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609B1 - 관이음매 - Google Patents

관이음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609B1
KR950000609B1 KR1019910009284A KR910009284A KR950000609B1 KR 950000609 B1 KR950000609 B1 KR 950000609B1 KR 1019910009284 A KR1019910009284 A KR 1019910009284A KR 910009284 A KR910009284 A KR 910009284A KR 950000609 B1 KR950000609 B1 KR 950000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ipe
pipe joint
click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9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115A (ko
Inventor
하루지 시마다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닛다 · 무어컴퍼니
니시오 히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닛다 · 무어컴퍼니, 니시오 히데오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닛다 · 무어컴퍼니
Publication of KR920001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6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16L19/0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with a rigid pressure ring between the screwed member and the exterior of the flared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이음매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관이음매에 배관을 삽입한 상태를 표시한 중심선 L의 하반분을 단면으로한 측면설명도,
제 2 도는 이탈방지고리와 수용고리를 표시한 전체사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관이음매의 중심선 L의 하반분을 단면으로한 분해설명도,
제 4 도는 종래의 관이음매에 배관을 삽입한 상태를 표시한 중심선 L∼의 하반분을 단면으로한 측면설명도,
제 5 도는 종래의 이탈방지고리를 표시한 전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체 3 : 내벽
4 : 고리형상 걸어고정시키는 수단
5 : 지지부재 6 : 배관
41 : 이탈방지고리 41A : 걸어고정시키는 클릭
41a : 클릭편 42 : 수용고리
본 출원의 발명은, 관이음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관이음매에 있어서는, 배관의 이탈방지수단으로서, 제 4 도 및 제 5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이탈방지고리(141)를, 관이음매의 주체(101)의 내벽(103)에 끼워넣어 고정한 칼라(152)에 끼워넣고 있었다.
이탈방지고리(141)는 걸어고정시키는 클릭(141A)을, 축경(縮徑)방향으로부터 배관(6)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시켜서, 그 내주면에 돌출형성시키고 있다.
이 관이음매는, 관이음매에 삽입하여 접속상태로한 배관(6)에 이탈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 걸어고정시키는 클릭(141A)이 배관(6)을 물고들어가서 이탈방지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관이음매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접속상태에 있어서, 삽입한 배관(6)에 회전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경우, 배관(6)은 걸어고정시키는 클릭(141A)에 대해서 상대회전하고, 배관(6)의 표면에는 걸어고정시키는 클릭(141A)이 물고들어간 개소를 중심으로해서 원주방향의 상처가 난다.
그리고, 이 상처가 깊고 심할 경우는 이 상처로부터 균열이 배관(6)의 내부로 진행하여 파단에 이른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배관에 회전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이 배관의 표면에 거의 상처나게 하는 일이 없는 관이음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제 1 의 기술적수단은, 본 발명의 제 1 의 발명으로서, 삽입된 배관(6)을 이탈방지상태로 하는 걸어고정시키는 클릭(41A)을 내주면쪽에 구비하는 고리형상걸어고정시키는 수단(4)을, 주체(1)의 내벽(3)의 내주에, 지지부재(5)에 의해서 축심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구비시킨 관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걸어고정시키는 수단(4)에, 상기 지지부재(5)와의 사이의 슬라이딩면을 형성하여 서로의 상대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제 2 의 발명으로서, 상기 고리형상걸어고정시키는 수단(4)는, 상기 걸어고정시키는 클릭(41A)을 가진 이탈방지고리(41)와, 이 이탈방지고리(41)를 겉에 끼운 수용고리(4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제 2 의 기술적수단은, 본 발명의 제 3 의 발명으로서, 삽입된 배관(6)을 이탈방지상태로 하는 걸어고정시키는 클릭(41A)을 내주면쪽에 구비한 고리형상 걸어고정시키는 수단(4)을, 주체(1)의 내벽(3)의 내주에, 지지부재(5)에 의해서 축심방향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구비시킨 관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 걸어고정시키는 수단(4)이, 상기 걸어고정시키는 클릭(41A)을 가진 이탈방지고리(41)와, 이 이탈방지고리(41)를 겉에 끼운 수용고리(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탈방지고리(41)가 상기 수용고리(42)에 회전가능하게 걸어 끼워져 있는 것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제 4 의 발명으로서, 상기 걸어고정시키는 클릭(41A)은, 복수의 클릭편(41a)을, 축경방향으로부터, 배관(6)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시킨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한 결과, 본 출원의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용을 가진다.
