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357B1 - 형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형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357B1
KR950001357B1 KR1019860007244A KR860007244A KR950001357B1 KR 950001357 B1 KR950001357 B1 KR 950001357B1 KR 1019860007244 A KR1019860007244 A KR 1019860007244A KR 860007244 A KR860007244 A KR 860007244A KR 950001357 B1 KR950001357 B1 KR 950001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display
unit
lea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7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540A (ko
Inventor
아끼오 오꼬시
고지 쯔루따
구니오 시까꾸라
히데아끼 나까가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2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형광 표시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형광 표시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으로 한 정면도 및 측면도.
제3도 및 그 일부 파단으로 한 사시도.
제4도는 전극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전극 유니트의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A-A 선상의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B-B 선상의 단면도.
제8도는 제2도의 요부의 확대 단면도.
제9도는 애노드 리드의 도출부분의 사시도.
제10도 및 제11도는 애노드 리드와 외부 리드의 접속부의 다른 예를 각각 도시하는 요부의 단면도.
제12도는 애노드측의 세파레이타 구체의 사시도.
제13도는 형광체 트리오의 배열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4도는 형광체 트리오의 다른 배열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5도는 복수 연결된 전극 유니트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6도는 게타 용기의 배치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17도는 형광 표시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18도는 캐소드의 접속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선도.
제19도 및 제20도는 전극 유니트의 와이어 캐소드의 지지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분해도 및 단면도.
제21도 및 제22도는 전극 유니트의 와이어 캐소드의 지지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분해도 및 단면도.
제23도 및 제24도는 전극 유니트의 와이어 캐소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분해도 및 단면도.
제25도 및 제26도는 제2그리드 G2의 평면도 및 그 C-C 선상의 단면도.
제27도 및 제28도는 제2그리드 G2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요부의 평면도 및 그 D-D 선상의 단면도.
제29도 및 제30도는 각각 캐소드의 접속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선도.
제31도, 제32도 및 제33도는 전극 유니트의 연결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그 E-E 선상의 단면도 및 F-F 선상의 단면도.
제34도 및 제35도는 형광 표시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일부를 파단으로 한 정면도 및 측면도.
제36도는 카아본층의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37도는 와이어 캐소드의 지지편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8도 및 제39도는 형광 표시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그것의 일부를 단면도로 한 측면도.
제40도는 형광 표시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의 단면도.
제41도는 외광 반사 방지의 설명에 제공하는 표시장치의 측면도.
제42도 및 제43도는 표시관을 2개를 한조로 한 형광 표시관 블럭의 조립상태의 열을 도시하는 분해도 및 사시도.
제44도 및 제45도는 형광 표시관 블럭의 사시도 및 G-G 선상의 단면도.
제46도 및 제47도는 유니트 패널의 정면도 및 그 단면도.
제48도 및 제49도는 유니트 패널의 이면의 요부의 사시도 및 분해도.
제50도 내지 제52도는 유니트의 요부의 배면도, 그 평면도 및 측면도.
제53도는 가압구의 사시도.
제54도는 한 유니트의 일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55a도 및 55b도는 각각 한 블럭의 형광 표시관의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56도는 각 표시관에 보호 저항기를 접속한 표시장치의 구성도.
제57a도 및 57b도는 보호 저항기의 일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58도는 보호 저항기를 케이스에 수납한 사시도.
제5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60도 및 제61도는 그 확대 단면도 및 그 배면도.
제62도는 구조물에 유니트를 고정시킨 상태의 사시도.
제63도는 유니트를 구조물에서 끄집어내는 상태의 설명도.
제64도는 유니트를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65도 및 제66도는 표시장치를 쇼룸에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 및 상면도.
제67도 및 제68도는 형광 표시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유리 케이스 12, 12a, 내지 12h : 형광체 트리오
13, 13a 내지 13h : 전극 유니트 KG, KR, KB: 와이어 캐소드
G1G, G1R, G1B: 제1그리드 G2: 제2그리드
46 : 애노드 리드 10, 71, 71' : 표시 셀
100 : 리드 134A, 134B : 표시관 블럭
본 발명은, 고휘도 발광의 다수의 표시 셀을 2차원적으로 배열하여 표시를 하도록 한 형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휘도 발광의 다수의 표시 셀을 2차원적으로 배열하여서 되는 형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다른색의 복수의 형광 표시 세그멘트가 복수조 병치된 제1의 표시 셀과, 같은 색깔이 다른 복수의 형광 표시 세그멘트가 역순으로 배설된 제2의 표시 셀을, 서로의 리드부가 마주하도록 또한 서로 다르도록 매트릭스 배치하므로서, 데스 스페이스의 낭비를 없애도록 한 것이다.
예컨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의 형광체층으로 되는 소위 형광체 트리오를 갖는 발광 표시 셀을 표시셀을 다시 배열하여 대화면을 얻도록 한 대형 표시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 표시장치에서는 복수의 표시셀을 조합하여 한 유니트를 형성하여, 이 유니트를 다수 조합시켜서 구성된다.
한편, 표시 셀로서, 복수조의 형광체 트리오를 갖게한 표시 셀이 개발되었다. 이 표시 셀에서는 셀의 한쪽변에서 다수의 리드부가 도출된다. 이같은 표시 셀을 조합시켜 유니트를 형성하고, 또다시 유니트를 조합시켜 X-Y 매트릭스 배열의 표시 장치를 구성한 경우, 표시 셀로부터 도출된 리드 부분의 점하는 면적이 무시할 수 없고, 표시 셀의 근접배에도 영향한다.
본 발명은, 이같은 점을 감안하여, 리드 부분의 점하는 영역을 줄이고, 소위 대드 스페이스가 생기지 않는 상태에서 표시 셀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한 형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색의 복수 예컨대 녹색, 적색 및 청색의 3색의 형광 표시 세그멘트(14G), (14R) 및 (14B)가 복수조 병치된 제1의 표시 셀(71A)과, 이것과 색의 배열이 역순의 복수 예컨대 청색, 적색 및 녹색 3색의 형광 표시 세그멘트(14B), (14R) 및 (14G)가 복수조 병치된 제2의 표시 셀(71B)을 설치하는(예컨대 제55a도 및 55b도 참조), 각 표시 셀(71A) 및 (71B)의 리드부(100)는 셀의 배면의 한변에서 도출되나, 서로 리드부(100)를 마주한 상태에서 각 리드부(100)가 상태의 리드부(100)간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이 경우, 표시 셀(71A) 및 (71B)의 각각은, 2개 일체화되어, 표시관 블럭(134A) 및 (134B)로서 구성된다. 이 양 표시 셀(71A) 및 (71B), 따라서 표시관 블럭(134A) 및 (134B)를 제50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유니트 패널(151)에 서로의 리드부(100)가 마주하도록 또한 서로 다르도록 상대방의 블럭의 리드(100)간에 위치하도록, 매트릭스상으로 배치한다. 그래서, 이 유니트를 다수개 매트릭스 배치하여 표시장치를 구성한다.
표시 셀은 1개의 절연 케이스(11)내에 복수의 형광 표시 세그멘트(14F), (14G), (14B)를 한조로 하여, 이것을 복수조 병치하여 설치되고, 이 복수조의 형광 표시 세그멘트에 대향하여 복수조의 전극 유니트(13)(또는 (90))가 배치되고, 전극 유니트로부터의 전자 비임이 각각 대응하는 표시 세그멘트에 조사하여, 이것을 발광시키도록 구성된다. 전극 유니트(13)(또는 (90))는 한조의 형광 표시 세그멘트 예컨대 형광체 트리오(12)의 각 형광체층에 대응한 3개의 전자 비임원 즉 와이어 캐소드 K 및 제1그리드(제어 전극)(G1)과 공통의 제2그리드(가속 전극)(G2)을 일체로 하여 이루어지고, 그 유니트 케이스(26)를 구성하는 부재가 제2그리드를 겸한다.
표시 셀로서는, 제1도 및 제2도 또는 제34도 및 제35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복수조의 형광체 트리오를 갖는 표시 셀(71),(71')을 사용할 수 있다.
제1의 표시 셀(71A)가 제2의 표시 셀(71B)이 서로의 리드부(100)를 마주시켜 또한 서로 틀려지게 되도록 매트릭스상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유니트(166)에 있어서 측변에 리드부(100)가 배설되지 않는다. 또한 내부에서도 리드부(100)는 상대방의 리드부(100)간에 들어간다. 이로 인하여, 리드부(100)의 접은 부분을 예상하지 않아도 되고, 낭비하는 영역이 없어진다.
아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형광 표시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한다.
제1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형광 표시관, 즉 단위 표시 셀을 도시하는 각각 일부 파단으로 한 정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한다.
동일 도면중, (11)은 전면 패널(11A)과 배면 패널(11B)과 측판(11C)으로 되는 유리 케이스를 도시한다. 이 유리 케이스(11)는 예컨대 전면 패널(11A)에 있어서 세로 41mm × 가로 86mm의 크기로 형성된다. 이 유리 케이스(11)내에 형광체층으로 되는 복수조의 화소를 이루는 형광 표시부 즉 본 예에서는 8조의 소위 형광체 트리오(12)[(12a), (12b), (12c), (12d), (12e), (12f), (12g), (12h), ]와, 이들 형광체 트리오(12)마다 대응하는 8조의 전극 유니트(13)[(13a), (13b), (13c), (13d), (13e), (13f), (13g), (13h)가 대향하여 배설된다.
