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9347A - 혼합 액체의 분리 장치 및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혼합 액체의 분리 장치 및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9347A
KR940019347A KR1019940003628A KR19940003628A KR940019347A KR 940019347 A KR940019347 A KR 940019347A KR 1019940003628 A KR1019940003628 A KR 1019940003628A KR 19940003628 A KR19940003628 A KR 19940003628A KR 940019347 A KR940019347 A KR 940019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raw material
line
drying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3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끼 미따
겐지 스기모또
하루오 가쓰마따
세이지 스도
가따시 시오다
후루또 세이료
구도 모리요시
Original Assignee
미야베 요시까즈
미쓰비시 가세이 가부시끼가이샤
후지무라 아끼오
미쓰비시 가세이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8524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46137A/ja
Priority claimed from JP43954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54354A/ja
Priority claimed from JP76270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62041A/ja
Priority claimed from JP7764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67925A/ja
Priority claimed from JP77648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62042A/ja
Application filed by 미야베 요시까즈, 미쓰비시 가세이 가부시끼가이샤, 후지무라 아끼오, 미쓰비시 가세이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야베 요시까즈
Publication of KR940019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34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36Pervaporation; Membrane distillation; Liquid permeation
    • B01D61/362Per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36Pervaporation; Membrane distillation; Liquid permeation
    • B01D61/368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ultra-fine filter sheets or diaphragms
    • B01D46/54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ultra-fine filter sheets or diaphragms using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처리될 액체를 정제하는 1 이상의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 처리될 액체를 분리막 모듈 유니트에 공급하기 위한 상기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연결된 공급라인: 분리막 모듈 유니트로부터 투과액을 배출하는 배출 라인 및 비투과액을 배출하는 배출 라인을 함유하는 침투기화법에 의한 액체 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 라인에 액체를 이동시키는 가압 펌프가 제공되어 있고, 비투과액의 최종 분리 라인에 압력 조절 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액체 분리 장치.

Description

혼합 액체의 분리 장치 및 분리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액체 분리 장치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2도는 다수의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를 함유한 액체 분리 장치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3A도는 다수의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가 유리하게 연결되어 있는 본 발명의 약체 분리 장치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3B도는 3개의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가 연결되어 있는 본 발명의 액체 분리 장치의 또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23)

  1. 처리될 액체를 정제하는 1 이상의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처리될 액체를 공급하는 상기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연결된 공급라인, 분리막 모듈 유니트로부터 투과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 라인 및 비투과액을 배출시키는 배출 라인으로 구성된 침투기화법에 의한 액체 분리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 라인에 액체를 이동시키는 가압 펌프 및 히터가 제공되고 비투과액의 최종 라인에 압력 조절 밸브가 제공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냉각기가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와 비투과액의 최종 배출 라인의 압력 조절 밸브 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1단계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의 비투과액이 제2단계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공급되고, 제 n-1 단계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의 비투과액이 제 n 단계 침투기화막에 모듈 유니트에 공급되도록 연결된 다수의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공급되도록 연결된 다수의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를 함유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처리될 액체가 물과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혼합 액체이며, 침투기화막이 선택적으로 물을 투과할 수 있는 막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처리될 액체를 미리 저장하는 원료조가 추가로 제공되고; 비트과액을 상기 원료조에 환류시키는 라인이 전환 밸브를 거쳐 비투과액의 배출 라인에 연결되고; 처리될 액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원료조의 액체 위치 검출기가 상기 원료조에 제공되고; 상기 원료조의 액체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원료조의 액체 위치가 소정의 위치보다 낮아지면 비투과액을 원료조로 환류시키는 상기 라인으로 전환 밸브를 개방하거나, 또는 액체 위치가 소정의 위치보다 높아지면 비투과액의 배출 라인으로 전환 밸브를 개방하는 조절 수단이 제공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1단계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의 비투과액이 제2단계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공급되고, 제 n-1 단계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의 비투과액이 제 n단계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공급되도록 연결된 다수의 침투기화막 유니트를 함유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처리될 액체를 미리 저장하는 원료조와 비투과액을 증류하는 증류기가 추가로 제공되고; 비투과액을 상기한 원료조로 환류시키는 라인이 전환 밸브를 거쳐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로부터 증류기로 액체를 이동시키는 라인에 연결되고; 온-오프 밸브가 증류액의 배출 라인에 제공되고; 처리될 액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원료조의 액체 위치 검출기가 상기 원료조에 제공되고; 증류된 액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증류기의 액체 위치 검출기가 상기 원료조에 제공되고;상기 원료조의 액체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원료조의 액체 위치가 소정의 위치보다 낮아지면 비투과액을 원료조로 환류시키는 상기 라인으로 전환 밸브를 개방하거나, 또는 액체 위치가 소정의 위치보다 높아지면 액체를 증류기로 이동시키는 상기 라인으로 전환 밸브를 개방하는 조절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증류기의 액체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증류기의 액체 위치가 소정의 위치보다 낮아지면 상기 온-오프 밸브를 폐쇄하거나, 또는 액체 위치가 소정의 위치보다 높아지면 온-오프 밸브를 개방하는 조절 수단이 제공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1단계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의 비투과액이 제2단계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공급되고, 제 n-1 단계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의 비투과액이 제n단계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를 함유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가 침투기화막 모듈, 비투과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분리막의 원료측에 순환시키는 순환 라인, 순환 라인의 도중에 제공된 순환 펌프, 히터, 원료 공급 라인 및 비투과액 배출라인을 함유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제1단계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의 비투과액이 제2단계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공급디고, 제 n-1단계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공급되며, 각 모듈 유니트에 공급되며, 각 모듈 유니트에서, 원료 공급 라인과 비투과액 배출 라인이 순환 펌프의 흡입측에 연결되고 비투과액 배출 라인이 원료 공급 라인의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연결된 다수의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를 함유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응축기가 투과 유체 배출 라인에 제공되고, 응축 및 액화된 투과액의 일부를 상기 응축기의 열전이 표면으로 분무하는 수단이 제공된 장치.
