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180Y1 - 싱크대 상판의 뒷선반 - Google Patents

싱크대 상판의 뒷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180Y1
KR200284180Y1 KR2020020011392U KR20020011392U KR200284180Y1 KR 200284180 Y1 KR200284180 Y1 KR 200284180Y1 KR 2020020011392 U KR2020020011392 U KR 2020020011392U KR 20020011392 U KR20020011392 U KR 20020011392U KR 200284180 Y1 KR200284180 Y1 KR 200284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fixing part
cover
stainless plat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식
Original Assignee
신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식 filed Critical 신용식
Priority to KR2020020011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1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180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의 위쪽에 벽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소형선반을 각각의 고정부와 스텐레스판을 이용하여 구성한 것으로써, 다양한형태의 선반이 가능하며, 별도의 체결수단이 필요없이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특성과 함께 미적인 기능과 선반으로써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Description

싱크대 상판의 뒷선반{The rear shelf for the sink}
본 고안은 싱크대 상판의 뒷선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있는 싱크대의 경우, 부착되는 개수대, 급수를위한 배관등의 형태 및 싱크대 상판부분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기위한 목적으로 부득이하게 싱크대의 뒷면이 벽에서 부터 일정거리만큼 떨어져서 시공된다. 이러한 이유로, 벽면과의 떨어진 공간에 해당되는 부분을 싱크대를 구성하는 재질로써 마감처리하게되고, 그것에 의하여 마감처리된 부분의 상단이 컵등과 같은 소형식기류를 수납하는 선반과 같이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이들 선반의 형태는 싱크대와 동일한 색상및 형태로써 마감처리되기 위하여 싱크대를 구성하는 압축합판이나 인조 대리석등을 절단하여 서로 부착된 형태로 주로 사용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마감처리되는 부분만큼 불필요한 자재가 필요하게 되었고, 그에따른 시공이 불편한 문제점과 함께 외관상 투박한 느낌을 주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보다 간단해진 시공과 함께, 자재의 절감과 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위한 새로운 시공방식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간단한 구조의 선반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본 고안에서는 싱크대의 상단으로 부착되는 선반을 경량화된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단순하게 구성하였다. 본 고안에서는 싱크대의 후면으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고정부분을 부착하고, 벽면부분에도 플라스틱재질의 조정부분을 부착한후 그 사이를 스텐레스 판으로 연결하여 선반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부착된 각각의 고정부분 사이로 스텐레스 판을 끼워서 결합시키는 것으로, 기존보다 훨씬 경량화된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설치가 간단하며, 또한, 결합되는 스텐레스판을 다양한 형태로 성형시킬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을 갖는 디자인으로 변형이 용이하고 미적인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도
도 3은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전면결합부의 단면도
도 5는 스텐레스판의 단면도
도 6은 후면결합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전면고정부 2. 후면고정부
3. 스텐레스판 4. 덮개고정부
5. 삽입홈 6. 싱크대결합부
7. 삽입홈 8. 돌기
9. 분리홈
10a.측면접착부 10b. 측면접착부
11. 덮개 12. 삽입부
본 고안은 싱크대의 후면 상단에 설치되는 선반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는 설치되는 특성에 의하여 설치시 벽면으로 부터 일정한 공간만큼 상단이 떨어져서 시공된다. 따라서, 떨어진 공간만큼에 해당되는 부분을 마감처리하고 그 위쪽부분을 간단한 식기류와 같은 것들을 수납하는 선반형태로 이용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싱크대의 후면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전면고정부(1)를 부착하고 벽체에 후면고정부(2)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고정부 사이를 스텐레스판(3)으로 결합하여 스텐레스판(3)의 상부에 선반을 이루도록 구성하였다.
싱크대의 후면에 접착되는 전면고정부(1)는 상단으로 스텐레스판(3)이 결합된다. 전면고정부(1)의 상단전면에는 절곡된 스텐레스판(3)의 끝단이 덮개형식으로 접합되도록, 덮개고정부(4)가 스텐레스판(3) 두께에 해당되는만큼 함몰된 형태로구성되며, 접촉할때 스텐레스판(3)과 덮개고정부(4)가 일치된 높이로써 결합되도록 하였다. 덮개고정부(4)의 뒷쪽으로는 삽입홈(5)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있다. 삽입홈(5)에는 스텐레스판(3)에 형성된 삽입부(12)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견고하게 삽입된다. 전면고정부(1)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는동안 전면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에는 싱크대 후면과 접착되는 싱크대결합부(6)가 안쪽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면에서보면 완만한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안정감있게 보이는 효과가 있다. 전면고정부(1)에 형성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모두 전면고정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들이며 전면결합부(1)는 합성수지 재질로써 쉽게 성형 될 수 있다.
전면고정부(1)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텐레스판(3)은 일측끝단이 곡선형태로 절곡된 덮개(11)를 형성하며, 그 후면으로는 삽입부(12)가 스텐레스판(3)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은 직선형태를 취하고 있는 F자형태를 취하고 있다. 전면에 절곡된 형태의 덮개(11)는 곡선형상으로 처리되며, 전면고정부(1)에 형성된 덮개고정부(4)와 밀착된다. 또한 덮개(11) 후면에 형성된 삽입부(12)는 삽입홈(5) 내측으로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스텐레스판(3)의 전면이 견고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스텐레스판(3)의 후면은 직선형태로 형성되어 벽체에 부착된 후면고정부(2)와 결합하도록하였다. 본 고안에서는 싱크대 상단에 마감되는 부분을 스텐레스판(3)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표면의 형상을 달리할수 있게되어 컵받침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프레스될수 있다.
벽체에 부착되는 후면고정부(2)는 상단부분을 싱크대 내측방향으로 낮아지게형성하여 사용시 발생하는 물을 내측으로 흐르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내측으로는 스텐레스판(3)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홈(7)을 형성하였다. 삽입홈(7)의 외측 끝단에는 돌기(8)가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스텐레스판(3)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하였다. 벽체에 부착되는 후면고정부(2)의 측면은 분리홈(9)이 형성되어있고 분리홈에의해 각각의 측면접착부(10a)(10b)가 형성된다. 측면접착부에의해 후면고정부(2)가 두부분으로 벽체에 부착되며, 그에 따라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후면고정부(2)에 형성된 모든 구성요소들은 길이방향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었으며 합성수지로써 쉽게 제조될수 있다.
후면고정부(2)의 내측으로 스텐레스판(3)의 일측 끝단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타측끝단을 수작으로 눌러서 끼워넣는 방식으로 쉽게 결합되며, 결합되는 재질이 경량화되고, 별도의 체결수단없이도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며, 구성이 간단하여 미관적으로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기존의 선반형태에 비하여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 시공이 용이하며 별도의 결합수단없이 끼워맞춤 방식에의해서도 견고하게 결합될수 있으며, 경량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며, 산뜻한 미적효과를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면고정부(1), 후면고정부(2), 스텐레스판(3)으로 구성된 싱크대 상단의 선반 으로서,
    전면고정부(1)는, 상단으로 스텐레스판(3)의 전면에 형성된 덮개와 밀착되는 곡면형태의 덮개고정부(4)와 덮개고정부의 후면으로 스텐레스판(3)의 삽입부(12)와 결합되는 삽입홈(5)이 각각 전면고정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전면고정부(1)의 전면은 덮개고정부(4)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돌출된 하단의 내측으로 싱크대 결합부(6)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후면고정부(2)는, 상단이 내측으로 낮게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측으로 스텐레스판(3)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홈(7)이 후면고정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삽입홈(7)의 외측 끝단에는 스텐레스판(3)의 저면과 접촉하는 돌기(8)가 형성되며, 후면고정부(2) 측면은 분리홈(9)으로 분할된 각각의 측면접착부(10a)(10b)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스텐레스판(3)은, 일측끝단에 곡선형태로 절곡된 덮개(11)가 형성되며 덮개의 뒤쪽으로는 스텐레스판(3)의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삽입부(12)가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전면결합부와 후면결합부와함께 결합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싱크대 상단의 뒷선반.
KR2020020011392U 2002-04-16 2002-04-16 싱크대 상판의 뒷선반 KR200284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392U KR200284180Y1 (ko) 2002-04-16 2002-04-16 싱크대 상판의 뒷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392U KR200284180Y1 (ko) 2002-04-16 2002-04-16 싱크대 상판의 뒷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180Y1 true KR200284180Y1 (ko) 2002-07-31

