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717Y1 - 문손잡이용 렛치볼트 고정구 - Google Patents

문손잡이용 렛치볼트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717Y1
KR200243717Y1 KR2020010015269U KR20010015269U KR200243717Y1 KR 200243717 Y1 KR200243717 Y1 KR 200243717Y1 KR 2020010015269 U KR2020010015269 U KR 2020010015269U KR 20010015269 U KR20010015269 U KR 20010015269U KR 200243717 Y1 KR200243717 Y1 KR 2002437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
box
latch bolt
door
strik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쇠
Original Assignee
이강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쇠 filed Critical 이강쇠
Priority to KR2020010015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7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7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717Y1/ko

Links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짝 측면에 설치되어 문손잡이의 렛치볼트(letch bolt)가 삽입되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원래 고정구는 문짝 측면에 구멍을 파고 나사로 고정시키는 것으로, 스트라이크(strike)과 스트라이크 박스(strike box)로 구성되는 바, 종래것은 스트라이크 박스가 스트라이크에 일체로 부착되거나,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여유가 없어, 렛치볼트와 렛치볼트가 삽입되는 스트라이크 박스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하지 아니하면, 렛치볼트가 고정구에 삽입됨에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스트라이크 박스가 스트라이크 후미에서 유동성있게 움직여지게 됨으로 인하여 , 언제나 렛치볼트가 정확한 위치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구성이 간편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아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문손잡이용 렛치볼트 고정구{fixture for door of letch bolt}
본 고안은 문짝 측면에 설치되어 문손잡이의 렛치볼트(letch bolt)가 삽입되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원래 고정구는 문짝 측면에 구멍을 파고 나사로 고정시키는 것으로, 스트라이크(strike)와 스트라이크 박스(strike box)로 구성되는 바, 종래것은 스트라이크 박스가 스트라이크에 일체로 부착되거나,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유격이 없어, 렛치볼트와 렛치볼트가 삽입되는 스트라이크 박스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하지 아니하면, 렛치볼트가 고정구에 삽입됨에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도10은 종래 고정구의 일종인바, 스트라이크 박스(20)가 스트라이크(21)와 분리는 되어져 있으나, 스트라이크 박스의 위치가 스트라이크의 후미에 형성된 돌기(22)에 의하여 일정한 위치에서만 부착되어지게 되어 있다. 즉 스트라이크 박스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어, 스트라이크 박스가 스트라이크뒤에 밀착될 때, 스트라이크 박스의 위치와 렛치볼트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하지 아니하면 설치가 어렵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렛치볼트(30)의 선단부가 스트라이크 박스의 입구 일측에 거의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어지고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야만, 문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크 박스의 위치가 잘못 되어져 렛치볼트의 삽입위치를 막고 있으면, 렛치볼트가 삽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를 해결하고자 문짝 측면에 고정구가 삽입되는 구멍을 크게 뚫거나, 혹은 렛치볼트의 위치에 맞게끔 억지로 끼워넣거나 하였으나, 이와 같은 것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가 없어 본 고안이 개발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스트라이크 박스(3)가 스트라이크(2)의 후미에서 안내돌기를 따라 좌우로 이동되어지되, 정확하게 수평을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해 줌으로서, 언제나 스트라이크 박스의 위치를 렛치볼트의 삽입위치와 정확하게 일치시킬수가 있어, 정확한 위치에서 문이 열리고 닫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분해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있어 스트라이크 박스가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정면도
도6은 본 고안에 있어 스트라이크 박스가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정면도
도7은 도5에 있어서 A-A선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의 구성품인 렛치볼트와 스트라이크 박스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9는 본 고안의 구성품인 렛치볼트와 스트라이크 박스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10은 종래고안의 배면 분해사시도
본 고안은 문손잡이의 렛치볼트(30)가 삽입되도록 문짝측면에 설치되는, 스트라이크(2)와 스트라이크 박스(3)로 구성되는 고정구(1)에 있어서, 상,하로 나사구멍(8)(8')이 형성된 스트라이크(2)는 중앙 구멍(4) 일측에 사각요홈(4')을 형성토록하며, 스트라이크(2) 후미에 부착되는 스트라이크 박스(3)는 상,하로 테이퍼진 장홈(5)(5')을 형성하고, 중앙에 형성된 공간부(6)의 상,하 및 측면에 안내돌기(7)(7')(7')를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손잡이용 렛치볼트 고정구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작용과 함께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있어, 가장 큰 특징은 스트라이크(2) 후미에 위치한 스트라이크 박스(3)가 좌우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에 있어서 스트라이크 박스는 스트라이크와 분리된 별개의 구성품이나, 스트라이크(2)를 나사(12)로 고정하면 스트라이크 후미에 위치한 스트라이크 박스(3)도 움직이지 못하고 고정되어 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스트라이크(2)를 문짝 측면에 나사(12)로 고정하기전에, 먼저 렛치볼트(30)가 삽입되는 위치를 확인하고 렛치볼트가 스트라이크 박스의 공간부에 정확히 안치되어지도록 스트라이크 박스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하여 조정한 후, 스트라이크를 나사로 고정하면 렛치볼트가 언제나 정확한 제위치에 삽입되어지게되어 문짝의 개폐가 정확히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 스트라이크 박스는 스트라이크 박스에 형성된 제1안내돌기(7), 제2안내돌기(7'), 제3안내돌기(7'), 테이퍼진 장홈(5)(5')에 의하여 레일을 타고 안내되는 것처럼 수평으로 정확하게 좌우로 이동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스트라이크 박스(3)를 스트라이크(2) 후미에 밀착시키면, 스트라이크 박스에 형성된 제1안내돌기(7), 제2안내돌기(7')가 레일처럼 스트라이크(2) 구멍(4)의 상면과 하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식으로 수평으로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제3돌기(7')도 스트라이크(2)의 요홈(4') 내측에서 레일처럼 미끄러지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트라이크 박스의 상하에 형성된 테이퍼(taper)진 장홈(5)(5') 내측에, 스트라이크 상하에 형성된 나사구멍(8)(8')의 후방돌출부(11)(11')가 삽입되어지면, 상기 나사구멍(8)(8')의 후방돌출부(11)(11')와 장홈(5)(5') 내측에 형성된 테이퍼(10)(10') 부분이 서로 잘 밀착되어 흔들림없이 수평으로 이동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스트라이크 박스를 스트라이크의 후미에 밀착시킨후, 스트라이크 박스 내측의 공간부에 렛치볼트가 정확한 위치에 올 수 있도록 스트라이크 박스의 위치를 좌우로 수평이동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스트라이크 박스의 안내돌기와 스트라이크의 요홈이 서로 잘 호응하여 쉽고도 정확하게 위치변경을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정구는 스트라이크의 후미에 부착된 스트라이크 박스를, 렛치볼트의 삽입위치와 일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스트라이크 박스에 형성된 돌기를 레일처럼 이용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좌우로 이동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것은 스트라이크 박스가 스트라이크에 일체로 부착되거나,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유격이 없어, 렛치볼트와 렛치볼트가 삽입되는 스트라이크 박스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하지 아니하면, 렛치볼트가 스트라이크 박스 내측의 공간부에 삽입됨에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것은 고정구를 삽치하기 위한 구멍을 더 크게 뚫기도 하여 문틀을 망가트리는 경우도 발생하고, 또는 맞지도 않는 구멍에 억지로 끼워넣느라 고정구 자체를 파손시키는 경우도 발생하는 것이다. 더욱이 이와 같이 하여 고정구를 체결하다보면 지저분해져 보기도 흉해지며, 또한 시간 및 인력도 낭비되며, 문짝의 수명도 짧아져 경제적으로 큰 피해가 발생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처럼 스트라이크 박스에 안내돌기를 형성하면 스트라이크 박스가 스트라이크 후미에서 수평을 유지하면서 유동성있게 움직일수가 있게 되어, 언제나 렛치볼트가 정확한 위치로 삽입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그 전체적인 구성이 간편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아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문손잡이의 렛치볼트(30)가 삽입되도록 문짝측면에 설치되는, 스트라이크와 스트라이크 박스로 구성되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하로 나사구멍(8)(8')이 형성된 스트라이크(2)는 중앙 구멍(4) 일측에 사각요홈(4')을 형성토록하며, 스트라이크(2) 후미에 부착되는 스트라이크 박스(3)는 상,하로 테이퍼진 장홈(5)(5')을 형성하고, 중앙에 형성된 공간부(6)의 상,하 및 측면에 안내돌기(7)(7')(7')를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손잡이용 렛치볼트 고정구.
KR2020010015269U 2001-05-24 2001-05-24 문손잡이용 렛치볼트 고정구 KR2002437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269U KR200243717Y1 (ko) 2001-05-24 2001-05-24 문손잡이용 렛치볼트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269U KR200243717Y1 (ko) 2001-05-24 2001-05-24 문손잡이용 렛치볼트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717Y1 true KR200243717Y1 (ko) 2001-10-29

