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114B1 - 양쪽면에 벨트 치를 갖는 치형 동력 전달 벨트 - Google Patents

양쪽면에 벨트 치를 갖는 치형 동력 전달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114B1
KR950001114B1 KR1019860007200A KR860007200A KR950001114B1 KR 950001114 B1 KR950001114 B1 KR 950001114B1 KR 1019860007200 A KR1019860007200 A KR 1019860007200A KR 860007200 A KR860007200 A KR 860007200A KR 950001114 B1 KR950001114 B1 KR 950001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belt
fabric
jacket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7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399A (ko
Inventor
아아르 슬로니우스키 앨릭잰더
에이 스쿠라 윌리암
Original Assignee
더 게이츠 러버 캄파니
에이취 다블류 오우버그 쥬니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게이츠 러버 캄파니, 에이취 다블류 오우버그 쥬니어 filed Critical 더 게이츠 러버 캄파니
Publication of KR870002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9/00Producing belts or bands
    • B29D29/08Toothed driving belts
    • B29D29/085Double-toothed driving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16G1/28Driving-belts with a contact surface of special shape, e.g. toot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Pulley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양쪽면에 벨트 치를 갖는 치형 동력 전달 벨트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작용 벨트를 사용한 동력 전달 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작용 동력 전달 벨트의 길이방향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작용 벨트에 바깥쪽 치가 있는 면을 형성하도록 최종 성형전 그와 같은 벨트의 예비 성형품이 대향하는 편평한 금형 부분 사이에 위치된 길이방향 단면도.
재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를 최종 성형시키는 폐쇄 위치에 도시된 제3도의 금형들의 길이방향.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이중작용 동력 전달 벨트의 부분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트의 예비 성형품의 길이방향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이중작용 벨트를 최종 성형하고 가황처리시키는 대향하는 편평한 금형들의 길이방향 단면도. 및
제8도는 제6도에 도시된 벨트를 최종 성형시키는 폐쇄 위치에 도시된 제7도의 금형들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이중작용 동력 전달 벨트 11a : 내주면
11b : 외주면 12, 13 : 풀리
14a : 제1벨트 치 14b : 제 벨트 치
15a, 15b : 접속부 22 : 몸체 부분
23 : 인장 코오드 24a, 24b : 자켓
29a' : 제1예비 성형품 30a, 30a' : 하부 플래튼(금형)
30b, 30b' : 상부 플래튼(금형) 31 : 제2예비 성형품
32 : 고무층
본 발명은 직물로 피복되며 양쪽면에 치를 갖는 치형 이중작용 동력 전달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이중작용 동력 전달 벨트는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 그와 같은 벨트는 미합중국 특허 제 3,673,883호, 제3,338,107호, 제3,934,968호, 및 제2,699,685호와, 프랑스 공화국 특허 제1,556,839호에 개시되어 있다.
동기 벨트에 최대의 벨트 수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부하를 전달하고 풀리의 흠과 적절히 결합하도록 변형될 정도의 충분한 강도를 치가 가져야 한다. 탄성중합체로 된 치의 내부 강도는 그 자체만으로는 부하는 전달할 만큼 충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충분한 마멸 저항도 갖지 못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벨트의 표면에 직물 커버가 부착된다. 통상적으로 지금까지 사용해온 직물 커버는 소위 "신장성"나일론 직물로 제조되었다. 미합중국 특허 제3,078,206호에 개시된 방법으로 신장성 나일론을 사용하여 그와 같은 경제적인 벨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특허들에 따르면, 안쪽 및 바깥쪽면 양면에 치가 형성되어 있는 이중작용 벨트도 통상적으로 싱장성 직물 자켓으로 제조되었는데, 프랑스 공화국 특허 제1,556,839호의 경우만 신장성 직물자켓이 오작 안쪽면에만 사용되고 바깥쪽 치에는 어떠한 자켓도 사용되지 않았다.
유럽 특허 제0 119 037호에서 예로 설명된 바와 같이, 일면 치의 벨트를 소위 "비신장성"직물 자켓으로 제조한 것도 공지되어 있다. 유럽 특허 제 0 119 037호에 기술된 바와같이, 비신장성 직물 자켓을 포함하는 그와같은 벨트는 신장성 직물 자켓으로 제조된 동일한 벨트보다 더욱 벨트 수명이 길어지고 더 큰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 이유는, 느슨하게 꼬여 주름잡힌 실로 제조된 종래의 신장성 나일론 자켓은 벨트 성형 과정동안 그 틈새가 거의 펼쳐지고 치 고무로 채워지도록 하기 때문이다. 그 신장된 직물을 가황처리하여 제위치에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직물이 딱딱해지고 따라서 부하를 받았을 때 그것이 변형되는 정도가 감소되게 된다. 부하를 가하면, 벨트 치가 강제로 변형되어 그렇게 단단해진 직물 커버에 과도한 동적 응력을 주게된다. 따라서, 특히 치 뿌리 부근에 고무로 채워진 직물 커버가 조기에 파괴되어, 벨트가 빨리 파손된다.
