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442Y1 - 픽셀 데이타의 스캐닝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픽셀 데이타의 스캐닝 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442Y1
KR950000442Y1 KR92022259U KR920022259U KR950000442Y1 KR 950000442 Y1 KR950000442 Y1 KR 950000442Y1 KR 92022259 U KR92022259 U KR 92022259U KR 920022259 U KR920022259 U KR 920022259U KR 950000442 Y1 KR950000442 Y1 KR 950000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pixel data
frame
fe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2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343U (ko
Inventor
김해종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92022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442Y1/ko
Publication of KR9400133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3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4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Conversion between an interlaced and a progressive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픽셀 데이타의 스캐닝 변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픽셀 데이타의 스캐닝 변환장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a) 내지 (i)는 본 고안의 신호 타이밍도.
제3도는 본 고안장치에서 동기 카운터부의 회로도.
제4도는 본 고안 장치에서 클록 발생부의 회로도.
제5도는 본 고안 장치에서 피일드 변환부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지카운터부 2 : 클록 발생부
3 : 피일드 변환부
본 고안은 순차 주사방식의 R, G, B 픽셀 데이타를 비월 주사방식의 R, G, B 픽셀 데이타로 변환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순차 주사방식의 2개 프레임에서 각각 기수 피일드(ODD FIELD)와 우수 피일드(EVEN FIELD)를 추출하여 1개의 비월 주사 프레임으로 재구성해 주므로서 스캐닝(Scanning) 변환을 수행하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순차 주사방식인 컴퓨터 그래픽 화상을 비월 주사방식인 TV 모니터에 표시해 주기 위한 RGB엔코더는 그래픽 제어기내의 주사모드 변환 프로그램에 의존하며, 이는 그래픽 제어기의 출력모드를 순차 주사 모드에서 비월 주사모드로 변경시켜 구현하는 것이므로 엔코더의 입장에서 보면 그래픽 제어기가 다수개 존재하는 데다 각 회사별로 상힌 스펙을 갖게 되기 때문에 독립적인 RGB신호처리가 불가능한 구성일 수 밖에 없고 따라서 그래픽 제어기에 엔코더가 종속되어야 하는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순차 주사방식의 RGB픽셀 데이타를 1프레임의 비월주사 픽셀 데이타로 재 구성하여 피일드 변환을 수행하므로서 RGB 엔코더의 독립적인 운용과 신호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픽셀 데이타의 스캐닝 변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수직동기를 분주하여 프레임을 출력하고 수평동기를 분주하여 피일드신호를 출력하는 동기 카운터 수단과, 순차주사방식의 픽셀클럭과 비월주사방식의 라인클럭을 입력받아 상기 프레임 및 피일드신호에 따른 프레임별 우수 및 기수 피일드 데이타의 추출을 위한 피일드 변환 판독/기록 제어클럭을 발생하는 클럭발생수단과, 상기 클럭발생수단에서 얻어진 제어클럭에 따라 순차 주사방식의 픽셀데이타를 비월주사방식의 픽셀데이타로 재구성해 주는 피일드 변환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픽셀데이타의 스캐닝 변환장치 블럭 구성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직동기신호(/VSYNC)를 