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780Y1 - 금형윤활제의 이동노즐장치 - Google Patents

금형윤활제의 이동노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780Y1
KR950000780Y1 KR2019880021662U KR880021662U KR950000780Y1 KR 950000780 Y1 KR950000780 Y1 KR 950000780Y1 KR 2019880021662 U KR2019880021662 U KR 2019880021662U KR 880021662 U KR880021662 U KR 880021662U KR 950000780 Y1 KR950000780 Y1 KR 9500007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press
lever
horizontal ba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16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923U (ko
Inventor
야스히라 다까다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고오다 시게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고오다 시게루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29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9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7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7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3/00Lubricating during forging or pressing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금형윤활제의 이동노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이동노즐 장치의 일 부분을 절단할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에 따른 정면단면도.
제3도는 제1의 레버의 실린더부 확대단면도.
제4도는 제2의 레버의 실린더장치 및 포오크 엔드 부분의 확대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부의 확대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Ⅵ-Ⅵ선에 따른 평면단면도.
제7도는 제2의 C부의 확대정면 단면도.
제8도는 제1도의 Ⅷ-Ⅷ선에 따른 확대단면도.
제9도는 제1도의 Ⅸ-Ⅸ선에 따른 확대 평면단면도.
제10도는 제1도의 A부분의 확대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XI-XI선에 따른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XII-XII선에 따른 정면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의 레버 4 : 링크
6 : 브래키트 8 : 제2의 레버
9 : 실린더장치 10 : 피스톤
11 : 포오크 엔드 가이드 13 : 포오크 엔드
14 : 브래키트 15 : 로울러
16 : 수평바아 18 : 피스톤 로드
21 : 홈부 22 : 실린더부
24, 26 : 가이드 로울러 32 : 노즐
37 : 대차 44 : 레일
45 : 실린더장치 50 : 프레임
51 : 프레스 슬라이더 58 : 호오스
본 고안은 단조프레스기에 있어서 금형의 표면에 윤활제를 달라붙게하는 금형윤활제 흡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스 슬라이더의 동작에 연동하여 윤활제 노즐을 상하 금형 사이에 출입시키는 금형윤활제용 이동 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조프레스 등에 있어서는 단조성형물을 원활하게 꺼내기 위해서 그리고 금형의 냉각, 새정을 위해서 금형에 피성형물을 투입하기 전에 금형표면에 윤활제와 압축공기와의 혼합유체를 달라붙게하고 있다. 이 윤활제 노즐은 윤활제 도입관의 측부에 복수개 형성되어, 프레스 동작의 사이에 상하 금형사이에 출입하여 복수의 금형에 한번에 윤활제 혼합유체를 달라붙게 한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윤활제 노즐을 금형사이에 출입시키는 기구로서는 선단에 노즐이 있는 윤활제 도입관을 대차 위에 설치하고 이 대차를 구동원의 공. 유압력으로 전후운동시키도록 한 것, 혹은 트랜스퍼 피이더의 구동축에 캠기구를 끼워서 연결하고, 트래스퍼 피이더의 구동축에 연동하여 출입이동시키는 것등이 알려져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종래의 단조프레스기에 있어서 금형윤활제의 노즐기구는 공. 유압원을 구동원으로 하여 노즐을 지지한 대차를 전후진 운동시키거나, 트랜스퍼 피이더 구동측에서 캠구동에 의해 노즐이동을 행하고 있으므로 노즐의 왕복운동에 아무래도 1.5∼2초 전후의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프레스기의 동작속도가 빨라지면, 금형내에서의 노즐의 정지시간을 길게 잡을 수 없고, 유효한 윤활제 흡착을 할 수 없게 된다. 또 노즐장치를 슬라이더에 밀어붙여 종동시키는 방식(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59-47036호)에서는 프레스를 고속작동시키려고 하면 노즐장치가 슬라이더나 캠에서 빠져 뒤따를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고 노즐을 프레스금형사이 안팎으로 출입시킬 때의 노즐장치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추종성이 확보되도록 고속작동화의 장해로 되고 있었다. 연간단조 프레스에서는 금형의 마모방지를 위해 형단조시간의 단축이 요망되고 있다. 더욱이 프레스기의 동작에 대한 노즐이동동작의 타이밍 프레스기의 반복동작주에 어긋나게 되거나 노즐의 싸이클 타임이 맞지 않기 때문에 이동노증을 채용할 수 없게 되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 의한 금형윤활제용 이동노즐 구조는 상단부에 있어서 단조프레임에 부착됨과 동시에 중간부에 있어서 링크를 통하여 프레스 슬라이더에 연결되고 이 슬라이더의 상항동에 연동하여 상기 상단부의 주축을 중심으로 진자운동하는 레버수단과, 상기 레버수단의 하단에 부착되어 레버수단의 하단에 부착되어 레버수단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를 구비한 안내부제와, 대차위에 수펴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안내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스 슬라이더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기 안내부재의 안내부에 걸리는 로울러를 통하여 상기 수평바아부재를 이동시켜서 이동노즐을 프레스의 금형상이 안팎으로 출입시키도록 한 것이다.
