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029B1 - 교체 정격 플러그 인터록 장치와 눌러서 트립시키는 버튼을 갖는 회로 차단기 - Google Patents

교체 정격 플러그 인터록 장치와 눌러서 트립시키는 버튼을 갖는 회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029B1
KR950002029B1 KR1019860007022A KR860007022A KR950002029B1 KR 950002029 B1 KR950002029 B1 KR 950002029B1 KR 1019860007022 A KR1019860007022 A KR 1019860007022A KR 860007022 A KR860007022 A KR 860007022A KR 950002029 B1 KR950002029 B1 KR 950002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
button
circuit breaker
enclosure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7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623A (ko
Inventor
버크 쉼프 알란
쥬니어 윌리엄 엘즈 워쓰 비티
Original Assignee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제이. 비. 야신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제이. 비. 야신스키 filed Critical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70002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 H01H71/525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comprising a toggle between cradle and contact arm and mechanism spring acting between handle and toggle kne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8Manual release or trip mechanisms, e.g. for test purpo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5Latching devices between operating and release mechanism
    • H01H2071/508Latching devices between operating and release mechanism with serial latches, e.g. primary latch latched by secondary latch for requiring a smaller trip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74Means for adjust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device will function to provide protection
    • H01H71/7409Interchangeable elements

Landscapes

  • Breaker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교체 정격 플러그 인터록 장치와 눌러서 트립시키는 버튼을 갖는 회로 차단기
제1도는 3극 회로 차단기의 중앙 극 유니트를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 수직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II-II에서 취한 수직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III-III에서 취한 부분적인 수평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IV-IV에서 취한 수직 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각기 제3도 및 제4도와 유사한 부품들이 다른 위치에 있는 도면들.
제7도는 제4도 및 제6도와 유사하며, 트립된 위치에 있는 푸시 버튼과 트립 바아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8도는 제2도의 선 Ⅷ-Ⅷ에서 취한 부분 단면도.
제9도는 제2도의 선 IX-IX에서 취한 수평 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와 유사한 부품들이 다른 위치에 있는 도면.
제11도는 제10도의 선 XI-XI에서 취한 단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회로 차단기 5 : 외함
11 : 회로 차단기 구조물 15 : 래치 장치
17 : 트립 장치 19, 21 : 접촉자
34 : 회전 운반체 35 : 결속 바아
47 : 핸들 48, 50 : 토글 링크
51 : 해제 크래들 부재 67 : 래치 레버
69 : 트립 레버 81 : 멈춤쇠
83 : 트립 바아 89 : 인터록 장치
91 : 교체 정격 플러그 인터록 장치 93 : 트립 버튼
105 : 정격 플러그 인터록 133 : 자기 트립 작동 장치
135 : 플런저
본 발명은 해제되어 트립시킬 수 있는 래치 에너지 저장(latched stored-energy) 기구를 포함하는 유형의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과부하 상태에 응답하여 해제 기구를 해제시키는 동작을 자동적으로 하는 트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전자식 트립 장치가 구비된 일부 회로 차단기들에는 저항과 인터록 장치를 포함하는 교체 정격 플러그들이 사용되어 있다. 저항은 전자식 트립회로를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저항치들이 상이한 저항들을 내포하고 있는 정격 플러그들에 의하여 현장에서 회로 차단기의 정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인터록 장치는 정격 플러그가 제거될 때 회로 차단기가 폐쇄되어 있으면 회로 차단기를 자동적으로 트립시키고 정격 플러그가 제거되어 있는 한 회로 차단기를 트립된 상태로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과거에 사용되던 인터록 장치는 360°완전히 여러번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스프링에 대향하여 당겨지고 회로 차단기를 리셋트 및 폐쇄시킬 수 있는 트립 래치로부터 레버를 멀리 이동시키는 나사 장치(threaded device)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인터록 장치는 적정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작시에 주의깊고 정밀한 조정을 필요로 한다. 