분주하여 프레임신호(EVEN)를 출력함과 함께 수평 동기신호를 카운트하여 피일드 신호(COUNT)를 출력하는 동시 카운터부(1)와, 순차 주사방식의 픽셀클록(PCLK)과 비월주사방식의 라인 클록(LCLK)을 입력받아 상기 프레임 신호(EVEN) 및 피일드신호(COUNT)에 따른 프레임별 우수 및 기수 피일드 데이타 추출과 재 구성을 위한 피일드 변환 리드/라이트 제어클록(OWCLK)(ORCLK)(EWCLK)(ERCLK)을 출력하는 클록발생부(2)와, 상기 클록 발생부(2)의 제어를 받아 순차 주사방식의 픽셀데이타(RGB(n))를 비월 주사방식의 픽셀 데이타(IRGB(n))로 재구성해주는 피일드 변환부(3)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동기카운터(1)는 수직동기신호(/VSYNC)를 2분하여 프레임신호(EVEN)를 발생하는 플립플롭(1A)과, 입력수평동기신호(/HSYN)를 카운트하여 피일드신호(COUNT)를 발생시키는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rogrammable Logic Device : 이하 "PLD"라 약칭함)(1B)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클럭카운터부(2)는 상기 동기카운터부(1)에서 입력된 프레임신호(EVEN)를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게이트(N2)와, 상기 제2인버터게이트(N2)의 출력과 순차주사의 픽셀클럭(PCLK) 및 동기카운터부(1)의 피일드신호(COUNT)를 논리곱하여 기수피일드 라이드클럭(OWCLK)을 발생하는 제1앤드게이트(AND1)와, 상기 피일드신호(COUNT)를 반전하는 제3인버터게이트(N3)와, 상기 제3인버터게이트(N3)의 출력과 프레임신호(EVEN) 및 순차주사의 픽셀클럭(PCLK)을 논리곱하여 우수피일드 라이트클럭(EWCLK)을 발생하는 제2앤드게이트(AND2)와, 상기 제2, 3인버터게이트(N2)(N3)의 출력과 입력 비월주사의 픽셀클럭(LCLK)을 논리곱하여 기수피일드 리드클럭(ORCLK)을 발생하는 제3앤드게이트(AND3)와, 상기 입력 프레임신호(EVEN), 피일드신호(COUNT) 및 주월주사의 픽셀클럭(LCLK)을 논리곱하여 우수피일드 리드클럭(ERCLK)를 발생하는 제4앤드게이트(AND4)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에서 피일드 변환부(3)는 순차주사의 픽셀데이타 제1프레임이 저장되어 R, G, B의 픽셀데이타, 기수피일드 리드클럭(ORCLK) 및 기수피일드 라이트클럭(OWCLK)에 따라 비월주사의 기수피일드 픽셀데이타를 출력하는 제1선입선출(FIFO) 메모리(M1)와, 순차주사의 픽셀데이타 제2프레임이 저장되어 R, G, B의 픽셀데이타, 우수피일드 라이트클럭(EWCLK) 및 우수피일드 리드클럭(ERCLK)에 따라 비월주사의 우수 피일드 픽셀데이타로 출력하는 제2선입선출(FIFO) 메모리(M2)로 구성한다.
따라서 이와같은 본 고안 장치에서는 순차주사방식의 2개 프레임으로 비월 주사방식의 1개 프레임(기수+우수피일드)을 구성해 주게 된다.
즉, 순차주사 제1프레임에서는 기수 피일드를 만들고 순차주사 제2프레임에서는 우수 피일드를 만들어서 기수 피일드와 우수 피일드를 1개프레임으로 하는 비월주사 프레임의 픽셀 데이타(IRGB(n))를 출력해 주는 것으로서 이 동작을 제2도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기 카운터부(1)는 수직동기신호(/VSYNC)를 2분주하여 현재 프레임이 제1프레임인가 또는 제2프레임인가를 나타내는 프레임신호(EVEN)를 출력하며, 프레임신호(EVEN)가 로우일때는 기수피일드 구성을 위한 제1프레임을 나타내고, 프레임신호(EVEN)가 하이일때는 우수피일드 구성을 위한 제2프레임을 나타낸다.
이 동작은 제3도에서와 같이 수직 동기신호(/VSYNC)를 제1인버터게이트(N1)로 반전시켜 D플립플롭(1A)의 클록으로 인가하고, 이 클록을 플립플롭(1A)이 2분주하므로서 프레임신호(EVEN)를 출력해 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동기 카운터부(1)는 수직블랭크(/VBLANK) 구간에서 수평동기신호(/HSYNC)의 갯수를 카운트하여 현재 프레임이 기수 피일드인가 또는 우수피일드인가를 나타내는 피일드신호(COUNT)를 출력하며, 이 카운터값이 "01"이면 현재의 RGB 픽셀데이타(RGB(n))는 기수 피일드임을 나타내고, "10"이면 우수 피일드임을 나타낸다.
이동작은 제3도에서와 같이 수직 블랭크(1 VBLANK) 주간에서 수평동기신호(1 HSYNC)를 제2도의 (a) 및 (d), (e)와 같은 타이밍관계가 미리 프로그래밍된 PLD(1B)에서 카운트하여 출력해준다.
이와같이 출력된 프레임신호(EVEN)와 피일드신호(COUNT)는 클록발생부(2)에 공급된다.