  12. 침투기화막을 투과하는 유체가 증기이며, 응축기가 투과 유체 배출 라인에 제공됨으로써, 응축기의 냉매가 0℃ 이하로 조정되고 물과 혼화되는 유기 용매가 투과 증기와 혼합되어 응고점이 냉매 온도 이하 정도로 낮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정의된 장치를 사용하는 액체 분리 방법.
  13. 치리될 혼합 액체를 0.2~1.1MPa(1~10kg/㎠G)로 가압하고, 혼합 액체를 대기압 하에서는 혼합액체의 비점 이상으로, 가압하에서는 혼합 액체의 비점 이하로 가열한 후, 혼합 액체를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로 공급하는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정의된 장치를 사용하는 혼합 액체의 분리 방법.
  14. 치리될 혼합 액체를 0.2~1.1MPa(1~10kg/㎠G)로 가압하고, 혼합 액체를 대기압 하에서는 혼합 액체의 비점 이상으로, 가압 하에서는 혼합 액체의 비점 이하로 가열한 후, 혼합 액체를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로 공급하고, 비투과액을 냉각기에 의해 대기압 하에서 비투과액의 비점 이하로 냉각시키는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2항에 정의된 장치를 사용한 혼합 액체의 분리 방법.
  15. 건조될 제품의 표면 상에 주요 성분으로서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건조액의 증기를 응축시킴으로써 건조를 행하는 증기 건조 장치에 있어서, 건조액의 증기를 발생시키고 건조될 제품의 표면상에 건조액의 증기를 응축시키는 처리조와 제3항 또는 10항에 정의된 액체 분리 장치를 함유하며,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는 건조액의 증기 발생부, 건조될 제품을 배치할 건조 공간부 및 건조공간부 아래의 응축액을 수집하는 수집부가 제공되어 있으며; 제1단계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상기 수집부로부터 응축액을 공급하는 라인이 제공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제2단계 및 그 이후의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상기 증기 발생부로부터 일부의 건조액을 공급하는 라인이 제공되어 있으며; 최종 분리막 모듈 유니트의 비투과액 배출 라인에 상기한 증기 발생부로 비투과액을 도입하는 라인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건조 장치.
  16. 건조될 제품의 표면 상에, 주요 성분으로서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건조액의 증기를 응축시킴으로써 건조를 행하는 증기 건조 장치에 있어서, 건조액의 증기를 발생시키고 건조될 제품의 표면상에 건조액의 증기를 응축시키는 처리조와 제3항 또는 10항에 정의된 액체 분리 장치를 함유하며,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는 건조액의 증기 발생부, 건조될 제품을 배치할 건조 공간부, 건조 공간부 아래의 응축액을 수집하는 제1수집부, 건조 공간부 위의 건조액의 증기를 응축시키는 냉각 코일 및 냉각 코일 아래의 응축액을 수집하는 제2수집부가 제공되어 있으며; 제1단계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제1수집부로부터 응축액을 공급하는 라인이 제공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제2단계 및 그 이후의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제2수집부로부부터 응축액을 공급하는 라인이 제공되어 있으며; 최종 분리막 모듈 유니트의 비투과액 배출 라인에 상기한 증기 발생부로 비투과액을 도입하는 라인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건조 장치.
