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204Y1 - 전자기기용 개폐문 괘정구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개폐문 괘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204Y1
KR820000204Y1 KR2019810001979U KR810001979U KR820000204Y1 KR 820000204 Y1 KR820000204 Y1 KR 820000204Y1 KR 2019810001979 U KR2019810001979 U KR 2019810001979U KR 810001979 U KR810001979 U KR 810001979U KR 820000204 Y1 KR820000204 Y1 KR 820000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oor
groove
closing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19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연
Original Assignee
한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연 filed Critical 한기연
Priority to KR20198100019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2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2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기기용 개폐문 괘정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 예시도로서,
(a)는 잠구어진 상태도이고,
(b)는 잠구어지지 않은 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공지의 전자기기(정류기, 직류제어반, 교류배전반 등)의 전문취급자 외에는 함부로 개폐문을 열지 못하게하므로 내부에 흐르는 고압전류에 의한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이 방지코자 안출된 전자기기용 개폐문 괘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용 개폐문 괘정구는 개폐문의 손잡이와 연동되어 있어 손잡이만 옆으로 돌러주면쉽게 개방되므로 전자기기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이 개폐문을 열거나 그 돌출된 손잡이에 기물등이 걸림에 따라 개폐문이 열려 야기되는 여러가지 안전사고가 빈번하여 항상 위험부담을 안고 있었던 결점이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괘정구가 개폐문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개폐문을 열때는 필히 별도의 기구(드라이버 등)로 압간을 눌러주면서 회동시켜 문틀에 걸려진 괘정간을 빠지게한 후 개폐문의 측단면부분을 잡고 당겨야만 열려지게 되므로 타기물이 걸러 열려지거나 전문취급자가 아닌 사람이 임의로 개폐문을 열지못하도록 된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제3도가 있어서, 1은 내측으로 단턱(3)을 가진 삽입관(2)이 우측에 장설되어 있고, 좌측에는 보울트공을 가진 익판(4)과 그 익판(4)의 한측벽면으로 요홈(5)이 요설된 합성수지제 괘정구케이스인데, 그 삽입관(2)의 단턱(3)과압간(6)의 머리(7) 사이에는 스프링(8)을 탄설시키며, 압간(6)의 선단공(9)에 삽착된 괘정간(10)은 익판(4) 측면에 요설된 요홈(5)에 삽입 용이토록 되어있다. .
11은 익판(4) 일측의 요홈(5) 한쪽 측벽에 약간 낮고 완만한 경사가 지도록형성한 경사면인데, 이 경사면(11)은 요홈(5)으로부터 괘정간(10)의 이탈이 용이하게 되어있다.
12는 공지의 전자기기용 개폐문이고, 13은 해정용 드라이버를 예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자기기용 개폐문(12) 일측에 제3도와 같이 설치하여 간편히 드라이버(13)등으로 압간(6)의 머리(7)에 형성된-자홈에 끼워 밀면서 돌려주면 개폐문(12)의 괘정간(10)이 문틀에 괘정되거나 해정되도록 된것인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도 및 제3도의 (a)에 표시한 바와같이 개폐문(12)의 일측에 괘정구 케이스(1)의 삽입관(2)이 삽입용이토록 장공을 천공하여 삽입관(2)을 끼워 넣은후 개폐문(12)의 내측벽에 익판(4)을 대고 보을트등으로 체착시켜 설치한다.
그리고 제3도의 (a)와 같이 개폐문(12)이 닫혀진 상태에서 연결후 먼저 드라이버(13)를 가지고 삽입단(2)으로 보이는 압간(6)의 머리(7)에 요설된 -자홈에 제1도와 같이 끼워밀면서 돌려주면 제3도의 (b)와 같이 압간(6) 선단의 괘정간(10)이 요홈(5)으로 부터 밀려나오면서 경사면(11)을 타고 익판(4) 상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자연 문틀의 괘지홈(도시하지 않았음)으로부터 괘정간(10)이 이탈하게되는데 개폐문(12)의 모서리 부분이나 단면부를 잡고 당겨주면 간편히 개폐문(12)을 열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개폐문(12)을 잠구고자 할 경우에는 다시 드라이버(13)를 압간(6)의 머리(7)에 요설된 -자홈에 끼우고 상기한 반대방향으로 약간 밀면서 돌려주면 압간(6) 선단의 괘정간(10)이 경사면(11)을 타고 요홈(5) 위치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때 압간(6)의 머리(7)와 삽입관(2)의 내측단턱(2)간에 탄지된 스프링(3)의 탄성에 의하여 요홈(8)에 괘정간(10)이 요지부동하게 끼워지게 되면서 문틀의 괘지홈에 그 괘정간(10)의 타단이 끼워져 개폐문(12)은 잠구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전자기기용 개폐문(12)에 괘정구가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하고, 개폐문(12)의 개폐시에는 필히 별도의 기구(드라이버(13) 등)로서 압간(6)의 머리(7)에 요설된 -자홈이 끼워 밀면서 회동시켜야만 되므로 취급자외에는 임의로 문을 열수 없게 함으로서 내부에 흐르는 고압전류에 의한 제반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등의 안전도가 높은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삽입관(2) 내에 스프링으로 탄지된 압간(6)의 선단공(9)에 괘정간(10)을 삽착하여 익판(4) 측면의 요홈(5)에 삽탈 용이토록 된 전자기기용 개폐문괘정구.
KR2019810001979U 1981-03-20 1981-03-20 전자기기용 개폐문 괘정구 KR820000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1979U KR820000204Y1 (ko) 1981-03-20 1981-03-20 전자기기용 개폐문 괘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1979U KR820000204Y1 (ko) 1981-03-20 1981-03-20 전자기기용 개폐문 괘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204Y1 true KR820000204Y1 (ko) 1982-02-19

Family

ID=19221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1979U KR820000204Y1 (ko) 1981-03-20 1981-03-20 전자기기용 개폐문 괘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2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2202A (en) Dead bolt locking device
DE2618674C3 (de) Steckschlüsselbetätigter Schnappverschluß
CA2095163C (en) High performance door latch mechanism for sliding doors
US3930678A (en) Locking means for sliding closures
US4148508A (en) Locking device for sliding windows and the like
US4707004A (en) Latch assembly
US4304429A (en) Locking apparatus for sliding windows and the like
US5074133A (en) Fastener for a sliding window
US3353855A (en) Lock mechanism for a sliding panel
US3318123A (en) Lock latch holder
KR820000204Y1 (ko) 전자기기용 개폐문 괘정구
US4436331A (en) Multiple-position hasp-type door check
DE3940393A1 (de) Sicherheitsschloss
US4400027A (en) Recessed window lock
US889484A (en) Stop device for sliding sashes.
DE3614031C2 (de) Beschlag mit Kette zur Sicherung spaltoffener Türen
US2881611A (en) Door chain lock assembly
US3521922A (en) Lock assembly
CA2099034A1 (en) Portable auxiliary door lock
US4688836A (en) Latch assembly
US5331766A (en) Device for locking windows
US3408836A (en) Safety door lock
US801400A (en) Window-fastener.
US4350377A (en) Lock 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window sashes in a fixed relative position
KR890002086Y1 (ko) 냉장고용 도어 인터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904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