8조의 형광체 트리오(12)는 전면 패널(11A)의 내면에 형광체층을 피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4조씩 상하 2열로 배열되고, 이 경우 각 형광체 트리오(12)는 적색 발광, 녹색 발광, 청색 발광의 3개의 형광 표시 세그멘트 즉 형광체층(14R), (14G), (14B)로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8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전면 패널(11A)의 내면에 대형으로 도전층인 카본층(15)이 인쇄되고, 대형내의 각 공소에 대응하여, 각각 형광체층(14R), 녹색 형광체층(14G) 및 청색 형광체층(14B)이 일부 카본층(15)이 위에 횡단하는 것과 같이 하여 인쇄에 의해 형성되고, 그 전면에 중간막을 거쳐서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메탈백층(16)이 피착 형성된다. 그래서, 이 경우, 형광체 트리오(12)에 있어서는, 중앙에 적색 형광체층(14R)을 양단에 각각 녹색 형광체층(14G) 및 청색 형광체층(14B)을 각각 배치하여, 2열 공히 같게 배치된다(제13도 참조). 또한, 제14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녹색 형광체층(14G)와 청색 형광체층(14B)을 일열마다 좌우 역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각 형광체 트리오(12)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면 패널(11B)측에 전극 유니트(13)가 배치된다. 이 전극 유니트(13)는, 형광체 트리오(12)의 각 적색 형광체층(14R), 녹색 형광체층(14G) 및 청색 형광체층(14B)에 대향하도록 3개의 와이어 캐소드(K)[(KR), (KG), (KB)]와, 그 와이어 캐소드(KR), (KG), (KB)에 대향하여 각각 3개의 제1그리드(G1)[(G1R), (G1G), (G1B)]가 배설되고, 또다시 3개의 제1그리드(G1)에 공통으로 제2그리드(G2)가 배설된다.
이 전극 유니트(13)의 구체적인 조립 및 구성은 제4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다. 즉 제4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3개의 4각형상의 개구부(17)를 갖이고, 각 개구부(17)를 끼는 위치에 각각 미주하는 단자 핀(18a) 및 (18b)을 관통한 절연기판 예컨대 세라믹 베이스(19)가 설치된다. 이 마주하는 단자 핀(18a) 및 (18b)의 각각에 마주하는 자형의 도전성 지지편(20a) 및 (20b)가 공통으로 스포트 용접되고, 즉 한쪽의 도전성 지지편(20a)이 한쪽 열의 3개의 단자 핀(18a)에 공통으로 스포트 용접되어, 다른쪽의 도전성 지지편(20b)이 다른쪽의 열의 3개의 단자 핀(18b)에 공통으로 스포트 용접된 후, 그 각 도전성 지지편(20a) 및 (20b)간에 각 와이어 캐소드(KG), (KR), (KB)가 가장된다. 한쪽의 지지편(20a)은 와이어 캐소드(K)의 일단을 고정하는 것이며, 다른쪽의 지지편(20b)에는 선단을 굴곡시킨 스프링부(21)가 설치되어, 이 스프링부(21)에 각 와이어 캐소드(K)의 타단이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온도 상승에 의해 와이어 캐소드(K)가 신장되어도, 그 신장은 스프링부(21)에 의해 흡수하여, 와이어 캐소드(K)는 느슨해지는 일이 없다. (22)는 지지편(20a)에서 도출된 단자이다. 각 와이어 캐소드(K)는 예컨대 텅스텐 히타의 표면에 전자 방출 물질로 되는 탄산염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다음으로, 각 제1그리드(G1G), (G1R), (G1B)가 세라믹 베이스(19)의 각 개구부(17)에서 지지된다. 각 제1그리드(G1G), (G1R), (G1B)는 각 와이어 캐소드(KG), (KR), (KB)에 대향하도록 원통면을 갖도록 만곡된 어묵형으로 형성되고, 그 원통면에 장수방향에 연해서 소정의 피치를 두고 다수의 슬릿(23)이 설치되고, 만곡된 양단부에서 각각 개구부(17)의 폭과 거의 같은 폭의 각부(24) 및 (25)가 설치되어서 형성된다. 이 양 각부(24) 및 (25)가 세라믹 베이스(19)의 개구부(17)내에 삽입되나, 이때 양 각부(24) 및 (25)를 그 대향방향으로 끼우도록 하여 삽입시키므로, 삽입후의 양 각부의 원점으로 되돌아가는 힘으로 양 각부(24) 및 (25)가 개구부(17)의 내벽에 압접하도록 되어 이것에 의해 가상 지지가 행해진다. 한쪽의 각부(24)는 단자에 이용되기 때문에 길고, 다른쪽의 각부(25)는 짧게 형성되어, 개구부(17)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한쪽의 각부(24)는 개구부(17)를 관통하여, 다른쪽의 각부(25)는 개구부(17)내에 정지하도록 된다.
한편, 전극 유니트의 케이스(26)가 설치된다. 이 케이스(26)는 제2그리드(G2)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도전재로 되고, 전면에 각 제1그리드(G1)에 대향하도록 3개의 개구(27)[(27G, (27R), (27B)]가 설치되고, 개구(27)의 상호간을 구분하는 것과 같은 세파레이타(28)가 일체로 안쪽으로 연장되어 구성된다. 이 케이스(26)는 드로잉 가공으로 만들어지고 바렐 연마가 실시되어, 방전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된다. 이 케이스(26)내에 공통의 제2그리드(G2)가 삽입 배치된다. 이 제2그리드(G2)는 제1그리드((G1G), (G1R), (G1B)에 대응한 부분에 제1그리드(G1)의 슬릿(23)과 같은 대응위치에 슬릿형의 메슈부분(29G), (29R), (29B)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메슈 부분(29G), (29R), (29B)의 서로간에 세파레이타(28)가 삽통되는 흠(30)이 설치된다. 그래서 각 슬릿 부분(29G), (29R), (29B)이 개구(27G), (27R), (27B)에 임하도록 또한 흠(30)에 세파레이타(28)를 삽통하여 제2그리드(G2)가 케이스(26)내에 배설된다. 이 제2그리드(G2)는 케이스(26)의 일부에 스포트 용접되고, 케이스(26)에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며, 따라서 케이스(26)는 제2그리드(G2)를겸하게 된다.
다음으로, 케이스(26)내의 한쪽의 서로 마주하는 내벽면에 연하도록 1쌍의 절연성의 세파레이타(31A) 및 (31B)가 삽입된다. 이 세파레이타(31A) 및 (31B)의 내면에는 제1그리드(G1)의 측부가 감착되는 3개의 홈부(32)(32G), (32R), (32B)가 설치되어 있다. (33)은 투공이다. 이 세파레이타(31A), (31B)는 각각 케이스(26)내에 삽입하였을 때, 케이스(26)의 벽부와 세파레이타(28)와의 간극에 삽입되어서 협지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세파레이타(31A), (31B)의 상단은 제2그리드(G2)에 맞닿는다.
그래서, 이와같이 제2그리드(G2) 및 세파레이타(31A), (31B)를 조립한 케이스(26)내에 와이어 캐소드(K) 및 제1그리드(G1)를 고정한 세라믹 베이스(17)를 그 베이스 내에 세파레이타(31A), (31B)의 후단면이 대접하도록 하여 삽입된다. 이때 각 제1그리드(G1G), (G1R), (G1B)의 양단이 각각 세파레이타(31A), (31B)의 흠부(32G), (32R), (32B)에 감합한다. 따라서, 각 제1그리드(G1)는 그 각부(24), (25)가 세라믹 베이스(19)의 개구(17)에 끼워지는 것과, 제1그리드의 양 측부가 세파레이타(31A), (31B)의 흠부(32)에 감압되므로서 위치 결정이 정확하게 된다. 또한, 와이어 캐소드(K)가 가장된 한쪽의 지지편(20a)으로부터 절곡 연장된 단자(22)가 세라믹 베이스(19)와 세파레이타(31a)와의 사이를 지나 케이스(26)의 잘라낸 부분을 통해서 외부로 도출된다. 다음으로, 도전성으로 되는 리테이너 구체(34)중의 1개의 태형의 리테이너(34a)가 케이스(26)내에 감합되어서, 리테이너(34a)의 만곡부(34a)와 케이스(26)가 스포트 용접되므로서 세라믹 베이스(19)가 유지되어서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되는 전극 유니트(13)가 구성된다.
도전성 리테이너 구체(34)는, 제4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4조의 전극 유니트의 케이스(26)에 들어갈 수 있는 각 리테이너(34a), (34b), (34c), (34d)가 서로 도전성 연결부(35)에서 일체로 연결되어, 이 연결부(35)가 케이스(26)의 잘린 부분(95)에 감합하도록 구성된다. (36)은 리드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스포트 용접하는 고정부, (37)은 유리 케이스(11)에 고정되는 고정부이다. 따라서 4조의 전극 유니트(13)의 각 제2그리드(G2)는, 도전성 리테이너 구체(34)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공통 접속된다.
