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166Y1 - 자동차용 스노우체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노우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166Y1
KR950000166Y1 KR92006347U KR920006347U KR950000166Y1 KR 950000166 Y1 KR950000166 Y1 KR 950000166Y1 KR 92006347 U KR92006347 U KR 92006347U KR 920006347 U KR920006347 U KR 920006347U KR 950000166 Y1 KR950000166 Y1 KR 950000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cables
roller
stopper
connec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6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368U (ko
Inventor
김창건
Original Assignee
김창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건 filed Critical 김창건
Priority to KR92006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166Y1/ko
Publication of KR9300233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3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1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08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involving lugs or rings taking up wear, e.g. chain links, chain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B60C27/0261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스노우체인
제1도는 본 고안의 스노우체인을 펼친상태의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A부분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의 B부분 확대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생략한 요부사시도.
제6도는 (a)(b)는 본 고안의 C부분 확대도로,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
제7도는 제3도의 크로스(cross)케이블의 다른 구성도.
제8도는 제7도의 D부분 확대사시도.
제9도는 (a)(b)는 본 고안의 체결수단의 다른 확대도로,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
제10도의 (a)(b)는 본 고안의 체결수단의 또다른 확대도로,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 사이드 케이블 2 : 타이어
3 : 크로스 케이블 4,4a : 커넥터
5 : 고무링 6 : 롤러
6a : 각형롤러 6b : 원형롤러
61,61a : 돌기 62 : 홈
63,63a : 돌출부 7 : 체결수단
8 : 설편 9 : 톱니형 돌기
10 : 괘지구 11,14 : 스토퍼
12 : 축 13 : 비틀림 스프링
16,16a : 연결편 15,15a : 원형고리
18 : 장방형구멍 17 : 구멍
20 : 장방형 U홈 19 : 환형고리
본 고안은 자동차의 타이어에 부착하는 스노우 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가 빙판길이나 눈길위를 달리는 경우, 노면과의 마찰을 향상시켜 슬립(slip)현상을 방지하여 효과적인 제동기능과 주행의 안정성을 얻도록 한 자동차용 스노우체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금속고리 사슬을 연속적으로 연쇄하여 이루어진 타이어체인이 있고, 또한 최근에는 서로 평행하는 2개의 사이드 케이블 사이에 적당한 간격으로 사다리꼴 합성수지등과 같이 탄력성 있는 재질로 제작한 넙적한 띠모양의 크로스케이블, 즉, 미끄럼방지제를 설치하며, 이 크로스 케이블의 양단을 상기 사이드 케이블에 리벳등으로 연결 고정시킨 체인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전자이 경우는 타이어체인은 금속제이므로, 무게가 무겁고, 운반이나 조작이 불편하며, 사용중 타이어나 포장도로의 표면을 마모 손상시키는등의 문제가 있었다.
반면에, 후자의 경우는 합성수지등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넙적한 띠모양의 체인으로, 이른바 상기 전자의 타이어 체인에 비하여 가볍고 운반이 편리하며, 또한 타이머나 포장도로의 표면을 손상시킬 염려가 없는등, 우수한 이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널리 실용화하기에 이르지 못한 원인은 타이어에 부착하는 조작이 곤란한 데 있었다.
즉, 사이드케이블에 고정된 각 크로스 케이블은 휘어지고 변형하여 타이어의 원주면을 따라서 균등한 간격으로 밀착되어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실제로 타이어에 장착하려고 할 경우에는, 상기 크로스 케이블은 탄성을 가진 넙적한 띠모양이기 때문에 타이어의 원주면을 따라서 밀착하지 않고, 사이드 케이블에 고정된 크로스 케이블의 양단을 떠오르게 만들며, 그 결과 각 크로스 케이블은 양 사이드 케이블에 의하여 잡아 당겨서 힘의 균형이 깨어지므로 적정한 간격유지가 어려울 뿐더러 고정위치에서 밀려나게 된다.
