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060B1 - 데이터 인식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060B1
KR950001060B1 KR1019900004734A KR900004734A KR950001060B1 KR 950001060 B1 KR950001060 B1 KR 950001060B1 KR 1019900004734 A KR1019900004734 A KR 1019900004734A KR 900004734 A KR900004734 A KR 900004734A KR 950001060 B1 KR950001060 B1 KR 950001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data
partial pattern
parti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935A (ko
Inventor
미쯔마사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900004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060B1/ko
Publication of KR910018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데이터 인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데이터 인식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부분패턴사서부의 내용을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문자사서의 내용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전체 문자인식처리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부분 패턴식별처리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8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문자식별처리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9도는 비교처리의 변경을 설명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데이터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어, 필적, 기호, 도형등의 등록된 데이터를 인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런종류의 장치는 데이터 테블리트등으로 펜의 좌표와 펜의 업-다운(up-dowm)데이터를 입력하고, 데이터 테블리트위에 등록된 문자를 인식하는 방법을 채택한다. 그 방법에 있어서, 온-라인(on-line) 문자인식에 대해서는, 한자의 인식을 위한 처리량의 증대에 대응하기 위해, 먼저 입력데이터의 특징과 사서부의 문자데이터를 비교하기 앞서 한자의 변이나 방(body)에 의해 부분 패턴이 인식되고, 비교될 문제 데이터가 선택되어 입력데이터가 소수의 문자데이터와 비교되므로서, 인식을 위해 요구된 시간이 단축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시스템의 경우에 있어서는, 전체문자를 비교하여 있기 때문에 인식을 위한 시간절약은 충분하지 못했다. 구체적으로, 부여된 문자가 인식되기에 불가능한것임을 알았을 경우라도, 처리는 전체문자의 비교가 끝날때까지 속행되므로 시간이 낭비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예의 경우같은 사실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고, 그것의 목적은 높은 효율로 인식을 행함으로서 인식을 위해 요구된 시간을 단축시키는 데이터 인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데이터 인식장치는 패턴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입력패턴 데이터중에서 부분패턴 데이터를 인식하여 입력패턴데이터의 인식을 위해 사용되는 후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 선택된 후보와 입력패턴 데이터를 부분패턴데이터 이외의 부분에서 입력패턴 데이터를 비교하는 제1비교수단, 제1비교수단에 의해 형성된 비교결과를 기초로하여 선택된 후보와 입력패턴 데이터를 일부의 부분패턴에서 비교하는 제2비교수단과, 제1 및 제2비교수단에 의해 형성된 비교결과를 기초로하여 상기에서처럼 선택된 후보중에서 인식 결과를 결정하는 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술한 바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수단이 패턴 데이터를 입력하여, 선택수단이 입력패턴데이터 중에서 일부의 부분 패턴 데이터를 인식하고 입력패턴데이터의 인식을 위한 후보를 선택하여서, 제1수단이 선택된 후보와 부분패턴 데이터 이외의 부분에서 입력패턴 데이터를 비교하고, 제2비교수단이 선택된 후보와 제1비교수단에 의해 형성된 비교결과를 기초한 일부의 부분패턴에서 입력패턴데이터를 비교하고, 결정수단이 제1, 제2비교수단에 