브라켓
KR950010413Y1 (ko) 발포 수지를 이용한 침대용 사이드 보드(Side Board)
KR200169248Y1 (ko) 조립식 선반집기
KR200315819Y1 (ko) 싱크대용 조립식 간이선반
KR960009818Y1 (ko) 장식대용 조립식 블럭
JPH088663Y2 (ja) ブラケッ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