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468B1 - 메모리에 기억된 조리프로그램에 따라 작동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가지는 전자오븐 - Google Patents

메모리에 기억된 조리프로그램에 따라 작동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가지는 전자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468B1
KR950001468B1 KR1019910006756A KR910006756A KR950001468B1 KR 950001468 B1 KR950001468 B1 KR 950001468B1 KR 1019910006756 A KR1019910006756 A KR 1019910006756A KR 910006756 A KR910006756 A KR 910006756A KR 950001468 B1 KR950001468 B1 KR 950001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display
selection
nam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6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오루 에다무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쓰지 하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쓰지 하루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4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38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llowing the recording of a program of operation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1Liquid crystal
    • H01H2219/012Liquid crystal programm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메모리에 기억된 조리프로그램에 따라 작동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가지는 전자오븐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오븐의 실시예의 외관도.
제2도는 제1도의 콘트롤 유니트의 확장된 개략도.
제3도는 콘트롤 유니트의 구성도.
제4도는 콘트롤 유니트의 블록도.
제5도는 제3도의 컬러 LCD(액정장치) 스크린의 표시화면의 일예를 표시한 도면.
제6도는 메뉴선택 처리동작의 플로우챠트.
제7도는 종래의 전자오븐의 외관도.
제8도는 제7도의 콘트롤 유니트의 조작패널의 확대도.
제9도는 제8도의 콘트롤 유니트의 구성도.
제10도는 제7도에서 보여주는 것과는 다른 종래의 전자오븐의 외관도.
제11도는 제10도의 콘트롤 유니트의 표시부의 확대도.
제12도는 제11도에서 보여주는 콘트롤 유니트의 오퍼레이션 콘트롤 메모리용 외부기억수단으로부터 정보로딩의 설명도.
제13도는 제11도의 콘트롤 유니트를 이용한 메뉴선택 처리과정의 설명도.
제14도는 제7도와 제10도의 것들과는 다른 전자오븐에서의 콘트롤 유니트의 부분사시도.
제15도는 제11도의 콘트롤 유니트의 부분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기능 유니트의 외관도.
제17도는 제16도의 기능 유니트로 메뉴선택 동작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전자오븐 본체 51 : 콘트롤 유니트
54 : 투명전극 스위치쉬트 55 : 컬러 LCD
56 : 디스플레이 제어부 58 : 콘트롤 유니트 제어부
65 : CPU 67 : 메인 메모리
69 : IC 카드 76 : 조작패널
77 : 오퍼레이션 키 78 : 가열/재료 키
본 발명은 메모리에 기억된 조리프로그램에 따라 가열조리하는 전자오븐에 관한 것이다.
전자오븐의 가열기능의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전자오븐으로 준비할 수 있는 효율적 메뉴 및 이용가능한 조리방법의 수가 증가되었다. 조리메뉴가 확대됨에 따라 제조업자들은 마이크로파 가열조리, 종래의 가열조리, 그리고 마이크로파 및 종래의 히트가열의 복합 가열조리기능을 제어하고, 전자오븐 조작을 단순하고 쉽게 하기위해 마이크로콤퓨터를 이용하여 전자오븐 조작을 자동화시켰다.
이러한 자동화된 조리선택의 이용을 더욱 쉽게 하기위하여, 메뉴키가 사용자들이 다양한 메뉴로부터 특정조리프로그램을 용이하게 불러내기위하여 다음에서 기술되는 콘트롤 유니트에 제공된다.
제7도는 메뉴키가 제공되는 콘트롤 유니트를 가지는 종래의 전자오븐의 외관도이고, 제8도는 제7도에 보이는 콘트롤 유니트(1)이 조작패널의 확대도이다. 이 조작패널은 디스플레이(2), 제1메뉴키(3), 캔슬키(4), 가열스위치(5), 제2메뉴키(6), 가열모드 선택기(7), 그리고 타이머 콘트롤(8)을 구성한다.
제9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콘트롤 유니트(1)의 조작패널은 그 위에 메뉴키(3)의 윤곽과 이름이 찍힌 그리고 그 뒷면에 메뉴키 접점이 제공되는 오버레이(overlay)(10), 입력스위치가 제공되는 회로기판(13), 특정지점에서 오버레이를 누를 때 회로기판(13)의 입력스위치 접점들과 오버레이(10)의 접점들사이의 접촉을 확실히 하는 멤브레인 쉬이트(membrane sheet)(11), 그리고 스페이서 쉬트(spacer sheet)(12)로 구성된다. 그러나 메뉴키(3,6)가 상기 종래의 전자오븐 콘트롤 유니트(1)상의 제한된 공간내에 제공되기 때문에, 각 키의 이름을 쉽게 확인할 필요와 메뉴키(3,6)의 조작용이를 고려하여 패널상에 제공될 수 있는 메뉴키의 수와 관련한 제한이 있다. 이러한 제한이 무시되어 메뉴키의 수가 증가되면, 필요없는 메뉴키의 수의 존재로 인해 필요한 메뉴키를 선택하기가 어렵게 될 것이다.
즉 단지 하나의 메뉴키만이 사용자에 의해 특정지점에서 늘 선택되기 때문에, 선택할 수 있는 키의 수가 증가하면, 필요한 메뉴키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어려움도 더욱 증가한다.
본 발명자는 전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아래에 설명되는 전자오븐(일본 특허 공개공보번호 02-118324)을 제안한 바 있다.
이러한 전자오븐은 조리모드에 의해 여러 타입의 조리메뉴들을 분류하고, 조리모드가 변함에 따라 콘트롤 유니트의 조작패널상에 표시된 메뉴이름을 바꾼다. 이것은 몇개의 메뉴이름들이 한번에 콘트롤 유니트상에 표시되고 그림으로서 조작성, 메뉴키 확인의 용이, 그리고 메뉴키의 선택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0도는 상기에 제안된 전자오븐의 외관도이고, 제11도는 콘트롤 유니트(15)상의 표시패널의 확대도이다. 이 표시패널은 표시부(16), 복수의 메뉴이름 표시부(17), 복수의 메뉴 아이템 선택 스위치(plural menu item selector switches)(18), 작동모드 선택스위치(19), 그리고 작동모드 표시부(20)를 구성한다.
제12도에 표시된 콘트롤 유니트(15)에 제공되는 오퍼레이션 콘트롤 유니트 메모리(21)의 메뉴이름 데이타영역(21d)에 기억된 메뉴이름은 상기에 설명된 조리모드에 의해 분류되고, 메뉴이름 표시부(17)의 조리모드에 의해 표시된다. 이때 오퍼레이션 콘트롤 유니트 메모리(21)에 기억된 메뉴이름 정보는 내용정보, 조리프로그램, 메뉴선택의 영상, 그리고 기타 정보와 함께 메뉴 카테고리(예를들어 중화요리, 스페인 요리등)에 의해 분류되어 IC 카드(22), RAM 카드(23), 혹은 기타 외부 데이타 기억수단에 기억된다.
제13도는 콘트롤 유니트(15)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메뉴이름들중에서 바람직한 메뉴이름을 선택할때 이어지는 처리과정을 보여준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중화요리용 IC 카드를 선택하고 전자오븐의 슬롯(slot)에 이 카드를 넣는다면, 그 컨텐트정보(contents information)가 오퍼레이션 콘트롤 유니트 메모리(21)의 내용 데이타 영역(21a)에 로드되고, 조리프로그램이 이 조리프로그램 영역(21b)에, 메뉴 영상 데이타가 메뉴 영상 데이타 영역(21c)에, 그리고 메뉴이름 데이타가 메뉴이름 데이타 영역(21d)에 로드된다.
그러면 그 내용 데이타 영역(21a)으로 로드된 내용을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된 컨텐트 데이타의 내용(예를들어 로드된 IC 카드의 각 조리모드에 있는 메뉴의 수 혹은 메뉴범주)이 사용자의 용이한 확인을 위해 표시된다. 그러면 제1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모드가 클럭모드(colok mode)로 변하고 현재 시간이 디스플레이(16)상에 표시된다.
작동모드 선택스위치(19)를 이때 두번 누르면, 작동모드는 제13(b)도의 마이크로파 가열모드(MICROWAVE cooking mode)를 통과해 제13(c)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릴 가열모드(GRILL cooking mode)로 들어간다.
다음에 메뉴이름 디스플레이(17)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이름(G-3)용 메뉴아이템 선택스위치(menu item selector switch)(18)를 누르면, 선택된 메뉴이름 G-3의 메뉴 영상이 제13(d)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이것이 바람직한 메뉴선택이라는 것을 확인하고 그 선택을 확인하기위해 메뉴아이템 선택스위치(18)를 다시 누르면, 오퍼레이션 콘트롤 유니트 메모리(21)의 조리프로그램 영역(21b)에 기억된 메뉴이름 G-3의 조리프로그램이 전자오븐의 조리 제어부로 로드된다.
제13(e)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메뉴이름 G-3에 따른 조리준비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디스플레이(16)와 작동모드 디스플레이(20)상에 있고, 그러면 디스플레이는 제13(a)도의 타임 디스플레이로 돌아간다.
이와 같이 복수의 메뉴들이 IC 카드(22) 혹은 RAM 카드(23)에 있는 메뉴 카테고리에 의해 기억될 수 있고, 그러면 사용자는 바람직한 메뉴 카테고리의 IC 카드(22) 혹은 RAM 카드(23)의 데이타를 오퍼레이션 콘트롤 유니트 메모리(21)로 로드한다. 이와 같이 조리모드에 의해 분류된 로드된 데이타에 있는 메뉴이름을 표시함으로서 메뉴이름 선택시 조작성, 메뉴선택 확인성, 그리고 선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설명된 전자오븐에 있어, 사용자가 이러한 동작처리에 익숙하지 않은 단계에서, 그 사용자는 IC 카드(22) 혹은 RAM 카드(23)에 기억된 메뉴의 내용에 생소할 것 같다. 그 결과 사용자가 그 이용할 수 있는 선택들중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에 관해 뚜렷한 생각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할 때, 콘트롤 유니트(15)에 의해 어떤 메뉴가 조리될 수 있는지 알기위해서는 IC 카드(22) 혹은 RAM 카드(23)를 선택하고, 조리모드를 선택하고, 실행과 실수의 반복된 과정을 통해 메뉴이름을 선택하고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고, 그러므로 사용자에게 복수의 메뉴선택을 하도록 요구한다.