클록발생부(2)는 순차 주사 픽셀클록(PCLK) 입력에 따라 상기한 프레임신호(EVEN)가 로우이고 피일드신호(COUNT)가 "01"일때 제1프레임을 기수피일드로 만들어 주기위한 기수피일드 라이트 클록(OWCLK)을 출력해주고, 프레임신호(EVEN)가 히이이고 피일드신호(COUNT)가 "10"일때 제2프레임을 우수피일드로 만들어 주기위한 우수 피일드 라이트클록(EWCLK)을 출력해준다.
또한, 클록 발생부(2)는 비월주사 픽셀클록(LCLK)입력에 따라 상기한 프레임신호(EVEN)가 로우이고 피일드신호(COUNT)가 "01"일때 제1프레임의 픽셀데이타(RGB(n))를 순차주사의 기수 피일드 픽셀데이타(IRGB(n))로 출력해 주기 위한 기수피일드 리드클록(ORCLK)을 출력하고, 프레임신호(EVEN)가 하이이고 피일드신호(COUNT)가 "10"일때 제2프레임의 픽셀데이타(RGB(n))를 순차 주사의 우수 피일드 픽셀데이타(IRGB(n))로 출력해 주기 위한 우수 피일드 리드클록(ERCLK)을 출력한다.
이 동작은 제4도에서와 같이 상기한 픽셀클록(PCLK)을 입력으로 하고 제2인버터게이트(N2)로 반전된 프레임신호(EVEN)와 피일드신호(EVEN)를 입력으로 하는 제1앤드게이트(AND1)에 의하여 기수피일드 라이트 클록(DWCLK)을 만들고, 픽셀클록(PCLK)과 제3인버터게이트(N3)로 반전된 피일드신호(COUNT), 그리고 프레임신호(EVEN)를 입력으로 하는 제2앤드게이트(AND2)에 의하여 우수피일드 라이트클록(EWCLK)을 만들고, 라인클록(LCLK)과, 제2, 3인버터 게이트(N2)(N3)로 반전된 프레임 및 피일드신호(EVEN)(COUNT)를 입력으로 한느 제3앤드게이트(AND3)에 의하여 기수피일드 리드클록(ORCLK)을 만들고, 라인클록(LCLK)과 프레임 및 피일드신호(COUNT)를 입력으로 하는 제4앤드게이트(AND4)에 의하여 우수피일드 리드 클록(ERCLK)을 만들어 주므로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4도에서의 논리회로는, OWELK=PCLK * COUNT * /EVEN, EWCLK=PCLK * /COUNT * EVEN, ORCLK=LCLK * COUNT * /EVEN, ERCLK= * LCLK * /COUNT * EVEN의 구성이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피일드 별 리드/라이트클록(OWCLK)(ERCLK)(OWCLK)(ERCLK)을 입력으로 하여 피일드 변환부(3)에서는 순차주식의 픽셀데이타(RGB(n)) 제1프레임으로부터는 비월주사의 기수피일드 픽셀데이타(IRGB(n))를 만들고, 순차 주사의 픽셀데이타(RGB(n)) 제2프레임으로 부터의 비월주사의 우수피일드 픽셀데이타(IRGB(n))를 만들어서 이들을 제1프레임으로 재구성하는 비월주사 프레임의 픽셀데이타를 출력해준다.