다음에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이동노즐장치에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에 따른 정면단면도이다.
제1의 레버(1)는 제2동 표시한 바와같이 전체로서 T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이 레버(1)의 상단부에 형성된 도리(木行)의 양단은 단조프레스기의 프레임(50)에 고착된 브래키트(2)에 지점핀(3)을 통하여 구동자재케 부착되어 있다.
제1의 레버(1)의 약간 상단측으로 다가선 중도부는 링크(4)의 하단에 지점핀(7)을 끼워서 부착되고, 링크(4)의 상단은 프레스 슬라이더(51)에 고정된 브래키트(6)에 지점핀(5)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의 래버(1)의 하부는 제2도와 같이 두갈래로 분기되어 있고, 이 분기부에 제2의 레버(8)가 끼워지고, 이 제2의 레버(8)의 중도부가 제1의 레버(1)의 하단에 지점핀(41)을 끼워서 부착되어 있다.
제3도는 제2의 레버(8)의 상단부 및 이에 걸리는 실린더부의 확대도면이다. 또 제4도는 제2의 레버(8)의 하단부의 포오크 엔드 가이드부의 확대단면도이고, 또한 제5도는 제4도 B부의 확대단면도이다. 제1도, 제3도를 참조하면, 제2의 레버(8)의 상단부는 전체로서 측면에서보아 부채꼴이 되어 있고, 그 상부가장자리에는 V형 홈(21)이 형성되어 이 V형 홈(21)에 상기 제1의 레버(1)에 설치된 실린더부(22)의 피스톤 로드(18)선단의 로울러(43)가 걸려 있다. 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18)는 실린더부(22)에 대하여 0링을 시일(seal)되어 있고, 또 실린더부(22)는 단부판(20)에 의해 뚜껑이 닫혀지고 이 실린더부(22)에 공압원(52)으로부터 공압벨브(53)를 통하여 유체압이 공급되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같이 제2의 레버(8)이 하단은 포오크 엔드)(13)에 의해 수형바아(16)에 연결된 로울러(15)와 같다.
제4도 및 제5도에 명시된 바와같이, 제2의 레버(8)내에는 실린더장치(9)가 내장되어 있고, 그 구성은 실린더실(9'), 실린더실(9')에 수용된 피스톤(10), 실린더실 하단에 결합되고 또한 피스톤 로드부(10')의 커버를 겸하는 각형통형상(제6도)의 포오크 엔드가이드(11)로 이루어지고 있다.
피스톤(10)과 제2의 레버(8)사이에는 0링이, 또한 피스톤 로드부(10')와 포오크엔드 가이드(11)사이에는 Y형패킹(12)이 끼워져서 시일하고 있다.
실린더실(9')에는 공압원(54)으로부터 밸브(55)를 통하여 유체압이 공급된다. 포오크 엔드(13)는 하단이 두갈래로 부기되어 있고, 상부가 볼트(13')에 의해서 피스톤 로드부(10')하단에 고착되고, 또한 포오크 엔드 가이드(11)내에 출입할 수있도록 되어 있다.
