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000B1 -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000B1
KR101392000B1 KR1020130018984A KR20130018984A KR101392000B1 KR 101392000 B1 KR101392000 B1 KR 101392000B1 KR 1020130018984 A KR1020130018984 A KR 1020130018984A KR 20130018984 A KR20130018984 A KR 20130018984A KR 101392000 B1 KR101392000 B1 KR 101392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astener
fastening
sub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석
김성남
Original Assignee
(주)생활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생활낙원 filed Critical (주)생활낙원
Priority to KR1020130018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41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5Combination of corners and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2012/443Leg joints; Corner joints with two-dimensional corner element, the legs thereof being inserted in hollow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의 일 태양(aspect)에 따르면, 판상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판재; 및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판재를 결합시키는 체결유닛;으로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두 개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는 제1 체결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구되며 그 개구된 방향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두 개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는 제2 체결구, 일측에 하나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며 타측에 체결돌기를 가지는 제1 서브체결구와 일측에 하나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며 타측에 상기 체결돌기와 결합되는 체결홈을 가지는 제2 서브체결구로 구성되는 제3 체결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두 개의 판재끼움홈 및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하나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는 제4 체결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구되며 그 개구된 방향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고 평행한 두 개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는 제5 체결구 및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네 개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는 제6 체결구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 또는 둘 이상의 체결구 조합으로 구비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PARTS SET FOR ASSEMBLY TYPE FURNITURE}
본 발명(Disclosure)은 전체적으로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급된 판재와 결합구를 이용하여 조립자의 의도에 따라 가구의 형상 또는 가구의 종류를 다양하게 변형시켜 연출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의 부품 셋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조립식 가구는 부품 상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되고, 소비자가 이를 직접 조립하여 설치하는 가구를 의미한다.
완제품으로 제작된 가구에 비해 운송 비용 및 조립 비용 등이 절감되므로 가격이 싼 장점과 소비자가 직접 조립 및 설치과정에서 얻는 성취감 등으로 인해 수요가 크게 증가되고 있다.
또한 최근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해 디자인보다 실용성이 보다 중시되는 점도 조립식 가구의 인기를 증가시키고 있다.
조립식 가구의 예로는 초기 천정과 바닥에 양단을 압축 고정시키는 행거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최근에는 파티션, 책상, 의자, 옷장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가구가 조립식으로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가구는 목적하는 가구를 형성하는 판재와 그것들을 연결하는 체결구로 구성되며, 체결구는 특정한 기능을 위해 제공되는 것과 일반적인 볼트와 너트 등으로 구성된다.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0944753호(2010.02.22),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0782634호(2007.11.29)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 기술에 개시된 조립식 가구의 공통점은 소비자 구입한 부품 셋으로 제작할 수 있는 가구가 하나로 특정된다는 점이다.
즉, 책상을 예로 들면 소비자에 제공된 부품들의 조립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특정한 형상의 책상에 한정되고, 그 구조를 변경하거나 제공된 부품을 이용하여 변형된 형상의 책상 또는 다른 종류의 가구, 예를 들면 소비자의 개성이 반영된 형상을 가지는 책상 또는 의자, 탁자와 같은 다른 종류의 가구를 제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소비자가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종류의 가구로 변형하여 조립하는 것이 가능한 판재와 그 결합구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종류의 가구로 변형하여 조립하는 것이 가능한 판재와 그 결합구를 가지는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의 일 태양(aspect)에 따르면, 판상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판재; 및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판재를 결합시키는 체결유닛;으로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두 개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는 제1 체결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구되며 그 개구된 방향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두 개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는 제2 체결구, 일측에 하나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며 타측에 체결돌기를 가지는 제1 서브체결구와 일측에 하나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며 타측에 상기 체결돌기와 결합되는 체결홈을 가지는 제2 서브체결구로 구성되는 제3 체결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두 개의 판재끼움홈 및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하나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는 제4 체결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구되며 그 개구된 방향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고 평행한 두 개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는 제5 체결구 및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네 개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는 제6 체결구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 또는 둘 이상의 체결구 조합으로 구비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이 제공된다.