신장성 직물로 제조된 자켓을 포함하는 벨트에 있어서, 벨트 치에 작용되는 부하의 약 80%가 직물에 의해 전달되고 오직 20%만이 고무 치 자체에 의해 전달된다고 여겨진다. 이 비율에서 보듯이, 직물에 과도한 부하가 집중되기 때문에 조기에 벨트가 파손되는 것을 경함하게 된다.
이중작용 동력 전달 벨트는 통상적으로, 신장성 직물을 사용하여 벨트의 양 작동면에 있는 치들 사이의 접속부(랜드)와 치들을 피복하는 방법으로 제작되어 있다. 그러나, 만약 벨트 치에 부하의 약 80%가 직물에 의해 전달되고 오직 20%만이 고무 치 자체에 의해 전달된다면, 이러한 특성은 단일면 벨트보다 이중면, 즉, 이중작용 동력 전달 벨트에서 더욱 큰 문제가 될 것이다. 이중작용 벨트에 있어서, 벨트는 그의 안쪽면에 결합되는 치가 있는 구동 풀리에 의해 항상 구동된다. 또한, 치가 있는 벨트의 동일한 안쪽면에 최소한 한 개의 피동 풀 리가 결합되는 한편, 또 다른 추가의 피동 풀리가 양쪽면에 치를 갖는 벨트의 바깥쪽 치에 결합된다. 따라서, 그와 같은 양쪽 면 벨트 장치에서, 구동 풀리는 안쪽 치면과 결합되는 한편, 최소한 하나의 피동 풀리가 벨트의 바깥쪽 치면의 치로부터 바깥쪽 치면과 결합되게 된다. 그러므로 안쪽 및 바깥쪽 치 사이에 정확한 동기작용을 유지시키면, 힘은 안쪽 치면의 치로 전달되게 된다. 또한, 안쪽 풀리를 감고 있는 벨트의 "길이"는 그와 같은 장치의 바깥쪽 풀리를 감고 있는 벨트의 "길이"보다 통상 훨씬 길다. 또한, 이러한 구동 장치들은 안쪽면의 구동 풀리에 의해 가해지는 토오크가 벨트의 바깥쪽면에 있는 어떠한 피동 풀리의 토오크보다 훨씬 크다. 종래의 벨트로는 전술한 장치의 특징을 보충해주는 특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작용 동력 전달 벨트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진 벨트 안쪽면의 고무 치에 의해 벨트의 몸체를 통해 벨트의 바깥쪽 면의 치에 전달되는 힘이 최대한 크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쪽의 피동 또는 구동 풀리와 바깥쪽의 피동 풀리 사이에 종래의 이중작용 벨트보다 더 큰 부하를 전달 할 수 있고, 벨트수명이 더 연장되거나 또는 최소한 종래의 이중작용 벨트의 수명과 같은 이중작용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이중치 벨트보다 더 큰 균일성 및 가요성을 나타내고 동력 소비가 적은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 구조의 단점을 극복한 이중작용 벨트용 벨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인데, 그와 같은 구조에서 내마모성 자켓재료는 벨트 치의 탄성중합체와 함께 사용되어 동일한 작동 조건하에서 공지의 이중작용 벨트보다 벨트수명이 길어지고 또한 종래의 이중작용 벨트보다 월등한 벨트 양쪽면 치 사이의 색인 및 균일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상당히 큰 마력에 사용될 수 있는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중앙에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탄성중합체가 양쪽 면에 배치된 인장 코오드, 벨트의 내주면에 있는 접속부 및 치를 따라 배치된 내마모성 "비신장"직물 중, 및 벨트 외주면에 교대로 형성된 접속부 및 치를 따라 배치된 내마모성 "신장"직물 층으로 구성되는 무단 이중작용 동기 전달 벨트를 제공하여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시키고자 한다. 안쪽 직물은 비신장성이며, 수지로 처리된다. 그 수지는 경화될 때 안쪽 직물의 실을 서로 고착시키고, 벨트를 성형하는 동안 그와 같은 실들 사이의 간격에 침투될 수 있는 치 탄성중합체의 양을 거의 감소시킴으로써, 그와 같은 안쪽 직물 커버가 벨트의 바깥쪽에 있는 "신장성"직물보다 더욱 단단하게 되지만, 벨트 제조후에 그 커버는 벨트 제조시 치 탄성중합체로 간격이 채워지는 신장성 직물보다 더 큰 유연성을 보유하게 된다. 즉, 벨트 안쪽면의 자켓은, 직물의 틈새들이 거의 탄성중합체로 채워지는 경우보다, 벨트의 바깥쪽면에 자켓이 덮혀있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자켓이 덮고 있는 벨트 치의 탄성중합체와의 조합 사용으로 더 큰 유연성을 얻게 된다. 