제7도는 제1도의 Ⅷ-Ⅷ선에 따른 확대정면단면도로서, 수평비아(16) 및 그 이돌안내기구를 표시한 것이다. 제8도는 제1도이 Ⅷ-Ⅷ선에 따른 확대단면도, 제9도는 제1도의 Ⅸ-Ⅸ선에 따른 일부 절단한 확대평면단면도이다.
대차(37)위에는 길이가 긴, 그리고 평면으로보아 "ㄷ"형틀형상의 수평바아(16)가 가이드 로울러(24)(26)에 의해 상하, 좌우가 가이드되어 단조프레스기의 금형을 향해서 수평으로 왕복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7도와 같이 가이드 로울러(24)는 축(27)에 고착되고, 가이드 로울러(26)는 축(28)에 고착되어 있으며, 이들 축(27)(28)은 대차(37)의 프레임에 고정된 베어링유닛트(25)로 지지되어 있다. 제4도,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하면, 제2의 레버(8)는 수평바아(16)의 틀형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 수평바아(16)의 내측면에는 브래키트(14)가 볼트(16')에 의해서 아래로 뻗어나는 것같이 고정되어 있고, 이 브래키트(14)에 핀(17)이 지지되어 있으며, 핀(17)에 로울러(15)가 끼워져있다.
로울러(15)는 포오크 엔드(13)의 분기부에 삽입되고 또한 이 포오크 엔드 내를 가이드되어서 수평바아(16)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0도는 제1도의 A부분, 즉 수평바아(16)와 이동노즐(32)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확대평면도이고, 제11도는 그 측면단면도(제10도 XI-XI선 단면도)이다. 수평바아(16)의 단조프레스기측의 선단부에 브래키트(34)(29)가 볼트 등으로 고착되어 있고, 한편의 브래키트(34)에는 각각 대향하도록 핀부(34')가 돌촐되어 있다. 핀부(34')에는 대략 반달형의 지점 브래키트(35)가 아랫쪽을 향하여 장착되어 있고, 노즐(32)의 아래쪽에 브래키트(32a)를 통하여 부착된 좌부(32c)가 상부핀부(34')위에 얹혀지고 또한 제11도,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아래로부터 지점 브레키트(35)를 관통한 볼트(35')가 노즐(32)의 노즐(32)의 좌부(32c)에 나사 결합되고, 그에따라 노즐(32)이 핀 부착으로 수평바아(16)에 고착되어 있다. 다른 편의 브래키트(29)에는 지점핀(31)을 통해서 누름판(30)이 축지지되어 있다. 노즐(32)의 후단부는 제11도와 같이 T자 형상으로 형상되어 이 T자부(32b)가 누름판(30)과 브래키트(29)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누름판(30)은 스프링(38), 스프링받이(33), 볼트(19) 및 너트(19')의 기구에 의해 볼트(19)를 끼워 아랫방향으로 꽉 눌러져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같이 스프링(38)은 브래키트(29)와의 사이에 장착된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대차(37)는 차륜(39)을 구비하여 레일(44)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대차(37)는 볼트(37')에 의해서 바닥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통상의 가동시에는 이 고정상태로 사용된다. 제1도 및 제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대차(37)의 상면에는 수평바아(16)에 근접하여 실린더장치(45)가 설치되어 있고, 그 피스톤로드(45")선단이 수평비아(16)의 단부돌기(16")에 맞닿을 수 있도록되어 있다. 