상기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판재의 측단 중 다른 판재와 결합되지 않은 측단에 끼워져 결합되며,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01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는 측단 마감재;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구는,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02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서로 다른 두 개의 판재를 직교하도록 결합시키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구는,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03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서로 다른 두 개의 판재를 수평이 되도록 결합시키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에 있어서, 상기 제3 체결구는,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04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는 제1 서브체결구와,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05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는 제2 서브체결구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서브체결구와 상기 제2 서브체결구의 결합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서로 다른 두 개의 판재를 수평이 되도록 결합시키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에 있어서, 상기 제4 체결구는,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06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서로 다른 세 개의 판재를 결합시키되, 상기 서로 다른 세 개의 판재 중 두 개의 판재는 수평으로 결합시키고, 나머지 하나의 판재는 수평으로 연결된 상기 두 개의 판재에 대해 직교하도록 결합시키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에 있어서, 상기 제5 체결구는,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07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두 개의 판재를 서로 평행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에 있어서, 상기 제6 체결구는,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08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서로 다른 네 개의 판재를 상호 직교하도록 결합시키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판재는, 허니컴 판재 또는 합성수지 발포폼으로 구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그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지는 부재로 구비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의 일 예에 의하면,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을 판매하는 판매자에 의해 조립식 가구의 종류 및 형상이 결정되지 않고, 조립자가 복수 개의 판재와 그것을 결합시키는 다양한 형상의 결합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종류의 가구를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조립자의 개성이 반영된 조립식 가구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조립자의 만족도가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다양한 형상의 판재와 체결구를 이용하여 조립자가 다양한 형상의 가구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조립자의 성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부품 셋의 체결유닛을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체결유닛을 이용하여 조립한 조립식 가구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A-A'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에서 B-B'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2에서 C-C'를 보인 도면,
도 6 내지 도 9은 도 2의 변형예로서 도 4과 같이 B-B'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도 2의 다양한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부품 셋의 체결유닛을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체결유닛을 이용하여 조립한 조립식 가구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A-A'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에서 B-B'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2에서 C-C'를 보인 도면, 도 6 내지 도 9은 도 2의 변형예로서 도 4과 같이 B-B'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100)은 복수 개의 판재(110)와 둘 이상의 판재(110)를 결합시키는 체결유닛(120)으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제공된 판재(110)와 체결유닛(120)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립식 가구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판재(110)는 판상으로 구비되는데, 다양한 형상의 조립식 가구를 연출할 수 있도록 판재(110)는 허니컴 판재, 스티로폼과 같은 합성수지 발포폼 판재 등과 같이 절단이 용이한 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재(110)는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지는 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나, 가요성의 정도는 적정한 범위 내에서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판재(110)의 가요성을 제한하고 강도를 보완하기 위해 판재(110)의 상면과 하면에 합성수지 시트, 우드락 부재와 같은 보강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체결유닛(120)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두 개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는 제1 체결구(121),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구되며 그 개구된 방향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두 개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는 제2 체결구(122), 일측에 하나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며 타측에 체결돌기를 가지는 제1 서브체결구(123a)와 일측에 하나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며 타측에 상기 체결돌기와 결합되는 체결홈을 가지는 제2 서브체결구(123b)로 구성되는 제3 체결구(123),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두 개의 판재끼움홈 및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하나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는 제4 체결구(124),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구되며 그 개구된 방향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고 평행한 두 개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는 제5 체결구(125),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네 개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는 제6 체결구(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체결유닛(120)은 위 6개의 체결구 중 어느 하나의 체결구 만으로 구성되거나, 위 6개의 체결구 중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의 체결구들로 구성되는 것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위 6 개의 체결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체결구(121)는 도 1의 (a)와 같이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09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체결구(121)을 이용하면 서로 다른 두 개의 판재를 서로 직교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체결구(122)는, 도 1의 (b)와 같이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10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체결구(122)를 이용하면 서로 다른 두 개의 판재를 수평이 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제3 체결구(123)는, 도 1의 (c)와 같이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11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는 제1 서브체결구(123a)와,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12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는 제2 서브체결구(123b)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체결구(123)를 이용하면 제1 서브체결구(123a)와 제2 서브체결구(123b)의 결합에 의해 서로 다른 두 개의 판재를 수평이 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제4 체결구(124)는, 도 1의 (d)와 같이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13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며, 제4 체결구(124)를 이용하면 서로 다른 세 개의 판재를 결합시키되, 두 개의 판재는 수평으로 결합시키고, 나머지 하나의 판재는 수평으로 연결된 두 개의 판재에 대해 직교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제5 체결구(125)는, 도 1의 (e)와 같이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14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며, 제5 체결구(125)를 이용하면 서로 다른 두 개의 판재를 서로 평행하면서 단차지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제6 체결구(126)는, 도 1의 (f)와 같이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15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며, 제6 체결구(126)를 이용하면 서로 다른 네 개의 판재를 상호 직교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예에 있어서 체결유닛(120)은, 도 1의 (g)와 같이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16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고, 판재의 자유단 즉 다른 판재와 결합되는 않은 측단에 끼워져 결합되는 측단 마감재(127)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단 마감재(127)에 의해 판재(110)의 절단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외관 손상을 막아준다.