더구나, 사용자는 차단기가 리셋트 및 폐쇄되기 전에 정격 플러그 스크류를 여러번 완전히 회전시킨 필요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회로 차단기의 하나가 미합중국 특히 제3, 826, 951호의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로 차단기는 외함과, 외함내에 지지되는 회로 차단기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로 차단기 구조체는 전기 회로를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한쌍의 접촉자, 해제 기구, 제1수동 조작 수단, 트립 수단, 래치 수단, 인터록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수동 조작 수단은 해제 기구가 래치된 위치에 있을 때 수동 조작에 의해 접촉자들을 개폐시키고, 상기 트립 수단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의 과부하 전류 상태에 응답하여 해제 기구를 해제시키도록 동작하고 그 결과 해제 기구가 래치된 위치에서 트립된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여 접촉자들을 개방시키게 하며, 상기 제1수동 조작수단은 해제 기구의 해제에 뒤이어 해제 기구를 트립된 위치에서 래치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동작하고, 상기 래치 수단은 래치시키는 위치와 래치를 푸는 위치 사이에서 해제 기구를 래치시키도록 동작하고, 상기 트립 수단은 외함상에 제거 가능하게 지지되는 외부에서 접근하기 쉬운 교체 가능한 정격 조정 장치를 포함하며, 인터록 수단은 교체 가능한 정격 조정 장치가 외함에서 제거될 때 해제 기구를 트립된 위치로 유지하고, 상기 트립 바아는 정격 조정 장치와 래치수단 사이에서 연장되어 트립되지 않은 위치로 바이어스되며, 상기 인터록 수단은 트립 바아를 트립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수축 및 신장된 위치들 사이에서 동작하는 제2수동 조작 수단과 래치 수단이 로킹 위치에서 동작하지 않도록 트립 바아의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에서 동작하는 제3수동 조작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로 차단기 구조체는 전기 회로를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한쌍의 접촉자, 해제 기구, 제1수동 조작 수단, 트립 수단, 래치 수단, 인터록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수동 조작 수단은 해제기구가 래치된 위치에 있을때 수동 조작에 의해 접촉자들을 개폐시키고, 상기 트립 수단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의 과부하 전류 상태에 응답하여 해제 기구를 해제시키도록 동작하고 그 결과 해제 기구가 래치된 위치에서 트립된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여 접촉자들을 개방시키게 하며, 상기 제1수동 조작수단은 해제 기구의 해제에 뒤이어 해제 기구를 트립된 위치에서 래치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동작하며, 상기 래치 수단은 래치시키는 위치와 래치를 푸는 위치 사이에서 해제 기구를 래치시키도록 동작하고, 상기 트립 수단은 외함상에 제거 가능하게 지지되는 외부에서 접근하기 쉬운 교체 가능한 정격 조정 장치를 포함하며, 인터록 수단은 교체 가능한 정격 조정 장치가 외함에서 제거될 때 해제 기구를 트립된 위치로 유지하고, 상기 트립 바아는 정격 조정 장치와 래치 수단 사이에서 연장되어 트립되지 않은 위치로 바이어스되며, 상기 인터록 수단은 트립 바아를 트립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수축 및 신장된 위치들 사이에서 동작하는 제2수동조작 수단과, 래치 수단이 로킹 위치에서 동작하지 않도록 트립 바아의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에서 동작하는 제3수동 조작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립 수단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의 과부하 전류 상태에 자동적으로 응답하여 해제 기구를 해제시키도록 동작하고 그 결과 해제 기구가 래치된 위치에서 트립된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여 접촉자들을 개방시키게 하고 수동 조작 수단은 해제 기구의 해제에 뒤이어 해제 기구를 트립 위치에서 래치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때작하며, 래치 수단은 래치시키는 위치와 래치를 푸는 위치 사이에서 동작하며 래치시키는 위치로 바이어스되어 해제 기구를 래치시키고, 트립 수단은 외함상에 제거 가능하게 지지되는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교체 가능한 정격 조정 장치를 포함하며, 인터록 수단은 교체 가능한 정격 조정 장치가 외함에서 제거될 때 자동적으로 해제 기구를 트립된 위치로 유지시키고, 트립 바아는 정격 조정 장치와 래치 수단 사이로 연장되고 트립되지 않은 위치로 바이어스되어 있으며, 인터록 수단은 신장된 위치로 종방향으로 이동하여 트립 바아를 트립시키는 트립 버튼 및 트립 바아를 트립된 위치에서 로킹하는 회전 캠을 포함하며, 회전 캠은 트립 버튼이 관통하는 구멍을 포함하고, 트립 버튼은 회전 캠을 트립 바아의 트립된 위치와 트립되지 않은 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3극 회로 차단기(3)는 베이스(7)와 베이스에 스크류(도시되지 않음)등의 종래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커버(9)로 구성되는 절연 외함(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원리가 비록 단일 극 회로 차단기에 적용되긴 하지만, 통상적으로는 다극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외함(5)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식으로 외함을 3개의 나란히 인접된 극 유니트 격실들로 분리시키는 절연 장벽들을 포함한다.