  17. 건조될 제품의 표면상에 주요 성분으로서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건조액의 증기를 응축시킴으로써 건조를 행하는 증기 건조 장치에 있어서, 건조액의 증기를 발생시키고 건조될 제품의 표면상에 건조액의 증기를 응축시키는 처리조와 제6항에 정의된 액체 분리 장치를 함유하며,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는 건조액의 증기 발생부, 건조될 제품을 배치할 건조 공간부 및 건조 공간부 아래의 응축액을 수집하는 수집부가 제공되어 있으며; 수집부로부터 원료조로 응축액을 이동시키는 라인이 제공되어 있고; 제1단계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원료조로부터 응축액을 공급하는 라인이 제공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제2단계 및 그 이후의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상기 증기 발생부로부터 일부의 건조액을 공급하는 라인이 제공되어 있으며; 비투과액을 원료조로 환류시키는 라인과 비투과액을 처리조의 증기 발생부로 환류시키는 라인이 전환 밸브를 거쳐 최종 분리막 모듈 유니트의 비투과액 배출 라인에 연결되고; 원료조에 처리될 액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원료조의 액체 위치 검출기가 제공되어 있으며; 원료조의 액체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원료조의 액체 위치가 소정의 위치보다 낮아지면 비투과액을 원료조로 환류시키는 라인으로 전환 밸브를 개방하거나, 또는 액체 위치가 소정의 위치보다 높아지면 비투과액을 처리조의 증기 발생부로 환류시키는 라인으로 전환 밸브를 개방하는 조절 수단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건조 장치.
  18. 건조될 제품의 표면상에 중요 성분으로서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건조액의 증기를 응축시킴으로써 건조를 행하는 증기 건조 장치에 있어서, 건조액의 증기를 발생시키고 건조될 제품의 표면상에 건조액의 증기를 응축시키는 처리조와 제8항에 정의된 액체 분리 장치를 함유하며,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는 건조액의 증기 발생부, 건조될 제품을 배치할 건조 공간부 및 건조 공간부 아래의 응축액을 수집하는 수집부가 제공되어 있으며; 응축액을 수집부에서 원료조로 이동시키는 라인이 제공되어 있고; 제1단계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원료조로부터 응축액을 공급하는 라인이 제공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제2단계 및 그 이후의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상기 증기 발생부로부터 일부의 건조액을 공급하는 라인이 제공되어 있으며; 비투과액을 원료조로 환류시키는 라인과 비투과액을 증류기로 이동시키는 라인이 전환 밸브를 거쳐 최종 분리막 모듈 유니트의 비투과액 배출 라인에 연결되고; 증류액을 처리조의 증기발생부로 환류시키는 라인이 제공되고; 원료조에 처리될 액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원료조의 액체 위치 검출기가 제공되어 있으며; 증류기에 증류될 액체의 액체 위치를 검출하는 증류기의 액체 위치 검출기가 제공되어 있고; 원료조의 액체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원료조의 액체 위치가 소정의 위치보다 낮아지면 비투과액을 원료조로 환류시키는 라인으로 전환 밸브를 개방하거나, 또는 액체 위치가 소정의 위치보다 높아지면 비투과액을 증류기로 이동시키는 라인으로 전환 밸브를 개방하는 조절 수단이 제공되어 있으며; 증류기의 액체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증류기 중의 증류될 액체 위치가 소정의 위치보다 낮아지면 온-오프 밸브를 폐쇄하거나, 액체 위치가 소정의 위치보다 높아지면 온-오프 밸브를 개방하는 조절 수단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건조 장치.
  19. 건조될 제품의 표면 상에 주요 성분으로서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건조액의 증기를 응축시킴으로써 건조를 행하는 증기 건조 장치에 있어서, 건조액의 증기를 발생시키고 건조될 제품의 표면상에 건조액의 증기를 응축시키는 처리조, 제1원료조, 제2원료조 및 제6항에 정의된 액체 분리 장치를 함유하며,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는 건조액의 증기 발생부, 건조될 제품을 배치할 건조공간부, 건조 공간부, 건조 공간부 아래의 응축액을 수집하는 제1수집부, 건조 공간부 위의 건조액의 증기를 응축시키는 냉각 코일 및 냉각 코일 아래의 응축액을 수집하는 제2수집부가 제공되어 있으며; 제1수집부로부터 제1원료조로 응축액을 이동시키는 라인이 제공되어 있고; 제2수집부로부터 제2원료조로 응축액을 이동시키는 라인이 제공되어 있으며; 제1단계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제1원료조로부터 원료 공급 라인으로 응축액을 제공하는 라인이 제공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제2단계 및 그 이후의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제2원료조로부터 원료 공급라인으로 응축액을 공급하는 라인이 제공되어 있으며; 비투과액을 제1원료조로 환류시키는 라인과 비투과액을 증기발생부로 환류시키는 라인이 전환 밸브를 거쳐 최종 분리막 모듈 유니트의 비투과액 배출 라인에 연결되고; 제1원료조에 처리될 액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원료조의 액체 위치 검출기가 제공되어 있으며, 원료조의 액체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원료조의 액체 위치가 소정의 위치보다 낮아지면 비투과액을 제1유원료조로 환류시키는 라인으로 전환 밸브를 개방하거나, 또는 액체 위치가 소정의 위치보다 높아지면 비투과액을 처리조의 증기 발생부로 이동시키는 라인으로 전환 밸브를 개방하는 조절 수단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건조 장치.