의해 형성된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선택된 후보중에서 인식결과를 결정하는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사실에서, 본 발명의 추가목적은 입력부의 업-다운데이터와 위치좌표를 기초한 입력패턴의 특징을 추출하는 추출수단, 부부패턴 데이터를 기억하는 사서수단, 부분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부분패턴 사서수단 및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패턴과 부분패턴사서 수단에 기억된 부분패턴 데이터의 특징을 기초하여, 사서수단에 비교되고 패턴특징에 기억될 패턴데이터를 제한하는 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인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첨부한 도면에 관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인식장치에 관하여, 한자의인식에 대한 경우나 한자는 등록된 데이터로 설명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데이터 인식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고, 제2도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부분패턴사서(7)의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도에서, 1은 좌표위치를 검출하여 기록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압력 민감 전기전도성고무(또는 초음파 디지타이저)를 사용하는 테블리트(1)를 나타낸다. 2는 테블리트 (1)상의 좌표위치를 지시하는 입력펜을 나타내며, 3은 특징추출부를 나타내며 이 특징주출부(3)는 1문자의 기록된 데어터(입력패턴)에 대하여 크기와 위치를 정규화 하며, 획수, 각 획의 종점의 좌표, 각 획의 형상 특성등의 특징들을 추출하며, 4는 부분패턴 식별부를 나타내고, 이 부분패턴 식별부(4)는 테블리트(1)에 의해 입력된 한자 1개의 기록된 데이터, 즉 입력패턴에 관하여 한자의 변 또는 방에 따라 부분패턴의 형상을 식별한다. 7은 부분패턴사서(7)를 나타내고 이 부분패턴사서(7)는 부분패턴식별부(4)에서 제2도에 도시된 부분패턴의 형상 즉 부분패턴 코드에 대응하는 부분 패턴을 식별하기 위해 부분패턴을 등록한다. 부분패턴코드(제3도)에 대응하는 부여된 부분패턴의 위치코드와 획수가 부분패턴사서(7)에 등록된다.
이 위치코드에 관해서는 "1"은 문자의 기록개시에서 부분패턴을 나타내며, "2"는 문자의 기록 종료에서 부분패턴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부분패턴이 "
Figure kpo00001
"이 "변인 경우에는, 부분패턴코드는 " 1 "(제2도)이며, 획수는 "2"이고, 위치코드는 "1"이다. 부분패턴사서(7)에 있어서, 변이 "
Figure kpo00002
"인 경우,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부분패턴코드 "1"에 대응하여 첫번째 획의 시점좌표(30,92)와 종점좌표(5,46) 그리고 두번째 획의 시점좌표(21,63)와 종점좌표(22,3)는 "
Figure kpo00003
"의 위치좌표로서 등록되고, 또한 차등한계("56")는 부분패턴사서(7)에 등록된 "
Figure kpo00004
"의 부분패턴으로서 입력패턴의 식별을 위해 등록된다. 이 한계값은 입력패턴의 획과 부분패턴사서(7)에 등록된 "
Figure kpo00005
"변의 부분패턴간의 거리 합계와 비교한 값이다.
5는 부분패턴 인식부에 의해 식별되어 그와같은 인식의 결과를 기초한 부분패턴 이외의 부분에 대해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인식부를 나타내며, 입력패턴의 형상이 문자로서 인식된다. 8은 문자사서에 의해 문자인식을 위해 사용된 문자데이터가 제5도에 도시된것처럼 등록된 문자사서를 나타낸다.
제5도는 문자사서(8)의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5도에서, 100은 부분패턴패턴의 획수에 대한 표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101은 10획의 부분패턴 이 등록된 부분패턴표이며, 102는 부분패턴 "
Figure kpo00006
"을 가지는 한자가 등록된 한자 표이고, 103은 한자 "倍"(음의 "배"뜻은 "곱")의 문자코드 및 한자 "倍"를 포함한 각 획의 시점과 종점의 좌표(x, y)의 위치가 등록된 획 데이터표를 나타낸다. 이 획 데이터표(103)에서, 좌표들의 위치는 획순에 따라 등록된다. 여기에서는 부분패턴사서(7)와 문자사서(8)를 합하여 사서부(6)라 불린다.
다음은 본 실시예의 문자인식처리를 설명한다.
제6도는 본 실시예의 전문자인식처리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문자패턴이 테블리트(1)에 입력된 경우, 입력패턴의 특징은 특징추출부(3)에 의해 추출된다(스텝 S1, 스텝 S2). 추출된 특징으로부터, 입력패턴의 부분패턴은 부분패턴 식별부(4)에 의해 식별된다(스텝 S3).