달리 말하자면 사용자가 무엇을 준비할지 특별히 정하지 않았을 때, 혹은 사용자가 IC 카드(22) 혹은 RAM 카드(23)에 기억된 메뉴의 내용에 생소할 때, 그러한 메뉴선택과정은 적합치 못하다.
본 발명자는 또한 제16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기능 유니트(25)를 갖춘 전자오븐을 제안하였다(일본 특허 공개공보번호 01-212827).
이 전자오븐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식품재료들을 합함으로서 선택된 복수의 메뉴들로 준비된 완성된 요리의 영상을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선택된 메뉴의 조리프로그램을 세트하기위해 디스플레이상에 보여주는 복수의 메뉴들의 완성된 영상을 참조함으로서 바라는 메뉴를 선택한다.
제14도는 상기 전자오븐의 앞면에 제공되는 콘트롤 유니트(26)의 상부 부분을 보여주고, 제15도는 콘트롤 유니트(26)의 부분 단면도이다. 기능유니트(25)는 커버 패널(27)내부에 장착된다. 제16도는 디스플레이(28), 주재료 입력스위치(29), 그리고 부재료 입력스위치(30)를 구비한 기능유니트(25)의 외관도이다. 이 기능유니트(25)는 또한 일련의 조리데이타가 IC 카드 혹은 RAM 팩과 같은 외부데이타 기억수단으로부터 로드되는 데이타 기억수단을 구비하며, 이 조리데이타를 기초로 메뉴선택 동작을 제어한다.
제17도에서 이러한 기능유니트(25)의 메뉴선택 동작이 우측에 보여지며, 그 스위치동작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디스플레이의 내용은 좌측에 보여진다. 메뉴선택 모드스위치(31)를 눌렀을 때 주재료 인디케이터(main material indicator)(32)가 번쩍하여 사용자가 주재료를 선택하는 것을 선택시킨다.
그러면 사용자는 주재료 입력스위치(29)에 표시된 주재료의 인쇄된 도해를 참조하여, 사용된 주재료(이 예에서는 "쇠고기")에 대한 스위치를 발견하여 누른다. 그러면 사용할 주재료의 선택이 끝난다. 그러면 선택된 재료, "쇠고기"를 위한 선택된 주재료 인디케이터(33)에 그 사용자에게 그 "쇠고기"가 선택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불이 켜진다.
그러면 기능유니트(25)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주재료 정보가 선택된 주재료 "쇠고기"에 관련한 부재료 정보, 예를들어 본 예에서는 챠이니스 밤부(chinese bamboo)와 챠이니스 캐비지(cabbage)를 얻기 위해 검색된다. 다음에, 발견된 재료, 챠이니스 밤부와 챠이니스 캐비지에 대한 선택된 부재료 인디케이터(34)에 불이 들어와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상기시킨다. 그러면 불이 켜지는 인디케이터를 가지는 부재료용 스위치에 인쇄된 영상을 참조하여, 사용자는 선택을 하기 위하여 바라는 부재료에 대한 부재료 입력스위치(30)를 누른다.
그 결과로서, 콘트롤러는 특정한 주재료 "쇠고기"와 부재료 챠이니스 밤부와 챠이니스 캐비지를 사용하는 메뉴선택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메뉴들을 검색하고, 발견된 마무리 메뉴선택의 도해가 디스플레이(28)상에 보여진다. 쇠고기, 챠이니스 밤부, 챠이니스 캐비지를 포함하는 재료결합에 따른 메뉴선택이 없으면, 입력된 재료결합의 재구성이 두가지 부재료의 결합이 깨어진 그러한 방식으로 두번째로 검색을 위해 실행된다.
덧붙여 어떤 혹은 모든 키들이 메뉴검색을 위해 주재료와 짝지워지도록 선택되어야한다는 것을 사용자가 첫눈에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불이 켜지는 부재료들을 선택하는 것이 늘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선택된 부재료 인디케이터(34)가 깜박거리지 않는 부재료 입력스위치(30)가 선택되는 경우에, 콘트롤러(controller)는 단지 선택된 주재료에 따라서만 메뉴검색을 실행할 것이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것처럼, 사용자가 무엇을 준비해야할지에 관해 어떤 확실한 생각도 가지지 않았을 때, 혹은 IC 카드 혹은 RAM 팩에 기억된 메뉴의 내용에 생소할 때조차, 이 발명은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요소들에 따른 메뉴선택을 허용한다. 특정하게 재료 입력스위치(29)상의 인쇄된 도해들로부터 재료선택, 그리고 디스플레이(28)상의 완성된 영상 도해들로부터 메뉴선택, 이와 같이, 상기에 설명된 전자오븐은 사용자가 실행 및 실수의 처리과정에 의해 복수의 메뉴들을 선택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제거한다.
지금까지 설명했던 것과 같이 주/부 재료가 지정되고, 메뉴선택이 이루어지는 전자오븐은 사용자가 무엇을 먹을지 어떤 구체적인 생각도 가지지 않았을 때, 혹은 IC 카드 혹은 RAM 팩에 기억된 메뉴에 관해 전혀 확실치 않을 때 특히 효과적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전에 어떤 선택을 한 메뉴를 선택할 때, 사용자는 여전히 주/부 재료에 들어가야 하고, 그 다음에 그에 의해 지정된 재료결합에 따라 검색된 복수의 메뉴선택들 중에서 바라는 메뉴를 선택해야 한다. 다른 말로 사용자는 그가 바라는 메뉴의 구체적 메뉴이름을 가지고, 바라는 메뉴의 조리정보가 기억된 IC 카드의 내용에 관해 확실하다. 이러한 이용할 수 있는 지식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입력되는 재료를 지정하고 복수의 출력된 메뉴영상들로부터 바람직한 메뉴를 선택하도록 강제될 것이다.
덧붙여 사용자가 짝지워지는 부재료에 관해 전혀 확실하지 않을 때 혹은 그의 지정이 전혀 정확하지 않을 때, 실행 및 실수에 의한 선택 혹은 반복된 작동이 필요하다. 이것은 사용자가 그가 바라는 메뉴이름에 관해 꽤 확실할 때라도 상기에 사용된 전자오븐은 사용자에게 메뉴정보를 원활하게 상기시키도록 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주재료의 도해가 주재료 입력스위치(29)상에 찍히기 때문에 주어진 재료 입력스위치가 다른 주재료에 지정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사용된 주재료와 매우 상이할 수 있는 IC 카드를 대체함으로서 조리모드에서의 심한 변화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디스플레이(28)의 사이즈는 기능유니트(25)의 사이즈에 비교해볼 때 비교적 작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28)상에 사용자를 위해 보여지는 완성된 메뉴선택의 도해들은 표시된 메뉴선택에 대한 식욕을 자극할 정도로 만족스럽지 못하고, 메뉴선택작동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메뉴가 미리 결정되지 않았을 때, 사용자가 경험의 부족으로 인해 IC 카드와 RAM 팩과 같은 외부 메모리수단에 기억된 메뉴정보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가지지 않았을 때, 그리고 사용자가 전에 사용해본 적이 있는 메뉴를 선택하고 싶을 때 높은 메뉴선택성을 얻도록 단순한 작동으로 바라는 메뉴선택이 이루어지며 세트될 수 있는 전자오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오븐은 메모리에 기억된 조리정보를 기초로 선택된 메뉴이름에 대한 조리프로그램에 따른 가열조리 처리과정을 제어하는 메모리를 가지는 콘트롤 유니트를 구비하는데, 상기 조리프로그램은 전자오븐의 기억장치에 기억되며, 상기 콘트롤 유니트는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표시영역상의 메모리에 기억된 조리정보로서 문자데이타 혹은 영상데이타가 표시되는 액정디스플레이와, 그리고 액정디스플레이로 라미네이팅되고 액정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투명전극 스위치를 구비하는 그럼으로서 조작패널상의 키들이 각각 액정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의 하나 그리고 하나의 표시영역으로서 투명전극 스위치쉬트상에 동일 영역을 차지하는 투명전극 스위치의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투명전극 스위치쉬트(switch sheet)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에 설명된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오븐의 메모리는 적어도 메뉴선택 모드이름, 메뉴이름, 그리고 재료영상을 포함하는 조리정보를 기억하고, 키들은 적어도 메뉴이름 혹은 재료를 지정하기위해 메뉴선택모드 및 복수 선택키들을 지정하는 오퍼레이션 키로서 할당되고; 그리고 콘트롤 유니트는 오퍼레이션 키가 조작될때 그 키의 표시영역의 표시내용을 기초로 메뉴가 메뉴이름 리스트로부터 선택되는 메뉴이름 리스팅 선택모드(menu name listing selection mode)와, 메뉴가 재료지정에 의해 선택되는 재료지정 선택모드(material specification selection mode) 사이의 메뉴선택모드를 변화시키는 메뉴선택모드 셋팅수단과, 메뉴이름 리스팅 선택모드가 메뉴선택모드 셋팅수단에 의해 셋트될 때 복수의 선택키의 표시영역으로 메모리에 기억된 메뉴이름들을 표시하고 메뉴이름 리스팅 선택모드와 관련된 메뉴선택 모드이름을 오퍼레이션 키의 표시영역으로 표시하는, 그리고 재료지정 선택모드가 메뉴선택모드 셋팅수단에 의해 세트될 때 복수 선택키의 표시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료선택의 도해들을 표시하는, 그리고 재료지정 선택모드와 관련된 메뉴선택 모드이름을 오퍼레이션 키의 표시영역으로 표시하는 키 표시수단과, 메뉴이름 리스팅 선택모드가 메뉴선택모드 셋팅수단에 의해 세트될 때 조작된 선택키에 표시된 메뉴이름을 기초로, 그리고 재료지정 선택모드가 메뉴선택모드 셋팅수단에 의해 세트될 때 조작된 선택키에 재료도해를 기초로 메모리에 기억된 메뉴이름들로부터 지정된 메뉴이름을 선택하는 메뉴선택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오븐에서 메모리에 기억된 조리정보는 각 메뉴의 마무리 영상을 포함하고, 키 표시수단은 복수의 상호 인접한 키들과 관련된 표시영역을 특정메뉴가 메뉴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될 때 단 하나의 마무리 영상표시화면으로서 기능하도록 하고 이 표시를 위한 메모리로부터 마무리 영상표시화면으로 선택된 메뉴이름에 대한 마무리 영상을 읽는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오븐은 적어도 메모리로 기억시키기위한 재료영상, 메뉴이름, 메뉴선택 모드이름을 포함하는 조리정보가 등록되는 외부기억수단을 구비하여, 여기에서 콘트롤 유니트는 외부기억수단이 로드되는 로딩부와, 외부기억수단이 콘트롤 유니트의 로딩부에 로드될 때 메모리의 대응 영역으로 외부기억수단에 등록된 조리정보를 전송하는 조리정보 전송수단을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에 설명된 전자오븐의 제5실시예에서, 콘트롤 유니트는 그 조작패널의 전면을 가로질러 액정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을 구비하고, 조작패널의 측면이 전자오븐의 윤곽의 일부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키의 표시영역에서 볼 수 있는 문자정보 혹은 영상정보를 참조하여 바라는 메뉴이름을 선택하는데 필요한 키를 조작할 때, 조작된 키의 투명전극 스위치가 작동하여 그 표시영역에 표시된 문자정보 혹은 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처리과정을 실행하고, 그 사용자가 바라는 메뉴이름이 선택된다.
