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292Y1 - 내장 유니트의 배선구조(a wiring structure for inter ior units) - Google Patents

내장 유니트의 배선구조(a wiring structure for inter ior uni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292Y1
KR950001292Y1 KR2019940025049U KR19940025049U KR950001292Y1 KR 950001292 Y1 KR950001292 Y1 KR 950001292Y1 KR 2019940025049 U KR2019940025049 U KR 2019940025049U KR 19940025049 U KR19940025049 U KR 19940025049U KR 950001292 Y1 KR950001292 Y1 KR 9500012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s
connector
support surface
dispose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5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야 고또
요이찌로오 아라끼
Original Assignee
가와사끼 쥬우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오오바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0098112U external-priority patent/JP2512784Y2/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사끼 쥬우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오오바 히로시 filed Critical 가와사끼 쥬우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Priority to KR2019940025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2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2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2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장 유니트의 배선구조(A WIRING STRUCTURE FOR INTER IOR UNITS)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내장 유니트의 배선구조의 주요부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제2a, 2b 및 제2c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제2a도는 내실쪽으로부터 도시된 사시도이며, 제2b도는 장착베이스로부터 도시도니 사시도, 제2c도는 제2a도에 도시된 선 I-I에 따라 도시된 단면도.
제3a, 3b 및 3c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제3a도는 내실쪽으로부터 도시된 사시도.
제3b도는 자체의 덮개부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제3c도는 제3b도에 도시된 선 II-II에 따라 도시된 단면도.
제4a도 및 4b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제4a도는 내실쪽으로부터 도시된 사시도.
제4b도는 장착 베이스쪽으로부터 도시된 사시도.
제5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선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2 : 내장 유니트 13,14 : 전선다발
15 : 개구부 17 : 덮개부
18,18' : 가동 커넥터 19 : 고정 커넥터
22,22',27,27' : 단락 커넥터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차량, 빌딩등등에 장착되는 내장부재내에 다양한 전기장치를 배치할 경우 내부에 설치될 내장부재가 분할되어 일체화되는 배선구조의 간략화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설명]
예컨대 철도차량내에 설치될 내장부재의 일체화를 채용하는 경우 차량 내부의 천장, 길이방향측벽 및 가로방향측벽상에 장착될 각각의 패널면만이 일체화되어 있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종래에 개시된 일체화 구조에 있어서, 자체내에 설치된 전기장치에 사용되는 배선 구조는 종래에 수행되던 것과 같이, 차량 몸체내에 사전에 장착된 튜브, 케이블덕트, 케이블 지지대등을 이용함으로써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구조는 수리공이 특히 작업시간내내 고개를 들고 있어야만 하는 철도차량의 바닥아래에서의 배선작업공간과 같은 매우 협소한 작업공간 및 열악한 작업환경에 놓이도록 하며, 이에 의해서 배선작업을 끝마치는데는 실질적으로 장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 특허공개 제2-6265호에 새로운 기술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여기에 개시된 방법은 바닥아래에서의 배선작업만을 편리하게 하는 것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이에 따라 작업환경은 다수 편리하게 되었다 하더라도 작업위치에서의 배선작업 그 자체는 전혀 생략될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또다른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 바 설치될 내장부재는 각각의 천장유니트(1 및 2), 패널유니트(3)등과 같이 분할되어 일체화되어 있으며, 이후에 상호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측정오차를 흡수하기 위해 배치된 조정부재(4)에 의하여 연결되고, 여기에서 각각의 유니트는 팬(5), 형광램프(6)등과 같은 다양한 전기장치가 사전에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필요한 전선(7 및 8)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유니트(1 및 2)가 철도차량상에 설치될 때 각각의 유니트의 전선(8 및 8')은 각각의 유니트의 전선의 연결 단말에 각각 배치된 커넥터(9 및 9')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각각의 유니트(1 및 2)의 커넥터(9 및 9')사이의 연결은 천장측에서 즉 다시말해 유니트의 배면에서 수행되며, 이것은 커넥터 상호간의 연결방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예컨대 전선(8 및 8')이 보다 더 길게 세트되어 사전에 커넥터(9 및 9')와 연결되는 방법이 채택된다면 이처진 전선과 커넥터는 차량의 주행시에 진동하게 되는데, 이것은 소음의 원인이 되며, 또한 커넥터 손괴의 원인이 된다.