외함내에서 회로 차단기 기구(11)는 외함의 중앙 극 유니트내에 장착되며 단일 작동 기구와 래치 기구(15)를 포함한다. 회로 차단기 기구(11)는 또한 고소 전자기식 트립 장치(17)도 포함한다.
회로 차단기의 각 극의 상부 및 하부 접속 아암들(20, 22)의 각각에 부착되는 한 쌍의 분리 가능한 접촉자들(19, 21)을 포함한다. 각각의 극 유니트에는 소호 유니트(arc extinguishing unit), 즉 아크 슈트(23)가 구비되어 있다. 상부 접촉자(19)는 도전체로 이루어진 상부 접속 아암(25)을 통해 분로(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분로(24)는 도전 스트립(25) 및 트립 장치(17)를 통해 단자(26)에 연결된다.
하부 접촉자(21)는 하부 접속 아암(22)과 도전 스트립(27)을 통하여 단자(29)에 연결된다. 따라서 회전 차단기(3)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때 전기회로는 단자(29)로부터 몇개의 부품들(27, 22, 21, 19, 20, 24, 25)을 통하여 단자(26)까지 이루어진다.
접속 아암(20)은 절연성의 회전 가능한 접속 바아(35)에 고착된 회전 운반체(34)에 피봇핀(33)으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운반체(34)에는 아암(20)의 단부(39)가 장착되는 슬롯 또는 포켓(37)이 있다. 아암(20)과 운반체(34)는 회로 차단기가 정상 전류 상태인 동안에는 결속 바아(35)와 함께 일체로 회전한다.
단일 작동 기구(11)는 3극 회로 차단기의 중앙 극 유니트내에 배치되며 회로 차단기의 중앙 극 유니트내에서 베이스(7)에 고착된 한 쌍의 견고한 지지판들(41)(그중 하나가 도시됨) 사이에 지지된다. 역 U자 형상의 작동 레버(43)는 그 레버의 다리부분의 단부들이 간격진 판들(41)의 U자형 노치들(45)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판들(41)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작동 레버(43)는 전기 절연재료 성형된 핸들(47)을 포함한다.
중앙 극 유니트의 접속 아암(20)은 상부 토글 링크(48)와 하부 토글 링크(50)로 구성되는 토글에 의하여 해제 크래들 부재(51)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토글 링크들은 절곡부 피봇핀(53)에 의하여 선회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다. 하부 토글 링크(50)는 피봇 핀(33)에 의해 중앙 극 유니트의 운반체(34)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 토글 링크는 피봇 핀(55)에 의해 해제 크래들 부재(51)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오버센터 작동 스프링들(57)은 절곡부 피봇 핀(53)과 작동 레버(43)의 고리부 사이에 장력하에 연결된다.
접촉자들(19, 21)은 핸들(47)을 온 위치(제1도)로부터 오프 위치(제1도에 도시된 위치의 우측)로 이동시킴으로써 수동으로 개방된다. 핸들(47)의 우측으로의(즉, 오프 위치로의) 이동은 오버센터 작동 스프링(57)의 작용선을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토글 링크들(48, 50)을 접혀지게 하고 또한 결속 바아(3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3극 유니트들의 접속 아암(20)을 동시에 개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3극 유니트들의 접촉자들을 개방시킨다. 그리하여 접속아암(20)은 파선 위치(20a)에 있게 된다(제1도).
접촉자들은 오버센터 스프링들(57)의 작용선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토글 링크들(48, 50)을 제1도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핸들의 좌측으로의 역 이동에 의해 수동으로 닫혀진다. 이러한 동작은 결속 바아(3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3극 유니트들의 접속 아암들(20)을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다.