한편, 8조의 형광체 트리오(12)의 각색 형광체층(14R), (14G), (14B)를 감싸듯이 제12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도전성재로 되는 세파레이타 구체(40)가 배치된다. 이 세파레이타 구체(40)는, 와이어 캐소드로부터의 전소자 비임이 제1그리드(G1), (제2그리드(G2)에 맞닿아서 그것으로부터의 2차 전자가 인접하는 형광체층을 발광하지 아니하도록 이것을 저지하기 위한 실드와, 각각의 와이어 캐소드(K)로부터의 전자 비임이 대응하는 형광체층(14)의 전체에 조사되도록 전자 비임을 넓히는 작용, 말하자면 확산 렌즈의 형성을 겸해, 동시에 각 형광체 트리오(12)에 고전압 예컨대 8KV를 부여하기 위한 급전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이 세파레이타 구체(40)는 조립에 있어서는 예컨대 유리 케이스(11)의 전면 패널(11A)과 측판(11C) 사이에서 지지되고, 유리 프리트에 의해 고정된다. 즉, 이 세파레이타 구체(40)는 8조의 형광체 트리오(12)마다 각각 각색 형광체층이 감싸이도록 3개의 구분된 세파레이타(41)를 가지고 각 세파레이타(41)가 서로 전극판(42)을 거쳐서 일체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상단부에 각각 외방으로 돌출하는 지지용 걸이(4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세파레이타 구체(40)의 측부에는 위치 결정용의 탄성 굴록편(44)이 끊어져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세파레이타 구체를 유리 케이스(11)의 측판(11C)에 상방에서 삽입하였을 때, 꼭 지지용걸이(43)가 측판(11C)의 상단면에 맞닿아서 세파레이타 구체(40)가 지지됨과 동시에, 굴곡편(44)이 측판(11C) 내벽에 맞닿아서 세파레이타 구체(40)가 소정의 위치에 유지된다. 또다시 이 세파레이타 구체(40)의 전극판에 대응한 부분에는 돌기(45)(제8도 참조)가 설치되어, 이 돌기(45)는 세파레이타 구체(40)를 측판(11C)내에 수납하고 측판(11C) 위에 전면 파낼(11A)을 겹쳐서 봉지할때에, 꼭 메탈백층(16) 또는 카본층(15)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고압 단자 즉 애노드 리드(46)로부터의 고압이 각 형광체 트리오(12)에 공통으로 공급되도록 된다. 고압이 부가되는 애노드 리드(46)는 제8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그 일단이 세파레이타 구체(40)의 전극판(42)에 접속되고, 타단이 유리 케이스(11)의 배면 패널(11B)에 고정된 배기관 칩 오프관(47)을 통해서 외부로 도출된다. 이때 애노드 리드(46)는 배기관(47)의 부분에 유리를 감은 쥬메트선(Cu 합금)을 사용한다. 따라서 애노드 리드(46)와 배기관(47) 사이의 기밀은 유지된다.
배기관(47)의 외측에는 배기관(47)을 기계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고압 커버 즉 절연 통체(101)가 수지 몰드재(접착제)(102)를 거쳐서 고정되고, 절연동체(101)의 단부에 배치된 고압 단자용 워셔(103)에 애노드 리드(46)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경우, 단자용 워셔(103)는 저열연통체(101)의 단부에 형성한 凹소(104)에 배설되고, 또한 중앙에 자형의 깊숙히 절단(105)이 형성되어서 이루고, 이 깊숙히 절단(105)한 곳의 중앙에 애노드 리드(46)가 압입 관통하므로서 납땜을 하는 일이 없고 애노드 리드(46)와 단자용 워셔(103)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제9도 참조). 그래서, 고압 전원(무술)에서 연장된 외부 고압 리드(106)에 접속된 접속 수단(소위 소켓)(107)이 절연동체에 감착되어, 단자용 워셔(103)에 스프링(108)을 거쳐서 외부 리드(10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애노드 리드(46)에 애노드 전압이 공급된다. 접속 수단(107)은 외부 고압 리드(106)에 접속된 스프링과, 이것을 외부에서 절연 보호함과 동시에, 절연동체(101)의 외측에 계합하는 계합부(109)를 갖은 예컨대 실리콘 고무재의 절연 갭(110)으로 되며, 절연 갭(110)이 절연동체(101)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된다. (111)은 절연동체(101)에 설치된 수지 몰드재(102)의 경화 촉진용의 공기공이다. 또한 워셔(103)의 배설된 凹소(104)의 내벽은 단부로 향해서 지름이 크게 되도록 형성되고, 이 경사진 내벽에 가이드 되어서 스프링(108)은 워셔(103)에 확실하게 접촉된다. 접속 수단(107)측에서는 스프링(108)이 갭(110)내의 지름소부(112)에 의해 위치가 정해진다. 이와같이 애노드 리드(48)를 도출한 배기관(47)이 절연동체(101)에 의해 기계적으로 보호되므로, 외부 고압 리드(106)와의 접속에 있어서도 기계적으로 약한 배기관(47)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단자용 워셔(103)에 스프링(108)을 접속시켜서, 애노드 리드(46)와 외부 리드(106)의 전기적 접속이 행해지므로, 애노드 리드(46)로의 직접 부하가 경감된다.
또한, 제10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단자용 워셔(103)에 외연의 일부에 입상부(112)를 설치해, 여기에 직접 외부 리드(106)를 납땜해서, 그 접속부분 및 절연 동체(101)를 수지 몰드체(113)로 피복할 수도 있다. 단, 이 경우에는 외부 리드(106)의 선단에는 고압 전원측에 접속하기 위한 소켓(114)이 설치된다. 또한 제11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단자용 워셔(103)에 애노드 리드(46)를 납땜하여, 이 단자용 워서(103)에 스프링(103)을 거쳐서 외부 리드(106)를 착탈가능하게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전극 유니트(13)에 있어서는, 8조의 전극 유니트(13a) 내지 (13d)가 4조씩 공토의 리테이너 구체(34)로서 고정된 후, 리드 플레임(60)위의 소정의 위치에 배설되어, 리테이너 구체(34)의 고정부(36)와 리드 플레임(60)이 스포트 용접된다. 그후 와이어 캐소드(K)의 단자핀(18), 제1그리드(G1)의 각 부(24) 및 전극 유니트(13a) 내지 (13d)측의 리테이너 구체(34)와 각각 대응하는 소정의 리드 플레임의 리드부간이 예컨대 리드선(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접속된다. 이때, 상기한 것과 같이 제2그리드(G2)는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4조의 전극 유니트(13a) 내지 (13d)의 제2그리드(G2)끼리 및 4조의 전극 유니트(13e) 내지 (13h)의 제2그리드(G2)끼리는 각각 리테이너 구체(34)에 의해 공통 접속된다. 또한 제1그리드(G1)는 각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전극 유니트간 즉 전극 유니트(13a)와 (13e)간, 전극 유니트(13b)와 (13f)간, 전극 유니트(13c)와 (13g)간 및 전극 유니트(13d)와 (13h)간에서 공통 접속된다. 즉, 세로로 배열된 전극 유니트간에 있어서, 그 중앙의 (G1R)끼리가 공통 접속되어, 우단의 (G1B)끼리가 공통 접속된다. 또다시 각 와이어 캐소드(K)는 본 예에서는 직렬 접속된다.
또한, 형광체 트리오(12)에 있어서, 녹색 형광체층(14G)과 청색 형광체층(14B)이 일열마다 좌우 역으로 배치되는 경우(제1도의 경우)도, 중앙의 (G1R)끼리가 공통 접속되어, 우단의 (G1B)와 (G1G)가 공통 접속되어, 좌단의 (G1G)와 (G1B)가 공통 접속된다.
그래서, 와이어 캐소드(K)의 리드, 제1그리드(G1)의 리드, 제2그리드(G2)의 리드는 각각 유리 케이스(11)의 일예에서 배열 패널(11B)과 측판(11C)의 하단면과의 사이의 봉지부를 통해서 외부로 도출된다.
(61F)는 와이어 캐소드의 리드(62G2)는 전극 유니트(13e) 내지 (131h)간에서 공통 접속된 제2그리드(G2)의 리드, (63G2)는 전극 유니트(13a) 내지 (13d)간에서 공통 접속된 제2그리드(G2)의 리드, (64G1)은 전극 유니트(13a) 및 (13e)간에서 공통 접속된 3개의 제1그리드(G1)의 리드, (65G1)은 전극 유니트(13b) 및 (13f)간에서 공통 접속된 3개의 제1그리드(G1)의 리드, (66G1)은 전극 유니트(13C) 및 (13g)간에서 공통 접속된 3개의 제1그리드(G1)의 리드, (67G1)은 전극 유니트(13a) 및 (13h)간에서 공통 접속된 3개의 제1그리드(G1)의 리드이다. 유리 케이스(11)에서 도출되는 리드의 본수는 설계에 의하여 적절하게 결정된다.
또한, 리테이너 구체(34)에서 유지된 전극 유니트(13a) 내지 (13d) 및 전극 유니트(13e) 내지 (13h)는, 유리 케이스(11)의 봉지시에 리테이너 구체(34)의 양단의 고정부(37)를 배면 패널(11B)과 측판(11C)간에서 끼우도록 하여 고정된다. 이 경우, 양단만으로 고정되므로 4조의 전극 유니트를 유지하고 있는 리테이너 구체(34)의 되돌아감 또는 경사에 의해 그 전극 유니트가 소정의 위치보다 변위해버리는 우려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또다시 제15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4조의 전극 유니트의 측면에 공통의 자형의 보조부재(88)를 일체로 설치, 이 보조부재(68)의 양단도 고정부(69)를 거쳐서 배면 피닐(11B)과 측판(11C)간에서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보조부재(68)는 도전성 재질로서 형성된다. 이 보조부재(68)에 의해 리테이너 구체(34)의 도돌아가서, 경사는 저지되고 전극 유니트(13)의 변위가 방지된다. 또한, 제16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게타 용기(70)로부터의 게타 입자의 형광면측으로의 비산이 제한된다. 또다시, 보조부재(68)는 제2그리드(G2)와 같은 전위가 부여되므로서 방전 저지용으로 된다. 즉 보조부재(68)에 의해 애노드 전계의 저압측으로의 이송이 방지되고, 애노드 전압이 인가되면 세파레이타 구체(40)와 저압축의 각 그리드(G1), (G2)의 리드 및 캐소드(K)의 리드 사이에서의 방전이 저지된다.