반대로 이 전선이 보다 더 짧게 세트된다면 연결작업은 다수 곤란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은 상기의 사실들을 제거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으며, 본 고안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단시간내에 차량몸체내에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배선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장부재가 적절히 분할되어 일체화된 이후에 상호간에 연결되는 복수의 내장 유니트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내부 구조내에 채용된 구조에 있어서, 이 구조는 각각의 유니트내에 부수적인 장비로서 전기장치를 설치하고, 각각의 유니트 배면상에 전기장치를 위한 필요에 의해 전선을 지지 가능하게 구비하며, 각각의 유니트 연결부의 부근 구역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커넥터가 개구부에서 상호간에 면하고 있으며 맞물림 가능한 방식으로 각각의 전선끝에 커넥터를 배치하며, 개구부를 폐쇄시키기 위해 덮개부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은, 각각의 전선 끝부분의 커넥터중 하나가 개구부에 면해있는 고정 커넥터이며, 다른 하나의 커넥터가 고정 커넥터와 맞물림 가능한 가동 커넥터이고, 아울러 이 가동 커넥터에 연결된 전선이 가동 커넥터를 고정 커넥터와 맞물림시키는데에만 필요한 최소길이정도로 짧게 장치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변경 가능하며, 또는 가동 커넥터가 덮개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 덮개부가 커넥터와 맞물림될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되는 방식으로 개구부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변경가능하며, 또는 커넥터가 그 각각의 맞물림면을 개구부로 면해있도록 한 것과같이 각각의 유니트의 각각의 전선 끝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단락 커넥터가 개구부를 폐쇄시키는데 사용되는 덮개부를 더 구비하여 이 덮개부가 폐쇄될 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변경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은, 이 구조가 각각의 유니트내에 부수적인 장비로서 전기장치를 설치하고, 각각의 유니트 배면상에 전기 장치를 위한 필요에 의해 전선을 지지하여 구비하며, 각각의 유니트의 인접한 연결부의 부근구역내에 커넥터를 배치하여 각각의 전선끝부분에 연결되도록 하고, 단락 커넥터가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인접한 커넥터와 맞물림되는 방식으로 장착 베이스상에 단략 커넥터를 견고하게 장착하며, 나사장치에 의하여 각각의 전선끝부분에 배치된 커넥터와 단략 커넥터를 맞물림시키며, 나사장치가 장착 베이스로의 고정 장치로서의 역할도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전체로서 변경 가능하다.
작업중에 내장부재는 적절한 크기의 복수의 유니트로 분할되며, 이 개개의 유니트를 형성할 때, 전기장치의 설치 및 필요로 하는 배선은 각각의 유니트 후방면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며 커넥터는 각각의 전선 끝에 배치된다. 그런다음 각각의 전선끝에 배치된 이 커넥터는 각각의 인접한 유니트의 부근구역내에 형성된 개구부에 맞물림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 개구부는 덮개부에 의해 폐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다음 철도 차량내에 적용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참조번호 11 및 12는, 전기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기장치용으로 필요한 전선이 전선다발(13 및 14)과 같은 다발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천장유니트등과 같은 내장 유니트를 각각 표시한다. 이러한 전기장치의 설치 및 전선의 분배는 이러한 유니트의 제조시에 수행될 수있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작업은 실질적으로 용이하게 되며 더우기 복수의 유니트가 동시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유니트(11)는 다른 유니트(12)의 끝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자체의 한쪽끝에서 하단부로 구비되어 있는데, 반해, 유니트(12)의 끝부분은 힌지(16)에 의하여 연결된 덮개부(17)를 가지고 있는 개구부(15)로 형성되어 있다.
참조번호 18은 다른 어떤 곳에도 고정되어있지 않지만 전선 다발(18)의 끝부분에는 연결되어 있는 가동 커넥터를 표시한다. 참조번호 19는 전선다발(14)의 끝부분에 연결되어, 유니트(12)의 개구부(15)의 부근구역에 정치되어 있는 고정 커넥터를 표시한다.
더우기, 가동 커넥터(18)의 위치는 화살표 A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전선다발(13)의 최대여유 길이로까지 위치이동될 수 있으므로 이 가동 커넥터는 고정커넥터(19)와의 맞물림이 가능하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유니트(11 및 12)가 차량 몸체(도시되지 않음)의 장착베이스상에 설치된 후에 덮개부(17)가 개방될 때 이 가동 커넥터(18)는 고정커넥터(19)와 용이하게 맞물림될 수 있으며 그 맞물림 작업은 덮개부(17)가 폐쇄될때 종결된다.