제2실시예에서 적어도 메뉴선택 모드이름, 메뉴이름, 그리고 재료영상을 구성하는 조리정보가 제1실시예에 따라 전자오븐의 메모리에 기억된다. 더욱이 키가 적어도 하나의 메뉴선택모드를 지정하기위한 오퍼레이션 키로서 그리고 메뉴 혹은 재료들을 지정하기위한 복수의 선택키로서 할당된다. 오퍼레이션 키가 작동될 때, 메뉴선택모드가 조작된 오퍼레이션 키를 위한 표시영역의 표시내용을 기초로 재료지정 선택모드와 메뉴이름 리스팅 선택모드사이의 메뉴선택모드 셋팅수단에 의해 변화된다.
메뉴이름 리스팅 선택모드가 메뉴선택모드 셋팅수단에 의해 세트될 때 복수의 선택키의 표시영역으로 메모리에 기억된 메뉴이름과 메모리에 기억된 그리고 오퍼레이션 키의 표시영역으로 메뉴이름 리스팅 선택모드와 관련된 메뉴선택 모드이름을 표시한다. 그러나 재료지정 선택모드가 세트될 때 키표시수단은 메모리로 기억된 이용할 수 있는 재료선택의 도해들을 복수의 선택키의 표시영역으로 표시하고, 재료지정 선택모드와 관련된 메뉴선택 모드이름을 오퍼레이션 키의 표시영역으로 표시한다. 메뉴이름 리스팅 선택모드가 선택될 때, 특정 메뉴이름이 조작되는 선택키의 표시영역에 표시된 메뉴이름을 기초로 메모리에 기억되는 메뉴이름들로부터 메뉴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다.
재료지정 선택모드가 세트될 때, 조작된 선택키에 표시된 재료영상을 기초로 메모리에 기억된 메뉴이름들로부터 특정 메뉴이름이 메뉴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다.
이와 같이 메뉴선택모드가 오퍼레이션 키를 조작함으로서 재료지정 선택모드와 메뉴이름 리스팅 선택모드사이에서 변화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오븐의 메모리에 기억되는 조리정보는 또한 메뉴선택의 마무리 영상을 포함한다. 그러면 특정메뉴가 메뉴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될 때 키표시수단이 연속적인 마무리 영상 표시영역으로서 복수의 인접한 키들의 표시영역을 규정하고, 표시를 위한 메모리로부터 선택된 메뉴이름의 마무리 영상을 판독한다.
이와 같이 선택된 메뉴이름의 마무리 영상을 큰 표시영역으로 표시함으로서 사용자의 메뉴확인조작의 용이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적어도 메뉴선택 모드이름, 메뉴이름, 그리고 재료영상들을 구성하는 조리정보가 등록되는 외부기억수단이 콘트롤 유니트의 로딩부(loading portion)에 로드된다. 외부기억수단에 등록된 조리정보는 조리정보 전송수단에 의해 대응 메모리영역으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로드된 외부기억수단을 변화시킴으로써, 설치된 외부기억수단에 등록된 메뉴에 사용된 재료영상이 기억수단이 바뀐 후에 선택키에 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면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되겠다.
여기에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오븐의 외부도이다. 이 전자오븐은 오븐 트레이(oven tray)상의 가열조리를 위한 재료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그네트론(magnetron)과, 종래의 재료가열조리를 위한 전기히터를 구비하는데, 이것들은 도면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며, 가열조리는 마이크로파 가열 혹은 전기히터가열에 의해 행해진다. 더욱이 제1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제2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직사각형의 상자모양인 콘트롤 유니트(51)가 전자오븐 본체(50)의 앞에 있는 오븐 도어(oven door)(52)위로 전자오븐 본체(50)의 폭전체를 가로질러 제공된다.
제3도는 콘트롤 유니트(51)의 구성도이다.
이 콘트롤 유니트(51)는 두가지 주요 성분, 디스플레이 유니트와 콘트롤 유니트 콘트롤러(58)에 의해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유니트는 오버레이(overlay)(53), 투명전극 스위치쉬트(54), 컬러 LCD(55), 그리고 라미네이팅된 구조의 디스플레이 콘트롤러(56)를 구비한다.
제3(a)도에서 볼 수 있는 오버레이(53)는 어떤것도 찍히지 않은 표면상의 투명쉬트이다. 제3(b)도의 투명전극 스위치쉬트(54)는 14개의 투명전극 스위치(104)를 가지며 이것은 메뉴선택, 재료선택 혹은 기능선택을 위해 조작된다.
제3(c)도의 컬러 LCD(55)는 디스플레이 콘트롤러(56)를 이용하여 콘트롤 유니트(51)상에 표시되는 모든 문자정보 혹은 영상정보 LCD 스크린상에 표시한다. 리드선(leads)(59)의 일단은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우측단에 있는 단자로 접속되고, 다른 단은 투명전극 스위치쉬트(54)의 우측단에 제공된 단자에 접속된다. 라미네이션(lamination)으로 된 조합된 디스플레이 유니트가 제3(d)도에 보이는 콘트롤 유니트 패널(57)에 설치될 때, 디스플레이 제어부(56)의 바닥의 우측단에 제공되는 단자들(도면에는 보이지 않는)이 콘트롤 유니트 패널(57)의 우측단에 제공된 단자(60)와 접속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56)가 콘트롤 유니트 패널(57)의 바닥에 제공되는 콘트롤 유니트 제어부(58)로부터 비디오 신호 혹은 문자신호들에 따라 문자정보 혹은 영상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컬러 LCD(55)를 제어한다.
한편 투명전극 스위치쉬트(54)상에 제공되는 투명전극 스위치(104)로부터 선택/명령 신호들이 디스플레이제어부(56)를 통해 콘트롤 유니트 제어부(58)로 보내진다. 인서션 슬롯(insertion slot)(61)이 외부기억수단으로 사용되는 IC 카드용 도면에서 디스플레이 제어부(56)의 좌측에 제공된다. 콘트롤 유니트 패널(57)의 에지(63)의 측면(63a)이 그 측면(63a)에 제공된 인서션 슬롯(62)과 함께 전자오븐 본체(50)의 윤곽의 일부를 형성한다. IC 카드가 이 인서션 슬롯(61)에 인서트될 때, IC 카드의 단에 있는 접점들과 인서션 슬롯(61)의 안단에 제공된 접점들이 접속하고, 그 IC 카드에 기억된 조리정보가 콘트롤 유니트 제어부(58)의 메인 메모리, 즉 RAM을 로드된다.
제4도는 콘트롤 유니트(51)의 블록도로, 도면의 좌측에서부터 입력부, 제어부, 메모리부, 그리고 출력부를 구비한다. 입력부가 투명전극 스위치쉬트(54)와 오버레이(53)에 의해 형성되고, 제어부와 메모리부는 제3도의 콘트롤 유니트 제어부(58)에 의해 형성되고, 출력부는 컬러 LCD(55)와 디스플레이 제어부(56)에 의해 형성된다.
콘트롤 유니트 제어부(58)의 메인 메모리(67)는 메모리부를 형성하고 조리정보를 기억하는데, 이것은 검색 데이타, 조리프로그램, 완성된 영상데이타, 메뉴이름 데이타, 주재료 영상데이타, 부재료 영상데이타, 그리고 오퍼레이션 키 표시데이타를 포함한다. 이 조리정보는 예를들어, IC 카드(69), RAM팩(70)등과 같은 외부기억장치의 조리카테고리(예를들어 중화요리, 일본요리)에 의해 기억되고 분류된다.
조리정보가 다음에 상세히 설명된다.
(a) 검색 데이타
이것은 주/부재료이름을 기초로 메뉴이름을 찾는데 사용되는 데이타로, 주재료 이름코드, 두가지 타입의 부재료 이름코드, 완성된 영상코드, 그리고 거기에 덧붙여 메뉴이름코드를 포함한다.
(b) 조리프로그램
조리프로그램은 각 메뉴선택에 따라 사용자에게 지시를 제공하는 명령 프로그램뿐 아니라 마이크로파 가열 및 그릴 가열(grill heating)을 제어하는 가열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c) 마무리 영상데이타
이 정보는 디스플레이상의 마무리 메뉴의 영상을 표시하기위해 사용되며, 마무리 영상코드 및 각 메뉴선택에 붙여진 대응하는 마무리 영상데이타를 포함한다.
