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235Y1 - 무선전화기용 개량 핸드셑(hands set)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용 개량 핸드셑(hands 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235Y1
KR950001235Y1 KR2019900012033U KR900012033U KR950001235Y1 KR 950001235 Y1 KR950001235 Y1 KR 950001235Y1 KR 2019900012033 U KR2019900012033 U KR 2019900012033U KR 900012033 U KR900012033 U KR 900012033U KR 950001235 Y1 KR950001235 Y1 KR 950001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et
piece
radiotelephone
telephone hands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2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465U (ko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2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235Y1/ko
Publication of KR9200054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4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2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전화기용 개량 핸드셋(HANDS SET)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드셋동체 2 : 수화기
3 : 요부 4 : “”형의 작동편
5,5' : 안내홈 6 : 걸림돌부
7 : 탄편 8 : 요철부
9,9' : 안내돌부 10,10' : 요홈
11 : “”형 구멍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용 개량 핸드셋(HANDS SET)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드셋의 내려놓을 수 없는 장소등에서 간편하게 벽등에 박혀진 못이나 바(BAR)에 걸어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무선전화기의 핸드셋이 주로 바닥에 세워놓거나 눕혀놓도록만 되어있는바, 이는 바닥에 물기가 있거나 지면이 울퉁불퉁하여 고르지 못한곳등에서는 핸드셋을 재치하여 두기가 매우 불편한 등의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핸드셋의 폐단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무선전화기의 핸드셋을 재치시킬 수 없는 곳에서도 벽등의 못에 간편하게 걸어놓거나 또는 못도없는 장소에서는 바(BAR)나 판넬등의 상단에 걸러놓을 수 있게한 개량핸드셋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드셋동체(1)와 수화기(2) 상면에서 후면 상측까지 요부(3)를 형성하여 이 요부(3)에 “”형의 작동편(4)을 슬라이드식으로 동작되게 장설하되, 상기 요부(3) 양측에는 안내홈(5) 및 (5')를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단부에 걸림돌부(6)를 돌설한 탄편(7)을 형성시키며, 작동편(4)에는 상면에 요철부(8)를 그리고 양단부에는 안내돌부(9) 및 (9')를 돌설하고, 저면 전후방에 각각 요홈(10) 및 (10')를 형성하며 작동편(4)의 일측면 하측에 “”형의 구멍(11)을 천공시켜서된 무선전화기용 개량 핸드셋인 것이다.
미설명 부호 12는 벽체, 13은 못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드셋을 무선전화기의 동체에 재치하거나 평상시 테이블이나 지면에 재치할 수 있는 장소등에서 재치시킬때는 핸드셋동체(1)에 “”형의 작동편(4)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고, 핸드셋을 지면이나 테이블등에 도저히 재치시켜 놓을 수 없는 경우에는 실내등에서는 벽에 부착된 못이나 또는 행거등에 걸어둘수도 있고, 또 실외에서는 세워놓은 합판이나 바(BAR) 그리고 줄등에 걸어놓으면 되는데, 이때에는 핸드셋동체(1)에 삽입된 “”형 작동편(4)의 요철부(8)에 엄지손가락을 대고 가압하면서 밀면 저면 후방에 형성된 요홈(10')에 삽입되어 있던 걸림돌부(6)가 하측으로 가압되면서 작동편(4)이 동체(1)에서 인출되며 어느정보 인출되면 요홈(10)에 탄편(7)의 단부에 돌설된 걸림돌부(6)가 튀어올라와 삽입됨으로서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벽체(12)의 못(13)에 걸려둘수 있게되며, 휴대하거나 사용할때는 동체(1)에 “”형 작동편(4)을 밀어 삽입시키면 걸리는 부분없이 기존핸드셋과 똑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핸드셋을 벽의 못(13)등에 걸어두거나 또는 바등에도 걸어둘수도 있는 것으로 특히 바닥에 물기나 또는 전화기를 가까이 할 수 없는 물체등이 있는 경우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편리하며 사용 또한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헨드셋동체(1)의 수화기(2) 상면에는 후면 상측까지 요부(3)를 형성하여, 이 요부(3)에 “”형의 작동편(4)을 슬라이드식으로 동작되게 장설하되, 상기 요부(3) 양측에는 안내홈(5) 및 (5')를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단부에 걸림돌부(6)를 돌설한 탄편(7)을 형성시키며, 작동편(4)에는 상면에 요철부(8)를, 그리고 양단부에는 안내돌부(9) 및 (9')를 돌설하고, 저면 전후방에 각각 요홈(10) 및 (10')를 형성하며, 작동편(4)의 일측면 하측에 “”형의 구멍(11)을 천공시켜서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전화기용 개량 핸드셋.
KR2019900012033U 1990-08-09 1990-08-09 무선전화기용 개량 핸드셑(hands set) KR950001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2033U KR950001235Y1 (ko) 1990-08-09 1990-08-09 무선전화기용 개량 핸드셑(hands 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2033U KR950001235Y1 (ko) 1990-08-09 1990-08-09 무선전화기용 개량 핸드셑(hands s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465U KR920005465U (ko) 1992-03-26
KR950001235Y1 true KR950001235Y1 (ko) 1995-02-24

Family

ID=1930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2033U KR950001235Y1 (ko) 1990-08-09 1990-08-09 무선전화기용 개량 핸드셑(hands 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2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465U (ko) 199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9663A (en) Cabinet lock sleeve apparatus
KR950001235Y1 (ko) 무선전화기용 개량 핸드셑(hands set)
KR100254010B1 (ko) 미닫이 문이나 창문의 손잡이가 달린 잠금장치조립체
FR2815660B1 (fr) Serrure a pene coulissant a securite amelioree
SE9900734D0 (sv) Snörlås
JPS5825874Y2 (ja) 下駄箱の傘滑止装置
GB2270716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indow supports
CN210696500U (zh) 一种可延伸桌子
KR810002201Y1 (ko) 가구문용의 괘정구
KR870002187Y1 (ko) 화일박스 설합의 개폐장치
CN210530509U (zh) 一种带有隐藏式把手的展柜柜门
CN213781903U (zh) 琴键式开关面板
KR0117533Y1 (ko) 휴대가 용이한 차량용 키
KR900008689B1 (ko) 전기전자기기의 도어 고정용 래치
KR830001716Y1 (ko) 민예가구용 자물쇠
KR950007305Y1 (ko) 도자기 문패
KR830001137Y1 (ko) 자물쇠
KR900008820Y1 (ko) 승차권 케이스
KR960010628Y1 (ko) 창문용 크리센트
KR200243717Y1 (ko) 문손잡이용 렛치볼트 고정구
JPS608778Y2 (ja) ズボンハンガ
KR920001877Y1 (ko) 책상의 서랍 괘, 해정장치
CN108338600A (zh) 防盗戒指托盘
KR200468788Y1 (ko) 식탁 겸용 도어
JPS624162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