이 실린더장치(45)에는 공압원(56)으로부터 밸브(57)를 통하여 유체안리 공급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이동노즐장치를 사용하여 단조프레스기를 동작시키는 경우, 우선 프레스 슬라이더(51)가 하강하면, 브래키트(6)를 통하여 링크(4)의 a점은 b점까지 내려가고, 링크 타단의 제1의 레버와의 연결점 c점은 d점으로 이동한다. 이 동작에 따라 제1, 제2도의 레버(1)(8) 및 포오크 엔드(13)는 제1도의 점선위치로 레버 상단의 지점핀(3)을 중심으로 요동하여 이동하고 이때에 포오크 엔드(13)의 두갈래부에서 로울러(15)를 통하여 수평바아(16)를 단조프레스기로부터 떨어진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로울러 중심 측 도면의 e점은 f점으로 이동한다. 그에 따라 노즐(32)은 금형내로부터 빠져 나온다. 프레스 슬라이더(51)의 상승행정에서는 이와반대의 동작으로 되고, 노즐(32)이 상사 금형 사이에 들어가서 호오스(58)로 부터의 윤활제의 흡착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프레스 슬라이더(51)의 하강, 상승의 동작과 연동해서 수평바아(16) 및 노즐(32)은 좌우방향의 이동동작을 행하고, 1싸이클을 완료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있어서는 노즐장치를 프레스 슬라이더(51)에 링크연동시키고 나서 단조프레스를 고속단속운전할 때 노즐장치에 가해지는 가소도의 제한이 없어져 노즐장치를 빨리 작동하게 하므로(1싸이클내에서의 프래스금형사이 안팎으로 출입시키는 시간이 감소되고 그 만큼 스프레이시간이 증가됨). 금형 윤활시간이나 금형냉각시간이 향상되어 단조프레스의 고속작동화가 가능해진다.
다음에 노즐(32)에 어떤 외부요인으로 수평바아(16)의 좌우 방햐의 운동을 저지하는 힘이 작용하였을 경우, 브래키트(14), 로울러(15), 축(17)을 통하여 포오크 엔드(13)에 오버로우드가 작용한다. 이때 지점핀(41)을 회전중심으로하여 회전력이 제2의 래버(8)에 작용한다. 이 회전력은 피스톤 로드(18)의 힘을 받는 로울로(43)와 제2의 레버(8) 상단의 V형 홈(21)의 접선력을 이겨내고, 피스톤 로드(18)와 홈(21)의 걸림이 벗어져 레버(8)를 자유로운 상태로 한다. 따라서 레버(1)(8)는 의외의 외력으로 회손, 절손하는 일은 없다.
또 노즐(32)에 어떤 외부요인으로 제1도 또는 제11도의 윗쪽으로부터 과부하가 발생한 경우, 노즐(32)에는 핀부(34')(제10도, 제12도)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력이 발생된다.
이 회전력은 누름판(30)을 밀어올리며, 그에따라 노즐(32) 단부의 상기T자부(32b)가 누름판(30)으로부터 벗어나 윗쪽으로부터의 과부하를 수평바아(16)로 전하지 않는다. 이와같이 하여 본 고안에 있어서는 수평바아(16)나 이동노즐(32)에 작용하는 상하, 좌우방향 의외의 힘에 대한 보호, 안전기구를 갖고 있다.
다음에, 이동노즐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피스톤(10)하부로부터 실린더 내로 압유를 넣고, 피스톤(10)을 밀어올린다.
포오크 엔드(13)는 이에 따르지 않는 스트로우크(S)(제4도)2만 상승하고, 로우러(15)에서 벗어난다. 또 실린더장치(45)의 프레스기측 실린더 실내에 급기(給氣)하고, 그 피스톤 로드를 돌출시킨다. 로드(45")선단은 수평바아(16)의 단부돌기(16")에 맞닿고, 수평바아(16)를 제1도의 왼쪽으로 밑어 움직이게 하며, 바아(16)는 대차 단부의 스톱퍼(37")에 맞닿은 위치에서 정지하고, 노즐(32)은 프레스기로부터 떨어진다.