해제 크래들 부재(51)는 트립 장치(17)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인 래치 기구(15)에 의하여 제1도에 도시된 위치로 래치된다. 트립 장치(17)는 저레벨 단락 회로 즉 과부하 전류 상태와 고레벨 단락 회로 즉 고장 전류 상태 모두를 검출할 수 있다. 이들중 어떤 상태의 검출시에도 트립 장치(17)는 래치 기구를 작동시켜 회로 차단기 기구(11)의 트립 동작을 개시한다.
래치 기구(15)(제2도)는 간격진 다리 부분들(63, 65)을 갖는 U자형 장착 프레임(61), 래치 레버(67) 및 트립 레버(69)를 포함한다. 두 레버들(67, 69) 모두는 다리부분들(63, 65)에 져어널된(journaled)핀(71)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프링(73)은 스프링(74)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는 트립 레버(69)의 상부에 대하여 래치 레버(67)를 시계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킨다.
래치 레버(67)는 크래들 부재(51)가 래치된 즉 트립되지 않은 위치(제1, 8도)일 때 부재(51)의 노치면(77)을 결속하는 표면(75)을 포함한다. 스프링(57)에 의해 회로 차단기 기구(11)에 가해지는 압력 때문에, 크래들 부재(51)는 표면들(75, 77)이 결속되는 래치된 위치에 유지된다. 크래들 부재(51)의 래치된 위치는 래치 레버(67)의 상단부에 대향하여 트립 레버(69)의 상단부에 의해 가해지는 지탱 압력으로 유지되고 상기 래치 레버(67)는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트립 바아(83)상의 멈춤쇠(detent)(81)에 의하여 핀(71) 주위로의 시계방향 회전에 대향하여 제 위치에 유지되는 플랜지(79)에 의해 다시 복원된다. 트립 바아(83)가 작은 원호를 통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스프링(57)(제1도)의 압력은 트립 레버(699)를 파선 위치(79a)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표면(77)을 래치 레버(67)의 표면(75)으로부터 해제시킨다. 따라서, 크래들부재(51)는 파선 위치(79a)로 이동하여 (제8도), 토션 스프링(74)으로 하여금 래치 레버(67)뿐만 아니라 트립 레버(69)를 그 원래의 위치로 반시계 방향으로 복귀시키도록 한다.
트립된 후에 회로 차단기 기구(11)는 핸들(47)을 위치(47a)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트립되지 않은 위치로 리셋트 될 수 있으며 래치 레버를 래치된 위치로 복귀시키는 토션 스프링(73)에 대향하여 시계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는 래치 레버(67)의 표면(75)밑의 래치된 위치로 표면(77)을 복귀시킬 수 있다.
전자기식 트립장치(17)는 회로차단기(3)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절연상자형 용기(85)내에 들어있다. 트립장치(17)에는 각 극 유니트에 대해 변류기(87), 전자회로반(88), 그리고 교체 가능한 정격플러그 인터록 장치(91)와 눌러서 트립시키는 버튼(93)을 포함하는 인터록 장치(89)(제2도)가 포함된다. 인터록 장치(89)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정격의 유사한 정격 플러그로 교체되도록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교체형 정격 플러그이다. 일반적으로, 정격 플러그는 원하는 정격을 위하여 특정 저항값을 갖는 저항(94)을 포함한다. 저항(94)은 정격 플러그상의 코넥터 핀들(96) 사이에 연결된다. 플러그가 유니트안으로 삽입될 때, 코넥터 핀들(96)은 회로판(88)에 있는 정합 리셉터클들과 접촉됨으로써 트립 유니트를 특정 정격으로 조정한다.
회로 차단기가 폐쇄된 위치에 있고 이것은 수동으로 트립시키기 원할때는 트립버튼(93)이 사용된다. 트립버튼은 트립 제어 장치(89)의 외함내에 놓여지며 신장된 샤프트(95)(제4도, 제6도)와 샤프트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확대 단부(97)를 포함한다. 이 샤프트는 버튼이 해제될 때 버튼을 후퇴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외함내에서 코일 스프링(99)을 통해 연장된다.
버튼(99)이 눌려질 때, 그 하단부는 트립 바아(83)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01)를 때리고(제7도) 멈춤쇠(81)(제8도)를 플랜지(79) 밑으로부터 이동시켜서 트립 바아를 트립 위치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크래들 부재(51)를 풀어 접촉자들(19, 21)을 개방시킨다.