바깥쪽면의 자켓은 통상의 "신장성"직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이 확실한 이중작용 동력 전달 벨트는 제1 및 제2외주면을 가진 탄성중합체 몸체 부분, 그 몸체 부분에 묻혀있는 인장 코오드, 상기 몸체 부분과 일체로 상기 제1 및 제2외주면 중 한면을 따라 분포된 다수의 제1탄성중합체 치로서, 각각 상기 다수의 제1치들 사이의 접속부들 및 상기 제1치들위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제1치들과 함께 사용되어 그 치들이 각각 스프링 상수를 가지도록 하는 제1자켓을 포함하는 다수의 제1탄성중합체 치 및 상기 몸체 부분과 일체로 상기 제1 및 제2의 주면 중 다른 면을 따라 분포된 다수의 제2탄성중합체 치로서, 각각 상기 다수의 제2치들 사이의 접속부들 및 상기 제2치들 위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제2치들과 함께 사용되어 그 치들이 각각 스프링 상수를 가지도록 하는 제2자켓을 포함하는 다수의 제2탄성중합체 치로 구성되며, 상기한 제1자켓이 비신장성 직물을 포함하고, 제2자켓이 신장성 직물을 포함하며, 신장성 직물로 된 자켓으로 덮혀있는 상기 제2치들의 스프링 상수가 비신장성 직물로 된 자켓으로 덮혀있는 더 유연한 제1치들의 스프링 상수보다 더 크게 되었다. 비신장성 직물 및 실들을 그의 교차부에서 고착시키는데 사용되는 수지는 유럽 특허 제 0 119 037호에 개시된 형태의 것이다. 그 특허에 따르면, 비시장성 직물은 벨트 성형 작업시 거의 응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성형작업시 치 탄성중합체는 그와 같은 직물 커버속으로 거의 침투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비신장성 직물 커버는 탄성중합체 재료가 부하를 받을 때 변형되는 능력이 향상된다. 따라서, 벨트의 안쪽면에 있는 "비신장성"직물 자켓과 가황처리된 치 탄성중합체가 협력하여 벨트의 안쪽면에 합성 치를 형성하는데, 그 합성치는 벨트에 작용되는 구동력을 탄성중합체 치와 직물 자켓이 공동으로 흡수할 정도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수이 제1치들 각각의 고무부분이 그와 같은 치에 걸리는 부하중 최소 30%를 전달하고, 그러한 치를 덮고 있는 자켓에 걸리는 부하를 가해지는 전체 부하의 70% 이하로 감소되어지는 벨트가 제공된다. 더욱 균형잡힌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구조에 의한 벨트보다 탄성이 더욱 커지고 이력현상은 작아진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도시된 벨트 구동기(10)는 가요성 이중작용 동력 전달벨트(11)를 포함하고, 이중작용 동력 전달 벨트(11)는 그의 내주면(11a)에서는 한쌍의 기어 또는 풀리들(12,13)의 둘레에 결합되어 구동되고, 또한 그의 외주면(11b)에서는 제2풀리(18) 둘레에 결합되어 구동된다. 그 벨트(11)는, 그의 안쪽면에 위치하여 접속부(랜드)(15a)들을 가지는 다수의 제1밸트 치(齒)(14a)와 흠들 및 그의 바깥쪽면에 위치하여 접속부(15b)들을 가지는 다수의 제1벨트 치(14b)와 흠들을 포함한다. 풀리들(12, 13, 18)은 그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치(16)와 흠들(17)을 가지며, 그 흠들은 벨트의 치들(14a, 14b)에 각각 맞물린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11)는 탄성 중합체로 만들어진 몸체(22)를 포함한다. 벨트(11)의 몸체(22)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수평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다수의 인장 코오드들(23)로 구성된 보강 인장층 또는 보강 인장 부재를 포함한다. 인장 코오드(23)는 유리 섬유 혹은 강으로 된 피복선과 같이 늘어나지 않는 재료를 포함하며, 벨트(11)에 필요한 길이방향 강도와 안정성을 제공한다. 다수의 제1벨트 치(14a)는 거의 균일한 높이를 가지며 몸체(22)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벨트(11)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접속부들(15a)에 의해 서로 떨어져 있게된다.
다수의 제2벨트 치(14b)도 거의 균일한 높이를 가지며 몸체(22)의 외주면(11b)에 일체로 형성되고, 벨트(11)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몸체(22)의 안쪽면에 위치한 제1벨트 치(14a)에 대향하여 정확하게 치와치, 접속부와 접속부로 대응된다.
인장 코오드(23)는, 종래의 동기 구동 벨트에 대해 공지된 바와 같이, 벨트 치(14a, 14b)의 디덴덤(dedendum) 선 AB에 위치된다. 이러한 인장 코오드들은 벨트(11)의 주 부하 지지 부재로서 작용한다. 인장 코오드에 사용되는 재료들과 본 발명에 따른 벨트의 중합체 몸체 및 치 부분에 사용되는 재료들은 상기한 유럽 특허 제 0 119 037호에 기술된 재료와 동일하다.