배관(6)의 접속상태에 있어서, 삽입한 배관(6)에 회전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경우,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의 발명에서는 고리형상 걸어고정시키는 수단(4)에 지지부재(5)와의 사이의 슬라이딩면을 형성하고, 서로의 상대회전을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고리형상 걸어고정시키는 수단(4)과 지지부재(5)의 사이에서 상대회전이 발생하고, 걸어고정시키는 클릭(41A)와 배관(6)의 사이에서는 상대회전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의 발명에서는, 고리형상 걸어고정시키는 수단(4)을, 걸어고정시키는 클릭(41A) 가진 이탈방지고리(41)와, 이 이탈방지고리(41)을 겉에 끼운 수용고리(42)로 형성하고, 이탈방지고리(41)가 수용고리(42)에 회전가능하게 겉에 끼워지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이탈방지고리(41)와 수용고리(42)의 사이에서 상대회전이 발생하고, 걸어고정시키는 클릭(41A)과 배관(6)의 사이에서는 상대회전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일실시예에서 표시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관이음매의 구성]
이 관이음매는, 양단부개방의 통형상의 주체(1)와, 이 주체(1)내에 그 일부를 주체(1)로부터 돌출시켜서 이것과 동일축상에 일정범위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된 진퇴하는 가는통(2)과 주체(1)의 내벽(3)의 내주에 끼워넣는 시일재(31), 고리형상 걸어고정시키는 수단(4), 고리형상 걸어고정시키는 수단의 축심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는 지지부재(5)로 구성되어 있다.
고리형상 걸어고정시키는 수단(4)는, 이탈방지고리(41)와, 이 이탈방지고리(41)를 겉에 끼운 수용고리(42)로 구성하고 있다.
지지부재(5)는, 고리형상 걸어고정시키는 수단(4)을 그 축심방향의 전후로부터 끼워 넣는 스페이서(51)와 칼라(52)로 구성하고 있다.
고리형상 걸어고정시키는 수단(4)은 지지부재(5)에 의해서, 다음과 같이 유지되어 있다.
스페이서(51)의 고리형상 걸어고정시키는 수단(4)쪽의 외단면(51a)에는, 수용고리(42)의 개방단부(42a)가, 회전방향에 관해서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져 들어가도록 수용고리(42)의 외주는, 그 대향하는 주체(1)의 내벽(3)에 대해서 약간 소직경으로 형성하고 있다.
수용고리(42)와 칼라(52)의 사이의 슬라이딩면(42b) (52a)은, 원활하게 상대회전할 수 있도록 활동면으로 하고 있다.
관이음매에 배관(6)이 상기 주체(1)의 수용물등을 끼워 넣을때, 배관(6)은 내벽(3)의 스텝부(3A)에, 시일부재(31)은 스텝부(3B)에, 스페이셔(51)는, 스텝부(3C)에 접촉한다.
주체(1)은, 후단부에 나사부(11)를 가지고, 선단부는 배관삽입구(12)로 하고 있다.
진퇴하는 가는통(2)의 종단면(21)은, 이탈방지고리(41)의 걸어고정시키는 클릭(41A)의 근처에 위치시키고, 이 진퇴하는 가는통(2)을 시단면(22)에서부터 안깊숙한 부분을 향해서 밀어넣음으로서, 걸어고정시키는 클릭(41A)을 밀어넘어 뜨릴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진퇴하는 가는통(2)의 외주에 형성한 고리형상의 오목부(2a)는 칼라(52)의 내주에 형성한 스텝부(52b)와 걸어맞추어져서 이탈방지상태로 하고 있다.
주체(1)를 합성수지등으로 형성하였을 경우는, 칼라(52)를 주체(1)에 압입하고, 칼라(52)의 외주면에 형성한 돌기(52c)와, 이 돌기(52c)와 걸어맞추어지는 주체(1)의 내벽(3)의 움푹팬곳(3D)를 걸어고정시켜 이탈방지상태로 한다.
주체(1)를 금속등으로 형성하였을 경우는, 상기 돌기(52c) 및 움푹팬곳(3D)를 형성하지 않고 칼라(52)를 주체(1)의 내벽(3)에 삽입하고, 그후, 배관삽입구(12)의 개구부를 코오킹하므로서 이탈방지상태로 한다.
이탈방지고리(41)와 수용고리(42)는,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구성하고 있다.
이탈방지고리(41)의 내주면쪽에는, 걸어고정시키는 클릭(41a)으로서 대략 V자형의 복수의 클릭편(41a)을 축경방향으로부터, 배관(6)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시켜서 형성하고 있다. 이 클릭편(41a)의 다리부분(41b)끼리를 연결해서 고리형상으로 형성하므로서, 이탈방지고리(41)를 구성하고 있다.
수용고리(42)는, 단면을 대략 「<」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안쪽에 이탈방지고리(41)를 끼울수 있도록, 이탈방지고리(41)의 외형보다, 그 내경을 약간 크게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양자의 직경의 차이를, 양자가 회전가능하게 되는 정도로 약간 크게 설정해서, 이탈방지고리(41)와, 수용고리(42)의 사이에서 상대회전을 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는, 고리형상 걸어고정시키는 수단(4)과 지지부재(5)와의 사이에는 반드시 슬라이딩면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관이음매의 사용상태]
본 발명에 관한 관이음매는 이하와 같이 해서 사용한다.