트립버튼(93)이 해제될 때, 코일 스프링(99)은 버튼을 후퇴 위치(제4도)로 복귀시키고 그 결과 토션 스프링(103)(제2도)은 트립 바아(83)를 트립되지 않은 위치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위치에서 회전 차단기는 핸들(47)(제1도)을 제1도에 도시된 트립 위치를 넘어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크래들 부재(51)를 제8도에 도시된 실선 위치로 다시 래치시키도록 리셋트 될 수 있다.
정격 플러그 인터록을 교체할 필요가 있을때는, 정격 플러그 인터록이 설치될 때까지 회로 차단기 접촉자들(19, 21)이 닫혀질 수 있도록 트립 바아가 트립 위치(제6도)로 회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트립 버튼(93)은 그 상부에 있는 슬롯(107)속으로 스크류 드라이버를 삽입하는 등에 의하여 회전된다. 제3-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립 버튼(93)은 캠 장착판(1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캠(109)과 함께 작용한다. 이 캠은 캠 표면(113)과 구멍(115)을 갖는다. 상기 구멍은 단면이 원형이 아니고 장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단면이 유사하고 약간 작은 확대 단부(97)의 이동을 수용한다. 따라서, 확대 단부(97)는 예컨대 트립 버튼(93)이 트립 바아(83)를 트립시키기 위해 전진될 때 구멍(115)를 통해 활주할 수 있다(제7도). 트립 버튼(93)이 이러한 목적(트립 바아(83)의 트립)으로 사용할 때, 캠(109)은 캠 표면(113)이 돌출부(101)와 접촉되지 않는 제4도 및 제7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다. 그러나, 트립 버튼(93)이 회전되면, 캠구멍(115)내에 있는 확대 단부(97)는 캠표면(113)이 캠의 하단부가 돌출부(101)와 접촉되어서 트립 바아(83)의 트립되지 않은 위치로의 복귀를 저지하는 제6도에 도시된 위치로 될때까지 캠을 회전시킨다. 그 결과 크래들 부재(51)는 리셋트 될 수 없고 접촉자들(19, 21)은 개방된 위치에 있게 된다.
캠(109)이 제6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캠 구멍(115)은 캠 장착판(111)에 있는 유사한 장방형 개구(117)와 일치되므로, 관련된 정격 플러그 인터록(91)의 제거 및 교체를 위하여 트립 제어 장치(89)를 제거할 필요가 있을때 확대 단부(97)는 캠으로부터 개구(117)를 통하여 제거될 수 있다. 확대단부(97)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유사한 견부들(119)을 포함한다. 캠(109)이 제4도 및 제7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한, 견부들(119)은 캠장착판(111)에 있는 개구(117)와 개구(117)와 정렬되지 않기 때문에 확대 단부(97)는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
반면에, 버튼(93)이 제6도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되었을때, 확대 단부(97)는 개구(117)와 정렬되고(제5도) 스프링(99)은 버튼을 정격 플러그(89)의 표면 위로 돌출되게 한다. 버튼이 돌출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정격 플러그를 트립 유니트로부터 들어올리기 위해 버튼을 홈(118)에 의하여 붙잡을 수 있다. 버튼이 제4도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되었을때는 버튼이 정격 플러그 표면 위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버튼을 잡아 정격 플러그를 트립 유니트로부터 들어 올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제3-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109)은 캠 장착판(111)의 오목부에 놓여지고 고정 클립(123)에 의해 고착되는 주변 플랜지(121)를 포함한다. 돌출부(125)는 플랜지(121)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제3, 5도) 양측 단부면(129, 131)을 포함하는 오목부의 90°원호 부분(127)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과부하 전류 상태의 발생시 자기 트립 작동 장치(133)(제2, 9, 10도 참조)는 자동적으로 래치 기구(15)를 풀어서 크래들 부재(51)를 해제시킨다. 전자기식 장치인 작동 장치(133)는 자기 장치(137)(제2도)에 의해 비작동 위치(제2, 10도)에 유지되는 전기자 플런저(135)를 포함하고 있다. 전기자 플런저(135)는 맞은편 단부들이 관련된 플레임 부재에 놓여지는 피봇 핀(141)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139)와 함께 작용한다. 플런저(135)를 수축된 위치로 수축시키기 위하여 토션 스프링(143)도 또한 피봇 핀(141)상에 장착된다. 레버(139)에는 플랜지(145)가 있다. 전기자 플런저(135)가 연장된 위치(제9도)로 작동될때, 레버(139)는 플랜지(145)로 하여금 트립 바아(83)의 단부상의 캠표면(147)에 대하여 지탱하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것에 의해 회로 차단기 기구(11)를 트립시키도록 트립 바아(83)를 토션 스프링(103)(제2도)의 압력에 대항하여 회전시킨다.