벨트의 내주면(11a)에 배치된 다수의 제1벨트 치(14a) 및 그 벨트 치(14a)들을 분리시키는 접속부들(15a)은 자켓(24a)으로 덮혀 있으며, 벨트의 외주면(11b)에 배치된 다수의 제2벨트 치(14b) 및 각 접속부(15b)은 자켓(24b)으로 덮혀있다. 벨트(11)이 내주면(11a)에 위치한 자켓(24a)은, 유럽 특허 제 0 119 037호에 "비신장"직물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재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며, 또한 상기한 동일한 방법으로 벨트의 중합체 부분에 조립된다. 한편, 제2자켓(24b)은 소위 통상의 "신장"직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벨트(1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마모성 자켓(24a)은, 벨트의 부분품으로 형성되기 전에 열경화성 수지로 처리된 직물이며, 그 열경화성 수지는 그후 열고정되어 직물의 구조를 안정시킨다. 열고정된후, 자켓(24a)는 비응력상태, 즉 완화된 상태에 놓이게 되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원통형 금형부재(도시되지 않음)의 치형 바깥쪽 형태와 일치되게 제조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작용 벨트(11)는 구동 풀리(12) 둘레에 감기워져 사용되는데, 그 풀리(12)의 홈(17)이 벨트(11)의 내주면에 배치된 벨트 치(14a)와 맞물려 벨트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형태의 종래의 동력 전달 장치에서, 최소한 하나의 피동 풀리(13)가 벨트의 내주면에 위치한 벨트 치(14a)와 맞물리며, 한편 또 다른 최소한 하나의 피동 풀리(18)가 벨트911)의 외주면을 따라 분포된 벨트 치(14b)와 맞물린다. 또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들(12,13)과 같은 안쪽 풀리와 벨트(11)의 제1벨트 치(14a)사이의 접촉량은, 풀리(18)와 같은 바깥쪽 풀리와 그와 맞물리는 제2벨트 치(14b) 사이의 접촉량보다 크다.
구동 부하는 모든 피동 부하의 합과 일치하기 때문에, 벨트의 구동면, 즉 안쪽면은 더 많은 응력을 받게된다. 간단하게 나타내도록 제1도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중작용 벨트장치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경우에, 다수의 풀리 배열은 구동 장치에서 벨트가 S자형으로 되게한다. 예컨대, 벨트(11)가 제1도에 도시된 것보다 비교적 더 길게 떨어져 있으며, 풀리(13)는 풀리(12)로부터 수평하게 떨어져 위치되는 대신 풀리(18)로부터 수평하게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벨트(11)의 외주면(11b)과 풀리(18)사이의 접촉 원호가 더 길어지게 된다. 물론 이로써 사용중에 벨트가 더 구부러지게 되는데, 그 이유는, 벨트가 그와 같은 S자형 경로를 따라 가면, 벨트가 안쪽 풀리들(12, 13) 주위를 지나갈 때 벨트가 받게되는 굽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벨트가 휘어지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S자형 풀리 구동 형태가 이중작용, 즉 이중 치 벨트와 함께 더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한쪽면에만 치를 갖는 종래의 타이밍 벨트는, 상기 이중작용 벨트에 관련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굽혀질 필요가 없다.
내주면에 "비신장"자켓을 가고 외주면에 "신장"자켓을 갖는 벨트는 내부면의 벨트 치(14a)보다 외주면의 벨트 치(14b)가 더욱 단단하다. 이러한 제1벨트 치(14a)들은 치형 탄성 중합체와 함께 사용되는 비신장직물(24a)로 덮혀있다. 신장 직물로 제조된 자켓을 포함하는 바깥쪽 치의 경우보다 더 큰 부하를 운반하도록 그와 같은 제1벨트 치(14a)를 충분히 탄력적으로 만든다.
이중치 벨트의 안쪽 벨트 치에 "비신장"자켓을 사용하고 이중 치 벨트의 바깥쪽 벨트 치에 통상의 "신장"자켓을 사용함으로써, 벨트에 S자형 경로가 요구되는 구동시에 그러한 벨트의 사용이 더욱 편리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벨트는, 최소한 하나의 피동 풀 리가 벨트의 바깥쪽면에 있는 치와 함께 작동하고 그와 같은 풀 리가 벨트로 하여금 대략 S자형 경로를 따라 움직이도록 배치됨으로써 작동중에 벨트가 빈번히 반대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는 구동시에 더욱 효과적이다. 이러한 작용은, 벨트의 동력 부하 용량을 감소시키거나 벨트의 수명을 감소시키지 않고 또한 벨트의 안쪽 및 바깥쪽 치 사이의 색인의 정확도에 거의 영향을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작용 벨트로써 성취될 수 있다.
유럽 특허 제 0 119 037호에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비 신장자켓(24a)은, 후에 열고정되는 레소르시놀 포름알데히드 라덱스(RFL)와 같은 수치로 처리된 직물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그와 같은 직물로 덮혀져 마무리 가공된 다수의 제1벨트 치(14a)는, "신장"직물의 자켓(24b)으로 덮혀진 벨트 외주면(11b)의 다수의 제2벨트 치(14b)에 의해서 나타나는 탄성보다 더 큰 탄성, 즉 더 작은 치 스프링 상수(K)를 나타낸다.