다음으로 이같은 표시 셀의 동작을 설명한다. 각 형광체 트리오(12)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각각 형광체층(14R), (14G), (14B)에는 애노드 리드(46)를 통해서 예컨대 8 정도의 애노드 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각 제1그리드(G1R), (G1G), (G1B)에는 각각 예컨대 0 내지 5V 이하의 전압이 부가되고, 또한 제2그리드(G2)에는 예컨대 -15V 내지 50V의 전압(소위 열 선택 전압)이 부가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애노드측의 전압은 고정되어 있으며, 제2그리드(G2)에 부여하는 전압에 의해 열의 선택이 행해지고, 제1그리드(G1)에 부여하는 전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오프 표시되는 것이다. 즉, 예컨대 상열의 전극 유니트(13a) 내지 (13d)의 제2그리드(G2)에 504가 부가되어 하열의 전극 유니트(13a) 내지 (13d)의 제2그리드(G2)에 컷트 오프 전압의 예컨대 -15가 부가된 상태에서 리드(64G1)를 통해서 제1그리드(G1)에 예컨대 54가 부가되면 제1의 형광체 트리오(12a)를 선택시켜, 그 전극 유니트에 있어서 캐소드(K)로부터의 전자 비임은 제1그리드(G1)를 통해 제2그리드(G2)에서 가속되어서 대응하는 형광체층(14R)(14G)(14B)를 두드려 이것을 발광 표시시킨다. 이때 제1그리드(G1)에 부가하는 전압(5V)의 패널쪽(부가 시간)을 제어하므로서 발광 휘도가 제어된다.
그래서, 제1그리드(G1)에 0이 부가되었을 때에는 캐소드로부터의 전자 비임이 캇트 오프되어서, 그 대응하는 형광체층은 발광 표시되지 않는다. 그래서 리드(64G1), (65G1), (66G1) 및 (67G1)을 통해서 차례로 제1그리드(G1)에 전압을 부가하므로서 상열의 형광체 트리오(12a) 내지 (12D)가 발광표시되고, 이어서 제2그리드(G2)의 전압을 전환하여 하열의 제2그리드(G2)에 504를 부가하여 리드(64G1) 내지 (67G1)의 순으로 제1그리드(G1)의 전압을 부가하면 하열의 형광체 트리오(12e) 내지 (12h)가 발광 표시된다.
와이어 캐소드(K)로부터의 전자 비임은 제1그리드(G1) 및 세파레이타(41)에 의해 넓어져서 형광체층(14)의 전면에 조사된다. 또한, 와이어 캐소드(K)로부터의 전자 비임이 제1그리드(G1), 제2그리드(G2)에 닿아, 제1그리드(G1), 제2그리드(G2)에서의 2차 전자가 발생하나, 이 2차 전자는 제2그리드의 케이스(26)의 세파레이타(28) 및 애노드측의 세파레이타(41)에 의해 저지되어서 인접하는 형광체층을 두드리는 일이 없다. 이와같이 하여 제1그리드(G1) 및 제2그리드(G2)의 전압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므로서 각 형광체 트리오(12)가 차례로 고휘도에서 발광 표시된다.
이 형광 표시 셀(71)에서는, 1개의 셀중에 8개의 화소 즉 형광체 트리오(12)가 콤팩트에 조립되어서 구성되므로, 전체로서 화소가 소형화된다.
또한, 3개의 와이어 캐소드(K) 및 제1그리드(G1)와 공통의 제2그리드(G2)를, 그 유니트 케이스(26)가 제2그리드(G2)를 겸하도록 유니트화 하고, 이 전극 유니트(12)를 각 형광체 트리오(12)에 대응하여 배치하고 있으므로, 이같은 표시 셀(71)의 조립,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한 제2그리드(G2)를 겸하는 유니트 케이스(26)는 소위 드로오잉 가공으로 만들어지므로, 각부에 저항이 붙어, 내방전 전압이 올라, 방전에 의한 사고가 방지된다.
또한, 전극 유니트(13)에 있어서는, 각 제1그리드(G1)가 스포트 용접 등을 사용하지 않고 세라믹 베이스(19)에 설치된 개구부(17)와 절연 세파레이타(31A), (31B)의 구부(32)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전극 유니트(13)를 충분히 소형으로 조립할 수가 있다.
또한 다수의 표시 셀(71)을 배열하여 대화면을 구성할때에, 형광면의 형광체 트리오(12)는, 상, 하, 좌, 우를, 등피치로 배치하기 때문에, 인접하는 표시 셀(71)과 표시 셀(71)의 극간은 거의 잡히지 않는다. 그러나, 이 표시 셀(71)에서는 애노드 리드(46)가 유리 케이스(11)의 배면 패널(11B)측에서 배기관(47)을 통해서 도출되므로, 인접하는 표시 셀(71)을 서로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다시, 형광면에 있어서 8조의 형광체 트리오(12)에 있어서는, 중앙이 적색 형광체층(14R)에서 양측이 녹색 및 청색의 형광체층(14G) 및 (14B)를 배설하여 형성되나, 특히 녹색과 청색의 형광체층(14G)와 (14B)의 배치를 상열과 하열에서 바꿀때에는 눈짐작상의 해상도를 올릴 수가 있다.
또한, 상열에서는 8조의 전극 유니트(13)에 있어서 와이어 캐소드(K)가 서로 직접 접속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기타 예컨대 제18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병멸 접속으로 할 수도 있고, 이 때에는 1개의 전극 유니트의 와이어 캐소드가 단선하여도, 다른 전극 유니트의 동작은 유지된다.
또한, 전극 유니트의 각 단자와 리드 플레임과의 접속은, 리드선을 거치지 않고 직접 양자를 접속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특히 와이어 캐소드(K)의 단자의 경우에는 지지편(20a)의 단자(22)를 구부려 연장하여 이것을 직접 리드 플레임에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위 예의 전극 유니트(13)에서는, 세라믹 베이스(19)에 단자 핀(18a), (18b)을 설치하였으나, 예컨대 제19도 및 제20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이 단자 핀(18a), (18b)을 생략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19도 및 제20도에 있어서는 제1그리드(G1)를 지지하는 3개의 개구부(17)를 각각 끼는 위치에 쌍을 이루는 도전성 지지편(20a) 및 (20b)을 지지하는 투공(83a) 및 (83b)을 형성한 세라믹 베이스(19)가 설치된다. 한편, 쌍을 이루는 도전성 지지편(20a) 및 (20b)으로서는, 각 와이어 캐소드를 고정하는 지지부(84G), (84R), (84B)가 서로 연결되어, 중앙의 지지부의 리드로 되는 우단(85R)이 길게 연장됨과 동시에, 양측의 지지부(84G) 및 (84B)의 후단(85G) 및 (85B)가 탄성을 갖도록 접어서 구성된다. 또한, 한쪽의 도전성 지지편(20a)의 지지부(84G), (84R), (84B)는 고정 지지부로서 구성되나, 다른쪽의 도전성 지지편(20b)의 지지뷔(84G), (84R), (84B)는 기부에 있어서 잘린 부분이 깊숙히 설치되어 전체로서 스프링부(21')로서 구성된다. 번호(86)은 도전성 지지편(20a) 및 (20b)의 전도 방지부이다. 지지부(84G), (84R), (84B)의 각 와이어 캐소드(KB), (KR), (KG)가 가장되는 단부는, 와이어 캐소드(K)의 센타를 냄이 가능하도록 잘린 부분을 가지고 구부린 형상으로 한다. 이 양 지지편(20a) 및 (20b)를 각각 투공(83a) 및 (83b)에 삽입하여, 양측의 접어진 후단(85G), (85B)으로 지지편(20a) 및 (20b)을 세라믹 베이스(19)에 지지한 후, 양 지지편(20a) 및 (20b)간에 각 와이어 캐소드(KG), (KR), (KB)를 가장하도록 한다. 이때, 각 리드(85R)가 세라믹 베이스(19)를 관통하여 도출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자 핀(18a), (18b)이 생략되고, 전극 유니트(13)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줄일 수가 있다.
제21도 및 제22도는 와이어 캐소드(K)를 지지하는 도전성 지지편(20a) 및 (20b)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도전성 지지편(20a) 및 (20b)의 각각의 양측의 지지부(84G) 및 (84B)의 판상의 후단(85G) 및 (85B)이 접지 않고 곧바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그 이외는 제19도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래서 이 도전성 지지편(20a) 및 (20b)은 세라믹 베이스(19)의 투공(83a) 및 (83b)에 삽통한 후, 투공(83a) 및 (83b)을 관통한 각 판상의 후단(85G) 및 (85B)의 단부를 제22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거의 90° 비틀므로서, 간단하게 세라믹 베이스(19)에 고정된다.