전선다발(13)의 처짐은 커넥터의 맞물림에 필요한 최소 길이정도로 짧게 결정될 수 있으며 맞물림이후의 커넥터는 고정상태가 되기 때문에 차량 주행중의 진동현상과 같은 문제점들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
그런데, 덮개부(17)는 고정 장치에 의해 정상적으로 폐쇄되어 있다하더라도 각각의 힌지(16)에 작용되는 스프링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폐쇄될 수 있으므로 덮개부 자체의 폐쇄상태는 이 힌지의 반발력으로 인하여 유지된다.
제2a도 내지 제2c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에서 미그럼홈(17a)은 덮개부(17)의 배면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덮개부(17)가 개구부(15)내에서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가동 커넥터(18)가 가동덮개부(17)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유니트(11)측의 커넥터가 고정 터넥터인 경우, 양쪽 커넥터(18 및 19)는 단순히 덮개부(17)를 폐쇄시키는 것에 의해 상호간에 맞물림되며 그에 따라 전선다발(13 및 14)은 연결된다. 더우기 덮개부(17)는 화살표 B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미끄럼 되도록 배열될 수 있을뿐 아니라 유니트(11,12)와 이 유니트(11,12)가 설치될 장착 베이스와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측정 오차를 흡수하기 위해 미끄럼 홈(17a)을 보다 더 깊게 구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3a도 내지 제3c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호 인접한 유니트(11 및 12)는 각각 미꾸럼 베이스(20 및 21)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베이스(20 및 21)상에는 가동 커넥터(18및18')가 각각 미그럼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유니트(11)측의 커넥터(18)는 화살표 B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고, 유니트(12)측의 또다른 커넥터(18')는 화살표 A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며, 이 화살표들은 직각으로 교차되어 있다.
그런데, 덮개부(17)는 가동 커넥터(18 및 18')와 각각 맞물림되는 단략 커넥터(22 및 22')로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이 단략 커넥터(22 및 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22a)가 이 커넥터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때 커넥터(22 및 22')사이의 거리는 고정되며 커넥터는 단락상태로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유니트(11 및 12)를 장착베이스에 고정시킨 이후에 개구부(5)가 덮개부(17)에 의해 폐쇄된다면, 이 단락 커넥터(22 및 22')는 가동 커넥터(18 및 18')와 각각 맞물림되며 이에 따라 전선다발(13 및 14)을 연결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덮개부(17)는 이 커넥터의 맞물리는 힘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고정 장치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그런데, 또다른 선택적인 장치는 덮개부(17)의 단락 커넥터가 A 및 B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 커넥터가 장착 베이스측에 배치되고, 또는 그와 반대로 덮개부상의 커넥터 및 장착베이스측의 커넥터 양쪽 모두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배치되는 것도 당연하게 수행된다.
제4a도 및 제4b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것은 자체내에 개구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유니트(11 및 12)부근의 구역에는 나사 체결타입의 커넥터(23 및 23')가 각각의 전선다발(13 및 14)의 끝부분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장착보울트(25 및 25')는 각각의 유니트를 관통하는 구멍(24 및 24')을 통해 삽입배치되어 있다.
다른 한편 유니트(11 및 12)가 설치될 장착 베이스(26)상에는 각각의 유니트(11 및 12)의 양쪽 커넥터와 맞물림 가능한 단락 커넥터(27 및 27')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단락 커넥터(27 및 27')는 일체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이 커넥터들은 내부 배선(27c)에 의해 단락되며, 장착보울트(25 및 25')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암나사(27a 및 27b)가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유니트(12)에 인접한 유니트(11)의 하단부(11a)상에 유니트(12)를 위치시킨후에 커넥터(23 및 23')는 장착보울트(25 및 25')에 의해 단락 커넥터(27 및 27')와 각각 맞물림되며, 따라서 유니트(11 및 12)는 장착 베이스(26)에 의해 동시에 차량 몸체상에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 배선구조는 벽, 바닥, 천장등의 어느것에나 적용될 수 있으며, 철도차량이외의 차량, 빌딩등과 같은 다양한 대상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고안의 효과]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양한 전기장치들은 사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정치들 사이의 전선도 또한 차량의 내장부재를 구성하는 각각의 유니트내에 사전에 분배될 수 있으며, 일체화되고 분배된 전선 또는 전선다발은 각각의 유니트 배면상에 용이하게 연결되어 각각의 내부유니트에서의 배선 작업이 편리하도록 해주며, 이에의해 복수의 전선의 배선작업은 동시에 이루어질수 있으므로 필요로 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수 있다.