상기 치 스프링 상수(K)는, 벨트 치에 가해지는 벨트 폭(단위 : 인치)당 부하(F)를 그에 상응하는 벨트 치 변형(단위 : 인치)분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벨트 치 변형분은 주어진 부하에서 치의 변형량 측정값이다. 치의 변형량을 측정하고 주어진 벨트에 대한 스프링 상수(K)를 결정하는 방법은 유럽 특허 제 0 119 037호에 개시되어 있다.
제1벨트치(14a)에 비신장 자켓(24a)을 설치하고 제2벨트치(14b)에 신장 자켓(24b)을 설치한 이중작용 벨트의 또 다른 장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신장 자켓(24b)이 실제로 더욱 딱딱한 치가되는 한편 비신장자켓(24a)이 더욱 가요성이 큰 치가 된다는 점이다. 가요성이 큰 치는 벨트의 안쪽면에서 잇점이 있는데, 이는 벨트의 안쪽면에 배치된 피동 풀리 뿐만 아니라 구동 풀리 주위에 감겨지는 벨트의 양이 풀리(18)와 같은 바깥쪽 풀리에 대해 벨트의 바깥쪽면이 평상시 접촉하여 감겨지는 양보다 많기 때문이다. 제2벨트 치(14b)중 오직 몇개만이 평상시 풀리(18)와 접촉하기 때문에, 보다 더 딱딱한 치가 벨트의 내주면(11a)보다는 외주면(11b)에 형성됨이 더 바람직하다. 제1벨트 치(14a)위에 덮힌 비신장 자켓(24a)은 그 벨트 치(14a)를 더욱 휘어지게 하며, 더욱 감겨지는 양을 많게 하여 구동 풀리(12)가 위치한 안쪽며네 더 많은 토오크 용량을 제공한다.
벨트는 몇단계로 제조된다. 먼저, 유럽 특허 제 0 119 037호에 공지된 일면 벨트용 예비 성형품 제작 방법에 따라 예비 성형품이 제작된다. 그와같은 예비 성형품은, 비신장 직물이 드럼형 예비 성형품 금형의 외주의 홈이 파진 면과 일치되거나 그에 반대되게 놓이도록 배치된 상태로 드럼형 예비 성형품 금형에서 제조된다. 예를 들어 네오프렌 고무와 같은 탄성중합체가 직물에 대해 압착되어, 이웃한 돌출부를 사이의 공간(25a)(제3도)을 채우도록 드럼의 홈파진 면에 대해 직물을 압압함으로써, 예비 성형품의 안쪽면에 치가 형성된다. 그후, 예비 성형품은 금형으로부터 빼내어진다. 소정 기링의 예비 성형품의 원형 금형위에 놓여지고, 인장 코오드(23)가 원형 금형의 바깥쪽면에 있는 탄성중합체 주위에 감겨진다. 예를 들어 네오프렌고무와 같은 탄성중합체 층(26)(제3도)이 코오드들(23)에 의해 형성되는 인장 부재에 겹쳐진다. 그후, 신장 자켓(24b)의 층이 그와 같은 탄성중합체(26)에 겹쳐지며, 그러한 구조는 경화되지 않은 상태로 원형금형으로부터 빼내어진다.
이 구조는 표준 C자형 가열 프레스에 놓여진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프레스 플래튼(platen)은 서로 일치하는 치형 금형 부분들, 즉 상부 플래튼(30b)과 하부 플래튼(30a)을 포함한다. 상기 구조는 하부 플래튼(30a)에 배치되며 상부 플래튼(30b)은 가압되어 하부 플래튼(30a)쪽으로 이동된다. 상부 플래튼(30b)은, 그의 치를 가진 금형면이 신장 자켓(24b)을 눌러 벨트의 접속부(15b)에서 인장 코오드(23)와 거의 접촉하게 함으로써 제2벨트 치(14b)를 형성한다. 치를 가진 상부 플래튼(30b)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으로 탄성중합체 층(26)은 상부 플래튼(30b)의 흡속으로 유입되어 자켓(24b)을 그 홈속으로 밀어넣는다. 그 자켓(24b)이 상부 플래튼(30b)의 안쪽면 윤곽과 일치될때까지 자켓(24b)이 뻗어나가게 되며, 탄성중합체 재료가 자켓(24b) 후미의 공간(25b)에 채워짐으로써 치형을 형성하게 된다. 그때, 플래튼(30a, 30b)이 상부, 즉 제2벨트치(14b)를 형성하는 위치에 있을 때, 프레스에 의해 가열 작용되어 프레스에 위치된 벨트부분을 가황 처리한다. 가황처리된 후, 플래튼이 분리되고 벨트의 다음번 길이 방향 부분이 예정된 양만큼 색인됨으로써 하부 플래튼(30a)에 배치된다. 전체 벨트가 완성될 때까지 상기 과정이 반복된다.
상기 방법으로, 안쪽 및 바깥쪽면에 동력 전달 장치를 갖는 무단 동력 전달 벨트(11)(제5도)가 형성된다 안쪽면과 바깥쪽면에 자켓이 상이하게 제조되어, 안쪽면의 치는 바깥쪽면의 치보다 더 잘 휘어진다.