그래서 문자인식부(5)에서, 더 근소한 차이의 문자가 식별된 부분패턴을 기초로 하여 인식되며(스텝 S4). 그와 같은 인식의 결과기 디스플레이(9) 디스플레이된다(스텝 S5)
다음은 전술한 것처럼 스텝(S3)에서의 부분패턴의 식별처리와 식별(S4)에서의 문자인식처리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먼저, 부분패턴 식별처리를 설명한다.
제7도는 본 실시예의 부분패턴 식별처리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단계에서는, 부분패턴에 대응하는 획은 부분패턴사서(7)에 등록된 획수 및 위치코드에 관하여 특징추출부(3)에 의해 추출된 입력 획에 대해 분리되고(스텝 S301), 그 분리된 획과 부분패턴의 시점간의 거리및 종점간의 거리의 합계가 얻어진다(스텝 S302). 그래서 부분패턴간의 거리가 얻어지며 그와같은 부분패턴에 대응하는 획이 그와같은 부분패턴에 대해 등록된 한계와 비교되므로서(스텝 S303), 만약 그 거리가 한계보다 작다면, 그 시점에서 입력획과 비교된 부분패턴의 부분패턴코드는 다음 스테이지에서 문자인식부로(5)로 전해진다(스텝 S304). 비교되야하는 모든 부분패턴과의 비교가 종료될때까지, 스텝(S301)로 시작하는 상기 처리 스텝들은 반복된다(스텝 S305), 만약 스텝(S303)에서, 부분패턴과 그와같은 부분패턴에 대응하는 획간의 거리가 한계보다 크게 판단되면, 스텝(S301)으로 귀환되어 같은 처리모드가 반복된다.
상기 부분패턴의 인식처리에 대해, 비록 여기에는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부분패턴의 인식이 부여된 패턴으로 불가능한 경우, 처리가 에러입력으로서 입력을 판단함으로서 단절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다음은 문자식별처리를 설명한다.
제8도는 본 실시예와 문자식별처리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초기설정은 설정될 수 있는 최대레벨에서 최소차를 나타내는 매개변수들을 설정하는 것으로 처리된다(스텝 S401). 그래서 부분패턴인식부(4)로부터 보내어진 첫번째 후보부분패턴에 관해, 문자사서(8)의 표(102)에서 대응하는 문자의 헤드어드레스와 문자수가 얻어진다(스텝 S402). 다음은 후보부분패턴의 위치코드와 획수가 기억된다(스텝 S403).
그래서 입력 획의 부분패턴 이외의 획부분은 표(102)에서 첫번째 문자와 비교되어 그와같은 획의 시점 및 종점과 첫번째 문자의 그것들간의 거리가 얻어지므로서(스텝 S404), 얻어진 거리의 총합이 "잔여-패턴거리"로 설정된다(스텝 S405). 그러면 앞에서 얻어진 최소차(매개변수)와 스텝(S405) 에서 얻어진 잔여-패턴거리의 크기가 비교된다(스텝 S406). 이 스텝에 이르기까지, 최소차가 첫번째 순환 비교단계에서 큰레벨로 설정되므로서, 잔여-패턴거리가 작은 것으로 판단된다(스텝 S407). 그결과 모드는 스텝(S408)으로 진행하고 비교되는 부분패턴부분과 문자간의 거리가, 스텝(S403)에 기억된 후보부분패턴의 획수와 위치코드를 기초로 하여 한획 한획마다 얻어진다. 그래서 획과 획간 거리의 합계가 얻어지며 그와같은 합계는 부분패턴 거리로 간주한다(스텝 S409).