배관삽입구(12)로부터 관이음매에 배관(6)을 삽입하면, 배관(6)의 이탈방향에 대해서는 클릭편(41a)이 물고들어가서 이탈방지상태가 형성된다.
배관(6)에 회전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경우, 이탈방지고리(41)의 클릭편(41a)은 배관(6)을 물고 들어간 상태에서, 일체가 되어서 회전할려고 한다.
이때, 수용고리(42)는, 축심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페이서(51)와 칼라(52)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므로서 서로 상대회전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을 가진 것이므로, 배관(6)의 접촉상태에 있어서, 삽입관 배관(6)에 회전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경우, 걸어고정시키는 클릭(41A)와 배관(6)의 사이에서는 상대회전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 배관(6)의 표면에 거의 상처를 입히는 일이 없는 관이음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삽입된 배관(6)을 이탈방지상태로 하는 걸어고정시키는 클릭(41A)을 내주면쪽에 구비한 고리형상 걸어고정시키는 수단(4)을, 주체(1)의 내벽(3)의 내부에, 지지부재(5)에 의해서 축심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구비시킨 관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 관이음매시키는 수단(4)에, 상기 지지부재(5)와의 사이의 슬라이딩면을 형성하여 서로의 상대회전을 가능하게한 관이음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 걸어고정시키는 수단(4)이, 상기 걸어고정시키는 클릭(41A)을 가진 이탈방지고리(41)와, 이 이탈방지고리(41)을 겉에 끼우는 수용고리(42)로 이루어진 관이음매.
  3. 삽입된 배관(6)을 이탈방지상태로 하는 걸어고정시키는 클릭(41A)을 내주면쪽에 구비한 고리형상 걸어고정시키는 수단(4)을, 주체(1)의 내벽(3)의 내주에, 지지부재(5)에 의해서 축심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구비시킨 관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 관이음매시키는 수단(4)이, 이 걸어고정시키는 클릭(41A)을 가진 이탈방지고리(41)와, 이 이탈방지고리(41)를 겉에 끼운 수용고리(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탈방지고리(41)가 상기 수용고리(42)에 회전가능하게 겉에 끼워져 있는 관이음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고정시키는 클릭(41A)이, 복수의 클릭편(41a)을 축경방향으로부터 배관(6)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시킨 것인 관이음매.
KR1019910009284A 1990-06-07 1991-06-05 관이음매 KR950000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50242 1990-06-07
JP2150242A JPH0446293A (ja) 1990-06-07 1990-06-07 管継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115A KR920001115A (ko) 1992-01-30
KR950000609B1 true KR950000609B1 (ko) 1995-01-26

Family

ID=15492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9284A KR950000609B1 (ko) 1990-06-07 1991-06-05 관이음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46293A (ko)
KR (1) KR9500006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8833B2 (ja) * 2009-11-18 2014-07-0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管継手
KR100948403B1 (ko) * 2010-01-11 2010-03-19 (주) 대진유압기계 파이프 피팅 및 이에 이용되는 피팅용링 제조방법
JP5538932B2 (ja) * 2010-02-05 2014-07-0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1093A (ja) * 1984-04-30 1985-11-16 株式会社 日本ピスコ 管継手
JPH01275991A (ja) * 1988-04-26 1989-11-06 Junkosha Co Ltd 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115A (ko) 1992-01-30
JPH0446293A (ja) 199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66650B2 (ja) 破壊可能な嵌合式保持装置を有する早継ぎコネクタ
EP0702184B1 (en) Grab Ring
EP0893852B1 (en) Connector with releasable mounting flange
US5324081A (en) Connector for pipes having a small diameter
JP4462671B2 (ja) 管継手
EP0196881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be couplers
JP3071498B2 (ja) 配管用コネクタ
KR20020087471A (ko) 회전식 퀵 커넥터
US5722697A (en) Fitting with two tubular members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GB2256246A (en) Plug-in connections for tubular bodies
CA2176855A1 (en) Flexible pipe connector
US5890749A (en) Connector for connecting pipe arrangements having small diameter
JPH0323798B2 (ko)
US4582444A (en) Locking and unlocking laboratory joints
JPH0719217A (ja) スナップ−イン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保持装置
KR950000609B1 (ko) 관이음매
EP1596118B1 (en) Dustproof cap for quick connector and quick connector
JP2703150B2 (ja) 離脱防止管継手
WO2000014445A1 (en) Connection assembly for coupling to a pipe
WO1988002085A1 (en) Pipe coupling
US5829998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ront loaded coupling ring
CN209873984U (zh) 一种带有限位件的安装组件
JPH0732282U (ja) 管の継手構造
JPH05346191A (ja) 管継手
JPH03177688A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