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2201Y1 - 가구문용의 괘정구 - Google Patents

가구문용의 괘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2201Y1
KR810002201Y1 KR2019800007944U KR800007944U KR810002201Y1 KR 810002201 Y1 KR810002201 Y1 KR 810002201Y1 KR 2019800007944 U KR2019800007944 U KR 2019800007944U KR 800007944 U KR800007944 U KR 800007944U KR 810002201 Y1 KR810002201 Y1 KR 8100022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ler
furniture
ruled
butt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7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규
Original Assignee
백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상규 filed Critical 백상규
Priority to KR2019800007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22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22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22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085With means for assisting depression of the latch bolt during lat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구문용의 괘정구
제1도는 괘정되지 않은 상태의 평면도.
제2도는 괘정된 상태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괘정되지 않은 상태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괘정된 상태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본 고안은 가구문 내부에 부착되는 괘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가구문의 개폐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가구문용 괘정구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현재에 와서는 보턴식 괘정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턴식 괘정구는 통상적으로 보턴이 일측부분 한군데에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사용 시많은 불편이 있었다.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보턴식 괘정구는 보턴이 좌측 일측부분에 구성되어 있는 것이 통례이어서 이를 가구문 내부상부에 부착하였을 때시는 개폐가 용이하나, 이를 하단에 부착할 경우 좌측에 있던 보턴이 우측으로 가므로 인하여 가구문의 개폐를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손을 안으로 깊숙이 넣어 보턴을 눌러야만하기에 사용시 많은 불편을 가져온 것이 사실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점을 제거하고 보다 간편히 가구문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보턴식 괘정구로 개량한 것이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직사각형으로 된 본체(1)의 중공부(15)내에 몸체지지대(14)를 설치하고 이 몸체지지대(14)의 중앙이 본체 윗부분(11) 및 본체 아래부분(12)과 일치되게 유삽공을 천공한 후 이 유삽공에 괘정봉(2)을 수직으로 입설함에 있어서 괘정봉(2) 중단 상하의 위치에 괘지부(9)와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걸림턱(10)을 삽입하고 이 앞부분에 스프링(5)을 삽설한 후 괘지편(13)내에 관출공(16)을 서로 겹치도록 두개 천공하여 이 두 관출공(16)의 사이에 걸림돌부(12)가 돌설되게 한 다음, 이 괘지편(13)좌우측에 압압보턴(3)을 형성하되 괘지편(13)과 압압보턴(3) 사이에 통상의 스프링(4)을 삽설하여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7은 나사구멍.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괘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도와 같은 괘정봉(2)이 뒤로 후퇴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괘지부(9)가 몸체지지대(14)안에 들어가 있으면서 괘지편(13)은 좌우측 한부분에 밀려있게 된다. 또한 괘정된 상태에서는 괘정봉(2)이 앞으로 돌출되기에 걸림턱(10)이 앞으로 전진괘정봉(2)에 삽설된 스프링(5)이 압축되면서 괘정봉(2)의 괘지부(9)에 괘지편(13)내의 걸림돌부(12)가 걸려서 괘정봉(2)이 뒤로 후퇴되지 않는다(제4도 참조).
이를 다시 괘정되지 않은 상태로 할 경우 좌우측의 보턴중 편리한 것을 누르면 괘지편(13)내의 걸림돌부(12)가 괘정봉(2)의 괘지부(9)에서 발탈하게 되므로서 괘정봉(2)에 삽설된 스프링(5)의 탄력에 의해서 괘정봉(2)은 원상태로 회복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좌우측에 보턴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가구문내의 상,하 아무곳에나 본 고안의 괘정구를 설치하더라도 가구문의 개폐가 용이한 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본체(1)의 중공부(15)내에 몸체지지대(14)을 설치하고 이 몸체지지대(14)의 중앙이 본체 윗부분(11) 및 본체아랫부분(12)과 일치되게 유삽공을 천공한 후 이 유삽공에 괘정봉(2)을 수직으로 입설함에 있어서 괘정봉(2) 중단 상하의 위치에 괘지부(9)와 홈을 형성하고 이홈에 걸림턱(10)을 삽입하고 이 앞부분에 스프링(5)을 삽설한 후, 괘지편(13)내에 관출공(16)을 서로 겹치도록 두개 천공하여 이 두 관출공(16)의 사이에 걸림돌부(12)가 돌설되게 한 다음 이 괘지편(13) 좌우측에 압압보턴(3)을 형성하되 괘지편(13)과 압압보턴(3)사이에 통상의 스프링(4)을 삽설하여서 된 가구문용의 괘정구.
KR2019800007944U 1980-12-10 1980-12-10 가구문용의 괘정구 KR8100022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7944U KR810002201Y1 (ko) 1980-12-10 1980-12-10 가구문용의 괘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7944U KR810002201Y1 (ko) 1980-12-10 1980-12-10 가구문용의 괘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2201Y1 true KR810002201Y1 (ko) 1981-11-30

Family

ID=19219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7944U KR810002201Y1 (ko) 1980-12-10 1980-12-10 가구문용의 괘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22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0191A (ko) 핀치 밸브
KR810002201Y1 (ko) 가구문용의 괘정구
KR820001656Y1 (ko) 가구용 자동 개폐구
KR0122544Y1 (ko) 사물함 문짝의 구조
KR880001530Y1 (ko) 창문의 괘정장치
KR880004485Y1 (ko) 원격조정송신기 케이스의 출입장치
KR830002039Y1 (ko) 창문 괘정구
KR830001568Y1 (ko) 다목적 문걸쇠
KR790001522Y1 (ko) 창문 자물쇠
KR870002187Y1 (ko) 화일박스 설합의 개폐장치
KR820001981Y1 (ko) 필 통
KR890002086Y1 (ko) 냉장고용 도어 인터록 장치
KR790001311Y1 (ko) 대문의 자동 괘정장치
JPS59130549U (ja) 抽斗等のレ−ルのストツパ−装置
KR870002191Y1 (ko) 가구용 손잡이
KR950001235Y1 (ko) 무선전화기용 개량 핸드셑(hands set)
KR920007989Y1 (ko) 가구(장농)문 고정구
KR0134311Y1 (ko) 바늘용 실 끼우개
KR880002480Y1 (ko) 자물쇠의 협착크맆
KR820000204Y1 (ko) 전자기기용 개폐문 괘정구
KR890001160Y1 (ko) 푸쉬 스위치 원거리 작동 노브 장치
JPH0536934Y2 (ko)
KR910000080Y1 (ko) 롤러식 문 고정구
KR890006342Y1 (ko) 비디오 보관실과 티브이 장치대 설합의 동시잠금장치
KR910005308Y1 (ko) 캐비넷 도어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05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