그 다음은 스텝(S405)와 스텝(S409)에서 각각 얻어진 부분패턴의 거리와 잔여-패턴거리가 합쳐지며 그와같은 합계는 비교되는 문자에서부터 차이로 간주한다(스텝 S410). 그 다음은 이전의 최소차와 스텝(S410)에서 얻어진 차이가 비교되며(스텝 S411), 그 결과, 입력 획의 형상으로 부터 더 작은 차이를 가진 문자가 최소차를 가지는 문자로서 기억된다(스텝 S412). 여기서는 현시점의 비교에서 사용되었던 문자가 최소값을 가지는 문자로서 기억된다. 상기와 같이, 한개의 문자데이터의 비교가 종료된 경우, 스텝(S404)에서 부터 스텝들은 동일 후보부분중의 모든 문자들의 비교가 종료될때까지 반복된다(스텝 S413). 두번째 시기의 비교에서 사서의 문자와 입력 패턴의 비교에 대하여, 이전의 최소차는 스텝(S407)에서 처리되는 잔여-패턴거리와 비교되며, 이전의 최소차를 가지는 문자는 차는 스텝(S412)에서 처리되는 문자의 차와 비교되다.
이와 같이, 한개의 후보부분패턴에 의한 비교가 종료되고스텝(S413), 다음 후보부분 패턴이 존재한다면 스텝(S414), 모드는 스텝(S402)으로 귀환되어 상기 처리단계를 반복한다. 비교가 모든 후보부분패턴 부분패턴에 대해 종료된 경우에는 스텝(S414), 최소차를 가진 문자가 인식의 결과로서 결정되고 디스플레이(9)에 출력된다(스텝(S415).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라, 인식처리를 효과적으로 실행함으로서 인식시간이 단축되다.
상기 실시예에서, 입력패턴과 비교된 문자의 잔여-패턴거리가 이전의 최소차보다 큰 경우에, 사서의 비교되는 문자와 입력패턴의 특징과의 비교가 단절되지만, 본 발명은 거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비교는 다음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단절될 수 있다.
제9도는 비교처리의 변경의 실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경우에서, 부분패턴의 각 그룹중 부분패턴의 획에 대한 평균 위치데이터는 문자사서(8)의 표(101)의 각 부분패턴의 헤드에 등록된다. 먼저 부분패턴 식별처리에서, 사서의 부분패턴과 입력패턴의 비교할 경우(제7도의 스텝 S302), 입력패턴의 각 획과 부분패턴의 각 획의 평균위치 데이터간의 거리가 얻어지며 각 거리의 합계는 평균 위치데이터의 차이로서 사용된다. 문자식별의 방법으로서, 그것은 실시예의 상기 실례에서 설명된 제8도의 흐름도중 스텝(S409)의 변경을 의미한다. 스텝(S408)에 이르기까지 처리가 이런 방법으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부분패턴의 각 획과 사서에 등록된 문자의 각 획간의 거리 합계는 제9도에 도시된 것처럼 얻어지며 그 합계를 부분패턴거리(ℓ1)라 부른다(스텝 S501). 그래서 평균 위치 데이터의 차이를 현행의 최소차에서 감산한다. 그와 같은 감산의 결과를 ℓ2라 부른다(스텝 S502). 부분패턴거리(ℓ1)가 현시점의 최소차로부터 평균 위치데이터의 차를 뺌으로서 얻어진 값(ℓ2)보다 큰 경우에만, 모드는 제8도에 도시된 (스텝 S413)으로 진행되며, 부분패턴거리(ℓ1)가 현시점의 최소차로부터 평균위치데이터의 거리를 뺌으로서 얻어진 값(ℓ2)보다 작다면 처리는 제8도에 도시된 (스텝 S410) 이후에 속행되는 (스텝 S503)까닭에 현재 비교되는 문자와의 비교는 중단된다.
그런 방법에 의한 것조차, 실시예의 상기 실례에서 얻어진 그것들처럼 유사한 기능과 효과가 얻어진다.