이 동작은 제5도에서와 같이 제1FIFO 메모리(M1)에는 기수피일드 라이트클록(OWCLK)을 인가하여 픽셀데이타(RGB(n)) 제1프레임을 기수피일드로 저장해주고 이저장된 픽셀데이타를 기수 피일드 리드 클록(ORCLK)에 의해 읽어내서 순차주사의 기수피일드 픽셀 데이타(IRGB(n))를 출력해주며, 제2FIFO 메모리(M2)에는 우수피일드 라이트클록(EWCLK)을 인가하여 픽셀데이타(RGB(n)) 제2프레임을 우수피일드로 저장해주고, 이 저장된 픽셀 데이타를 우수 피일드 리드크록(ERCLK)에 의해 읽어내서 순차주사의 우수 피일드 픽셀 데이타(IRGB(n))를 출력해 주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순차 주사방식의 RGB 픽셀 데이타를 비월주사 방식의 RGB 픽셀데이타로 변환하여 주므로서 컴퓨터 그래픽 화상을 TV 모니터로 표시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수직동기를 분주하여 프레임을 출력하고 수평동기를 분주하여 피일드신호를 출력하는 동기 카운터 수단과, 순차주사방식의 픽셀클록과 비월주사방식의 리인클록을 입력받아 상기 프레임 및 피일드신호에 따른 프레임별 우수 및 기수 피일드 데이타를 추출을 위한 피일드 변환 판독/기록 제어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수단과, 상기 클럭발생수단에서 얻어진 제어클럭에 따라 순차주사방식의 픽셀데이타를 비월주사방식의 픽셀데이타로 재구성해 주는 피일드 변환수단을 포함하여 된 픽셀데이타 스캐닝 변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동기 카운터수단은 수직동기신호(/VSYNC)를 2분주하여 프레임신호(EVEN)를 발생시키는 플립플롭(1A)과, 수평동기신호(/HSYN)를 카운트하여 피일드신호(COUNT)를 발생시키는 PLD(1B)로 구성된 픽셀 데이타의 스캐닝 변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클록발생수단은, OWELK=PCLK * COUNT * /EVEN, EWCLK=PCLK * /COUNT * EVEN, ORCLK=LCLK * COUNT * /EVEN, ERCLK= * LCLK * /COUNT * EVEN(단, OWCLK=기수 피일드 라이트클록, ORCLK=기수 피일드 리드 클록, EWCLK=우수피일드 라이트클록, ERCLK=우수피일드 리드클록, PCLK=순차 주사의 픽셀클록, LCLK=비월주사의 픽셀 클록, OCUNT=피일드신호, EVEN프레임신호)의 로직으로 구성된 픽셀 데이타 스캐닝 변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피일드 변환수단은 순차주식의 픽셀 데이타 제1프레임의 저장되어 비월주사의 기수피이르 픽셀 데이타로 출력되는 제1메모리(M1)와, 순차 주사의 픽셀데이타 제2프레임이 저장되어 비월주사의 우수 피일드 픽셀데이타로 출력되는 제2메모리(M2)로 구성된 픽셀 데이타의 스캐닝 변환장치.
KR92022259U 1992-11-12 1992-11-12 픽셀 데이타의 스캐닝 변환장치 KR950000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2259U KR950000442Y1 (ko) 1992-11-12 1992-11-12 픽셀 데이타의 스캐닝 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2259U KR950000442Y1 (ko) 1992-11-12 1992-11-12 픽셀 데이타의 스캐닝 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343U KR940013343U (ko) 1994-06-25
KR950000442Y1 true KR950000442Y1 (ko) 1995-01-27

Family

ID=19343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2259U KR950000442Y1 (ko) 1992-11-12 1992-11-12 픽셀 데이타의 스캐닝 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4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343U (ko) 199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79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video and graphics data in a multimedia display system including a shared frame buffer
KR100246088B1 (ko) 화소수변환장치
JPH0423994B2 (ko)
JP2570344B2 (ja) 画像表示装置
KR950000442Y1 (ko) 픽셀 데이타의 스캐닝 변환장치
JP3423327B2 (ja) 映像信号入出力装置
US5047849A (en)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image turbulence suppression
KR100241443B1 (ko) 격행주사 모드-순차주사 모드 변환회로
US5237317A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222904B1 (ko) 영상신호 변환장치의 화면 이동장치
KR920002048B1 (ko) 텔리비젼이나 비디오테이프레코오더의 자화면 확대 및 축소회로와 방법
KR100269227B1 (ko) 비월주사형식영상에서비비월주사형식영상으로의변환장치및방법
US612834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video signal in scanning line order
JP4239475B2 (ja) 走査線変換装置
KR900008816B1 (ko) 영상장치에 있어서 상하/좌우 이동회로
KR950004132B1 (ko) 디지탈 rgb엔코더
KR940004733B1 (ko) 화면의 수직분할 제어 및 그 어드레스 선택회로
KR100217253B1 (ko) 일반메모리를 사용한 티브이 엔코더 장치
KR0132433Y1 (ko) 비데오 필드 메모리의 쓰기 제어장치
KR100208374B1 (ko) 영상신호처리 시스템에서 유효화면크기 가변회로
KR0157483B1 (ko) 와이드 텔레비젼에서의 수평압축 표시 회로
JPH06149195A (ja) Crt表示装置
KR960001739B1 (ko) 광 스크린의 화상 가변 표시장치
JPH0370288A (ja) スキャンコンバータ
JPH06149194A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