그런데, 각 크로스 케이블은 타이어의 원둘레에 대하여 접촉저항이 크고, 더구나 그 양단에서 복귀하려는 탄력을 가지며, 그 탄력은 전체 크로스 케이블에서 작용하므로 결국 사이드 케이블의 양단을 연결 고리로 연결하면서 강제적으로 잡아당겨서 죄임 조작을 하려고 해도, 죄임력보다 반발력이 크기 때문에 충분한 죄임을 할수 없고, 결국 이와 같은 크로스케이블을 적정간격과 위치를 유지하면서 타이어에 밀착시켜 실용화하는데 매우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간단한 조작으로 타이어에 적정하게 밀착시켜 빙판길이나 눈길위에서 주행방향의 미끄럼방지와, 좌, 우측으로 슬립(slip)현상을 효과적인 제동기능과 주행의 안정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이드케이블 사이에 커넥터로 고정시킨 크로스케이블을 등간격으로 다수연결하고, 이 크로스 케이블에 롤러를 회전자재하게 끼운 스노우체인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케이블의 롤러와 커넥터사이에 고무링을 끼워서 롤러와 커넥터의 접촉(마찰)으로 발생하는 버어(burr)에 의해 타이어의 측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롤러의 배열시 축방향으로 설치한 돌기에 의하여 "t"만큼의 간격을 형성시켜 노면에 대하여 움켜쥐는 듯한 기능을 나타내어 빙판길이나 눈길위에서 제동시 차량이 옆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며, 타이어에 작착시키기 위하여 사이드 케이블의 일단에 합성수지의 설편을 고정시키고, 이 설편의 일측면에 톱니형돌기를 다수 형성하며, 타측단에 괘지구를 고정하되, 이 괘지구에 스토퍼를 축으로 축설하며, 이 축에는 스토퍼를 작동시키기 위한 비틀림 스프링이 축설되는 체결수단을 구비 시킨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예컨데, 일측 축방향으로만 돌기를 돌출설치하고, 이 돌기에 외접되도록 다수의 홈을 형성하여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시킨 각형롤러를 구비하여 구성할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는,양측 방향으로 돌기를 형성하되, 이 돌기 사이에 원형돌출부를 형성하여 구성될수 있다.
이경우 상기 롤러는 크로스 케이블에 끼울시 돌기부분을 서로 맞대어 "t"만큼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끼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예컨데, 사이드케이블일단에 스토퍼를 등간격으로 다수 고정시키고, 타측단에 원형고리를 형성시킨 연결편을 고정하되, 이 연결편의 중앙부위에 구멍을 천공하고, 이 구멍에 잇대어 장방형구멍을 천공시켜 상기 스토퍼가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의 연결편은 일측으로 원형고리를 형성하고, 중앙부위에 환형고리를 형성하되 이 환형고리에 연달아 장방형의 U홈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라, 개량된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1, 1a는 타이어(2)의 양측면부를 따라 설치되는 한쌍의 사이드케이블이며, 이 사이드케이블(1),(1a)에는 타이어(2)의 트래드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복수개의 크로스 케이블(3)을 케넥터(4),(4a)로 고정하여 등간격으로 연결한다.
상기 크로스케이블(3)에는 고무링(5)과 롤러(6)를 순차적으로 끼워 회전자재하게 한다.
이 고무링(5)은 커넥터(4),(4a)와 롤러(6)의 접촉(마찰)으로 인해 발생되는 버어(burr)에 의해 상기 타이어(2)의 측면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롤러(6)는 각형롤러(6a) 또는 원형롤러(6b)로 형성하되, 이 각형롤러(6a)는 일측 축방향으로만 돌기(61)를 돌출설치하고, 이 돌기(61)에 외접하게 다수의 홈(62)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돌출부(63)를 형성한다.
또 상기 원형롤러(6b)는 양측 측방향으로 돌기(61a)를 형성하되, 그 사이에 원형돌출부(63a)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롤러(6)를 크로스케이블(3)에 끼움시에 돌기(61a)를 서로 맞대어 "t"만큼의 간격이 유지되게 끼워 구성한다.
상기 사이드 케이블(1)(1a)에 체결수단(7)을 구비하여 체결할수 있게 구성한다.
이 체결수단(7)으로서는 사이드케이블(1),(1a)의 일단에 합성수지의 설편(8)을 고정시키되, 이 설편(8)의 일측면에 톱니형 돌기(9)를 다수 형성하며, 타측단에 괘지구(10)을 고정하며, 이 괘지구(10)에 스토퍼(11)를 축(12)으로 축설하며, 이 축(12)에는 스토퍼(11)를 작동시키기 위한 비틀림 스피링(13)이 축설되어 있다.
제9도는 본 고안의 체결수단(7)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이다.
사이드케이블(1),(1a)의 일단에 스토퍼(14)를 등간격으로 다수 고정시키고, 타측단은 원형고리(15)를 형성한 연결편(16)을 고정시키되, 이 연결편(16)의 중앙부위에 구멍(17)을 천공하고, 이 구멍(17)에 잇대어 장방형 구멍(18)을 천공하여 상기 스토퍼(14)가 걸리도록 구성한다.
제 10도는 본 고안의 체결수단(7)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이다.