따라서, 본 예에 따른 체결유닛(120)에 의하면 도 2 내지 도 8과 같이 제1 체결구(121) 내지 제6 체결구(126) 및 측단 마감재(127) 중 선택된 체결구의 조합으로 복수 개의 판재(110)를 서로 다양한 방향과 형상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예에 따른 체결유닛(120)에 있어서, 제1 체결구(121) 내지 제6 체결구(126) 및 측단 마감재(127)는 모두 판재(110)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는데, 판재(100)의 두께에 대응하는 판재끼움홈의 폭은 판재끼움홈의 입구에서 판재(11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판재끼움홈의 입구 부분이 판재(1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판재끼움홈의 입구 부분과 판재(110) 사이의 틈으로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부품 셋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립식 가구가 제작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부품 셋을 이용하면, 특정한 한가지 형상으로만 제작되는 종래의 조립식 가구와 달리, 제공된 복수 개의 판재(110)와 체결유닛(120)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조립식 가구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12를 참조하면, 체결유닛(120)이 그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지도록 구비함으로써, 원판형, 원통형의 조립식 가구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판상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판재; 및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판재를 결합시키는 체결유닛;으로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두 개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는 제1 체결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구되며 그 개구된 방향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두 개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는 제2 체결구, 일측에 하나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며 타측에 체결돌기를 가지는 제1 서브체결구와 일측에 하나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며 타측에 상기 체결돌기와 결합되는 체결홈을 가지는 제2 서브체결구로 구성되는 제3 체결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두 개의 판재끼움홈 및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하나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는 제4 체결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구되며 그 개구된 방향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고 평행한 두 개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는 제5 체결구 및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네 개의 판재끼움홈을 가지는 제6 체결구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 또는 둘 이상의 체결구 조합으로 구비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판재는, 허니컴 판재로서 그 내부 전체에 허니컴 형상의 구멍을 가지는 허니컴 판재 또는 합성수지 발포폼으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어느 하나의 판재의 가장자리가 곡선인 경우에 그 곡선을 따라 휘어져 상기 판재의 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도록 그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지는 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판재의 측단 중 다른 판재와 결합되지 않은 측단에 끼워져 결합되며,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17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는 측단 마감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구는,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18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서로 다른 두 개의 판재를 직교하도록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구는,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19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서로 다른 두 개의 판재를 수평이 되도록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 체결구는,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20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는 제1 서브체결구와,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21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는 제2 서브체결구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서브체결구와 상기 제2 서브체결구의 결합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서로 다른 두 개의 판재를 수평이 되도록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4 체결구는,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22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서로 다른 세 개의 판재를 결합시키되, 상기 서로 다른 세 개의 판재 중 두 개의 판재는 수평으로 결합시키고, 나머지 하나의 판재는 수평으로 연결된 상기 두 개의 판재에 대해 직교하도록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5 체결구는,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23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두 개의 판재를 서로 평행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6 체결구는, '
    Figure 112013016050796-pat00024
    '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기둥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서로 다른 네 개의 판재를 상호 직교하도록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18984A 2013-02-22 2013-02-22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 KR101392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984A KR101392000B1 (ko) 2013-02-22 2013-02-22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984A KR101392000B1 (ko) 2013-02-22 2013-02-22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000B1 true KR101392000B1 (ko) 2014-05-07

Family

ID=50893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984A KR101392000B1 (ko) 2013-02-22 2013-02-22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0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120B1 (ko) * 2014-12-12 2017-06-20 정태철 가구용 지지 프레임
EP4082400A1 (fr) * 2021-04-30 2022-11-02 Pierre Saubot Meuble, notamment pour enfant, ainsi qu'ensemble mobilier corresponda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20Y1 (ko) * 2009-07-24 2010-02-03 이주민 수납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20Y1 (ko) * 2009-07-24 2010-02-03 이주민 수납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120B1 (ko) * 2014-12-12 2017-06-20 정태철 가구용 지지 프레임
EP4082400A1 (fr) * 2021-04-30 2022-11-02 Pierre Saubot Meuble, notamment pour enfant, ainsi qu'ensemble mobilier correspondant
FR3122324A1 (fr) * 2021-04-30 2022-11-04 Pierre SAUBOT Meuble, notamment pour enfant, ainsi qu’ensemble mobilier correspond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2102B2 (en) Wall panel system
JP2023507075A (ja) 機械式係止装置を有するパネルのセット
RU2726781C2 (ru) Набор из трех панелеобразных элементов
US20100290831A1 (en) Coupling assembly for furniture components
WO2000056996A1 (en) A floor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of making a floor assembly
US10107320B2 (en) Bidirectional modular assembly clip
US20150201759A1 (en) Chair
KR101392000B1 (ko)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
KR100300753B1 (ko) 선반 또는 수납장용 조립식 프레임 부재세트
US20200214446A1 (en) Decorative and strength enhancing assembly for wire shelving
KR200429011Y1 (ko) 디아이와이 책장
KR102474820B1 (ko) 조립식 수납장
JP2015000255A (ja) 複合板材、複合板材の製造方法、天板
CA2528573C (en) Modular moulding with fitted spline joinery system
KR200465616Y1 (ko) 책상 및 침대로 확장가능한 조립식 책장형 가구
KR20190000913U (ko) 조립식 책상프레임
WO2018152739A1 (en) Composite structure for furniture
KR102455512B1 (ko) 시스템 벽선반
KR960009840Y1 (ko) 선반 재치대
KR200257658Y1 (ko) 다용도 조립식 수납 가구
KR200478005Y1 (ko) 선박 가구의 조립식 모서리 연결구
EP2307628A1 (en) A modular system for partition or cladding
JP2018062816A (ja) フレーム材およびこのフレーム材を用いた構造物
WO2015124902A1 (en) Modular furniture kit
JP2004180807A (ja) 組立て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