또한 프레스기 둘레의 정비 실시시에는, 상술한 이동노즐 불사용시의 상태로 또한 피스톤 로드(18) 하부로부터 압력을 넣어 제2의 레버(8)를 자유로운 상태로 한다. 대차(37)의 볼트(37')를 풀고 대차(37)를 왼쪽으로 떨어진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고안에 의하면, 단조프레스기의 프레스동작과 연동하여 프레스 슬라이더와 이동노즐의 타이밍을 확실하게 잡을 수 있고, 더욱이 장대한 레버 구조이기 때문에 고속동작이 가능하고, 그 만큼 노즐의 금형 사이에서의 체류 시간이 길게 잡혀 유효한 윤활제 흡착이 행하여진다. 이동노즐의 사용, 불사용의 선택의 전환밸브의 원터치 동작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직선운동으로 동작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트랜스퍼피이더와의 상대하는 치수를 작게할 수 있고, 또 이욍의 외부힘에 대하여 레버(1)(8) 혹은 수평바아, 이동노즐은 안전기구에 의해 보호되어 파과되지 않아 안전성이 뛰어나다는 등 여러 가지 이점을 가져오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있어서는 이동노즐을 지지한 수평바아부재는 대차위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레버 수단은 이 레버하단에 부착된 레버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수단과 수평바아부재측 로울러가 연결되고 또한 이 수평바아에 대해서는 레버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되어 있으므로 프레스 다이사이로의 진입, 퇴출조작에 있어서의 이동노즐, 수평바아의 자중작용에 의해 레버수단으로의 영향은 매우 작아져서 프레스의 고속작동화에 크게 공헌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레버수단은 슬라이더를 따라 길게 늘어져 있으므로 슬라이더의 스트라우크가 작아도 레버하단의 요동속도, 요동범위는 크며, 그만큼 수평바아, 노즐이 진퇴속도는 르고 진퇴동작의 스트로우크는 크다. 더욱이 본 고안에서는 수평바아가 수평이동하므로 다이둘레의 스페이스가 작아도 되고 수평바아의 뜻밖에 충돌등에 의한 파손위험이 적다. 다른 형상의 다이의 교환이 있었던 경우도 노즐은 수평으로 진입, 퇴거하기 때문에 이동노즐의 측부에 노즐길이방향으로 늘어선 노즐구멍중 불필요한 것을 막고 필요한 개수의 노즐구멍만을 개수상태로 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수평방아는 대차에 지지되어 이동하게 되어 있으므로 길이가 길어도 휘는 정도라든가 상하요동등은 매우 미미하여 노즐이 안정된 수평진입, 퇴출이 가능해진다.

Claims (1)

  1. 상단부에 있어서의 단조프레스기의 프레임에 부착됨과 동시에 중간부에 있어서 링크를 통하여 프레스 슬라이더에 연결되고 이 슬라이더의 상하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상단부의 추축을 중심으로 전자운동하는 레버수단과, 상기 레버수단의 하단에 부착되어 레버수단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를 구비한 안내부재와 대차위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안내부재의 안내부에 걸리는 로울러를 설치한 수평바부재와, 상기 수평바아부재의 선단에 지지된 이동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스 슬라이더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기 안내부재의 안내부에 걸리는 로울러를 통하여 상기 수평바이부재를 이동시켜서 이동노즐을 프레스의 금형사이 안팎으로 출입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윤활제의 이동노즐장치.