사이드케이블(1),(1a)의 일단에 스토퍼(14)를 등간격으로 다수 고정시키고, 타측단은 원형고리(15)를 형성한 연결편(16a)을 고정시키되, 이 연결편(16a)의 중앙부위에 환형고리(19)를 형성하고 일측으로 장방형 U홈(20)을 형성하여 상기 스토퍼(14)가 걸리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한쌍의 사이드케이블(1),(1a)는 타이어(2)의 측면부를 따라 설치하고, 이 사이드 케이블(1),(1a)의 일단에 톱니형돌기(9)를 설치한 설편(8)을 상기 사이드케이블(1),(1a)의 타측단에 고정된 괘지구(10)에 제6도 (a),(b)와 같이 끼운다.
이때, 이 괘지구(10)에 축(12)으로 축설된 스토퍼(11)를 제6도의 (b)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살표방향으로 누르면, 스토퍼(11)와 괘지구(10)사이에, 축(12)에 의해 설치되어 있는 비틀림 스프링(13)이 압축되면서 상기 설편(8)을 괘지구(10)와 스토퍼(11)사이에 끼워 넣은후 설편(8)을 잡아 당겨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2)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조이고, 상기 화살표 방향으로 눌렀던 스토퍼(11)를 놓으면 이 스토퍼(11)은 비틀림 스프링(13)의 탄성력으로 회전하여 스토퍼(11)의 일단이 상기 설편(8)의 톱니형돌기(9)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사이드 케이블(1),(1a)에 커넥터(4)(4a)로 고정시켜 연결한 복수개의 크로스 케이블(3)은 타이어(2)의 트레드부를 가로질러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 케이블(3)에 각형 롤러(6a)의 돌기(61)를 서로 맞대어 회전자재하고 축설하고, 이 돌기(61)에 의해 "t"만큼의 간격이 생기므로 이 간격에 의해 차량이 주행중 노면에 대해서 움켜쥐는 듯한 기능을 나타내어 일방향 슬립을 방지하도록 한다.
특히, 주행 방향의 미끄럼방지와 좌,우측으로 슬립(Slip)현상을 방지할수 있게 한다.
제7도 및 제8도는 본 고안의 롤러(6)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다.
타이어(2)의 트레드부를 가로질러 위치하는 크로스케이블(3)에 원형롤러(6b)의 돌기 (61a)를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맞대어 회전자재하게 축설하고, 이 돌기(61a)에 의해 생기는 "t" 만큼의 간격에 의해 차량이 주행중 노면에 대해서 움켜쥐는 듯한 기능을 나태내어 일방향슬립을 방지하도록 한다.
특히, 주행 방향의 미끄럼방지와 좌, 우측으로 슬립현상을 방지할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케이블(1),(1a)과 크로스케이블(3)을 연결고정하는 커넥터(4),(4a)와, 상기 크로스케이블(3)에 회전자재하게 끼워지는 롤러(6)사이에 고무링(5)을 끼워줌으로서 케넥터(4),(4a)와, 롤러(6)의 접촉(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버어(burr)에 의해 타이어(2)의 측면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9도의 (a), (b)는 본 고안의 체결수단(7)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및 단면도로서, 사이드케이블(1),(1a)의 일단에 스토퍼(14)를 등간격으로 다수 고정시키고, 타측단에 원형고리(15)를 형성한 연결편(16)을 고정시키되, 이 연결편(16)의 중앙부위에 구멍(17)을 천공하고, 이 구멍(17)에 잇대어 장방형구멍(18)을 천공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는 상기 스토퍼(14)를 연결편(16)의 구멍(17)으로 넣은후 잡아당겨서 한쌍의 사이드게이블(1),(1a)를 타이어(2)의 측면부에 밀착시켜 놓으면 사이드케이블(1),(1a)은 구멍(17)과 잇대어 천공된 장방형구멍(18)을 관통함과 아울러 스토퍼(14)는 연결편(16)에 걸리게 되고, 남은 사이드케이블(1),(1a)는 연결편(16)의 원형고리(15)에 걸어줌으로서, 자동차가 주행시 상기 남은 사이드케이블(1)(1a)이 자동차의 펜더(fender)를 치는 것을 방지한다.
제10도는 체결수단(7)의 연결편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이다.