극 유니트들중에 어느 것에라도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관련된 변류기(87)는 과부하를 검지하여 회로반(88)(제2도)을 통하여 자기 트립 작동 장치(133)에 펄스를 공급하는 동작을 함으로써 플런저(135)를 레버(139)에 대하여 밀게한다.
그 다음에 회로 차단기가 핸들(47)(제1도)을 오프 위치에서 리셋트 위치(47a)로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리셋트될 때, 레버(43)는 하단부가 피봇 핀(71)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153)(제2도)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링크(151)에 대항하여 이동한다. 그 결과(제9도), 링크(151)는 토션 스프링(143)에 대항하여 이동하고 토션 스프링(143)을 제10도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시켜서 레버(139)로 하여금 전기자 플런저(135)를 그 후퇴 위치로 밀게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회로 차단기를 필요에 따라 회로 차단기를 해제 또는 트립시키도록 동작하는 결합된 트립 버튼과 정격 플러그 인터록 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트립 버튼과 인터록 기구를 정격 플러그가 트립 바아를 트립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관련된 캠을 통하여 트립 버튼을 회전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교체될 수도 있는 분리 가능한 조립체를 포함한다.

Claims (8)

  1. 외함과, 외함내에 지지되는 회로 차단기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로 차단기 구조체는 전기 회로를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한 쌍의 접촉자(19, 21), 해제 기구(11), 제1수동 조작 수단(47), 트립 수단(17), 래치 수단(15), 인터록 수단(91)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수동 조작 수단은 해제 기구가 래치된 위치에 있을때 수동 조작에 의해 접촉자들을 개폐시키고, 상기 트립 수단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의 과부하 전류 상태에 응답하여 해제 기구를 해제시키도록 동작하고 그 결과 해제 기구가 래치된 위치에서 트립된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여 접촉자들을 개방시키게 하며, 상기 제1수동 조작수단은 해제 기구의 해제에 뒤이어 해제 기구를 트립된 위치에서 래치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동작하며, 상기 래치 수단은 래치시키는 위치와 래치를 푸는 위치 사이에서 해제 기구를 래치시키도록 동작하고, 상기 트립수단은 신장된 트립 바아(83)에 의해 구성되고 외함에 제거 가능하게 지지되는 외부에서 접근하기 쉬운 교체 가능한 정격 조정 장치(89)를 포함하며, 인터록 수단(91)은 외함에서 교체 가능한 정격 조정 장치가 제거될 때 해제 기구를 트립된 위치로 유지하고, 상기 트립 바아는 정격 조정 장치와 래치 수단 사이에서 연장되어 트립되지 않은 위치로 바이어스되는 회로 차단기(3)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수단(91)은 트립 바아(83)를 트립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후퇴와 전진 위치 사이에서 트립 버튼(93)과 연동하는 제2수동 조작 수단(95, 97)과 래치 수단이 로킹 위치에서 동작하지 않도록 트립 바아의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에서 동작하는 제3수동 조작 수단(107, 109)을 포함하고, 상기 트립 버튼(93)은 외함상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부재상에 장착되고 정격 조정 장치(89)는 지지부재(111)상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트립 버튼은 외함으로부터 정격 조정 장치를 제거하기 위하여 버튼을 잡을 수 있도록 정격 조정 장치로 부터 부분적으로 후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트립 바아(83)는 정격 조정 장치(89)와 래치 수단 사이에서 연장되어 트립 바아의 축에 일정한 각도인 횡단면을 가지고, 트립 버튼(93)은 외함을 통하여 후퇴되는 위치로 바이어스되며 횡단표면을 결속하고 트립 바아를 트립된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신장될 수 있고, 회전 부재(109)는 회전시에 횡단 표면과의 트립 결속이 이루어지고 풀리도록 이동하는 캠표면(113)을 가지며, 트립 버튼은 회전 부재를 횡단 표면과의 트립 결속을 이루고 푸는 회전을 일으키도록 회전 부재에 연결되고, 트립 버튼(93)은 회전 부재의 장방형 구멍을 관통하여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장방형 구멍에 결속 및 배치되는 장방형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트립 버튼(93)이 외함상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부재에 장착되고 정격 조정 장치(89)는 지지부재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4. 제2항에 있어서, 트립 버튼이 외함에서 정격 조정 장치를 제거하기 위하여 버튼을 잡을 수 있도록 정격 조정 장치로부터 부분적으로 후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5.