[실시예]
몇 개의 이중작용 벨트를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하여 시험하였다. 또한, 몇 개의 이중작용 벨트를 종래의 기술, 즉 이중치를 가진 견본 벨트의 양쪽면이 "신장성"직물로 피복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벨트들도 시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의 시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이중작용(즉, 이중치) 동력 전달 벨트가, 피치 14㎜, 길이 1400㎜인 단일 슬리이브로부터 전술한 일반적인 절차를 따라 준비되었다.
제조시에 사용된 재료는 다음과 같다.
안쪽자켓 : 비신장 섬유, 나일론 6,6, 경사 42/in(16.5/㎝), 위사 40/in(15.7/㎝), 실의 데니어=1015 ; RFL 수치로 처리 ; 기공도 2.7ft3/min(0.076㎥/min)(공기)(ASTM D-735/75).
인장부재 : 유리 코오드형 H15 3/5
바깥쪽자켓 : 신장직물, 나일론 6,6, 경사 34/in(13.4/㎝), 위사 26/in(10.2/㎝), 위사 데니어=1200, 경사 데니어=840.
탄성중합체 : 풀리클로로프렌 ; 4,5분동안 370℉(187.8℃)로 최종 경화 견본들을 이와 같이 제작하여, 비신장 직물이 각 벨트의 내주면에 있는 치를 덮고 신장직물이 각 벨트의 외주면에 있는 치를 덮개한다.
비교하기 위하여, 동일한 치수의 3개의 이중치 동력 전달 벨트를 종래의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즉, 상기의 동일한 금형과 동일한 최종 경화 조건을 사용하여 신장 직물을 안쪽 및 바깥쪽면에 피복시켰다.
모든 벨트는, 다음과 같이, 길이변화 및 "진동"(하기에 정의됨)에 대해 시험되었다.
각 벨트는 각각 40개의 홈이 있는 한쌍의 풀리에 끼워진다. 구동 풀리 축은 공간에 고정되는 반면에 피동풀리의 평행 축은 구동 풀리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약 300 lb(136㎏)인 인장력을 작용시키고, 구동 풀리를 200RPM으로 회전시켰다. 상기 2개의 풀리 축들 사이의 평균 중심간 거리를 작동중 결정되었다. 이 평균 중심간 거리는, 시험장치의 풀리와 맞물려 있는 벨트면의 실제 벨트 피치거리를, 그 벨트의 설계된 피치 길이와 비교하여 측정한 것이다. 풀리의 중심간 거리 사이의 최대 변화는 "진동"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험 장치의 풀리와 맞물려 있는 벨트면의 피치 불규칙성을 측정한 것이다.
시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각 벨트의 외주면에 있는 치에 대해 측정한 "2번"시험결과는, 바깥쪽면이 안쪽면이 되도록 벨트를 뒤집어서 상기의 방법과 동일하게 그 벨트를 시험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표에 의하면, 매우 균일한 동력 전달 벨트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중작용 벨트는, 신장 직물을 안쪽 및 바깥쪽 자켓으로 사용하는 본 발명의 벨트와 상당히 유사한 벨트보다 월등하다.
앞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된 바와 같이 내주면 뿐만 아니라 내주면와 외주면에도 "비신장"직물을 포함하는 이중작용 벨트도 본 발명의 범주내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제6도 내지 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와 같은 이중작용 벨트는, 예비 성형품들중 오직 하나만이 인장 코오드(23)를 그의 주위에 감아 보강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예비 성형품 제조 공정에 따라 2개의 예비 성형품을 먼저 만들어서 제조되어진다. 그러한 예비 성형품은 드럼으로부터 제거되기 전에 그의 둘레에 겹쳐진 얇은 고무층(32)(제6도 및 제7도)이 제공된℃, 인장 코오드(23)와 얇은 고무층(32)을 포함하는 그와 같은 예비성형품은 제6도 및 제7도에 참조번호(29a′)로 표시된다. 인장 코오드가 없는 다른 예비성형품은 제7도에 참조번호(31)로 표시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 성형품(29a′)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프레스 플래튼에 위치된다. 상부 플레튼(30b′)이 위에 있을 때, 보강된 예비성형품 "슬리이브"(29a′)는, 하부 플래튼(30a′)의 양측면에 하부 플래튼(30a′)과 거의 같은 높이로 위치된 2개의 장력풀리(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된다. 예비 성형품(29a′)의 치가 하부 플래튼(30a′)의 홈속으로 정확하게 끼워질 때까지 예비 성형품(29a′)이 배치된다. 치가 상방으로 향하는 제2예비 성형품(31)의 전체 길이는, 하부 플래튼(30a′)에 있는 예비 성형품(29a′)의 인장 코오드(23)를 덮고 있는 얇은 고무층(32)위에 놓인다.