제23도 및 제24도는 와이어 캐소드(K)를 지지히는 도전성 지지편(20a) 및 (20b)의 또다시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각 와이어 캐소드를 고정하는 지지부(84G), (84R), (84B)가 서로 연결되어, 그 연결부(88)에 연해서 연장하는 것과 같이 양 지지부(84G), (84B)보다 외방으로 리드(89)가 형성됨과 동시에 각 지지부의 후단(85G), (85R), (85B)이 직각으로 양 지지편(20a), (20b)의 마주하는 방향으로 구부려서, 그 각 후단(85G), (85R), (85B)에 투공(87)이 설치된다. 한편, 세라믹 베이스(19)는 제1그리드(G1)를 지지하는 3개의 개구(17)를 각각 끼우는 위치에 도전성 지지편(20a) 및 (20b)을 지지하기 위한 투공(92)이 설치된다. 이 투공(92)는 꼭 지지편(20a) 및 (20b)의 각 후단(85G), (85R), (85B)의 투공(87)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그래서, 제24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이 도전성 지지편(20a) 및 (20b)은, 그 투공(87)이 세라믹 베이스(19)의 투공(92)에 대응하도록 세라믹 베이스(19)위에 배치한 후, 테이퍼형의 도전성 파이프(93)를 투공(87)측에서 세라믹 베이스(19)의 투공(92)에 삽입하여, 투공(92)을 관통한 각 도전성 파이프(93)을 눌러 파괴시킴으로, 세라믹 베이스(19)에 고정된다. 또한, 지지편(20a) 및 (20b)의 각 양측으로 연장되는 리드(89)는, 캐소드의 접촉법에 따라 한쪽의 리드만을 남기고, 다른쪽의 리드는 절단된다. 그래서, 이 지지편(20a), (20b)에서는 제30도의 캐소드 접속법을 사용할 때는 인접하는 지지편의 리드(89)끼리가 직접 스포트용접으로 직렬 접속된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애노드측의 세파레이타 구체(40)의 유지를 그 지지용 걸이(43)를 유리 케이스(11)의 전면 패널(11A)과 측판(11C)간에 끼우도록 하여 행하고 있다. 이 경우, 걸이(43)는 측판(11C)의 판두께의 1/2정도로 하고 있으나, 그 걸이(32)의 선단과 유리 케이스의 외측면 사이의 내압을 또다시 올릴 필요가 있을 때에는, 예컨대 제17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유리 케이스(11)의 측판(11C)의 내측에 또다시 유리판(72)을 배치하고, 이 유리판(72)과 전면 패널(11A)간에서 세파레이타 구체(40)의 걸이(43)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또다시, 세파레이타 구체(40)의 유지로서는, 지지용 걸이(43)를 생략하고, 세파레이타 구체(40)를 직접 유리 케이스(11)의 전면 패널(11A)에 프리트 유리로 고정할 수가 있다. 이 때에는, 지지용 걸이(43)가 생략되므로 유리 케이스 외부와의 방전 및 유리 케이스내의 방전 측 측판(11C)에 연해서 소위 연면 방전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이때, 전면 패널(11A)측에서는 프리트 유리가 접착하는 부분에는 카아본층(15) 및 메탈백층(16)이 형성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또한, 표시장치를 구성하였을 때에는 유리 케이스(11)의 전면은 또다시 형광 트리오를 제외히고 후기하는 외광 차폐를 겸하는 유니트 패널로 피복되므로, 프리트 유리 부분은 음폐된다. 또한, 위 예에서는 제2그리드 G2의 메슈부(29B), (29R), (29B)를 슬리트상으로 하였으나, 이 경우에는 슬리트의 장수방향의 개구가 크기 때문에 제25도 및 제26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고전계(80)의 잠입으로 전자렌즈가 구성되는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제27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메슈부(29G), (29R), (29B)를 섬세한 거북이 자상으로 하면 고전계의 잠입이 없어져(제28도 참조), 전자렌즈가 형성되지 아니한다.
또한 위 예에서는 제2그리드(G2)의 전압을 전환하여 열의 선택을 하였으나, 기타 예컨대 와이어 캐소드(K)를 전환하여 열의 선택을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제29도(병렬 접속) 또는 제30도(직렬 접속)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전극 유니트(13a) 내지 (13d)의 와이어 캐소드(K)가 공통 접속되고, 또한 전극 유니트(13e) 내지 (13h)의 와이어 캐소드(K)가 공통 접속된다. 동작시에는, 상열 및 하열의 각 공통 접속된 와이어 캐소드(K)를 점등상태로 하여, 각각의 와이어 캐소드에 열선택 전압으로서 예컨대 0V 내지 5V 이하의 드라이브 전압이 부여되어, 제1그리드(G1)에 0V 내지 5V 이하의 드라이브 전압이 주어지고, 또다시 각 전극 유니트(13a) 내지 (13h)의 제2그리드(G2)에 공통으로 10V 이하의 고정 전압이 주어진다. 따라서, 예컨대 상열의 전극 유니트(13a) 내지 (13d)의 와이어 캐소드(K)에 0V가 주어져, 하열의 전극 유니트(13e) 내지 (13h)의 와이어 캐소드(K)를 컷트 오프의 예컨대 5V가 부여된 상태에서 리드(64G1)을 통해서 제1그리드(G1)에 예컨대 0V가 부가되면 제1의 형광체 트리오(12a)로 발광 표시된다. 제1그리드(G1)에 5V가 부가된 때에는 전자 비임은 컷트 오프되어서 대응하는 형광체층은 발광 표시되지 않는다. 그래서 리이드(64G1),(65G1),(66G1) 및 (67G1)을 통해서 차례로 제1그리드(G1)에 전압을 부가하면 상열의 형광체 트리오(12a) 내지 (12D)가 발광 표시되어, 다음에서 와이어 캐소드(K)의 드라이브 전압을 전환 하열의 와이어 캐소드(K)에 0V를 부여하여 동일하게 리드(64G1) 내지 (67G1)에 차례로 제1그리드(G1)의 전압 5V을 부가하면 하열의 형광체 트리오(12e) 내지 (12h)가 발광 표시된다. 이 경우, 각 전극 유니트(13a) 내지 (13h)에 있어서는 서로 제2그리드(G2)를 공통 접속한 구성이 취해진다.
예컨대 제31도 내지 제33도 도시하는 것과 같이, 공통의 판상의 도전성 보조부재(68)가 설치되어, 이 보조부재(68)가 각 전극 유니트 케이스(26)의 잘라낸 부분(96)을 형성한때의 잘라낸 부분을 구부려서, 이접은 부분(97)에 보조부재(68)가 스포트 용접되어, 각 제2그리드(G2)가 공통접속된다. 동시에, 이 경우, 도전성 리테이너 구체도 8조의 전극 유니트(13a) 내지 (13h)에 공통의 일체화된 도전성 리테이너 구체(98)가 사용되어, 이 공통의 도전성 리테이너 구체(98)에 따라서도 각 제2그리드(G2)가 공통 접속된다. 보조부재(68)에는 애노드 리드(46)가 삽통하는 실드용의 통상부(121)가 일체로 설치되고, 또한 이 통상부(121)의 양측 중앙에 선상으로 팽출시킨 보강용의 비드부(122)가 형성된다. 공통의 도전성 리테이너 구체(98)에는 링상의 게타 용기(122)가 일체로 고정된다. 이 게타 용기(123)는 게타재가 유리 케이스(11)의 배면 패널측에 대항하도록 배설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보조부재(68)를 각 전극 유니트(13a) 내지 (13d)의 리테이너 구체(34) 및 각 전극 유니트(13e) 내지 (13h)의 리테이너 구체(34)에 스포트 용접하고, 혹은 리테이너 구체(34)를 갖은 상태에서 각 전극 유니트 케이스(28)의 절곡부(97)에 보조부재(68)를 스포트 용접하여 각 제2그리드(G2)를 공통 접속할 수도 있다.
위 예에 있어서는 8조의 형광체 트리오를 배열하였으나, 조의 수는 이것에 한하지 않고, 적절하게 선택된다.
제34도 및 제35도는 2조의 형광체 트리오를 소유하여서 되는 표시 셀의 실시예이다.
이 예는, 전면 패널(11A)에 있어서 세로 39mm × 가로 86mm의 크기의 유리 케이스(11)내에 2조의 전극 유니트(90)[(90a),(90b)]를 배치하여, 이들 전극 유니트(90)에 대향하도록 전면 패널(11A)의 내면에 2조의 형광체 트리오(12[(12a),(12b)]를 배열하여 구성된다. 형광면측에는 상기 한 것과 같이 각 형광체 트리오(12)의 각색 형광체층(14R),(14G),(14B)을 감싸는 것과 같이 도전재로 되는 세파레이타 구체(40)가 배치된다.
이 경우의 전극 유니트(90)는, 미세한 거북이자형의 메슈부(29B),(29R),(29G)를 가진 제2그리드(G2)를 스포트 용접한 유니트 케이스(26)와, 마주하는 도전성 지지편(20a) 및 (20b)간에 가장된 3개의 와이어 캐소드(KB),(KR),(KG)로 구성된다. 그래서, 제2그리드(G2)의 일부를 구성하는 유니트 케이스(26)와, 각 제1그리드(G1)와, 마주하는 지지편(20a) 및 (20b)는 각각 유리 케이스(11)의 배면 패널(11b)의 내면위에 배설한 리드 플레임(60)에 직접 스포트 용접하여 전기적이고 또한 기계적으로 지지된다.
와이어 캐소드(K)를 지지하는 자형의 도전성 지지편(20)에 있어서는, 제37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한쪽의 고정 지지편(20a)이며, 다른쪽의 스프링부(21')를 갖고 있는 지지편(20b)으로 된다. 지지편(20a),(20b)의 각 와이어 캐소드(KB),(KR),(KG)가 가장되는 단부는, 와이어 캐소드(K)의 센타 내기가 가능하도록 홈을 갖이고 구부린 형상으로 한다.