본 고안이 특정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되기는 했지만, 이 설명은 예시적이며, 본 고안의 영역을 제한할 정도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12)

  1. 지지면의 제1측부에 배치되며, 상호간에 2개의 전선을 결합하는 배선시스템에 있어서, 지지면의 제1측부에 제1및 제2전선이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전선이 상기 제1 및 제2전선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단말 끝에 배치된 커넥터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담날끝부분중 하나를 상기 지지면의 상기 제1측부에 대하여 가동 지지하는 수단과; 상기 지지면의 제2측부로부터 상기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커넥터 수단에 액세스하기 위해 상호간에 상기 제1 및 제2전선이 함께 연결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면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단말끝의 상기 커넥터 수단을 상호 접속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단말끝중에서 상기 가동끝에 배치된 상기 전기 커넥터 수단을 수동조작할 수 있는 개구수단과; 상기 지지면에 배치된 덮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수단이 개방위치에 배치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개구수단 및 상기 커넥터 수단에 액세스를 제공하고, 상기 개구를 시일 밀폐하고 상기 덮개수단이 폐쇄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상호접속된 단말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에 가동 지지된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단말 끝부분은 상기 가동 지지된 전선 단말 끝부분이 상기 커넥터 수단이 상기 전선 단말중 상기 다른 하나의 상기 커넥터 수단으로부터 분리되는 제1의 처진 위치로부터, 상기 가동 지지된 전선 단말 끝부분의 상기 커넥터 수단이 상기 전선 단말 끝부분중 상기 다른 하나의 상기 커넥터 수단에 연결되는 제2의 연장된 위치로 상기 가동 지지된 전선 단말 끝부분이 이동될 경우, 상기 가동지지된 전선 단말 끝부분의 상기 커넥터 수단이 상기 전선 단말 끝부분중 다른 하나의 커넥터 수단에 충분하게 맞물림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커넥터는 덮개수단에 부착되며; 상기 덮개 수단은 상기 가동 커텍터가 이동할 수 있는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전선단말 끝부분중 다른 하나의 상기 커텍터 수단에 맞물림되도록 상기 지지면에 대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대적 배치를 갖는 연결에서 흡수 오차에 대한 상기 전선단말 끝부분중 다른 하나의 상기 커텍터 수단에 맞물림 되도록 상기 가동 커텍터가 이동가능한 상기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도 또한 미끄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수단은 상기 개구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힌지 가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면에 힌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시스템.
  6. 지지면에 배치되며, 상호간에 2개의 전선을 결합하는 배선시스템에 있어서, 지지면에 제1 및 제2전선이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전선이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단말 끝부분에 배치된 커넥터 수단을 가지며, 단략회로 커넥터가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장착베이스에 배치되며, 커넥터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커넥터 수단에 맞물림되고; 상기 지지면을 상기 장착 베이스에 고정하며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단말 끝부분에 배치된 상기 커넥터 수단으로 상기 단락회로 커넥터의 전기 맞물림을 야기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지지면을 상기 장착 베이스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착 베이스내에 형성된 암나사 소켓과, 상기 장착 베이스의 상기 나사 소켓과 나사산 맞물림되도록 상기 지지면을 통해 삽입가능한 수나사 보울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커넥터는 전기 핀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 베이스의 상기 단락회로 커넥터는 상기 전기 핀 커넥터를 수용하는 전기 핀 소켓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시스템.
  8. 지지면의 제1측부에 배치되며, 상호간에 2개의 전선을 결합하는 배선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및 제2전선이 지지면의 제1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전선이 상기 제1 및 제2전선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단말끝에 배치된 커넥터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전선을 상호간에 용이하게 연결 및 분리하도록 상기 지지면의 상기 제1측부에 대하여 가동 배치되는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단말 끝중 하나를 상호간에 편리하게 연결 및 분리하고;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커넥터 수단이 상호간에 함께 연결되도록 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면내에 형성된 개구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커텍터 수단을 상기 지지면의 제2측부로부터 액세스하며; 상기 지지면에 대하여 가동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단말 끝중 상기 하나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덮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수단은 상기 덮개수단이 상기 개구수단을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커넥터 수단을 분리하는 제1위치와 상기 덮개 수단이 상기 개구수단을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커넥터 수단을 분리하는 제1위치와 상기 덮개 수단이 상기 개구수단을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커넥터를 연결하는 제2위치사이에서 상기 지지면의 상기 제2측부에 가동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수단은 상기 지지면의 상기 제2측부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전선은 길이방향축의 연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덮개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커넥터의 상호 연결부를 얻도록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길이방향축 연장부와 정렬되는 상기 방향의 제1방향과,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커넥터의 상호 연결부가 되는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적절한 공축 정렬을 얻도록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길이방향축 연장부에 수직하는 상기 방향의 제2방향이 되는 상호간에 직교하는 2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면의 상기 제2측부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시스템.