사이드케이블(1),(1a)의 타측단에 원형고리(15a)를 형성한 연결편(16a)을 고정시키되, 이 연결편(16a)의 중앙부위에 환형고리(19)를 형성하고, 일측으로 장방형 U홈(20)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는 상기 스토퍼(14)를 연결편(16a)측으로 잡아당겨서 한쌍의 사이드케이블(1),(1a)을 타이어(2)의 측면부에 밀착시켜 사이드케이블(1),(1a)은 장방형 U홈(20)에 끼움과 아울러 스토퍼(14)를 상기 장방형 U홈(20)과 환형고리(19)사이에 끼워 걸리게 하며, 남은 사이드케이블(1),(1a)은 연결편(16a)이 원형고리(15a)에 걸어줌으로서, 자동차가 주행시 상기 남은 사이드케이블(1),(1a)이 자동차의 팬더(fender)를 치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예시되고, 설명된 것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범위내에서 더 많은 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연하다.
결론적으로, 본 고안은 타이어에 착탈작업을 신속히 행할수 있으며, 자동차가 빙판길이나 눈길위를 달리는 경우 노면과의 마찰을 향상시켜 주행 방향의 미끄럼방지와 좌,우측으로 슬립(slip)현상을 방지하여 제동기능과 주행의 안정성을 얻을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5)

  1. 타이어의 양측면부를 따라 설치되는 한쌍의 사이드케이블 사이에, 커넥터로 고정시킨 크로스케이블을, 타이어의 트레드부를 가로질러 등간격으로 다수 연결하고, 이 크로스케이블에 롤러를 회전자재하게 끼우되, 상기 크로스케이블의 롤러와 커넥터사이에 고무링을 끼운 스노우체인에 있어서, 상기 롤러(6)의 배열시 축방향으로 설치한 돌기(61),(61a)에 의해 "t"만큼의 간격을 형성시켜 일방향 슬립을 방지하며, 사이드케이블(1),(1a)의 일단에 합성수지의 설편(8)을 고정시키고, 이 설편(8)의 일측면에 톱니형돌기(9)를 다수 형성하며, 타측단에 괘지구(10)를 고정하되, 이 괘지구(10)에 스토퍼(11)를 축(12)으로 축설하며, 이 축(12)에는 스토퍼(11)를 작동시키기 위한 비틀림 스프링(13)이 축설된 체결수단(7)을 각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리 롤러(5)는 한쪽 축방향으로만 돌기(61)를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노우체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리 롤러(5)는 양측 축방향으로만 돌기(61a)를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노우체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7)은 사이드케이블(1)(1a)의 일단에 스토퍼(14)를 등간격으로 다수 고정시키고, 타측단에 원형고리(15)를 형성시킨 연결편(16)을 고정하되, 이 연결편(16)의 중앙부위에 구멍(17)을 천공하고, 이 구멍(17)에 잇대어 장방형구멍(18)을 천공시켜 상기 스토퍼(14)가 걸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노우체인.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7)의 연결편(16a)은 일측으로 원형고리(15a)를 형성하고, 중앙부위에 환형고리(19)를 형성하되. 이 환형고리(19)에 연달아 장방형 U홈(2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노우체인.
KR92006347U 1992-04-17 1992-04-17 자동차용 스노우체인 KR950000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347U KR950000166Y1 (ko) 1992-04-17 1992-04-17 자동차용 스노우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347U KR950000166Y1 (ko) 1992-04-17 1992-04-17 자동차용 스노우체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368U KR930023368U (ko) 1993-11-26
KR950000166Y1 true KR950000166Y1 (ko) 1995-01-12

Family

ID=1933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6347U KR950000166Y1 (ko) 1992-04-17 1992-04-17 자동차용 스노우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1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368U (ko) 199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9015A (en) Non-skid device for tires
KR950000166Y1 (ko) 자동차용 스노우체인
US4225082A (en) Low cost vehicle traction device employing pivotally mounted anchoring means
US3188893A (en) Tire chain applying devices
KR100387979B1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구
KR200474032Y1 (ko)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JPH0635684Y2 (ja) タイヤ滑り止めバンド
KR200227988Y1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구
JP3000233U (ja) 車両タイヤ用滑り止め装置
KR930006328Y1 (ko) 타이어미끄럼 방지장치
JPH033046Y2 (ko)
JPH0742809Y2 (ja) タイヤの滑り止め具
JPH0416722Y2 (ko)
KR900002400B1 (ko) 걸림돌기가 형성된 타이어와 마찰부재가 결합한 타이어
JPH0417363Y2 (ko)
KR200241231Y1 (ko) 차량용 폐타이어 스노우체인 구조
JPH024802Y2 (ko)
JPH033047Y2 (ko)
KR200330023Y1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JPS5821763Y2 (ja) タイヤの滑止め装置におけるクロスベルト
KR930006325Y1 (ko)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KR960000177Y1 (ko) 크기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노우체인
JP2521471Y2 (ja) 車両用滑止め部材
JPH0448963Y2 (ko)
JPH07251614A (ja) タイヤ滑り止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4201002131;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