(d) 메뉴이름 데이타
이 데이타는 가열모드(마이크로파 가열모드 및 그릴가열모드)의 관점에서 메뉴이름을 찾을 때 사용되고, 가열모드에 의해 분류된 가열모드 이름코드와 대응 메뉴이름코드를 포함한다.
(e) 주재료 영상데이타
각 메뉴선택에서 주재료의 영상을 표시하는 데이타
(f) 부재료 영상데이타
각 메뉴선택에서 주재료 이외의 전형적 재료(부재료)들의 영상을 표시하는 데이타
(g) 오퍼레이션 키와 기능키 표시데이타
1. 컬러 LCD(55)의 표시내용을 변화시키는 오퍼레이션 키의 작동모드 이름을 표시하는 데이타.
작동모드 이름을 표현하기위해 사용되는 문자코드는 클럭(CLOCK), 카테고리(CATEGORY), 그리고 머티어리얼(MATERIAL)를 포함한다.
2. 카테고리 조작모드의 가열모드 이름을 표시하는 데이타.
가열모드 이름을 위한 문자코드는 마이크로(MICRO) 그리고 그릴(GRILL)을 포함한다.
3. 머티어리얼(MATERIAL) 조작모드의 재료선택 모드이름을 표시하는 데이타.
재료선택 모드이름을 위한 문자코드는 메인(MAIN)과 서브(SUB)를 포함한다.
4. 머티어리얼(MATERIAL) 조작모드의 메뉴 마무리 영상을 변화시키는 스크린 선택모드 이름을 표시하는 데이타.
스크린 선택모드 이름을 위한 문자코드는 메뉴(MENU)를 포함한다.
5. 컬러 LCD(55)에 따라 선택을 취소하거나 혹은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기능키의 기능모드 이름을 표시하는 데이타.
기능모드 이름을 표시하는 문자코드는 록(LOCK)과 캔슬(CANCEL)을 포함한다.
예를들어 제3(c)도에서 볼 수 있는 표시 콘트롤러(56)의 인서션 슬롯(61)으로 이 조리정보를 홀딩하는 IC 카드(69)를 끼움으로서 조리정보가 적절한 메인 메모리(67)위치, 검색데이타 영역(67a), 조리프로그램 영역(67b), 마무리 영상데이타 영역(67c), 메뉴이름 데이타 영역(67d), 주재료 영상데이타 영역(67e), 부재료 영상데이타 영역(67f), 그리고 오퍼레이션 키 표시데이타 영역(67g)으로 로드된다.
제어부를 구성하는 CPU(65)(중앙처리부)는 입/출력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ROM(read-only memory)(66)에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지시된 메인 메모리(67)에 기억된 조리정보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판독하고, 메뉴선택 처리과정을 위한 입/출력부를 제어한다.
다른 말로 CPU(65)는 메뉴선택모드 셋팅수단, 메뉴선택 수단, 그리고 조리정보 전송수단을 형성한다.
메인 메모리(67)에 기억된 메뉴이름, 마무리 메뉴영상 데이타, 그리고 메인 메모리(67)에 기억된 주/부재료 영상데이타가 출력수단을 형성하는 컬러 LCD(55)에 표시된다.
컬러 LCD(55)의 표시영역이 제어부(51)의 전면을 커버하고, 제5도에 보이는 14개의 직사각형 표시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14개의 표시영역에 있어 메뉴이름, 주재료영상, 혹은 부재료영상이 도면 좌측 10개의 상호 인접한 표시영역(71)에 표시된다. 표시영역(72)에 조작모드 이름이 표시되고, 표시영역(73)에 표시영역(72)에 표시된 조작모드에 따라 가열모드 이름 혹은 재료선택 모드이름 혹은 표시변화 모드이름이 표시된다(제5도에서 조작모드 이름은 카테고리(CATEGORY)이고, 가열모드 이름은 마이크로(MICRO)이다.). 표시영역(74)에 기능모드 이름 록(LOCK)이 표시되고, 표시영역(75)에 기능모드 이름 캔슬(CANCEL)이 표시된다.
이 예에서 메뉴이름이 가열모드에 의해 분류되고, 표시영역(73)에 표시된 가열모드이름에 따라 디스플레이에서 변화한다. 유사하게 주재료영상이 재료선택모드 "메인"(MAIN)에 일치하도록 할당되고, 부재료영상이 표시영역(73)에 표시되는 재료선택 모드이름에 따라 변화하는 표시내용을 가진 재료선택모드 "서브"(SUB)에 일치하도록 할당된다.
컬러 LCD(55)의 10개의 표시영역(71)이 그 10개의 표시영역(71)이 단 하나의 마무리 영상 표시영역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처럼, 메뉴선택이 행해질 때, 메뉴선택의 마무리 영상이 마무리 영상 표시영역에 표시된다. 메뉴선택의 마무리 영상이 콘트롤 유니트(51)에 표시될 때, 그 표시된 영상이 콘트롤 유니트(51)상의 이용할 수 있는 표시영역의 5/7(엄밀히 말하면, 전자오븐 본체(50)의 전면의 5/7)을차지하고, 그러므로 그 표시된 메뉴선택이 사용자에게 식욕을 주도록 나타나게 만들만큼 충분히 크다.
컬러 LCD(55)상에 표시된 문자정보 혹은 영상정보가 메인 메모리(67)의 검색데이타 영역(67a), 마무리 영상데이타 영역(67c), 메뉴이름 데이타 영역(67d), 주재료 영상 데이타 영역(67e), 부재료 영상데이타 영역(67f) 그리고 오퍼레이션 키 표시 데이타 영역(67g)으로부터 요구되는 것처럼 CPU(65)에 의해 판독된다.
다음에 판독된 문자정보 혹은 영상정보가 입/출력 인터페이스(64)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56)로 보내지고, 그러면 이것이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5도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컬러 LCD(55)를 제어한다. 다른말로, 결합된 CPU(65)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56)가 오퍼레이션 키 표시수단을 형성한다.
투명전극 스위치쉬트(54)는 입력부를 형성하는데 이것은 투명전극 스위치가 컬러 LCD(55)의 14개의 표시위치에 일치하는 위치가 되도록 컬러 LCD(55)를 커버하고 14개의 투명전극 스위치가 제공되는 투명쉬트이다.
이와 같이 투명전극 스위치쉬트는 제3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컬러 LCD(55)의 상부에 커버한다. 그 결과, 컬러 LCD(55)의 대응 표시영역에 표시된 문자정보 혹은 영상정보가 투명전극 스위치쉬트(54)의 투명전극 스위치를 통해 보여질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투명전극 스위치쉬트(54)를 통해 보여지는 문자정보 혹은 영상정보를 참조할 수 있고, 문자 혹은 영상의 위치에 접근함으로서 선택/명령 신호가 투명전극 스위치쉬트(54)의 대응 투명전극 스위치로부터 출력된다.
다른말로 컬러 LCD(55) 및 투명전극 스위치쉬트(54)가 오퍼레이션 키를 가지는 조작패널을 형성하기위해 절대적으로 기능한다. 다음에 컬러 LCD(55) 및 투명전극 스위치쉬트(54)가 조작패널로 집합적으로 참조되고, 대응 투명전극 스위치들이 키로서 집합적으로 참조된다.
조작패널상의 14개 키들중 메뉴이름 혹은 재료영상이 표시되는 컬러 LCD(55)의 열개의 표시영역(71)에 대응하는 키들은 선택키로서 참조된다. 유사하게 조작모드 이름이 표시되는 표시영역(72)을 위한 키는 오퍼레이션 키로서 참조되고, 가열모드 이름 혹은 재료선택 모드이름 혹은 표시선택 모드이름이 표시되는 표시영역(73)을 위한 키는 가열/재료 키로서 선택되 참조되고, 기능모드 이름 "록"(LOCK)을 표시하는 표시영역(75)을 위한 키가 록키(lock key)로서 참조되고, 기능모드 이름 "캔슬"(CANCEL)을 보여주는 표시영역(75)을 위한 키는 캔슬키(cancel key)이고, 록 및 캔슬 키는 둘다 기능키로서 참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작패널상의 선택키를 누르면, 컬러 LCD(55)의 대응 표시영역(71)에 표시된 메뉴 혹은 재료가 선택된다. 더욱이 오퍼레이션 키 혹은 가열/재료 키를 누르면, 컬러 LCD(55)의 표시영역(72)(73)에 표시되는 가열 혹은 재료선택 모드이름 및 조작모드 이름들이 CPU(65)제어를 기초로 연속적으로 끝없이 선택될 것이다. 상기에 규정된 선택키의 표시내용은 가열모드 혹은 재료선택모드의 선택에 응답하여 변화한다. 조작모드, 가열모드 그리고 재료선택모드의 선택 및 표시 시퀀스가 ROM(66)에 기억된 콘트롤 프로그램에 따라 이전에 결정된다. 더욱이 가열/재료 키 표시가 선택키를 통한 재료선택 입력의 결과로서 스크린 변화 모드이름 메뉴(MENU)로 변화되고 가열/재료 키를 누를 때, 컬러 LCD(55)의 마무리 영상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마무리 영상이 연속적으로 변화될 것이다.
더욱이 록(LOCK)기능키를 누를 때, 마무리 영상이 마무리 영상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메뉴선택이 확인된다. 한편 메뉴선택은 캔슬(CANCEL)기능키를 누름으로서 취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명전극 스위치쉬트(54)의 투명전극 스위치로부터 선택/지정 신호 출력은 디스플레이 제어부(56)로의 첫 입력이다. 신호는 투명전극 스위치의 위치에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컬러 LCD(55)의 표시영역의 표시내용을 표시하는 신호와 관련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64)를 통해 CPU(65)로 판독된다. 결과적으로 CPU(65)는 메뉴이름, 재료지정, 조작모드, 가열모드, 재료선택모드, 혹은 기능모드가 선택/지정되는 투명전극 스위치쉬트(54)이 투명전극 스위치로부터 선택/명령 신호에 의해 알 수 있다.