한편, 본 예에서는 전면 패널(11A)가 가까운 위치에 세파레이타 구체(40)의 일부에 전기적이고 또한 기계적으로 지지한 도전성의 게타 용기(70)가 배설되고, 이 게타 용기(70)에 애노드 리드(46)가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세파레이타 구체(40)의 유지에 관해서는, 지지용 길이(43)가 생략되고, 세파레이타 구체(40)가 직접 유리 케이스(11)의 전면 패널(11A)에 프리트 유리(81)로 고정된다. 즉, 세파레이타 구체(40)의 전극판에 개공(80)이 설치되어, 전극판에서 이 개구(80)에 연장하는 연장부(82)와 전면 패널(11A)이 프리트 유리(81)로 고정된다. 이 경우, 전면 패널(11A)측에서는 프리트 유리(81)가 접착하는 부분에는 카본층(15) 및 메탈백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이 때문에, 카본층(15)의 패턴은 제36도에 도시하는 거와 같이 형성된다. 또한 세파레이타 구체(40)의 개공(80)의 변에서 복수의 절기부(83)가 일체로 설치되어 이것이 탄성적으로 접어져서, 메탈백층(16) 및 카본층(15)에 접촉하여, 이 절기부(83)에 의해 형광면과 세파레이타 구체(40)와의 전기적 접속이 행해진다. 또한 이 표시 셀(71')을 다수 배열하여 표시장치를 구성하였을때에는 유리 케이스(11)의 전면에 또다시 형광체 트리오를 제외하고 외광 차폐용을 겸하는 유니트 패널로 피복이 되므로 프리트 유리 부분은 음폐된다. 이와같이 세파레이타 구체(40)가 직접 유리 케이스(11)의 전면 패널(11A)에 고정할때는, 지지용 걸이(43)가 생략되므로, 전기한 바와같이 유리 케이스 외부와의 방전 및 유리케이스내의 측판(11C)의 내면에 연하는 소위 연면방전이 지지된다. 이 세파레이타 구체(40)의 유리방법 및 세파레이타 구체(40)와 형광면과의 콘택트는 전기한 제1도 및 제2도의 예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그래서, 이 제34도 및 제35도에 도시하는 표시 셀(71')을 다수 배열함으로, 대화면의 표시장치가 얻어진다. 표시 셀(71')의 배열에 있어서는 상기한 것과 같이 각열과(수평 라인) 함께 녹색, 적색, 청색의 형광체층(14G),(14R),(14B)이 같은 배열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열(수평 라인)마다 녹색과 청색의 형광체층(14G)와 (14B)을 좌우 역으로 배설할 수도 있고, 이때는 눈짐작상의 해상도가 상승한다.
상기한 것과 같은 형광 표시 셀(71),(71')은 유니트 패널에 복수개 조립되어서 1개의 유니트가 구성되고, 또다시 이 유니트를 다수 배열하므로서 대화면의 표시장치가 구성된다. 8조의 형광체 트리오를 갖는 표시셀(71)의 경우는, 예컨대 세로 8 × 가로 4=32개 조립되어서 1유니트가 형성되고, 이 유니트가 다수개 X-Y 매트릭스에 배열되어서 대형표시장치가 형성된다.
전기한 표시 셀(71) 혹은 (71')을 다수 배열하여 대형 표시장치를 구성한 경우, 그 표시면에서 외광 반사에 의해, 콘트라스트, 화질의 예화를 초래할 염려가 있다. 이 때문에, 각 표시 셀(71),(71')의 표면에서 반사방지용의 매트 처리가 실시된다. 예컨대 제38도 및 제39도의 예에서는 표면 셀(71)의 표시 즉 유리 케이스(11)의 전면 패널(11A)의 표면에 매트 처리된 광 투과율 90수%의 투명한 수지 필름(15)이 접착된다.
이 경우, 수지 필름(115)으로서는 외광 반사방지와 함께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필름으로 형성된다. 이 자외선을 차단하는 수지 필름(115)은, 예컨대 제40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형광체 트리오(12)의 각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 층(14R),(14G),(14B)에 대응하는 적색, 녹색, 청색 필터 성분(116R),(116G),(116B)으로 되는 색 필터(116)을 표시 셀(71)의 전면 패널 위에 형성하고,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도록 구성한 경우에 유효하다. 즉, 색 필터(116)의 유기 염료가 자외선에 의해 퇴색할 염려가 있으나, 이 수지 필름(115)으로 색 필터(116)의 예화가 방지된다.
표시 셀의 표면의 매트 처리로서는, 상기한 수지 필름(115)을 접착하는 이외에도 전면 패널(11A)의 유리 표면을 에칭하여 凹凸로 하는 방법, 전면 패널(11A)의 유리 표면에 크리어락카를 뿜어주고 또한 SiO2를 피착하여 면을 형성하는 방법등이 가능하다.
표시 셀의 표면의 매트 처리가 실시되므로, 제41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대형 표시장치(117)를 구성한 경우, 외광(118)은 표시면에서 란반사(118')되고, 관객(119)측에서는 외광의 영향이 적어져, 표시면의 콘트라스트, 화질의 저하가 회피된다. 매트 처리된 수지 필름(115)을 접착하는 경우는 코스트, 안정성에 있어서 유리하며, 또한 전면 패녈(11A)의 유리 표면의 보호도 겸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표시 셀(71)을 사용한 경우의 유니트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먼저 제42도 및 제43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2개의 표시 셀(71),(71)을 그 간극 d이 예컨대 2 내지 3으로 되도록 근접 병치한 상태에서, 양 표시 셀(71),(71)에 건너 질러지도록 배면 패널(11B)위에 양면으로 감압성 접착제를 붙여서 쿳션(131)을 거쳐서 스페이서를 겸하는 예컨대 합성수지제의 셀 고정기판(132)의 접착되어서 양 표시 셀(71), (71)이 일체화된다. 또다시 제44도 및 제45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이 고정기판(132)위에, 양 표시 셀(71)(71)의 구동회로를 가진 공통의 구동회로 기판(133)이 고정되어서 표시 셀(71)을 2개 조합시킨 표시관 블럭(134)이 구성된다. 여기에서 쿳션(131)에는 2개의 표시 셀의 배면 패널(11B)에서 돌출하는 애노드 리드의 절연동체(101)를 삽통하기 위한 잘라낸 부분(135)이 설치됨과 동시에, 중앙부(즉 꼭 병치한 2개의 표시 셀(71),(71)간의 간극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셀 고정기판(132)와의 위치 결정을 위한 계합공(136)이 설치되어져 있다.
또한 셀 고정기판(132)에 있어서는 쿳션(131)의 잘린 부분(135)에 대응하는 잘라낸 부분(137)을 가치고 평면적으로 쿳션(131)과 동일 형상을 이루고, 그 일면의 중앙에 표시 셀(71)의 폭방향으로 연해서 소정의 높이 t의 스페이서부(138) 및 스페이서부(138)와 같은 높이의 모라부(139)가 일체로 설치됨과 동시에, 양단에 같은 높이 t를 갖는 스페이서부(140)가 일체로 설치된다. 모라부(139)는 표시 셀(71)의 리드(100)측에 설치되어, 스페이서부(140)는 리드(100)와 반대측에 설치된다. 스페이서부(140)의 상단에는 구동회로 기판(133)의 위치결정용의 공(141)에 계합되는 돌기(142)가 설치된다.
(143)는 셀 고정기판(132)의 타면에 돌출한 쿳션(131)의 계합공(136)에 계합하는 돌기이다. 구동회로기판(133)에는 양 표시 셀(71),(71)에서 돌출하는 애노드 리드의 절연동체(101)를 삽통하는 투공(144)이 설치되어, 또한 표시 셀의 리드(100)측의 한쪽 가장자리의 중앙에 후기하는 유니트 패널(151)로부터의 보수부(156)가 삽통하기 위한 반원형의 잘라낸 부분(145)이 설치된다. 구동회로 기판(133)은 그 투공(144)에 표시셀의 절연동체(101)를 삽입하도록 하여 셀 고정기판(132)의 스페이서부(138),(140) 및 모라부(139)위에 배설되어, 비스(150)를 구동회로기판(133)측에서 모라부(139)에 라입하므로서 셀 고정기판(132)에 고정된다. 이 경우, 셀 고정기판(132)은 셀 고정기판(132)위에 재치한 상태에서 회로기판(133)의 공(141)의 셀 고정기판(132)의 돌기(142)가 계합하므로서 위치결정이 된다. 구동회로기판(133)과 셀 고정기판(132)이 비스 고정된 후양 표시 셀(71),(71)의 리드(100)가 구동회로기판(133)의 배선 패턴에 납땜되어서, 보다 강고하게 양 표시셀(71),(71)이 일체화된다.
한편, 제46도 내지 제48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유니트 패널(151)이 설치된다. 이 유니트 패널(151)은 예컨대 세로 8 × 가로 4=32개의 표시 셀(71)이 배치되는 것으로, 32개의 표시 셀(71)이 각 형광체 트리오(12)가 임하는 256개의 매트릭스형의 창(152)이 설치되어서 형성된다.
유니트 패널(151)의 표면에는 창(152)의 가로 1열마다 해가림부(153)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유니트 패널(151)의 이면에는 각 표시 셀(71)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간막이 부분(154)이 종횡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간막이 부분(154)의 소정의 교차점 부분에 있어서 표시 셀(71)을 4개씩 유지하는 유지겸 가이드부재(155)가 일체로 설치된다.
