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22017A -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22017A
KR940022017A KR1019930003910A KR930003910A KR940022017A KR 940022017 A KR940022017 A KR 940022017A KR 1019930003910 A KR1019930003910 A KR 1019930003910A KR 930003910 A KR930003910 A KR 930003910A KR 940022017 A KR940022017 A KR 940022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current
compressor
timer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43216B1 (ko
Inventor
김태덕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03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3216B1/ko
Publication of KR940022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3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3216B1/ko

Links

Landscapes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에 있어서 공기조화시 부하에 따른 최대운전주파수를 차별하여 이상부하 발생시에도 압축기에 무리한 부하가 걸리지 않는 연속운전을 가능케하여 공기조화기의 온 오프에 의한 전력손실을 감소하고 과부하로 인한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것으로, 본 발명은 운전시작시 공조부하에 적합한 압축기 목표주파수와, 운전가능한 최대주파수 F1으로 설정하고, 타이머를 클리어시키는 운전주파수설정단계와, 현재의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설정된 목표운전주파수로 상승시키는 압축기주파수상승단계와, 상기 압축기주파수상승단계에서 상승중인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감시하는 운전감시단계와, 상기 운전 감시단계에서 감시 운전중의 압축기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단계와, 상기 전류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전류가 최대 제한전류치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제한전류판단단계와, 상기 제한전류판단단계에서 감지된 전류가 최대제한전류치 이상이면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최저주파수보다 같거나 작은가를 판단하고 작으면 운전주파수를 클리어하고 운전정지를 하며, 작지 않으면 운전주파수를 최저주파수로 운전하는 운전제어단계와, 상기 제한전류판단단게에서 감지된 전류가 최대제한전류치 보다 크지 않으면 감지된 전류가 제한전류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제한전류판단단계와, 상기 제한전류판단단계에서 감지된 전류가 제한전류보다 작으면 타이머를 증가시키는 타이머증가단계와, 상기 타이머증가단계에서 증가된 시간이 설정된 지속시간 보다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시간판단단계와, 상기 시간판단단계에서 판단된 시간이 지속시간 보다 크면 채대주파수를 F1로 설정하고 운전주파수를 목표주파수로 설정하며 카운터와 타이머를 클리어 시키고 감시운전을 행하는 정상운전단계와, 사기 제한전류판단단계에서 감지된 전류가 제한 전류보다 작지않으면 타이머를 클리어시키고 운전주파수 저감운전시키며, 카운터를 증가하는 저감운전단계와, 상기 저감운전단계에서 카운터된 계수가 소정의 계수 이상 인가를 판단하여 소정계수 이하이면 감시운전을 행하게 되는 카운터판단단계와, 상기 카운터판단단계에서 카운터된 계수가 소정의 계수 이상이면 운전 주파수를 최대운전주파수로 하고, 카운터를 클리어 시키고 주파수를 한단계 낮추는 운전주파수제어단계와, 상기 운전주파수제어단계와, 상기 운전주파수제어단계에서 운전주파수가 최저운전주파수 이하 인가를 판단하여 최저주파수 이하가 아니면 감시운전을 행하는 최저 주파수판단단계와, 상기 최저주파수판단단계에서 최저주파수이면 운전을 정지하는 운전정지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2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본 발명에 적요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의 플로우챠트,
제4도는 본 발명에 적요되는 압축기 운전주파수 제어도.

Claims (1)

