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037Y1 - 버스용 환기도어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용 환기도어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037Y1
KR950000037Y1 KR92014412U KR920014412U KR950000037Y1 KR 950000037 Y1 KR950000037 Y1 KR 950000037Y1 KR 92014412 U KR92014412 U KR 92014412U KR 920014412 U KR920014412 U KR 920014412U KR 950000037 Y1 KR950000037 Y1 KR 950000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door
bus
leaf spring
roller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4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095U (ko
Inventor
변경섭
Original Assignee
조래승
아시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래승, 아시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래승
Priority to KR92014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037Y1/ko
Publication of KR9400030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0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0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5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60H1/262Openings in or on the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07Details of pivots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버스용 환기도어의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요부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환기도어 1': 손잡이
2 : 판스프링 3 : 로울러
4 : 중심축 5 : 안내편
6 : 경사면 7 : 지지면
8 : 힌지 9 : 버스의 천정
본 고안은 버스의 환기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기도어에 고정되어 있른 판스프링과 이에 결합되어 있는 로울러, 그리고 안내편에 형성된 경사면과 지지면의 상호작용에 의해 환기도어의 개폐작용을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개선한 버스용 환기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버스 천정에 설치되어지는 환기도어는 여러종류가 있으나 모두가 매우 복잡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작시에 많은 공정을 거쳐야했기 때문에 그만큼 많은 부품이 소요되어지고 작업도 매우 까다롭게 진행되어진다.
특히, 종래의 환기도어는 빗물이나 습기등에 취약하여 작동부에 녹이 발생함으로서 환기도어를 개폐하는데 상당한 노력을 기울려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보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환기도어의 개폐작용이 원활해지도록 하고, 부품수를 최소한으로 축소시켜 제작시의 어려운 문제점을 타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환기도어에는 로울러를 결합하고 있는 판스프링을 구비하고 버스 천정에 고정되어 있는 힌지에는 안내된을 입설시켜, 환기도어를 개방시에는 판스프링의 로울러가 안내편의 지지편에 위치되어 환기도어의 개방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되고, 환기도어를 폐쇄시에는 판스프링의 로울러가 안내편의 경사면에 위치되도록하여 환기도어의 폐쇄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버스천정(9)에 환기를 목적으로 힌지(8)에 의해 개폐작용을 하는 환기도어(1)에 있어서, 환기도어(1)의 일측면 양쪽으로 판스프링(2)을 절곡시켜 고정을 하고, 판스프링(2)의 절곡부 끝단에는 로울러(3)를 중심축(4)으로 결합시킨 다음 버스의 천정(9)에 고정되어 있는 힌지(8)의 중앙면으로 상측에 경사면(6)과 지지면(7)을 절곡형성하고 있는 안내편(5)을 고정시키고, 이 안내편(5)의 경사면(6)에 판스프링(2)의 로울러(3)가 탄지되도록 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상시의 상태, 즉 버스내부에 환기를 시키지 않고 외부의 눈이나 비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기도어(1)를 닫아둔 상태는 제3도의 실선과 같다. 즉, 판스프링(2)의 중심축(4)에 결합되어 있는 로울러(3)의 위치는 안내편(5)에 형성되 경사면(3)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평상시의 상태에서 버스내부의 환기를 시킬 목적으로, 환기도어(1)의 손잡이(1')를 잡고 양측으로 밀어서 개방하면, 판스프링(2)으로 그 힘이 전달되고, 판스프링(2)의 힘은 로울러(3)로 전달되면서 로울러(3)가 안내편(5)의 경사면(6)을 넘게 된다.