Family

ID=7310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269U KR200243717Y1 (ko) 2001-05-24 2001-05-24 문손잡이용 렛치볼트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7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0345A (en) Light switch adapter for toddlers
CA1165372A (en) Synthetic resin snap-action clip
KR200243717Y1 (ko) 문손잡이용 렛치볼트 고정구
CN219587370U (zh) 推拉锁
KR0122544Y1 (ko) 사물함 문짝의 구조
JP4285334B2 (ja) サッシ
KR200280878Y1 (ko) 출입문 잠금장치
KR20200038822A (ko) 잠금뭉치의 고정이 간편한 잠금장치
KR910000080Y1 (ko) 롤러식 문 고정구
KR100322615B1 (ko) 창문이탈 방지장치
KR900006784Y1 (ko) 씨.피.유 박스의 디스켓 보관함 설치장치
KR200363727Y1 (ko) 모티스 고정구조
KR0127448Y1 (ko) 쇼케이스
KR910000193Y1 (ko) 문 괘정구
KR830001568Y1 (ko) 다목적 문걸쇠
KR950019581A (ko) 냉장고 도어의 손잡이 설치구조
KR960009470Y1 (ko) 가방괘정구의 보조잠금장치
KR200202050Y1 (ko) 학교 교실용 출입문
JPS6117168Y2 (ko)
KR101408776B1 (ko) 미닫이용 자물쇠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닫이 창문용 자물쇠 및 미닫이 도어용 자물쇠와, 미닫이용 자물쇠가 구비된 미닫이 도어 및 미닫이 창문
KR200243499Y1 (ko) 정첩핀 분리시 문짝미분리장치
KR920001305Y1 (ko) 안내편이 부착된 창문용 프레임
KR880004485Y1 (ko) 원격조정송신기 케이스의 출입장치
KR200143706Y1 (ko) 붙박이장의 홀딩도어용 경첩
JP2605426Y2 (ja) アコーディオン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