유지겸 가이드부재(155)는 표시 셀(71)을 유지하기 위한 보스부(156)와, 이 보스부(155)의 기부에서 종횡으로 뻗어서 간막이부(154)에 연하는 가이드부(157)로 되며, 특히 해가림부(153)와 직교하는 세로방향에 있어서 가이드부(157)는 서로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보수부(156)는 제49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유니트 패널(151)과는 별개로 설치되고, 유지겸 가이드부재의 기부(155a)에 강고하게 접착된다. 이 경우, 보스부(156)의 십자형의 홈(156a)이 단면 십자형의 기부(155a)에 감합되어 접착제로 일체화된다.
그래서, 제50도 내지 제51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유니트 패널(151)의 이면에 전기한 2개의 표시 셀(71),(71)을 일체화한 표시관 블럭(134)이 소정 개수 배열된다. 이때 각 표시 셀(71)은 칸막이부(154) 및 가이드부(156)에서 칸막이 된다. 이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표시관 블럭(1340간의 중앙에서 돌출되는 보스부(156)에, 제5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중앙에 보스 삽입공(161)을 가지고, 또한, 이것에 의해 양각부(162) 및 (163)를 형성한 2고상의 누름장치(164)가 그 양각부(162) 및 (163)가 각각 인접하는 표시관 블럭(134)의 각 구동회로기판(133)에 맞닿도록 감삽된다. 이어서 고압전선, 전원라인, 신호라인 등이 배설된 샤시(165)가 각 누름 공구(164)위에 공통으로 배치되고, 샤시(165)와 보스부(156)가 비스(200)로 고정된다. 이때 2개의 블럭(134)이 누름 공구(164)로 가입유지되고, 즉 4개씩의 표시 셀(71)이 각각 공통의 누름 공구(164)로 유지되어서 제54도로 도시하는 한 유니트(166)가 구성된다.
이 한 유니트(166)의 조립에 있어서는 제51a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형광체 트리오(12)가 녹색 형광체층(14G),적색 형광체층(14R), 및 청색 형과체층(14B)의 순서로 배열된 표시 셀(71A)을 갖는 표시관 블럭(134A)과, 제55b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형광체 트리오(12)가 상기한 것과 역으로 청색 형광체층(14B), 적색 형광체층(14R) 및 녹색 형광체층(14G)의 순으로 배열한 표시 셀(71B)을 가지는 표시광 블럭(134B)이 설치된다. 양 표시 셀(71A) 및 (71B)은 함께 같은 폭으로 리드(100)가 도출되나, 표시 셀(71A) 및 (71B)의 각 리드(100)은 서로의 표시 셀의 리드(100)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양 표시관 블럭(134A) 및 (134B)은 유니트 패널(151)위에 있어서 제50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리드(100)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설된다. 이때, 양 블럭(134A)및(134B)의 각각의 리드(100)는 서로 어긋나도록 상대방의 블럭의 리드(100)사이에 배설된다.
이와같이 표시 셀의 리드(100)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열되므로, 유니트(100)에 있어서 측변에 리드(100)가 배설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유니트 패널(151)로서는 리드(100)의 휘어진 몫을 예정하지 아니하여도 되고, 소위 데드 스페이스의 낭비가 없어진다.
또한, 2개의 표시 셀(71)이 한 블럭(134)으로서 구성되므로, 유니트(166)를 구성할때의 전체의 조립이 간단해진다. 또한, 블럭마다 검사가 가능하므로, 점검, 수리 등의 작업(소위 서비스 체제)이 간단해진다.
또한, 한개의 보스부(156)에서 4개의 표시 셀(71)이 동시에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개소가 적어도 되고 보스부(156)의 본 수가 줄어짐과 동시에, 보수 고체시에 표시 셀(71) 따라서 블럭(134)의 교환이 용이해진다.
또다시, 유니트 패널(151)에 있어서는, 표면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창부(153)에 의해 가로방향이 보강되고, 또한 이면의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157)에 의해 세로방향이 보강되기 때문에, 전체로서 유니트 패널(151)자체의 기계적 강도가 커진다.
제54도 및 제5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표시 셀(71)을 표시 8× 가로 4 =32개 조립하여서 형성되는 한 유니트(166)에 있어서는, 이 한 유니트(166)에 대해서 1대의 고압전원(171)이 장비되고, 고압전원(71)에 고압 리드(172)가 32개의 각 표시셀(71)에 접속된다. 이경우, 고압전원(171)과 각 표시 셀(71)간에는 각각 1개의 보호 저항기(173)가 직렬로 삽입된다. 보호 저항기(173)는 예컨대 100K
Figure kpo00001
의 것을 사용한다. 보호 저항기(173)으로서는, 예컨대 제57a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소위 퓨즈 저항이 사용된다. 이 퓨즈 저항(173)은 절연동체(177)내에 100K
Figure kpo00002
의 저항기 몸체(174)와 스프링(176)이 배설되고, 스프링(176)의 일단이 저항기 몸체(174)의 일단에 저융점 금융(즉 퓨즈)(175)로 접속되어 형성되고, 과대전류가 흐르면 제57b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발열에 의해 저융점 금속(175)가 용해해서 스프링(176)이 그 탄성 편기력으로 저항기 몸체(174)에서 떨어져 단선되로록 구성된다. 단선된 상태에서는 저항기 몸체(174)와 스프링(176)간의 이간거리
Figure kpo00003
는 충분히 내전압이 유지되는 거리(예컨대 8mm이상)로 되어 있다. 32개의 보호 저항기(173)는 제56도 및 제58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2개의 케이스(178)내에 또한 16개분씩 정리되어서 수납이 된다. 그래서 각 저항기(173)의 일단은 리드(106)를 거쳐서 접속수단(107)에 접속되어, 각 저항기(173)의 타단은 공통 접속되고 리드(172)를 통해서 고압 전원(71)에 접속된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같이 접속수단(107)이 표시 셀(71)의 애노드 리드(46)의 절연동체(101)에 감착하므로써 고압 전원(171)에서의 고압이 표시 셀(71)에 공급된다.
이와같이 구성에서는, 표시 셀(71)내의 큰 내부방전, 슬로우 리크에 의한 진공도 불량으로 야기되는 글로우 방전등에 의해 표시 셀(71)에 과대 전류가 흐른 경우, 예컨대 100K
Figure kpo00004
의 보호 저항기(173)이면 애노드 전압 HV이 8KV인때, 방전 전류 I는 I=8×103/100×103=0.08A로 되어, 고압 전원(171)의 전류용량을 13mA로 하면 전령은 0.0132×100K≒17W로도 되어, 그 과대 전류가 흐른 표시 셀(71)만이 저항기(173)가 단선한다. 따라서 한 유니트(166)내에 있어서 고장한 표시 셀만이 발광하지 아니할 뿐으로, 다른 표시 셀은 하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한개의 표시 셀이 내부 방전을 일으켜, 이 상태가 완만한 경우에는 고압 전원(171)의 고장 또는 고압이 낮아져(전원 용량이 적은 경우), 한 유니트의 표시 셀 전부가 발광하지 않게 되나, 한개의 표시 셀에 한개의 보호 저항기가 개삽되므로, 이와 같은 상태는 방지된다.
또한, 위예에서는 표시 셀(71),(71')의 표면에 반사 방지용의 매트 처리(즉 제38도 내지 제41도의 수지필름(115)의 접착, 유리 표면으로의 에칭, 유리 표면으로의 크리어의 분무, SiO2의 피착등에 의한 매트 처리)를 실시하였으나, 이 매트 처리는 기타 제65도 및 제66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한조의 형광체 트리오로 형성되는 표시 셀에도 적용이 되는 것이다.
또한, 위 예의 제56도에서는 표시 셀(71)을 사용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고압 전원과 각 표시 셀간에 한개의 보호 저항기를 삽입하였으나, 이것은 표시 셀(71`) 혹은 제67도 및 제68도의 표시 셀을 사용한 표시장치에도 적용된다.
제67도 및 제68도에 도시하는 발광 표시 셀(10)은 유리 케이스(11)의 전면 패널(11A)의 내면에 카본층(15)으로 감싸듯이 한조의 형광체 트리오 즉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 형광체 층(14)[(14R),(14G),(14B)]을 피착형성하여, 이들 각색 형광체 층(14R),(14G),(14B)에 대향하여 3개의 와이어 캐소드(K)[(KR),(KG),(KB)] 및 제1 그라드(제어전극)(G1),[(G1R),(G1G),(G1B)]와, 공통의 제2그리드(가속 전극)(G2)를 배설하여 구성된다.
각색 형광체층(14R),(14G) 및 (14B)은 각각 세파레이타(40)로 감싸여, 각 와이어 캐소드(K)로부터의 전자 비임이 각각 대응하는 형광체층(14)에 조사하도록 된다. 이경우 형광체층(14)에 애노드 전압을 공급하는 애노드 단자(5)는 세파레이타(40)를 거쳐서 유리 케이스(11)의 전면 패널(11A)과 측판(11C)간에서 도출되고, 다른 캐소드(K), 제1그리드(G1), 제2그리드(G2)의 각 단자(6)는 배면 패널(11A)과 측판(11C)간에서 도출된다. 이 발광 표시 셀에서는, 애노드 단자(5)를 통해서 형광체 층(14)에 애노드 전압이 공급되고, 애노드 측과 제2그리드(G2)의 전압이 고정되어서 제1그리드(G1)에 주는 전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 오프표시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유니트(166)을 다수개 매트릭스형으로 배열하여서 되는 대형 표시장치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제59도, 제60도 및 제61도는 대형 표시장치(181)의 전체의 정면도, 확대단면도 및 배면의 일부를 도시한다.