대신에, 문자사서(8)의 문자 데이터와 입력패턴의 비교에 있어서, 잔여-패턴 거리가 문자데이터의 획 또는 입력패턴의 획에 의해 결정된 어떤 값보다 큰 경우에는 입력패턴의 특징과 문자데이터의 비교가 단절되도록 시스템이 단절될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의 상기 실시예에서 입력패턴의 부분패턴 이외의 각 획에 대하여, 획 거리로서 최소획을 가지는 사서부(8)의 획이 대응획으로 되고 있으나 부분패턴의 획수와 위치코드를 입력패턴으로서 이용하여, 획거리로서 최소획을 가지는 입력패턴 이외의 입력패턴의 입력획이 대응획으로 추정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倍"(음은 "배" 뜻은 "곱")와 입력패턴의 특징과의 비교에서, "倍'의 부분 이외의 부분의 각획에 대해, 입력 데이터중 첫번째 두개의 획 이외의 획과 획 거리로서의 획이 얻어지며, 획 거리로서 최소획을 가지는 입력 획을 대응 획으로서 추정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문자인식의 결과는 디스플레이(9)에 출력되지만 그러한 출력은 프린터같은 장치에서도 형성 가능한 것임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기 설명에서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효과적으로 인식처리를 실행함으로서 인식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Claims (2)

  1. 패턴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 입력패턴 데이터중에서 부분패턴데이터를 인식하고 입력패턴데이터의 인식을 위해 후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 선택된 후보와 입력패턴 데이터를 부분패턴데이터 이외의 부분에서 비교하는 제1비교수단; 상기 제1비교수단에 의해 형성된 비교결과를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후보와 상기 입력패턴데이터를 부분패턴의 부분에서 비교하는 제2비교수단및; 상기 제1비교수단 및 상기 제2비교수단에 의해 형성된 비교결과를 기초하여 선택된 후보중에서 인식결과를 결정하는 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인식장치.
  2. 입력부와 위치좌표와 업-다운 데이터를 기초한 입력패턴의 특징을 추출하는 추출수단; 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사서수단; 부분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부분패턴사서수단 및; 상기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패턴의 특징과 상기 부분패턴사서 수단에 기억된 부분 패턴데이터의 특징간의 비교를 기초하여, 입력패턴의 특징에 비교되는 패턴데이터를 제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인식장치.
KR1019900004734A 1989-04-06 1990-04-06 데이터 인식장치 KR950001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4734A KR950001060B1 (ko) 1989-04-06 1990-04-06 데이터 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85655 1989-04-06
KR1019900004734A KR950001060B1 (ko) 1989-04-06 1990-04-06 데이터 인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935A KR910018935A (ko) 1991-11-30
KR950001060B1 true KR950001060B1 (ko) 1995-02-08

Family

ID=1929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734A KR950001060B1 (ko) 1989-04-06 1990-04-06 데이터 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0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935A (ko) 199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51009B2 (ja) 情報認識装置
KR100658119B1 (ko)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JP3143461B2 (ja) 文字認識方法及び文字認識装置
US5923793A (en)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with an improved feature of correction to stroke segmentation and method for correction to stroke segmentation for recognition of handwritten character
US6327385B1 (en) Character segmentation device and character segmentation system
JPH05290221A (ja) オンライン手書文字認識装置
KR960038650A (ko) 정보처리 방법 및 장치
KR950001060B1 (ko) 데이터 인식장치
US6208756B1 (en)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with noise removal
JPH07146918A (ja) 手書き文字認識装置
JP545536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軌跡データ認識方法
KR19980058361A (ko) 한글 문자 인식 방법 및 시스템
JP2812391B2 (ja) パターン処理方法
JP2002366900A (ja) 光学式文字読取装置
JP2976426B2 (ja) 文字認識装置
JPH03150690A (ja) 文字認識装置
JP2978801B2 (ja) 手書き文字認識の文字入力方式
JP2001147988A (ja) 文字認識方法及び文字認識装置
JPS63239569A (ja) 文字認識装置
JPH07113954B2 (ja) 情報処理方法
JP2984315B2 (ja) 認識装置
JPH10162104A (ja) 文字認識装置
JPH06195519A (ja) 文字認識装置および文字認識方法
JPH06337957A (ja) 手書き文字入力装置及び修正記号認識方法
JPH05114047A (ja) 文字切り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