  11. 지지면의 제1측부에 배치되며, 상호간에 2개의 전선을 결합하는 배선시스템에 있어서, 제1 및 제2전선이 지지면의 제1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단말 끝에 배치된 커넥터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커텍터 수단이 상기 지지면의 제2측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커텍터 수단에 액세스하기 위해 배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면내에 형성된 개구수단과; 상기 지지면의 상기 개구수단내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가능한 덮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수단이 상기 지지면의 상기 개구수단내에 배치될 경우 상기 지지면의 상기 개구수단을 폐쇄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커넥터 수단을 밀폐하며, 상기 덮개수단이 상기 지지면의 상기 개구수단으로부터 이동될 경우 상기 개구수단을 개방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커텍터 수단에 액세스를 제공하며; 상기 덮개수단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수단이 상기 지지면의 상기 개구수단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지지면의 상기 개구수단으로부터 이동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커텍터 수단을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해 상기 연결된 단락회로 커텍터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전선이 길이방향축의 연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커넥터 수단의 제1방향이 상기 제1전선에 제2방향이 상기 제2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에서 가동되므로,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 수단을 상기 덮개수단의 상기 단락회로 커넥터수단과 전기적으로 적절히 상호 접속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전선의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 수단이 상기 덮개수단의 상기 단락회로 커넥터 수단에 대하여 조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시스템.
KR2019940025049U 1990-09-20 1994-09-28 내장 유니트의 배선구조(a wiring structure for inter ior units) KR9500012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049U KR950001292Y1 (ko) 1990-09-20 1994-09-28 내장 유니트의 배선구조(a wiring structure for inter ior uni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98112 1990-09-20
JP1990098112U JP2512784Y2 (ja) 1990-09-20 1990-09-20 内装ユニットの配線構造
KR1019910016542A KR930007025A (ko) 1990-09-20 1991-09-20 내장 유니트의 배선구조
KR2019940025049U KR950001292Y1 (ko) 1990-09-20 1994-09-28 내장 유니트의 배선구조(a wiring structure for inter ior unit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6542A Division KR930007025A (ko) 1990-09-20 1991-09-20 내장 유니트의 배선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292Y1 true KR950001292Y1 (ko) 1995-02-25

Family

ID=27308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5049U KR950001292Y1 (ko) 1990-09-20 1994-09-28 내장 유니트의 배선구조(a wiring structure for inter ior uni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2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9951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шкаф с системой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в дверце
KR100264619B1 (ko) 전기접속장치
EP0476654B1 (en) A wiring structure for interior units
KR20070104879A (ko) 혼합 섬유/구리 커넥터 시스템 및 방법
US7423224B2 (en) Wire bundle routing assembly and installation method
JP2001035590A (ja) 電気センタとワイヤハーネスコネクタの電気的接続方法および電力分配センタ
US5846101A (en) Connection block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ductors to electrical equipment
FI84678B (fi) Installeringsdon foer ledningsfoeringskanaler.
JP2747454B2 (ja) 車輛用電気接続装置の取付構造
JPH09180828A (ja) 固定具兼用型コネクタおよびその装着構造
KR950001292Y1 (ko) 내장 유니트의 배선구조(a wiring structure for inter ior units)
JP2009224155A (ja) 照明器具
NL2023720B1 (en) Wall lock device, assembly comprising the wall lock device and building comprising the assembly
WO2011102602A2 (en) Joint connector assembly
JP3227211B2 (ja) 配線装置
CN220338367U (zh) 一种配电照明装置及控制柜
CN217387878U (zh) 一种配电柜
FI84952C (fi) Stroemuttagningsanordning foer en ledningskanal.
JP2689822B2 (ja) 電子・通信装置
JP2595799Y2 (ja) 照明器具
JP4176910B2 (ja) 電気部品の取付構造
CN220775329U (zh) 一种具有电缆分支的母线槽
WO2024035029A1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EP1420494A2 (en) Electric mechanism adapter for surface installations
JP3093824B2 (ja) フロア用配線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