상기 각 모드가 다음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조작모드는 예를들어 다음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I) 클럭(CLOCK)모드
예를들어 컬러 LCD(55)의 10개 표시영역(71)에 의해 형성된 마무리 영상 표시영역으로 로타리 인코더(rotary encoder)에 의해 세트된 현재 시간을 표시하는 모드(로타리 인코더는 관련 도면에서 보이지 않음).
(II) 카테고리(CATEGORY)모드
메뉴이름 리스팅으로부터 메뉴를 선택하기위한 모드로, 여기에서 메뉴이름은 컬러 LCD(55)의 표시영역(71)의 가열모드에 의해 분류된다.
(III) 머티어리얼(MATERIAL)모드
메뉴선택에서 사용된 재료를 지정함으로서 메뉴를 선택하기위한 모드로, 여기에서 컬러 LCD(55)의 표시영역(71)에 표시되는 재료영상 리스트는 아래에 기술될 것처럼 재료선택모드에 의해 분류된다. 즉 이것은 카테고리(CATEGORY)모드로서 참조된 메뉴선택모드의 변형들중 하나이다.
가열모드는 예를들어 다음 모드들을 포함한다.
(A) 마이크로(MICRO)모드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방사된 전자파 방사선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해 재료들을 조리하는 전자파 가열모드.
(B) 그릴(GRILL)모드
전기 히터에 의해 발생한 열에 의해 재료를 조리하는 그릴 가열모드.
재료선택모드는 예를들어 다음 모드를 포함한다.
(a) 메인(MAIN)모드
머티어리얼(MATERIAL)모드에 있을 때, 컬러 LCD(55)의 표시영역(71)에 리스트되는 재료리스트가 주재료에 제한되지 않는 모드.
이때 표시되는 주재료 영상들은 메인 메모리(67)의 주재료 영상데이타 영역(67e)으로 로드되는 주재료 영상데이타와 관련된 조리카테고리(즉 사용되는 IC 카드와 관련된 조리카테고리)와 관련된 모든 메뉴선택에서 사용되는 주재료를 위한 영상이다. 사용자가 주재료 지정의 한계이상으로 조리카테고리를 변화시키기 원할지라도, 컬러 LCD(55)에 표시되는 주재료 영상은 디스플레이 제어부(56)에 로드된 IC 카드(69)를 단순히 변화시킴으로서 조리카테고리와 연관된 주재료 영상으로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조리카테고리가 사용되는 주재료가 크게 다른 것으로 변화될지라도, 그 조리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주재료 영상은 예외없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선택키는 다양한 다른 주재료로 할당될 수 있다.
(b) 서브(SUB)모드
이것은 컬러 LCD(55)의 표시영역(71)에 리스트되는 주재료가 부재료에 제한되지 않는 모드이다.
이때에 표시되는 부재료 영상들은 대응 조리카테고리와 관련된 모든 메뉴에서 사용되는 부재료를 위한 영상들이다.
스크린 변화모드는 컬러 LCD(55)의 마무리 영상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각 메뉴의 마무리 영상들의 내용들을 변화시키는 모드이다.
상기에 설명된 구조를 가지는 전자오븐은 메뉴선택 처리과정에서 다음 방식으로 작동할 것이다.
제6(a), (b), (c), (d), (e), (f), (g) 그리고 (h)는 CPU(65)제어에 따라 행해진 메뉴선택 처리과정의 플로우챠트를 보여준다. 제6(a), (b), (c), (d), (e), (f), (g) 그리고 (h)에서, 사용자와 CPU(65)에 의해 뒤이어지는 메뉴선택 처리과정 플로우챠트가 도면의 좌측에 보여지고 사용자에 의해 뒤이어지는 조작처리과정이 우측에 보여지고, 플로우챠트가 투명전극 스위치쉬트(54)를 통해 보여지는 컬러 LCD(55)상의 표시결과들에 응답하여 뒤이어질때 조작패널(76)이 디스플레이의 변화가 중앙에 보여진다. 다음 설명에서, 플로우챠트 처리과정이 스텝으로 참조되고, 조작 처리과정이 조작스탭으로 참조되고, 그리고 표시내용이 표시스탭으로 참조된다.
특정 조리모드를 위한 IC 카드(69)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디스플레이 제어부(56)의 인서션 슬롯(61)에 끼워지고, IC 카드(69)에 등록된 특정 조리카테고리와 연관된 조리정보가 메인 메모리(67)로 로드된다는 것이 추정된다.
스텝 S1에서, 전자오븐의 플러그를 끼우고 파워를 온상태로 한다.
스텝 S2에서, 조작모드가 자동적으로 클럭(CLOCK)으로 세트된다.
스텝 S3에서, 조작패널(76)의 오퍼레이션 키(77)의 표시는 디스플레이 스텝 D1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자동적으로 클럭(CLOCK)으로 세트되고, 현재 시간이 마무리 영상 표시영역(8)에 나타난다.
스텝 S4에서, 조작패널(75)의 오퍼레이션 키(77)를 오퍼레이션 스텝 01에 보여지는 것처럼 누른다.
스텝 S5에서, 현재 선택된 조작모드 클럭(CLOCK)의 다음에 오는 조작모드 카테고리(CATEGORY)가 자동적으로 선택된다. 그러면 새로이 선택된 조작모드 카테고리(CATEGORY)의 제1가열모드 마이크로(MICRO)가 자동적으로 선택된다. 더욱이 가열모드 마이크로(MICRO)에 할당된 메뉴이름이 메인 메모리(67)의 메뉴이름 데이타영역(67d)로부터 검색된다. 이것이 완결되었을 때, 메뉴이름 리스팅 선택모드를 기초로 메뉴선택을 시작한다.
스텝 S6에서, 조작패널(76)에 있는 오퍼레이션 키(77)의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 스텝 D2에 보여지는 것처럼 카테고리(CATEGORY)로 변하고, 가열/재료 키(78)가 마이크로(MICRO)로 변하고, 스텝 S5의 검색에서 발견되는 메뉴이름들이 선택키(78)에 표시된다.
스텝 S7에서, 사용자는 조작모드를 변화시킬지 어떨지(엄밀히 말해 재료지정 선택방법을 사용한 메뉴선택으로 변화시킬지 어떨지)를 결정한다. 만약 메뉴가 결정되지 않거나 혹은 어떤 다른 이유때문에 사용자가 재료지정 선택을 통해 메뉴를 선택하고자 한다면, 그 처리과정은 스텝 S17로 간다. 그러나 만약 메뉴선택모드에 어떤 변화도 없다면, 스텝 S8로 나아가고 메뉴이름 리스팅 선택방법을 기초로 메뉴선택이 계속된다.
스텝 S8에서 사용자는 가열모드를 변화시킬지 아닐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결정을 기초로, 처리과정은 가열모드를 변화시키도록 결정되면 바라는 메뉴가 현재 선택된 가열모드와 관련된 메뉴이름들중에 있지 않기 때문에 스텝 S9로 진행하고, 가열모드가 변화되지 않으면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9에서 조작패널(76)의 가열/재료 키(78)를 오퍼레이션 스텝 O2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한번 누른다.
스텝 S10에서, 현재 선택된 가열보드(제6(b)도의 마이크로(MICRO) 다음에 오는 가열모드(그릴(GRILL)이 제6(b)도의 마이크로(MICRO) 다음에 있다)가 자동적으로 선택된다. 그러면 그 선택된 가열모드(제6(c)도의 그릴(GRILL)과 관련된 메뉴이름이 메인 메모리(67)의 메뉴이름 데이타 영역(67d)으로부터 검색된다.
스텝 S11에서, 디스플레이 스텝 D3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조작패널(76)의 히트/재료 키(78)의 디스플레이가 스텝 S10에서 선택된 가열모드(제6(c)도의 그릴((GRILL))로 변화하고 선택키(79)의 디스플레이가 스텝 S10에서 서치된 메뉴이름들로 변화된다.
스텝 S12에서 조작패널(76)상의 캔슬(CANCEL)키(82)를 눌렀는지 아닌지가 결정된다. 만약 눌렀다면, 진행과정은 스텝 S6으로 돌아가고, 가열모드는 마이크로(MICRO)로 세트되고, 마이크로(MICRO) 가열모드에 일치하는 메뉴이름이 다시 표시된다. 그러나 만약 캔슬(CANCEL)키(82)를 누르지 않았으면(즉 그릴(GRILL)모드가 조건에 맞는다면), 처리과정은 스텝 S13으로 나아간다.
스텝 S13에서, 바라는 메뉴이름(제6(d)도의 "G-3XXXX")이 조작패널(76)에 표시되는 선택키(7)를 오퍼레이션 스텝 O3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누르고, 메뉴선택이 선택/지정된다.
스텝 S14에서 스텝 S13에서 선택된/지정된 메뉴이름을 기초로 대응하는 마무리 영상코드가 메인 메모리(67)의 검색 데이타 영역(67a)으로부터 검색된다. 서치된 마무리 영상코드에 일치하는 마무리 영상데이타가 마무리 영상데이타 영역(67c)으로부터 검색된다.
그러면 메뉴선택의 마무리 영상이 검색된 마무리 영상데이타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스텝 D4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조작패널(76)의 마무리 영상 표시영역(80)에 표시된다.
스텝 S15에서, 사용자는 조작패널(76)의 마무리 영상 표시영역(80)에 표시된 마무리 영상을 참조하여 그 표시된 메뉴선택을 확인할 지 안할지를 결정한다.
선택이 확인되면, 처리과정은 스텝 S32로 나아가고, 선택이 취소되면, 처리과정은 스텝 S16으로 나아간다.
스텝 S16에서 캔슬(CANCEL)키(82)를 오퍼레시션 스텝 O4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누른다.
이와 같이 스텝 S13(제6(d)도에서 "G3-설로인 스테이크(Sirloin steak)"에서 이루어진 메뉴선택이 취소되고, 처리과정은 스텝 S11로 돌아가고, 그리고 가열모드 그릴(GRILL)에 대응하는 메뉴이름이 다시 표시된다.
