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530Y1 - 창문의 괘정장치 - Google Patents

창문의 괘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530Y1
KR880001530Y1 KR2019850002389U KR850002389U KR880001530Y1 KR 880001530 Y1 KR880001530 Y1 KR 880001530Y1 KR 2019850002389 U KR2019850002389 U KR 2019850002389U KR 850002389 U KR850002389 U KR 850002389U KR 880001530 Y1 KR880001530 Y1 KR 880001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uler
button
handle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2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1979U (ko
Inventor
박동근
Original Assignee
박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근 filed Critical 박동근
Priority to KR2019850002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530Y1/ko
Publication of KR8600119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19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530Y1/ko

Link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창문의 괘정장치
제1도는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창문을 괘정한 상태를 나타낸 본 고안의 조립단면도.
제3도는 창문을 해정한 상태를 나타낸 본 고안의 조립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 2 : 구멍
3 : 괘정봉 4 : 연결봉
5 : 관통구 6 : 버턴
7 : 걸착공
본 고안은 건출물의 창문틀을 괘정하는 괘정구에 관한 것으로 내창문틀과 외창문틀에 구멍을 형성하여 괘정봉을 구멍에 끼워 괘정하도록된 것에 있어서, 창문을 여닫는 손잡이 상방에 괘정봉을 연결한 버턴을 장설하여 손잡이와 괘정구를 각각 별도로 창문틀에 장착하게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여 사용이 간편하게된 창문의 괘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 손잡이 상방에 괘정구를 장설한 것(실용신안출원공고 제81-1036호 참조)이 알려져 있으나, 이는 손잡이 내측에 총기류의 방아쇠와 같은 레버를 장착하고 스프링의 탄발력을 받는 괘정봉의 일단을 레버의 상단에 대접시켜 별도의 실린더정으로 괘정봉을 괘해정하도록 된 것이기 때문에 레버를 괘정봉과 분리되게 장착시킴과 동시에 괘정봉을 반드시 스프링의 탄발력을 받도록 장설하여야 하는 등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가 많아들고 고장율이 많은 결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괘정봉에 탄발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손잡이 상방에 형성된 삽통공에서 삽통되는 버턴과 괘정봉을 일체로 연결하여 버턴을 엄지와 검지로 누르고 당길 때 괘정과 해정되는 간편한 구성으로된 것으로서 이하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1)상방 내측에 형성된 구멍(2)에 괘정봉(3)이 연결된 연결봉(4)을 삽통되도록 끼워서된 것에 있어서, 손잡이(1)상방에 구멍(2)과 연통되도록 관통구(5)를 형성하고, 폭이 넓고 상하로 길게된 버턴(6)의 내면에 결착공(7)을 굴설하여 버턴(6)을 관통구(5)에 끼운 다음 손잡이(1) 상방내측에 형성된 구멍(2)에 끼워진 연결봉(4)의 끝단부를 버턴(6) 내면에 형성된 결착공(7)에 삽입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01은 내창문틀이고, 102는 내창문틀(101)의 괘정공이며, 103은 외창문틀이고, 104는 외창문틀(103)의 괘정공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제2도 및 제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괘정봉(3)이 내 외창문틀(101)(103)의 괘정공(102)(104)에 직선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손잡이(1)를 내창문틀(101) 내면에 부착하여 사용하게되는 것인바, 제2도는 내외창문틀(101)(103)을 괘정한 상태로서 엄지로 버턴(6)을 누르면 연결봉(4)의 끝단부에 형성된 괘정봉(3)이 내창문틀(101)의 괘정공(102)과 외창문틀(103)의 괘정공(104) 내에 삽입되어 괘정하게되는 것이며, 검지로 버턴(6)의 내면을 당기면 제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버턴(6)이 후퇴하게 되고 괘정봉(3)이 내창문틀(101)의 괘정공(102)쪽으로 이동되어 해정하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버턴(6)이 손잡이(1)의 관통구(5)에서 진퇴되도록 하고 괘정봉(3)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봉(4)을 버턴(6) 내면의 결착공(7)에 끼워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종래 레버상단에 스프링으로 탄발되는 괘정간의 끝단을 대접시킨 것보다는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가 저렴하게들 뿐만 아니라 고장율이 극히 적고 사용이 간편한 실용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

  1. 괘정봉(3)과 일체로된 연결봉(4)을 손잡이(1)상방내측에 형성된 구멍(2)에 끼워 진퇴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구멍(2)과 연통하는 관통구(5)를 손잡이(1)상방에 형성하여 괘정봉(3)이 결착된 버턴(6)을 관통구(5)내에 삽입하고 버턴(6)의 진퇴에 따라 괘정봉(3)이 외창문틀(13)이 외창문틀(103)의 괘정봉(104)과 삽탈되도록 구성하여서된 차문의 괘정장치.
KR2019850002389U 1985-03-11 1985-03-11 창문의 괘정장치 KR8800015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389U KR880001530Y1 (ko) 1985-03-11 1985-03-11 창문의 괘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389U KR880001530Y1 (ko) 1985-03-11 1985-03-11 창문의 괘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979U KR860011979U (ko) 1986-10-06
KR880001530Y1 true KR880001530Y1 (ko) 1988-04-21

Family

ID=1924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2389U KR880001530Y1 (ko) 1985-03-11 1985-03-11 창문의 괘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5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979U (ko) 198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0119352U1 (de) Anschlussstück, Fluidleitung und fluidtechnische Einrichtung
KR880001530Y1 (ko) 창문의 괘정장치
DE20214270U1 (de) Leuchte mit einsteckbarem, elektrischem Anschlußstecker
KR810002201Y1 (ko) 가구문용의 괘정구
FR2454551A1 (fr) Dispositif de blocage pour assembler deux profiles
CN217489159U (zh) 一种鼻导管装置
KR920001957Y1 (ko) 톱날 고정편
KR890001160Y1 (ko) 푸쉬 스위치 원거리 작동 노브 장치
JPS6210342Y2 (ko)
KR910005303Y1 (ko) 창문 괘정장치
KR920005900Y1 (ko) 가방용 괘정구
KR860001722Y1 (ko) 휴지걸이
KR860001198Y1 (ko) 휴지걸이
KR820001656Y1 (ko) 가구용 자동 개폐구
KR800001708Y1 (ko) 부착이 용이한 창문걸이의 고리
JPS5841872U (ja) ドアストツパ−
JPS5875874U (ja) 引戸の外れ止め装置
JPH0212674Y2 (ko)
KR880003107Y1 (ko) 차량의 본네트 개페용 지지대
KR800001787Y1 (ko) 창 문
KR880003476Y1 (ko) 가방 괘정구
KR810002480Y1 (ko) 전기 스위치 함
JPH0376974U (ko)
JPS5852275U (ja) 雨戸連結装置
JPS5886893U (ja) ドアの密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