KR2019880021662U 1987-12-30 1988-12-27 금형윤활제의 이동노즐장치 KR95000078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0082B 1987-12-30
JP1987200823U JPH0444269Y2 (ko) 1987-12-30 1987-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923U KR890012923U (ko) 1989-08-08
KR950000780Y1 true KR950000780Y1 (ko) 1995-02-13

Family

ID=16430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1662U KR950000780Y1 (ko) 1987-12-30 1988-12-27 금형윤활제의 이동노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40052A (ko)
JP (1) JPH0444269Y2 (ko)
KR (1) KR950000780Y1 (ko)
DE (1) DE384426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1122B2 (ja) * 1994-07-18 2000-08-28 シャープ株式会社 基板搬送用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US6299690B1 (en) 1999-11-18 2001-10-09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Die wall lubrication method and apparatus
DE102005054352B4 (de) 2005-11-15 2007-10-04 Sms Eumuco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blasen und/oder Besprühen von Gesenken von Schmiedepressen
CN110026507A (zh) * 2018-01-12 2019-07-19 宁波会德丰铜业有限公司 自动安装系统及其方法
CN117161230B (zh) * 2023-10-25 2024-02-27 河北利达金属制品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零部件的快速冲压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49010A (en) * 1954-05-12 1956-05-16 Holt & Mosedal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vices for lubricating the dies of presses
US3633651A (en) * 1970-03-19 1972-01-11 Gen Motors Corp Automatic mechanical die spray apparatus
SU436695A1 (ru) * 1972-05-16 1974-07-25 Волжский Завод "Волгоцеммаш"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мазки молотовых штампов
US3941537A (en) * 1975-03-24 1976-03-02 Caterpillar Tractor Co. Rotary spray cleaner for circular dies
US4284670A (en) * 1976-08-06 1981-08-18 Aluminum Company Of America Method for applying lubricants onto metal working surfaces
JPS6040943B2 (ja) * 1977-04-21 1985-09-1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プレス金型の冷却装置
SU632879A1 (ru) * 1977-05-13 1978-11-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Р-6543 Устройство дл ручной смазки штампов
DE3039914C2 (de) * 1980-10-23 1983-01-27 Langenstein & Schemann Ag, 8630 Coburg Schmier/Ausblaseinrichtung einer Umformmaschine
DE3230095A1 (de) * 1982-08-13 1984-02-16 Eumuco Aktiengesellschaft für Maschinenbau, 5090 Leverkusen Vorrichtung zum ausblasen und bespruehen von gesenken von schmiedepressen, insbesondere gesenkschmiedepressen
JPS6118429A (ja) * 1984-07-04 1986-01-27 Hitachi Zosen Corp 省エネルギ−タンクを持つ加圧装置
SU1214299A1 (ru) * 1984-12-25 1986-02-28 Специ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е Бюро Аналитического Приборостро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смазки штампов
JPH05265Y2 (ko) * 1985-09-30 1993-01-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05031U (ko) 1989-07-14
KR890012923U (ko) 1989-08-08
DE3844262A1 (de) 1989-07-13
DE3844262C2 (de) 2002-04-11
US4840052A (en) 1989-06-20
JPH0444269Y2 (ko) 199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87402A (en) Driving device of the cutting station in a platen press
US5247862A (en) Process for producing burr-free workpieces by blanking, in particular in a counterblanking tool
JPS58103996A (ja) C形フレ−ムプレス
KR950000780Y1 (ko) 금형윤활제의 이동노즐장치
US4493202A (en) Railroad spike forging machine
US4923382A (en) Press for producing precision parts from powdered material
JPH07195466A (ja) 可塑材料の射出成形機
EP0101590B1 (de) Münzprägepresse mit Massnahmen für die allseitige Führung des Prägestückes in der Presse
US4096728A (en) Adjusting device for slide driven lift out actuators
JPH09141500A (ja) プラテン用落下防止装置
US5477725A (en) Articulated lever press
US5065636A (en) Drive arrangement for a male-die-side ejector slidably disposed in a slide of a mechanical metal-forming press
US5031439A (en) Drive for a male-mold-side ejector slidably disposed in a slide of a metal-forming press
CA1051229A (en) Cam actuated ejector mechanisms for presses
US4212243A (en) Installation for the stamping of advancing rolling stock in rolling mills and continuous casting plants
KR0151714B1 (ko) 조립 장치의 상부 공구 또는 하부 공구로 조립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
US20040211070A1 (en) Blade holder having displacement-dependent spring force compensation
US4342127A (en) Apparatus for forming railroad spikes and the like
US5497646A (en) Air stripper for can body maker apparatus
KR200365356Y1 (ko) 비정상적 상태의 발생을 검측하기 위한 안전 장치를 갖는단조기
EP0687520B1 (en) Sliding table for machine tools, especially for woodworking machines
US4833749A (en) Heel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 last without movement thereof
SU68386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зки прутков
US4333329A (en) Cross transport press
EP1614527B1 (en) Mechanical p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