스텝 S17에서 오퍼레이션 스텝 O5에 보이는 것처럼, 조작패널(76)상의 오퍼레이션 키(77)를 다시 누른다.
스텝 S18에서 조작모드가 현재 선택된 모드(카테고리)로부터 다음 조작모드(머티어리얼)로 자동적으로 변화하고 머티어리얼 조작모드에 있는 제1재료선택모드 "메인"(MAIN)이 자동적으로 선택된다. 덧붙여 주재료 영상데이타가 메인 메모리(67)의 주재료 영상데이타 영역(67e)으로부터 검색된다.
재료선택방법을 기초로 메뉴선택을 쓸 수가 있다.
스텝 S19에서 디스플레이 스텝 D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작패널(76)의 오퍼레이션 키(77)의 디스플레이가 머티어리얼로 변화하고, 가열/재료 키(78)의 디스플레이가 메인으로 변화하고, 선택키(79)의 디스플레이가 스텝 S18에서 판독된 주재료 영상데이타를 기초로 주재료 영상들로 변화한다.
스텝 S20에서 오퍼레이션 스텝 O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라는 주재료 영상(제6(e)도에서 비프블록(beef block)의 영상)이 조작패널(76)에 표시되는 선택키(79)를 누르고, 따라서 바라는 주재료가 선택/지정된다.
스텝 S21에서 재료선택모드 SUB이 자동적으로 선택되고, 주재료가 스텝 S20에서 선택된/지정된 주재료인 모든 메뉴의 이름들이 메인 메모리(67)의 서치 데이타 영역(67a)로부터 검색되고, 발견된 메뉴이름들과 관련된 모든 부재료들이 검색된다. 그후 부재료 영상데이타들이 검색된 부재료 이름들을 기초로 메인 메모리(67)의 부재료 영상데이타 영역(67f)으로부터 판독된다.
스텝 S22에서 디스플레이 스텝 D6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조작패널(76)의 가열/재료 키(78)의 디스플레이가 서브로 변화되고, 선택키(79)의 디스플레이가 스텝 S21에서 판독된 부재료 영상데이타를 기초로 부재료 영상들로 변화된다.
스텝 S23에서 조작패널(76)상의 캔슬키(82)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져야 하는지 아닌지가 결정된다. 고려의 결과가 예스라면, 그 처리과정은 재료선택모드 MAIN이 다시 선택되고, MAIN 재료선택모드에 대응하는 주재료 영상이 다시 표시되는 스텝 S19로 돌아간다. CANCEL키(82)를 누르지 않았으면(즉 SUB 재료 선택모드를 이용할 수 있으면), 처리과정은 스텝 S24로 나아간다.
스텝 S24에서, 바람직한 두가지 타입의 부재료, 제6(f)도의 "키드니 빈스(kidney beans)" 그리고 "캐롯(carrot)"이 조작패널에 표시되는 선택키(79,79')를 오퍼레이션 스텝 O7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누르고, 따라서 두가지 바라는 부재료가 선택/지정된다.
사용자가 모든 필요한 재료(두가지 종류의 부재료)에 관해 확실하지 않을 때, 사용자는 하나의 바라는 재료가 조작패널(76)에 표시되는 선택키를 누를수 있고, 어떠한 부재료도 표시되지 않는 하나의 선택키를 누른다.
특별히 부재료의 선택은 두개의 선택키(79)를 눌렀다는 것이 발견될 때 완결된다.
스텝 S25에서, 스텝 S20과 S24에서 선택된 주/부재료들과 연관된 모든 메뉴들의 이름이 메인 메모리(67)의 검색데이타 영역(67a)으로부터 검색된다.
스텝 S26에서, 마무리 영상코드가 스텝 S25에서 발견된 메뉴이름들을 기초로 메인 메모리(67)의 검색 데이타 영역(67a)으로부터 검색되고, 검색된 마무리 영상코드용 마무리 영상데이타가 마무리 영상데이타 영역(67c)으로부터 검색된다. 그러면 검색된 마무리 영상데이타를 기초로, 각 현재의 메뉴선택의 마무리 영상(제6(g)도에서 "G-5, 보헤미안 스테이크")이 디스플레이 스텝 D7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조작패널(76)의 마무리 영상 표시영역(88)에 표시된다.
덧붙여, 가열/재료 키(78)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는 마무리 영상의 변화가 키를 누름으로서 검색된 영상데이타를 기초로 쓸모있게 되는 스크린 변화모드가 선택되는 것을 표시하는 메뉴(MENU)로 변한다.
심볼(81)이 복수의 메뉴이름들이 스텝 S25에서 실행된 검색에서 발견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텝 D7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마무리 영상 디스플레이 영역(80)의 상부 좌측코너에 표시된다.
디스플레이 스텝 D7에서 보여지는 심볼(81)이 "1/2→"을 판독한다. 심볼(81)의 "1/2"은 발견된 총 "2"완성 영상들중 번호 "1"영상이 현재 표시된다는 것을 표시하고 회살표 "→"은 스크린상의 디스플레이가 다음 메뉴이름의 마무리 영상으로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스텝 S27에서, 사용자는 조작패널(76)과 심볼(81)의 마무리 영상 표시영역(80)상에 표시된 현재 메뉴선택의 마무리 영상을 참조하여, 마무리 영상을 다른 메뉴의 것으로 스위치할지 아닐지를 결정한다. 스위치하는 것이 결정되면, 처리과정은 스텝 S28로 나가고, 아니면, 처리과정은 스텝 S30으로 나간다.
스텝 S28에서, 메뉴(MENU)를 표시하는 가열/재료 키(78)을 오퍼레이션 스텝 O8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누른다.
스텝 S29에서, 표시되는 다음 마무리 영상데이타가 스텝 S25에서 발견되는 모든 나머지 메뉴이름들중에서 지금 디스플레이중인 마무리 영상의 것 다음에 오는 메뉴이름을 기초로 검색된다.
검색된 마무리 영상데이타를 기초로, 다음 메뉴선택을 위한 마무리 영상("제6(g)도의 G-12 설로인 스테이크(Sirloin steak)")이 디스플레이 스텝 D8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조작패널(76)의 마무리 영상 표시영역(80)에서 표시된다. 이때 심볼(81)의 화살표 "→"가 지워지고 "1/2"가 현재 표시된 마무리 영상이 현재의 재료선택/지정에 따라 검색되는 마지막 영상이라는 것을 표시하기위해 "2/2"로 변한다.
스텝 S30에서, 사용자는 조작패널(75)의 마무리 영상 표시영역(80)에 표시된 마무리 영상을 참조하고, 표시된 메뉴선택을 확인할지 아닐지를 결정한다. 표시된 메뉴가 확인되면, 처리과정은 스텝 S32로 나가고, 메뉴선택이 확인되지 않으면, 처리과정은 스텝 S31로 나아간다.
스텝 S31에서, 오퍼레이션 스텝 O9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캔슬키(82)를 누른다.
그리하여 마무리 영상이 스텝 S29에 표시된 메뉴선택이 취소되고(제6(g)도의 "G-12 설로인 스테이크"), 처리과정이 스텝 S22로 돌아가고, 여기에서 재료선택모드 SUB로 할당된 부재료 영상들이 다시 표시된다.
스텝 S32에서, 오퍼레이션 스텝 O10에서 보이는 것처럼 조작패널(76)의 록키(83)을 누른다.
스텝 S33에서, 마무리 영상이 스텝 S14 혹은 스텝 S29에서 표시된 메뉴영상과 관련된 조리프로그램이 메인 메모리(67)의 조리프로그램 영역(67d)으로부터 검색된다.
그러면 발견된 조리프로그램이 제3도에 표시된 콘트롤 유니트 콘트롤러(58)의 조리 콘트롤 메모리(도면에서는 보이지 않는)로 로드된다.
확인된 메뉴선택을 위한 가열조리가 조리 콘트롤 메모리에 기억된 조리프로그램에 따라 조리 콘트롤러(도면에서는 보이지 않는)에 의해 제어된 것처럼 실행된다. 상기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명백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 메뉴선택동안 사용된 조작패널(76)이 컬러 LCD(55)의 표시영역에 일치하는 위치의 14개의 투명전극 스위치를 가지는 투명전극 스위치쉬트(54)를 가지는 14개의 직사각형의 표시영역을 가지는 컬러 LCD(55)를 라미네이팅함으로서 형성되는데, 즉 조작패널(76)의 각 키가 투명전극 스위치와 표시영역으로부터 형성된다.
그러면 조작패널(76)상의 조작키(77)와 가열/재료 키(78)를 조작함으로서 메뉴이름 혹은 주재료 영상 혹은 부재료 영상이 메뉴 및 재료를 선택/지정하기위해 10개의 선택키(79)에 차례로 표시된다.
메뉴이름들이 선택키(79)에 표시될 때 메뉴선택이 선택키를 조작함으로서 메뉴이름 리스팅 선택모드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선택키(79)의 디스플레이들이 주재료 영상 혹은 부재료 영상들을 표시하기위해 변화될 때 메뉴선택이 재료지정 및 선택모드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준비되는 메뉴가 결정될 때, 혹은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메뉴선택에 생소할 때, 혹은 사용자가 모든 필요한 재료들(두가지 종류의 제2재료)에 관해 확실하지 않을 때, 메뉴가 단순한 재료지정 선택모드에 의해 쉽게 선택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알려진 메뉴를 선택하기를 원할 때, 그 메뉴는 단순한 메뉴 선택모드 셋팅수단으로 빨리 선택될 수 있다.
더욱이 조작패널(76)의 선택키(79)에 표시되는 주 그리고 부재료 영상들을 위한 영상데이타가 조리카테고리에 의해 분류된 IC 카드(69)(혹은 RAM팩(70) 혹은 다른 외부데이타 기억수단)에 기억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56)로 바라는 조리카테고리와 관련된 IC 카드(69)(혹은 RAM팩(70))을 로딩함으로서 그 조리카테고리와 관련된 주 및 부재료 영상데이타가 콘트롤 유니트 콘트롤러(58)의 메인 메모리(67)로 로드된다.