제2예비 성형품(31)의 치는 예비성형품(29a′)의 치와 일치되게 배치된다. 그후, 상부 플래튼(30b′)이 제8도에 도시된 위치로 하강되어, 인장 코오드가 탄성중합체에 의해 충분하게 둘러 쌓이도록 한다. 2개의 상부 및 하부 플래튼은 벨트의 단면 부분을 가황처리하는데 필요한 시간동안 폐쇄되어 유지된다. 이어서 플래튼은 개방되고, 예비 성형품(29a′)은 플래튼의 길이보다 다소 짧은 거리 만큼 회전 이동하여, 제2예비 성형품(31)의 이웃한 다음 부분이, 현재 하부 플래튼(30a′)에 있는 예비 성형품(29a′)의 상부면 위에 놓여지며 예비 성형품(29a′)의 치와 제2예비 성형품(31)의 치가 일치되도록 정렬된다. 전체 슬리이브 길이가 경화될 때까지 이러한 작업은 반복된다.

Claims (6)

  1. 제1 및 제1외주면을 가진 탄성중합체 몸체부분(22), 상기 몸체 부분속에 묻혀있는 인장 코오드(23), 상기 몸체 부분과 일체로 상기 제1 및 제2외주면 중 한 면을 따라 분포된 다수의 제1탄성중합체 치(14a)로서, 상기 다수의 제1치를 사이의 접속부드(15a) 및 상기 제1치들위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제1치들과 함께 사용되어 그 제1치들이 각각 스프링 상수를 가지도록 하는 제1자케(24a)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제1탄성중합체 치(14a), 및 상기 몸체 부분과 일체로 상기 제1 및 제2외주면 중 다른 면을 따라 분포된 다수의 제2탄성중합체 치(14b)로서, 상기 다수의 제2치들 사이의 접속부들(15b) 및 상기 제2치들 위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제2치들과 함께 사용되어 그 제2치들이 각각 스프링 상수를 가지도록 하는 제2자켓(24b)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제2탄성중합체 치(14b)로 구성되는 양쪽면에 치를 갖는 치형 동력 전달 벨트에 있어서, 상기 제1자켓(24a)이 비신장성 직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자켓(24b)이 신장성 직물을 포함하며, 신장성 직물로 된 자켓으로 덮혀있는 상기 제2치들(14b)의 스프링 상수가 비신장성 직물로 된 자켓으로 덮혀있는 더 유연한 제1치들(14b)의 스프링 상부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쪽면에 벨트치를 갖는 치형 동력 전달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신장성 직물이 경사와 위사 및 상기 직물을 칫수적으로 안정시키기 위하여 위사와 경사를 제위치에 고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벨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 수단이 상기 위사와 경사를 서로에 대하여 고착시키도록 상기 위사 및 경사들과 함께 사용되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벨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신장성 직물은, 상기 고착 수단이 없을 때, 공기 유량이 0.85㎥/min 이하인 다공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벨트.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 수단이, 상기 비신장성 직물의 틈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벨트.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신장성 직물이 6-6나일론 위사 및 경사로 구성된 사선 절단 밸런스 직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직물이 두께 0.74㎜, 경사 16.5/㎝, 위사 15.7/㎝, 및 상기 경사와 위사를 그의 교차부에서 함께 고착시키기 위한 레소르시놀 포름알데히드라텍스로 구성된 열경화성 수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벨트.
KR1019860007200A 1985-08-30 1986-08-29 양쪽면에 벨트 치를 갖는 치형 동력 전달 벨트 KR950001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70,915 1985-08-30
US06/770,915 US4662863A (en) 1985-08-30 1985-08-30 Double-acting power transmission belt
US770.915 1985-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399A KR870002399A (ko) 1987-03-31
KR950001114B1 true KR950001114B1 (ko) 1995-02-11

Family

ID=2509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200A KR950001114B1 (ko) 1985-08-30 1986-08-29 양쪽면에 벨트 치를 갖는 치형 동력 전달 벨트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662863A (ko)
EP (1) EP0214742B1 (ko)
JP (1) JPS6252237A (ko)
KR (1) KR950001114B1 (ko)
CN (1) CN1006323B (ko)
AT (1) ATE50331T1 (ko)
AU (1) AU586272B2 (ko)
BR (1) BR8603607A (ko)
CA (1) CA1263040A (ko)
DE (1) DE3668966D1 (ko)
ES (1) ES2001913A6 (ko)
IN (1) IN167915B (ko)
MX (1) MX165595B (ko)
ZA (1) ZA8658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2946A (en) * 1984-05-18 1989-11-28 Beyl Jean J Pedal for a bicycle or similar device
EP0308550B1 (en) * 1987-09-21 1993-04-07 Mitsuboshi Belting Ltd. Method of fabricating a double toothed belt
US4883447A (en) * 1987-12-21 1989-11-28 Schulhoff Jr Saul Power transmission belt
FR2630515B1 (fr) * 1988-04-21 1991-09-27 Hutchinson Courroie doublement strie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H02253034A (ja) * 1989-03-24 1990-10-11 Toshiba Corp 駆動装置、画像形成装置
CA2135185A1 (en) * 1992-05-18 1993-11-25 Donald Dekle Bartholomew Endless flexible drive belt
US6368444B1 (en) * 1998-11-17 2002-04-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ross-directional stretching of polymeric film and other nonwoven sheet material and materials produced therefrom
US7244186B2 (en) * 2002-03-26 2007-07-17 Hauck Anthony L Flexible couplings