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 부재(109)는 외함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판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지지부재(11)는 트립 버튼이 관형부(115)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부재(109)와 정렬되는 관형부(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7. 제6항에 있어서, 트립 버튼(93)은 관형부(115)안으로 연장되며 회전 부재의 장방형 구멍내에 배치되는 확대 샤프트 단부(97)를 가지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트립 바아를 트립시키기 위하여 횡단면을 결속 및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멍을 통하여 종방향으로 이동하며, 또한 회전 부재를 트립 바아와 트립 결속 및 해제되게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멍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8. 제7항에 있어서, 회전 부재(109)는 상기 판의 관형 부분 맞은편 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판을 회전 부재의 장방형 구멍과 정렬 및 일치되는 개구를 포함하며, 샤프트 단부(97)는 트립 버튼과 회전 부재가 트립 바아의 트립되지 않은 위치일때 상기 판의 표면과 결속되는 외부 회전 견부 면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KR1019860007022A 1985-08-30 1986-08-25 교체 정격 플러그 인터록 장치와 눌러서 트립시키는 버튼을 갖는 회로 차단기 KR950002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771,376 US4603313A (en) 1985-08-30 1985-08-30 Circuit breaker with replaceable rating plug interlock and push to trip button
US771,376 1985-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623A KR870002623A (ko) 1987-04-06
KR950002029B1 true KR950002029B1 (ko) 1995-03-08

Family

ID=25091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022A KR950002029B1 (ko) 1985-08-30 1986-08-25 교체 정격 플러그 인터록 장치와 눌러서 트립시키는 버튼을 갖는 회로 차단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603313A (ko)
EP (1) EP0219211B1 (ko)
JP (1) JPH0743992B2 (ko)
KR (1) KR950002029B1 (ko)
AU (1) AU608203B2 (ko)
BR (1) BR8604091A (ko)
CA (1) CA1247680A (ko)
DE (1) DE3687561T2 (ko)
MX (1) MX165743B (ko)
PH (1) PH23619A (ko)
ZA (1) ZA8658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73571B1 (fr) * 1984-11-16 1987-01-09 Telemecanique Electrique Appareil disjoncteur a ouverture et fermeture telecommandees de ses circuits
US4679016A (en) * 1986-01-08 1987-07-07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rchangeable mechanism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4731921A (en) * 1986-01-08 1988-03-2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fabricating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4713639A (en) * 1987-02-20 1987-12-15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with push-to-trip button and trip bar
US4910631A (en) * 1988-01-25 1990-03-20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with over-temperature protection and low error I2 t calculator
US4806893A (en) * 1988-03-03 1989-02-21 General Electric Company Molded case circuit breaker actuator-accessory unit
US5341191A (en) * 1991-10-18 1994-08-23 Eaton Corporation Molded case current limiting circuit breaker
US5331501A (en) * 1992-09-30 1994-07-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with digital trip unit and memory reset
US5428495A (en) * 1992-09-30 1995-06-27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with digital trip unit and automatic frequency selection
FR2703507B1 (fr) * 1993-04-01 1995-06-02 Merlin Gerin Disjoncteur comportant un dispositif de calibration amovible.