이와 같이 IC 카드(69)(혹은 RAM팩(70))를 변화시킴으로서, 선택키(79)의 디스플레이가 대체된 IC 카드(69)(혹은 RAM팩(70))에 기억된 조리카테고리와 관련된 주재료 영상 혹은 부재료 영상으로 변화되고, 그러므로 선택키(79)가 복수의 재료로 할당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선택된 조리카테고리와 관련된 이용가능한 재료선택에 사용되는 주재료에 큰 변화가 있다고 할지라도 그 새로운 조리카테고리와 관련된 모든 주재료들이 선택될 수 있다.
더욱이, 메뉴이름 리스팅 선택모드 혹은 재료지정 선택모드가 현재 사용되는지에 따라, 메뉴 혹은 주/부재료 영상들을 선택/지정하는데 사용되는 메뉴이름들이 조작패널(76)상의 각 10개의 상호 인접한 선택키(79)에 표시된다. 또한 더욱이, 선택키(79)중 하나를 특정 메뉴를 선택/지정하기위해 누를 때, 10개의 상호 인접한 선택키(79)가 집합적으로 하나의 마무리 영상 표시영역(80)을 구성하고, 선택된/지정된 메뉴의 마무리 영상이 마무리 영상 표시영역(80)에 표시된다.
그러므로 마무리 메뉴의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영역이 표시된 선택에 대해 사용자의 식욕을 자극하는 것을 도울만큼 충분히 크다.
더욱이 조작패널(76)이 상기에 설명된 것처럼 컬러 LCD(55)와 투명전극 스위치쉬트(54)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키의 디스플레이는 대응키들에 따라 요구되는대로 변화된다. 이와 같이 모든 조작에서 사용자는 표시된 내용이 있는 키들을 단지 누르기만 하면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키의 표시내용에 따라 단순히 키조작을 되풀이함으로서 메뉴선택을 쉽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사용되는 문자정보 및 영상정보가 조리카테고리에 따라 외부기억수단에 등록된다. 그러므로 외부데이타 기억수단에 등록된 조리카테고리의 범위를 확장함으로서 이 콘트롤 유니트(51)를 포함하는 동일한 전자오븐이 국내 혹은 수출시장판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덧붙여 외부기억수단에 기억된 조리정보의 내용을 단순히 변화시킴으로서, 미드-레인지(mid-range)의 고가(高價) 전자오븐으로의 완전한 라인업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실시예에서 콘트롤 유니트(51)의 조작패널(76)의 마무리 영상 표시영역(80)은 컬러 LCD(55)의 10개의 연속적인 표시영역을 형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렇게 제한되지 않고, 마무리 영상표시스크린을 구성하는 표시영역의 수가 표시영역의 크기와 수, 그리고 콘트롤 유니트(51)의 크기에 따라 바라는대로 변화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열모드는 두가지 모드로 세트된다 : 마이크로파 가열모드, 그리고 그릴 가열모드, 그러나 본 발명은 그렇게 제한되지 않겠고, 마이크로파 가열 및 그릴가열이 듀티 사이클 콘트롤(duty cycle control)하에서 선택적으로 실행되는 복합 가열모드(compound heating mode) 및 특정비율로 마그네트론의 출력과 전기히터의 출력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서 얻어지는 동시 가열모드를 포함하는 다른 가열모드들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재료지정 선택모드에서 선택될 수 있는 메뉴의 수는 2로 세트되며, 그러나 본 발명은 그렇게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에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반적인 메뉴선택이 제공되는 모든 정보들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이용가능할 수 있도록 조작패널(76)의 마무리 영상 표시영역(80)에 표시된 영상정보는 이용가능한 메뉴선택의 완성된 영상과 메뉴선택에 관련된 다른 정보(예를들면 조리시간과 칼로리)를 결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메뉴선택 처리과정은 지금까지 설명된 것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설명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제1실시예는 표시영역과 동일한 위치를 차지하는 투명전극 스위치쉬트상의 투명전극 스위치와 액정디스플레이의 하나의 표시영역이 콘트롤 유니트의 조작패널상의 하나의 키를 형성하는 것과 같이 함께 깔리는 투명전극 스위치쉬트와 액정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제어부를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작패널의 키상에서 조리정보로서 적절히 표시되는 문자정보 혹은 영상정보에 따라 키들을 조작함으로서 극히 단순한 조작으로 바라는 메뉴선택을 선택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어부에 메뉴선택수단, 메뉴선택모드 셋팅수단, 그리고 조작키 표시수단을 제공하고, 메모리에 적어도 메뉴선택 모드이름, 메뉴이름, 그리고 재료영상을 구성하는 조리정보를 기억하고, 키에 적어도 오퍼레이션 키와 선택키를 할당하기 때문에, 메뉴선택모드는 오퍼레이션 키를 조작함으로서 재료지정 선택모드와 메뉴이름 리스팅 선택모드로부터 골라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준비할 메뉴가 결정되지 않았거나 혹은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메뉴선택에 생소할 때, 바람직한 메뉴는 메뉴선택모드를 재료지정 선택모드로 셋팅함으로서 쉽게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알려진 메뉴를 선택하고자 할 때, 알려진 메뉴는 메뉴선택모드를 메뉴이름 리스팅 선택모드로 셋팅하고 선택키에 표시된 메뉴이름을 기초로 바람직한 메뉴를 선택함으로서 쉽게 선택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오븐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오븐의 메모리에 기억된 조리정보의 각 메뉴선택의 마무리 영상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그리고 키 표시수단이 특정 메뉴선택이 메뉴선택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때 메뉴선택의 마무리 영상을 표시하기위하여 하나의 마무리 영상 표시영역으로 상호 인접한 복수키들을 집합시키기 때문에, 디스플레이가 표시된 메뉴선택에 대해 사용자의 식욕을 더 효과적으로 자극하고, 그럼으로서 메뉴선택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오븐은 메모리에 기억되는 적어도 메뉴선택 모드이름, 메뉴이름 그리고 재료영상들을 포함하는 조리정보를 외부기억수단에 기억하고, 외부기억수단이 제어부의 드라이브로 로드될 때, 조리정보 전송수단에 의해 메모리의 대응 어드레스로 외부기억수단의 조리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므로 예를들어 만약 조리정보가 조리카테고리에 의해 외부기억수단에 기억되면, 조리카테고리의 중요한 변화로 인해 사용되는 재료에 큰 변화가 있을지라도, 조리카테고리와 관련된 모든 메뉴들에 사용되는 재료영상들이 선택키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하여 선택키에 의해 선택된 재료의 영상들은 거기에 인쇄된 도해들에 의해서가 아니라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영상들에 의해 선택키에 표시된다.
그러므로 주어진 선택키는 다양한 재료로 할당될 수 있고, 조리카테고리가 중요하게 변화될 지라도 적합한 재료들이 재료지정 메뉴선택모드에서 예외없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화들과 수정들이 이 기술에 숙련된 사람들에게는 분명하다. 그러한 변화와 수정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된 것과 같이 그것들이 거기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Claims (10)

  1. 메모리에 기억된 조리정보를 기초로 선택된 메뉴이름의 조리프로그램에 따라 가열 조리과정을 제어하는 메모리를 가지며 상기 조리프로그램이 전자오븐의 기억장치에 기억되는 콘트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유니트가 문자데이타 혹은 영상데이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표시영역의 메모리에 기억되는 조리정보로서 표시되는 액정디스플레이와, 그리고 액정디스플레이로 라미네이팅되며 액정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되는 복수의 투명전극 스위치를 포함하는 투명전극 스위치쉬트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조작패널상의 키들이 액정디스플레이의 하나의 표시영역과 하나의 표시영역으로서 투명전극 스위치쉬트상의 동일영역을 차지하는 하나의 투명전극 스위치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전자오븐.
  2. 제1항에 있어서, 메모리가 적어도 메뉴선택 모드이름, 메뉴이름, 그리고 재료영상을 포함하는 조리정보를 기억하고, 키가 적어도 메뉴이름 혹은 재료를 지정하는 복수의 선택키와 메뉴선택모드를 지정하는 오퍼레이션 키로서 할당되고, 콘트롤 유니트가 오퍼레이션 키의 표시영역의 표시내용을 기초로 좋아하는 것을 발견하기위해 메뉴이름을 참조함으로서 메뉴가 선택되는 메뉴이름 리스팅 선택모드와, 재료들을 지정함으로서 메뉴가 선택되는 재료지정 선택모드사이의 메뉴선택모드를 변화시키는 메뉴선택모드 셋팅수단과, 메뉴이름 리스팅 선택모드가 메뉴선택모드 셋팅수단에 의해 세트될 때 복수의 선택키의 표시영역으로 메모리에 기억된 메뉴이름을 표시하고 메뉴이름 리스팅 선택모드와 연관된 메뉴선택 모드이름을 오퍼레이션 키의 표시영역으로 표시하는, 그리고 재료지정 선택모드가 메뉴선택모드 셋팅수단에 의해 세트될 때 복수의 선택키의 표시영역으로 이용가능한 재료선택의 도해들을 표시하고 재료지정 선택모드와 연관된 메뉴선택 모드이름을 오퍼레이션 키의 표시영역으로 표시하는 키 표시수단과, 그리고 메뉴이름 리스팅 선택모드가 메뉴선택 모드 셋팅수단에 의해 세트될 때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선택키에 표시되는 메뉴이름을 기초로, 그리고 재료지정 선택모드가 메뉴선택 모드 셋팅수단에 의해 세트될 때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선택키에 표시되는 재료도해를 기초로 메모리에 기억된 메뉴이름들중에서 특정 메뉴이름을 선택하는 메뉴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오븐.
