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107Y1 - 차량의 본네트 개페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차량의 본네트 개페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107Y1
KR880003107Y1 KR2019850011032U KR850011032U KR880003107Y1 KR 880003107 Y1 KR880003107 Y1 KR 880003107Y1 KR 2019850011032 U KR2019850011032 U KR 2019850011032U KR 850011032 U KR850011032 U KR 850011032U KR 880003107 Y1 KR880003107 Y1 KR 880003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nnet
button
supporter
automob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1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754U (ko
Inventor
강대구
Original Assignee
금성전선주식회사
문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전선주식회사, 문박 filed Critical 금성전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1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3107Y1/ko
Publication of KR8700037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7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107Y1/ko

Links

Landscapes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의 본네트 개폐용 지지대
제1도는 본 고안을 분해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a)도, 제3(b)도는 본 고안의 요부 작용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관 1' : 축공
2 : 가이더 2' : 버튼삽입공
3 : 버튼 4 : 스프링
5 : 지지봉 5' : 괘지홈
본 고안은 차량의 본네트를 개페함에 있어서, 견고히 지지될수 있고 또한 자유롭고 안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파이프형 지지관 내에서 지지봉이 삽탈자재 되게 하면서 완전히 신장되면 푸시 버튼에 의하여 단속되도록 하므로서 개폐가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안전성이 도모되도록 구현 시킨 것이다.
종래의 차량 본네트, 특히 트랙터와 같은 본네트는 양쪽으로 판넬 및 커버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개폐가 불편하며 본네트의 멈치가 경첩부위에 있어 취급자가 본네트를 개방한 후 점검 또는 정비할 때 닫혀지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부상을 입게 되는 폐단이 있었으며 지지장치가 있어도 긴 환봉으로 받쳐주는 역할 밖에 할수 없었으므로 탈락에 의한 위험 요소가 내지 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의 문제점들을 해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안전한 본네트 지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며 특히, 본네트를 여닫기에 편리하도록 구성시킨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조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체로된 지지관(1)의 선단에는 축공(1')이 형성되어 차량의 본네트에 축으로 설치된다.
지지관(1)의 후단에는 가이더(2)가 나사로 결합되며 이 가이더(2)의 일면에는 버튼 삽입공(2')이 뚫려져 있다.
버튼 삽입공(2')에는 "T"형 버튼(3)이 삽입되며 스프링(4)에 의하여 탄력 설치된다.
"T"형 버튼(3)의 선단에는 지지봉(5)의 삽입공(3')이 천설되어 지지봉(5)이 관통되면서 지지관(1)내에 관삽된다.
지지용(5)의 선단에는 괘지홈(5')이 형성되고 후단에는"L"형으로 절곡되어 축공(5")이 차대에 축설치 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지지봉(5)이 지지관(1)내에서 삽탈되면서 그 길이가 신축자재 되는 것이며 완전히 신장되면, 지지봉(5)의 (5')이 버튼(3)의 삽입공(3')에 4괘지 되어 신장된 길이가 고정되고 수축시킬 때는 버튼(3)을 눌러 괘지홈(5')을 해지 시키면 지지봉(5)이 지지관(1)내로 삽입되는 것이다.
길이 변화에 따른 이들의 지지부(지지봉 및 지지관의 축공(1')(5")는 본네트와 차대에 각각 축으로 체착되어 있으므로 신축 작용을 자유롭게 이룰 수 있다.
버튼(3)은 스프링(4)에 의하여 탄력을 받게 되므로 잠금 현상은 자연히 일어나고, 풀림 작용을 버튼(3)을 임의로 눌르게 되므로서 지지봉(5)을 해지 시킨다.
이상과 같은 작용으로 차량의 본네트를 개폐시킬 수 있는 본 고안은 특히 트랙터와 같은 양변의 본네트를 여닫게 되는 경우와, 본네트의 종방향 면적이 좁은 차량에 있어서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서 신축자재 되는 구조에 의해서 협소한 내부에 설치 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둔다.

Claims (1)

  1. 축공(1')이 형성된 지지관(1)의 후단에 버튼 삽입공(2')이 천설된 가이더(2)를 나사 결합하여 스프링(4)및 "T"형 버튼(3)을 탄입하고 선단에 괘지홈(5')이 형성된 "L"형 지지봉(5)을 벼튼(3)의 선단에 삽통시켜 지지관(1)내에서 신축 자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본네트 개페용 지지대.
KR2019850011032U 1985-08-28 1985-08-28 차량의 본네트 개페용 지지대 KR880003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032U KR880003107Y1 (ko) 1985-08-28 1985-08-28 차량의 본네트 개페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032U KR880003107Y1 (ko) 1985-08-28 1985-08-28 차량의 본네트 개페용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754U KR870003754U (ko) 1987-03-28
KR880003107Y1 true KR880003107Y1 (ko) 1988-08-31

Family

ID=19244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1032U KR880003107Y1 (ko) 1985-08-28 1985-08-28 차량의 본네트 개페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31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754U (ko) 198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0397A (ko) 컴퓨터 하우징용 도어 걸쇠
NO991321D0 (no) Returanordning for et man°vreringsorgan for en lÕs, beslaglÕs eller tilsvarende
KR880003107Y1 (ko) 차량의 본네트 개페용 지지대
KR900018490A (ko) 안전장치가 부착된 도어록
KR870000776A (ko) 콘넥터
KR900018591A (ko) 차량용 램프
KR100374130B1 (ko) 자동차용 부품의 부착장치
FR2454551A1 (fr) Dispositif de blocage pour assembler deux profiles
NO853257L (no) Ostomi-anordning.
KR870000671Y1 (ko) 콘트롤 박스의 도어 개폐 장치
KR880001530Y1 (ko) 창문의 괘정장치
JPH076426Y2 (ja) 引き寄せ錠
KR880000297A (ko) 신축조절이 가능한 트레일러
KR810002201Y1 (ko) 가구문용의 괘정구
KR0132246Y1 (ko) 자동차용 글러브박스의 개폐장치
KR870002191Y1 (ko) 가구용 손잡이
KR890012829A (ko) 차량용 수납체의 돌출장치
KR940002558Y1 (ko) 호차용 창틀 이탈방지장치
KR800001544Y1 (ko) 합성수지 도아정
ATE14471T1 (de) Oeffnungsbegrenzer fuer eine tuer.
KR910008233Y1 (ko) 밧데리 팩의 개폐장치
KR890001077A (ko) 문짝용 로크 장치
KR900007484Y1 (ko) 도어용 자물쇠
KR820001656Y1 (ko) 가구용 자동 개폐구
KR910009400Y1 (ko) 발광체 고정지지구를 갖는 낚시대톱 가이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