GB2289794B (en) * 1994-04-13 1998-09-23 Gen Electric Tripping arrangement for circuit breaker
US5831503A (en) * 1997-03-19 1998-11-03 Eaton Corporation Trip disabling mechanism for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US6560084B1 (en) 1999-11-05 2003-05-06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Circuit breaker having programmable amplifier
KR100451770B1 (ko) * 2002-04-01 2004-10-08 엘지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US6921873B2 (en) * 2003-08-01 2005-07-26 Eaton Corporation Circuit breaker trip unit employing a rotary plunger
US7688572B2 (en) 2006-07-26 2010-03-30 Eaton Corporation Motor control center subunit having moveable line contact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0973143B2 (en) 2006-07-26 2021-04-06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oordinating installation and connection of a motor control center subunit having moveable line contacts
CN101620957B (zh) * 2008-07-04 2013-03-27 湖北盛佳电器设备有限公司 具有短路自锁功能的断路器
CN101620956B (zh) * 2008-07-04 2013-05-15 湖北盛佳电器设备有限公司 具有过流自锁功能的断路器
US8847088B2 (en) 2011-09-22 2014-09-30 General Electric Company Cover mounted handle operating mechanism with integrated interlock assembly for a busplug enclosure
CN105261500B (zh) * 2015-11-11 2018-01-02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六研究所 矿用变频器的闭锁装置
CN105702537B (zh) * 2016-04-14 2017-12-01 乐清市智顺电气有限公司 电气保护装置
CN105845519B (zh) * 2016-06-06 2018-08-31 浙江创奇电气有限公司 一种带有自锁功能的脱扣结构
CN107993900B (zh) * 2017-10-26 2023-12-12 上海良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插入式小型断路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6951A (en) * 1973-01-30 1974-07-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with replaceable rating adjuster and interlock means
US3986155A (en) * 1974-12-16 1976-10-12 Unicorn Industries Modular multipole circuit breaker with external trip control
US4037184A (en) * 1976-04-09 1977-07-19 I-T-E Imperial Corporation Lockout and cover interlock for circuit breaker
GB1602544A (en) * 1977-11-23 1981-11-11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with interchangeable rating adjuster and interlock means
US4281359A (en) * 1980-03-14 1981-07-28 General Electric Company Static trip unit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079686A (en) 1987-03-05
EP0219211A2 (en) 1987-04-22
DE3687561D1 (de) 1993-03-04
DE3687561T2 (de) 1993-05-13
KR870002623A (ko) 1987-04-06
US4603313A (en) 1986-07-29
AU608203B2 (en) 1991-03-28
JPH0743992B2 (ja) 1995-05-15
BR8604091A (pt) 1987-04-14
PH23619A (en) 1989-09-11
CA1247680A (en) 1988-12-28
MX165743B (es) 1992-12-03
ZA865845B (en) 1987-03-25
EP0219211A3 (en) 1989-08-02
JPS6252827A (ja) 1987-03-07
EP0219211B1 (en) 199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029B1 (ko) 교체 정격 플러그 인터록 장치와 눌러서 트립시키는 버튼을 갖는 회로 차단기
US3826951A (en) Circuit breaker with replaceable rating adjuster and interlock means
US4638277A (en) Circuit breaker with blow open latch
US4679018A (en) Circuit breaker with shock resistant latch trip mechanism
US4489295A (en)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electro-mechanical undervoltage release mechanism
KR950002030B1 (ko) 자속 분로 트립 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NZ220481A (en) Circuit breaker thermal overload rating adjusted by trip bar movement
JPH07262901A (ja) 熱磁気引外し装置
US3758887A (en) Multi-pole circuit breaker with single trip adjustment for all poles
AU595677B2 (en) Circuit breaker with push-to-trip button and trip bar
CA1252137A (en) Circuit breaker with arm latch for high interrupting capacity
US5994988A (en) Movable contact structure for a circuit breaker, including crossbar and spring biased cam mechanism
EP0150920B1 (en) Circuit interrupter
GB2161022A (en) Circuit interrupter
US4704593A (en) Circuit breaker with adjustable thermal mechanism
US3248500A (en) Multipole circuit interrupting device having a removable fuse unit with a common unitary tripping bar
JPH0115074Y2 (ko)
CA2134514C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mechanical rating plug
US4181906A (en) Circuit interrupter with interlocked removable trip unit
CA1098944A (en) Circuit breaker with thrust transmitting spring
PL120393B1 (en) Multipole automatic circuit breaker
JPS643163Y2 (ko)
CA1245256A (en) Circuit breaker with manual trip pin
GB2212663A (en) Circuit breaker with adjustable rating selector
JPS63119127A (ja) 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