  1. 운전시작시 공조부하에 적합한 압축기 목표주파수(Ft) 및 운전가능한 최대주파수(Fmax)를 F1으로 설정하고, 타이머를 클리어 시키며 상기 설정된 압축기의 목표운전주파수(Ft)에 현재의 압축기의 운전주파수(F)를 상승시키고 상승중인 압축기의 운전주사수(F)를 감시하며 감시 운전중의 압축기의 전류(Is)를 감지하는 단계(A)와, 상기 단게(A)에서 감지된 전류(Is)가 최대 제한전류치(I1)이상인가를 판단하고 판단된 전류(Is)가 최대 제한전류치(I1)이상이면 압축기의 운전주파수(F)를 최저주파수(Fmin)보다 같거나 작은가를 판단하여 상기 운전주파수(F)가 최저주파수(Fmin)보다 작으면 운전주파수(F)를 클리어하고 운전점검을 하며 운전주파수(F)가 작지 않으면 운전 주파수(F)를 최저주파수(Fmin)로 운전하는 단계(B)와, 상기 단계(B)에서 감지돈 전류(Is)가 최대제한전류치(I1)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감지된 전류(Is)가 제한전류(I1)보다 작은가를 판단하고 감지된 전류(Is)가 제한전류(I1)보다 작으면 지속시간 타이머를 증가시키며 증가된 지속시간이 설정된 지속시간(Is)보다 큰가를 판단하여 판단된 시간이 지속시간(Ts) 보다 크면 최대주파수를 F1로 설정하고 운전주파수(F)를 목표주파수(Ft)로 설정하며 감지횟수 카운터와 타이머를 클리어 시키고 감시운전을 행하는 단계(C)와, 상기 단계(C)에서 감지된 전류(Is)가 제한 전류(I1)보다 작지 않으면 지속 타이머를 클리어 시키고 운전주파수(F)를 저감운전시키며, 감지횟수카운터를 증가시키고 카운터된 감지계수가 소정의 계수(N) 이상 인가를 판단하여 소정계수(N) 이하이면 감시운전을 행하게 되며 소정의 계수(N) 이상이면 운전주파수(F)를 최대운전주파수(Fmax)로 하고, 카운터를 클리어 시키고 운전주파수를 한 단계 낮추어 상기 제어된 운전주파수(F)가 최저운전주파수 (Fmin)이하 인가를 판단하여 최저주파수(Fmin)이하가 아니면 감시운전을 행하고 운전주파수(F)가 최저주파수(Fmin)이면 운전을 정지하도록 하는 단계(D)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30003910A 1993-03-15 1993-03-15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0143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3910A KR0143216B1 (ko) 1993-03-15 1993-03-15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3910A KR0143216B1 (ko) 1993-03-15 1993-03-15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017A true KR940022017A (ko) 1994-10-19
KR0143216B1 KR0143216B1 (ko) 1998-08-01

Family

ID=19352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910A KR0143216B1 (ko) 1993-03-15 1993-03-15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32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025B1 (ko) * 1999-05-14 2002-09-16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난방 과부하 제어방법
CN115111749A (zh) * 2022-08-08 2022-09-27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空调控制方法、装置、多联机空调及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025B1 (ko) * 1999-05-14 2002-09-16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난방 과부하 제어방법
CN115111749A (zh) * 2022-08-08 2022-09-27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空调控制方法、装置、多联机空调及存储介质
CN115111749B (zh) * 2022-08-08 2023-07-18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空调控制方法、装置、多联机空调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3216B1 (ko) 199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2944B2 (en) Compressor protection and grid fault detection device
KR940000815A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운전주파수 제어방법
CN112443933A (zh) 空调器及其防凝露控制方法
KR920701687A (ko) 압축기 제어기 및 그 방법
CN113028674B (zh) 制冷系统的控制保护方法
KR940004280A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KR940022017A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JP3571425B2 (ja) 換気扇の制御装置
KR960014093B1 (ko) 에어콘의 이슬맺힘 방지방법
KR930008302A (ko) 전류감지에 따른 압축기 제어방법과 장치
KR960011320A (ko) 공기 조화기 제어장치 및 방법
JP3375222B2 (ja) 燃焼機器の安全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KR970028403A (ko) 냉장고의 압축기 보호장치 및 보호방법
KR950001234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US20230361554A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ouble check
JP3430742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と制御方法
KR100206758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 제어방법
KR940004299A (ko) 냉장고의 온도제어회로와 그 방법
KR960008201A (ko) 에어콘의 실내온도 감지 방법
KR94000257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온도제어방법
JP3467705B2 (ja) 空気調和機
KR970007100A (ko) 전자 레인지의 무부하 동작 방지 방법
KR015228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도어상태 감지제어방법
KR970062578A (ko) 에어컨의 이상상황 판단방법
KR920015106A (ko) 전자식 냉장고의 이상온도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