경사면(6)과 지지면(7)의 접경선을 넘은 로울러(3)는 지지면(7)에 제3도의 가상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은 상태로 위치하게 되며, 환기도어(1)를 여는 힘이 제거되면 환기도어(1)는 닫혀지려고 하는 성질을 갖게 된다. 그러나, 판스프링(2)의 탄력을 받고 있는 로울러(3)는 지지면(7)과 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므로 경사면(6)으로 넘어오지 못하게 된다. 즉, 상기의 환기도어(1)가 닫히려는 힘은 판스프링(2)의 탄성력보다 작은 힘이기 때문에 닫히지 못하고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어서 버스내부를 환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시 환기도어(1)를 닫을 때에는 환기도어(1)의 손잡이(1')를 잡고 닫으면 환기도어(1)의 닫히려는 힘이 판스프링(2)의 탄력성보다 크게 작용되는 것이므로 판스프링(2)이 강제로 복귀를 하게 되고 로울러(3)도 경사면(6)으로강제적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어서 환기도어(1)를 닫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판스프링과 안내편의 상호작용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편리한 개폐작용을 얻을 수 있는 것이어서 환기도어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수가 있는 것이며, 간단한 구성인만큼 고장의 우려가 없고, 제작시에는 간단한 고정으로 제작될 수 있어 종래의 불편하고 번거로웠던 문제점을 일소한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버스의 천정(9)에 환기를 목적으로 힌지(8)에 의해 개폐작용을 하는 환기도어(1)에 있어서, 환기도어 (1)의 일측면 양쪽으로 판스프링(2)을 절곡시켜 고정하고, 판스프링(2)의 절곡부 끝단에는 로울러(3)를 중심축(4)에 결합시킨 다음 버스와 천정(9)에 고정되어 있는 힌지(8)의 중앙면으로 상측에 경사면(6)과 지지면(7)을 절곡형성하고 있는 안내편(5)을 고정시키고, 이 안내편(5)의 경사면(6)에 판스프링(2)의 로울러(3)가 탄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환기도어의 개폐장치.
KR92014412U 1992-07-31 1992-07-31 버스용 환기도어의 개폐장치 KR9500000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4412U KR950000037Y1 (ko) 1992-07-31 1992-07-31 버스용 환기도어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4412U KR950000037Y1 (ko) 1992-07-31 1992-07-31 버스용 환기도어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095U KR940003095U (ko) 1994-02-18
KR950000037Y1 true KR950000037Y1 (ko) 1995-01-07

Family

ID=19337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4412U KR950000037Y1 (ko) 1992-07-31 1992-07-31 버스용 환기도어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03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095U (ko) 199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037Y1 (ko) 버스용 환기도어의 개폐장치
KR200161752Y1 (ko)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US3946790A (en) Guidance arrangement for opening and closing panels articulated relative to each other and relative to a stationary frame
KR200144304Y1 (ko) 도어용 가이드
DE59503158D1 (de) Bodenschwelle für eine nach aussen öffnende Türe mit einer Dichtung an der Aussenseite der Bodenschwelle
KR200277169Y1 (ko) 장농의 도어 슬라이딩 구조
KR200168129Y1 (ko) 문틀용 손가락 보호구
JPS6319500Y2 (ko)
KR950007506Y1 (ko) 도어 개폐장치
KR0134157Y1 (ko) 브이씨알의 도어 개폐장치
KR900009899Y1 (ko) 방충문용 상부 안내구
KR970005940Y1 (ko) 냉장고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KR930002117Y1 (ko) 절책문
KR0117763Y1 (ko) 냉장고의 도아 힌지장치
KR960004194Y1 (ko) 호차용 창틀이탈방지구의 높이 조절장치
GB2395975A (en) Sash window assembly with transverse displacement means
KR200162686Y1 (ko) 자동차 도어용 창문
KR0137489Y1 (ko) 버스차량의 보조유리문용 웨더스트립 장치
KR19980011502U (ko) 모니터의 콘트롤 박스 도어 개폐용 판 스프링
JPH0573191U (ja) 扉開閉装置
KR200170316Y1 (ko) 텔레비젼의 조작부 도어 결합장치
KR0111198Y1 (ko) 냉장고도어 개폐장치
KR970004422Y1 (ko) 도어글래스(door glass) 이탈방지용 신축성 가이드
KR950008224Y1 (ko) 가전제품 도어 개폐 장치
JPH03250178A (ja) ドアの吊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