각 유니트(166)는, 각각 1개의 고압 전원(171)을 구비하고, 구동회로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특허출원소화60-71129호에 기재되는 구동회로구성이 되고, 전체로서 금속 커버로 피복된다. 이 경우, 유니트(166)의 전체는 제60도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표시면(166A)측의 전부(166a)가 폭이 넓고 후부(166b)가 폭이 좁은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 유니트(166)가, 후기하는 구조물(182)의 기둥(183)에 고정부를 거쳐서 예컨대 세로 10× 가로 13=130개 매트릭스 형으로 고정되어서 표시장치(181)가 구성된다. 즉, 구조물(182)은, 예컨대 철재로 되는 견고한 태조립체(184)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상 또는 단면 T자형, 본 예에서는 평편형의 복수의 기둥(철재)(183)이 고정되고, 유니트(166)에 배설되는 주위에 스텐레스에 의한 장식(185)이 고정되어서 형성된다. 태조립체(184)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설한 1쌍의 지주(194A) 및 (194B)간에 각각 자형의 상측 가로 프레임(195) 및 하측 가로 프레임(196)을 걸쳐 고정하여 구성된다. 장식판(185)은 2매의 세로판(185A),(185B)과 2매의 가로판(185C),(185D)으로 형성되고, 가로판(185C),(185D)가 세로판(185A),(185B)에 고정되고, 세로판(185A),(185B)이 상측 및 하측 가로 프레임(195) 및 (196)에 고정된다. 인접하는 기둥(183)의 중심간 거리 D1는 유니트(166)의 전부(166a)의 폭 D2과 거의 같게 한다. 유니트(166)는 고정된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것과의 사이에서 1 내지 2mm의 간격이 뜰 정도로 거의 극간이 없게 배열된다. 한편, 유니트(166)의 후부에 있어서 윗면 및 아래면에 각각 단면 ㄴ자형의 고정 쇠장식(186)(187)이 스포트용접이 고정된다. 이 고정 쇠장식(186),(187)이 인접하는 2개의 기둥(183)간에 걸쳐져서, 고정 쇠장식(186),(187)의 양단이 각각 기둥(183)의 이면에서 볼트(188)로 고정되므로서, 유니트(166)가 구조물(182)에 고정된다(제62도 참조). 또한 구조물(182)의 뒷쪽에는 제60도에서 도시하는 것과같이 작업자(189)용의 발판(190)이 설치된다. 이 예에서는 표시장치의 유효화면이 세로 약 3.5m × 가로 약 4.6mm이기 때문에 발판(190)이 상하 2단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조물(187)에 다수의 유니트(166)를 고정하여서 되는 표시장치(181)는, 예컨대 제60도에 도시하는 것과같이 양지주(194A) 및 (194B)를 마루(197)에 고정하고, 또다시 전도방지용 부재(198)를 지주(194A)및 (194B)와 벽(198`)사이에 고정하여 설치된다. 또한, 이와같은 표시장치(181)는 실외 또는 실내에 설치할수가 있다.
제65도 및 제66도는 본 표시장치(181)를 전면(202)이 유리를 입힌 쇼 룸(201)내에 설치한 예이다. 이 예에서는 쇼 룸(201)내에 칸막이용의 보조벽(203)을 설치하고, 이 보조벽(203)의 개구부에 장치(181)의 표시면 즉 스텐레스의 장식판(185)만이 이르도록하여 표시장치(181)가 설치된다.
유니트(166)는 구조물(182)의 뒷쪽에서 고정, 교환이 행해진다. 유니트(166)를 교환하는 경우는 제63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볼트(188)를 푼 후, 유니트(166)를 뒤쪽으로 이동하여 또한 점선(1)으로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한쪽으로 대면서 후방으로 옮겨, 이어서 점선(II)으로 도시하는 것과 같이 유니트(166)를 회전시키면서 기등(183) 사이에서 유니트(166)를 집어내도록 한다. 고정시킬 경우도, 이것과 역순으로 하면 된다.
제64도는 유니트(166)를 구조물(182)의 표면쪽에서 고정하고, 교환하는 경우의 예이다. 즉 유니트(166)의 양측에 있어서 각각 상하의 단면 ㄴ 자형의 고정 쇠장식(186),(187)의 양단부간을 횡단하여 그림과 같이 거의
Figure kpo00005
자형의 보조쇠장식(191)이 볼트(192)에 의해 고정된다. 이 보조쇠장식(191)을 기둥(183)에 그 표면에서 볼트(193)로 고정하므로서 유니트(166)가 구조물(182)에 고정된다.
이와같이, 유니트(166)가 전부(166a)를 폭넓게 또한 후부(166b)를 폭이 좁게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1쌍의 고정 쇠장식(186),(187)을 거쳐서 구조물(182)의 기둥(183)에 고정되므로, 유니트의 구조물(182)로의 조립, 혹은 유니트의 수리, 교환시의 교환 및 고정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인접하는 기둥(183)사이의 거리 D1가 각각 유니트(166)의 폭이 넓은 전부(166a)의 폭 D2와 거의 같에 되어 있으므로, 조립에 있어서 극간없이 다수의 유니트가 배열된다.
본 발명은, 다른 색의 복수의 형광표시 세그멘트가 복수조 병치된 제1의 표시 셀과 이것과는 형광표시 세그멘트의 색의 배열을 역순으로한 제2의 표시 셀을 설치하고, 제1및 제2의 표시 셀을 서로 리드부가 서로 다르도록 매트릭스 배치하여 형광표시장치를 구성하므로서, 리드부의 구부린 만큼의 점유하는 영역이 적어지고, 특히 주변에서는 없어진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표시 셀을 충분히 근접하여 배치할수가 있고, 양호한 표시장치가 얻어진다.

Claims (1)

  1. 다른 색의 복수의 형광표시 세그먼트가 복수조 병치된 제1의 표시 셀과 전기한 다른 색의 복수의 형광표시 세그먼트가 전기 제1의 표시 셀과 역순으로 배설된 제2의 표시 셀을 서로 리드부가 서로 다르도록 매트릭스 배치하여서 형성되는 형광표시장치.
KR1019860007244A 1985-08-30 1986-08-30 형광 표시장치 KR950001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91705A JPS6252847A (ja) 1985-08-30 1985-08-30 螢光表示装置
JP191705 1985-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540A KR870002540A (ko) 1987-03-31
KR950001357B1 true KR950001357B1 (ko) 1995-02-17

Family

ID=16279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244A KR950001357B1 (ko) 1985-08-30 1986-08-30 형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734623A (ko)
JP (1) JPS6252847A (ko)
KR (1) KR950001357B1 (ko)
CN (1) CN1008223B (ko)
CA (1) CA1274576A (ko)
GB (1) GB21815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173B1 (ko) * 1986-12-30 1992-08-27 주식회사 금성사 다중기판을 이용한 칼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
JPH0622922Y2 (ja) * 1987-05-13 1994-06-15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蛍光発光管
US6008784A (en) * 1996-11-06 1999-12-28 Acres Gaming Incorporated Electronic display with curved face
JP3543170B2 (ja) * 1998-02-24 2004-07-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6375567B1 (en) 1998-04-28 2002-04-23 Acres Gam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in video a secondary game responsive to player interaction with a primary game
KR100805145B1 (ko) * 2001-09-25 2008-0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다중 구동식 배선 구조를 갖는 형광표시관
JP2005109269A (ja) * 2003-09-30 2005-04-21 Hitachi Ltd 半導体放射線検出器及び半導体放射線撮像装置
CN103680337A (zh) * 2013-11-15 2014-03-26 北京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pmoled拼接屏体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2977U (ko) * 1979-05-29 1980-12-11
US4413257A (en) * 1981-07-13 1983-11-01 Beckman Instruments, Inc. Conductive particle lead termination for an electro-optic display
US4613794A (en) * 1982-11-25 1986-09-23 Nec Corporation Charge transfer plasma display device
JPH061674B2 (ja) * 1984-12-04 1994-01-05 ソニー株式会社 螢光表示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52847A (ja) 1987-03-07
CN86106231A (zh) 1987-04-08
KR870002540A (ko) 1987-03-31
CN1008223B (zh) 1990-05-30
GB2181596A (en) 1987-04-23
GB8621114D0 (en) 1986-10-08
US4734623A (en) 1988-03-29
GB2181596B (en) 1989-12-28
CA1274576A (en) 199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8921A (en) Vacuum-fluorescent display matrix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940000299B1 (ko) 형광 표시관
KR950001357B1 (ko) 형광 표시장치
CA1257638A (en) Fluorescent display tube for light source
US5747927A (en) Display device
JPH061675B2 (ja) 螢光表示管
EP0415639B1 (en) Display tube assembly
JPH0673289B2 (ja) 螢光表示管
US3903448A (en) Multiple character flat panel display device
JPS6250883A (ja) 螢光表示管
JPH073621B2 (ja) 螢光表示装置
JPS6250886A (ja) 表示装置用パネル
JPH01235152A (ja) 光源用表示管
JPH0722849Y2 (ja) 蛍光表示装置
JPH0588498B2 (ko)
JPH073622B2 (ja) 表示装置
JPS6129056A (ja) ドツトマトリクス螢光表示管
JPS61135031A (ja) 螢光表示管
KR930004786Y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
KR200225270Y1 (ko) 형광 표시관
JPS6250884A (ja) 螢光表示管ブロツク
JPS60225339A (ja) 表示装置
JPS6250885A (ja) 螢光表示装置
JPH04315762A (ja) 発光素子
JPS61133980A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