US7549938B2 (en) * 2003-01-07 2009-06-23 Forbo Financial Services Ag Treadmill belt
US20050159262A1 (en) * 2004-01-21 2005-07-21 Brecoflex Co., L.L.C. Timing belt with wave glide surface
US20050193506A1 (en) * 2004-03-04 2005-09-08 Dodson Diane L. Carpet cleaning device
TWI266945B (en) * 2005-01-25 2006-11-21 Benq Corp Electronic device having modulating assembly
JP2009257344A (ja) * 2007-06-20 2009-11-05 Mitsuboshi Belting Ltd ゴム製歯付ベルト
DE102010017781A1 (de) * 2009-09-11 2011-03-17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Kraftübertragungsriemen, insbesondere Zahnriem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202017102048U1 (de) 2017-02-15 2017-05-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etriebeeinheit
DE102017202418B4 (de) 2017-02-15 2018-10-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etriebeeinheit
US10704645B2 (en) * 2017-12-13 2020-07-07 Gates Corporation Bias tooth fabric and toothed power transmission bel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0080A (en) * 1928-08-08 1932-12-06 Abraham L Freedlander Double cog belt
US2699685A (en) * 1950-04-29 1955-01-18 Dayton Rubber Company Double cog belt
US3078205A (en) * 1959-02-25 1963-02-19 Us Rubber Co Method of forming belt teeth in reinforced positive drive belts
US3338107A (en) * 1965-02-15 1967-08-29 Kiekhaefer Corp Positive drive system
BE711269A (ko) * 1967-04-27 1968-07-01
US3673883A (en) * 1971-02-03 1972-07-04 Uniroyal Inc Toothed power transmission bel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T1010109B (it) * 1974-04-26 1977-01-10 Pirelli Stampo per la fabbricazione di cinghie dentate a doppia denta tura e cinghe dentate cosi ot tenute
JPS5530135A (en) * 1978-08-25 1980-03-03 Hitachi Ltd Deflection yoke holder
JPS589013U (ja) * 1981-07-07 1983-01-2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機器の保護装置
JPS5812856A (ja) * 1981-07-17 1983-01-25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用ホイ−ル
JPS5952255B2 (ja) * 1982-06-07 1984-12-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パワ−ショベルの自動掘削制御装置
EP0100637B1 (en) * 1982-07-31 1988-02-10 Raymond King Facing fabric and method of making and of incorporating said fabric into timing belts
US4514179A (en) * 1983-03-02 1985-04-30 Uniroyal, Inc. Power transmission belt with fabric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0331T1 (de) 1990-02-15
AU586272B2 (en) 1989-07-06
EP0214742A1 (en) 1987-03-18
MX165595B (es) 1992-11-25
ES2001913A6 (es) 1988-07-01
KR870002399A (ko) 1987-03-31
DE3668966D1 (de) 1990-03-15
US4662863A (en) 1987-05-05
ZA865885B (en) 1987-03-25
CA1263040A (en) 1989-11-21
BR8603607A (pt) 1987-03-10
IN167915B (ko) 1991-01-05
AU6207586A (en) 1987-03-05
CN1006323B (zh) 1990-01-03
JPS6252237A (ja) 1987-03-06
CN86105374A (zh) 1987-03-04
EP0214742B1 (en) 199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114B1 (ko) 양쪽면에 벨트 치를 갖는 치형 동력 전달 벨트
KR910008230B1 (ko) 동력 전달 벨트
KR880001745B1 (ko) 벨트치내에 섬유보강재가 배치된 적극 구동 전동 톱니벨트
US6863761B2 (en) Power transmission belt using stabilized open mesh textile material in overcord for enhanced rubber penetration
US4169393A (en) Endless power transmission belt, method of making same, and drive system using same
US3941005A (en) Power transmission belt
JPS62381B2 (ko)
US3996813A (en) Endless power transmission belt
DK160444B (da)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en sammensat kilerem
KR910001826B1 (ko) 로에지 톱니형 v-벨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6047052A1 (ja) 歯付ベルト
US2792319A (en) Drive belts
US5536214A (en) Power transmission bel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281172B1 (ko) 치형벨트
JPH0573934B2 (ko)
EP0005076A2 (en) Self-adjusting V-belt
KR100610550B1 (ko) 톱니형 벨트
US4994000A (en) Power transmission belt of the trapezoidal type
JP3468270B2 (ja) 歯付きベルト
US4595388A (en) Driving belt
JPH063244B2 (ja) 歯付きベルト
JPS58170946A (ja) 歯付ベルト
JPH018759Y2 (ko)
JP2628090B2 (ja) Vリブドベルトの製造方法
JP2532954B2 (ja) 両歯歯付無端ベル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6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