  3. 제2항에 있어서, 메모리에 기억된 조리정보가 각 메뉴의 마무리 영상을 포함하고; 특정메뉴가 메뉴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될 때 집합된 상호 인접한 키들과 연관된 표시영역에 의해 하나의 마무리 영상표시 스크린으로서 작동하고, 디스플레이용 메모리로부터 이 마무리 영상표시 스크린으로 선택된 메뉴이름의 마무리 영상을 판독하는 키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오븐.
  4.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메모리로 기억되는 재료영상, 메뉴선택 모드이름, 그리고 메뉴이름을 포함하는 조리정보가 등록되는 외부기억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콘트롤 유니트가 외부기억수단이 로드되는 로딩부와; 그리고 외부기억수단이 콘트롤 유니트의 로딩부로 로드될 때 메모리의 대응영역으로 외부기억수단에 등록된 조리정보를 전송하는 조리정보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오븐.
  5.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메모리로 기억되는 재료영상, 메뉴이름, 그리고 메뉴선택 모드이름을 포함하는 조리정보가 등록되는 외부기억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콘트롤 유니트가 외부기억수단이 로드되는 로딩부와; 그리고 외부기억수단이 콘트롤 유니트의 로딩부로 로드될 때 메모리의 대응영역으로 외부기억수단에 등록된 조리정보를 전송하는 조리정보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오븐.
  6. 제1항에 있어서, 콘트롤 유니트가 조작패널의 전면을 가로질러 액정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을 형성하는 전자오븐.
  7. 제2항에 있어서, 콘트롤 유니트가 조작패널의 전면을 가로질러 액정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을 형성하며, 조작패널의 측면이 전자오븐의 윤곽의 일부를 형성하는 전자오븐.
  8. 제3항에 있어서, 제어부가 조작패널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액정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을 형성하며, 조작패널의 측면이 전자오븐의 윤곽의 일부를 형성하는 전자오븐.
  9. 제4항에 있어서, 콘트롤 유니트가 조작패널의 전면을 가로질러 액정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을 형성하고, 조작패널의 측면이 전자오븐의 윤곽의 일부를 형성하는 전자오븐.
  10. 제5항에 있어서, 콘트롤 유니트가 조작패널의 전면을 가로질러 액정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을 형성하고, 조작패널의 측면이 전자오븐의 윤곽의 일부를 형성하는 전자오븐.
KR1019910006756A 1990-04-26 1991-04-26 메모리에 기억된 조리프로그램에 따라 작동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가지는 전자오븐 KR950001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11063A JP2680716B2 (ja) 1990-04-26 1990-04-26 電子レンジ
JP2-111063 1990-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468B1 true KR950001468B1 (ko) 1995-02-24

Family

ID=14551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6756A KR950001468B1 (ko) 1990-04-26 1991-04-26 메모리에 기억된 조리프로그램에 따라 작동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가지는 전자오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272300A (ko)
EP (1) EP0454143B1 (ko)
JP (1) JP2680716B2 (ko)
KR (1) KR950001468B1 (ko)
AU (1) AU615855B1 (ko)
CA (1) CA2040992C (ko)
DE (1) DE6910039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9592B2 (ja) * 1990-10-22 1997-03-1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レンジ
SE502882C2 (sv) * 1994-06-13 1996-02-12 Whirlpool Europ Mikrovågsugn med undervärme
SE502883C2 (sv) * 1994-06-13 1996-02-12 Whirlpool Europ Styrförfarande för en mikrovågsugn, mikrovågsugn och dess användning för tillagning/uppvärmning av en matvara enligt styrförfarandet
NL1000219C2 (nl) 1995-04-25 1996-10-28 Atag Keukentechniek Bv Bediening voor apparatuur.
TW455042U (en) 1995-07-19 2001-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erating apparatus and heating cooker using the same
TW328675B (en) * 1995-07-28 1998-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oking apparatus with electric heater and its method of operation
US5731571A (en) * 1995-12-19 1998-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wave oven having a switch-actuating display protector
US5812393A (en) * 1996-05-14 1998-09-22 Microwave Science, Llc Interpretive BIOS machin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5883801A (en) * 1996-05-14 1999-03-16 Microwave Scienc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age
GB2313343A (en) * 1996-05-20 1997-11-26 Reuters Ltd A keyboard having keycaps with transparent front faces
TW385435B (en) 1996-05-30 2000-03-21 Hitachi Ltd An optical disk discriminating system of optical disk apparatus
TW339399B (en) * 1996-07-10 1998-09-01 Sharp Kk Cooking apparatus sequentially displaying cooking methods on its display and cooking methods using such cooking apparatus
KR19990002109A (ko) * 1997-06-19 1999-01-15 배순훈 멤브레인 키를 이용한 전자렌지 사양 검색방법
WO1998058210A1 (en) * 1997-06-19 1998-12-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oking device
KR19990038095A (ko) * 1997-11-03 1999-06-05 윤종용 식혜 조리 기능을 가진 전자렌지 및 식혜 조리 방법과, 전자렌지를 이용한 식혜 제조 방법
KR100247767B1 (ko) * 1997-11-04 2000-04-01 윤종용 2-레벨 동시조리기능을 가진 전자렌지 및 그 제어방법
EP0948240B1 (en) * 1998-03-30 2004-08-25 Sharp Kabushiki Kaisha Cooking apparatus
DE19834229B4 (de) * 1998-07-29 2007-02-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s Betriebsprogramms und programmgesteuerten Haushaltgerät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6388238B2 (en) * 1998-12-31 2002-05-14 General Electric Company Microwave oven control with external memory control data
US6936801B1 (en) 1999-08-23 2005-08-3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rotary dial user entry in an appliance
US6255630B1 (en) * 1999-09-01 2001-07-03 Maytag Corporation Program control and display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TW507145B (en) * 2000-05-22 2002-10-21 Daiichi Foods Co Ltd Outside-hospital foo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7069091B2 (en) 2001-11-01 2006-06-27 Salton, Inc. Intelligent microwave oven appliance
US7151968B2 (en) 2001-11-01 2006-12-19 Salton, Inc. Intelligent coffeemaker appliance
KR100436266B1 (ko) * 2002-04-13 200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제어 장치 및 방법
US7131549B2 (en) * 2002-10-18 2006-11-07 Oldemark Llc Double sided grill with automated control including localized prompting and confirmation of manual operations
US7069090B2 (en) * 2004-08-02 2006-06-27 E.G.O.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variable output feedback to a user of a household appliance
EP1977168A4 (en) * 2006-01-26 2015-06-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COOKING APPARATUS
KR101092522B1 (ko) * 2010-08-06 2011-12-13 리나스대성(주) 조리메뉴 입력장치가 구비된 스팀 컨벡션 오븐 및 이를 이용한 조리메뉴 입력방법
JP5048818B2 (ja) * 2010-08-31 2012-10-17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2013019577A (ja) * 2011-07-08 2013-01-31 Sharp Corp 加熱調理器
JP1562586S (ko) 2016-06-01 2016-11-07
JP1599562S (ko) 2017-09-28 2018-03-12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7704882L (sv) * 1976-04-29 1977-10-30 Sharp Kk Mikrovagsugn med en programmerbar digital styrkrets
JPS556118A (en) * 1978-06-26 1980-01-17 Sharp Corp Control panel for microwave oven
US4369344A (en) * 1979-07-26 1983-01-18 Vapor Corporation Sensitive door edge Wiegand module switch assembly
AU534381B2 (en) * 1979-09-14 1984-01-26 K.K. Toshiba Microwave oven
US4255640A (en) * 1979-10-19 1981-03-10 Litton Systems, Inc. Door mounted oven controls
JPS57137926A (en) * 1981-02-19 1982-08-25 Sharp Corp Electric signal input device
JPS59183220A (ja) * 1983-04-01 1984-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装置
JPS60105832A (ja) * 1983-11-14 1985-06-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US4568810A (en) * 1984-01-17 1986-02-04 The Tappan Company Oven cooking control system with scanning display
JPS60221626A (ja) * 1984-04-17 1985-11-06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レンジ
US4841125A (en) * 1985-07-18 1989-06-20 Sharp Kabushiki Kaisha Control unit for a heating system with memory means
JPH0781718B2 (ja) * 1988-02-19 1995-09-06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レンジ
JPH06100342B2 (ja) * 1988-10-28 1994-12-1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レン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54143A2 (en) 1991-10-30
AU615855B1 (en) 1991-10-10
EP0454143B1 (en) 1993-09-22
US5272300A (en) 1993-12-21
JP2680716B2 (ja) 1997-11-19
DE69100390T2 (de) 1994-04-28
EP0454143A3 (en) 1991-11-21
CA2040992C (en) 1995-03-21
DE69100390D1 (de) 1993-10-28
JPH049524A (ja) 199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468B1 (ko) 메모리에 기억된 조리프로그램에 따라 작동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가지는 전자오븐
US4972060A (en) Microwave oven with microcomputer operated according to cooking programs stored in a memory
EP1321716B1 (en) Microwave oven with easy setting of the menu
JP2700966B2 (ja) 電子レンジ
EP0482578B1 (en) Microwave oven
US6097016A (en) Cooking apparatus having display unit and item selection unit
US4841125A (en) Control unit for a heating system with memory means
EP0498669B1 (en) Heating apparatus
EP1395088A2 (en) Microwave ov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9002626A (ja) 加熱調理器
JP2002267184A (ja) 加熱調理装置
JPS6120776B2 (ko)
KR0159579B1 (ko) 정보출력 기능을 가지는 전자렌지 및 그 제어 방법
KR100393995B1 (ko) 조리기기의 메뉴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05265237A (ja) 電子レンジ
JPS63238334A (ja) 電子制御式調理器
JPH0697094B2 (ja) 電子レンジ
JPH10295553A (ja) 製パン機
JPH0132413B2 (ko)
JPS60226630A (ja) 加熱調理器の操作装置
KR19990033662A (ko) 멤브레인 키보드의 제어방법
JPH0229939B2 (ko)
JP2003074863A (ja) 調理情報検索システム、調理情報検索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用いた調理装置
KR19990058196A (ko) 전자렌지용 멤브레인 키보드와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