Family

ID=73121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392U KR200284180Y1 (ko) 2002-04-16 2002-04-16 싱크대 상판의 뒷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1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06Y1 (ko) 2009-06-30 2011-07-01 이기영 씽크대용 뒷선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06Y1 (ko) 2009-06-30 2011-07-01 이기영 씽크대용 뒷선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90530S1 (en) Foot brush with massage device
USD521286S1 (en) Shelf with lighting grid
USD574697S1 (en) Truss anchor
USD548474S1 (en) Chair
USD537360S1 (en) Sink pump
USD520345S1 (en) Clip
TW201233359A (en) Pullout-part of furniture
USD551087S1 (en) Soap pump
KR200284180Y1 (ko) 싱크대 상판의 뒷선반
USD483227S1 (en) Chip and dip dish
USD522650S1 (en) Nose clip
USD508616S1 (en) Armchair
KR102290378B1 (ko) 몰딩용 인코너 마감기구
KR200240195Y1 (ko) 조립식 책상다리
USD519283S1 (en) Liquid applicator head assembly
USD465791S1 (en) Pump
USD470929S1 (en) Sink for receiving a faucet set
USD532080S1 (en) Expansion valve
KR200284179Y1 (ko) 싱크대 상판의 전면 모서리용 엣지
KR200434569Y1 (ko) 가구용 패널의 측면 마감부재
USD490591S1 (en) Scarf
USD528179S1 (en) Surfboard with wings
KR20130064343A (ko) 경량화 및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한 욕실용의 거울조립체
KR200212933Y1 (ko) 천정 시공용 타일판 마감몰딩
USD470928S1 (en) Pedestal sink for receiving a faucet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