  20. 건조될 제품의 표면상에 주요 성분으로서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건조액의 증기를 응축시킴으로써 건조를 행하는 증기 건조 장치에 있어서, 건조액의 증기를 발생시키고 건조될 제품의 표면상에 건조액의 증기를 응축시키는 처리조, 제1원료조, 제2원료조 및 제8항에 정의된 액체 분리 장치를 함유하며,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는 건조액의 증기 발생부, 건조될 제품을 배치할 건조 공간부, 건조 공간부 아래의 응축액을 수집하는 제1수집부, 건조 공간부 위의 건조액을 증기를 응축시키는 냉각 코일 및 냉각 코일 아래의 냉각액을 수집하는 제2수집부가 제공되어 있으며; 제1수집부에서 제1원료조로 응축액을 이동시키는 라인이 제공되어 있고; 제2수집부로에서 제2원료로 응축액을 이동시키는 라인이 제공되어 있으며; 제1단계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제1원료조로부터 응축액을 공급하는 라인이 제공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제2단계 및 그 이후의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에 제2원료조로부터 응축액을 공급하는 라인이 제공되어 있으며; 증류액을 처리조로 환류시키는 라인이 온-오프 밸브를 거쳐 증류기에 연결되고; 제1원료조에 처리될 액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원료조의 액체 위치 검출기가 제공되어 있으며; 증류기에 증류될 액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증류기의 액체 위치 검출기가 제공되고; 원료조의 액체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제1원료조의 액체 위치가 소정의 위치보다 낮아지면 비투과액을 원료조로 환류시키는 라인으로 전환 밸브를 개방하거나, 또는 액체 위치가 소정의 위치보다 높아지면 비투과액을 처리조의 증류기로 이동시키는 라인으로 전환 밸브를 개방하는 조절 수단; 및 증류기의 액체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증류기 중의 증류될 액체의 위치가 소정 위치보다 낮아지면 온-오프 밸브를 페쇄하거나, 또는 액체 위치가 소정의 위치보다 높아지만 온-오프 밸브를 개방하는 조절 수단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건조 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투과 증기에 혼합되는 유기 용매가 처리될 액체에 함유된 유기 용매와 동일한 액체 분리 방법.
  22. 침투기화막을 투과하는 유체가 증기이고; 제1단계의 침투기화막을 투과하는 증기가 0℃ 이상의 냉매로 응축기에 의해 응축되고; 물과 혼화되는 유기 용매를 혼입한 후, 하나 이상의 제2단계 및 이후의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를 투과하는 증기가 0℃ 이하의 냉매로 응축기에 의해 응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3항의 장치를 사용한 액체 분리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가 혼입된 투과 증기의 응축액이 제1단계 침투기화막 모듈 유니트의 처리될 액체로 환류되는 액체 분리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03628A 1993-02-26 1994-02-26 혼합 액체의 분리 장치 및 분리 방법 KR9400193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8525 1993-02-26
JP3852593 1993-02-26
JP3852493A JPH06246137A (ja) 1993-02-26 1993-02-26 混合液体の分離装置
JP93-38524 1993-02-26
JP93-43954 1993-03-04
JP4395493A JPH06254354A (ja) 1993-03-04 1993-03-04 浸透気化法による液体分離装置及び分離方法
JP7627093A JPH06262041A (ja) 1993-03-10 1993-03-10 浸透気化法による混合液体分離装置
JP93-76270 1993-03-10
JP7764793A JPH06267925A (ja) 1993-03-11 1993-03-11 蒸気乾燥装置
JP93-77648 1993-03-11
JP7764893A JPH06262042A (ja) 1993-03-11 1993-03-11 液体精製装置
JP93-77647 1993-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347A true KR940019347A (ko) 1994-09-14

Family

ID=27549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3628A KR940019347A (ko) 1993-02-26 1994-02-26 혼합 액체의 분리 장치 및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5556539A (ko)
KR (1) KR940019347A (ko)
MY (1) MY1112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2078B2 (en) 2014-05-22 2017-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47474B1 (es) * 1996-10-03 2001-03-16 Univ Cordoba Proceso de pervaporacion analitica y su uso como alternativa a las tecnicas de espacio de cabeza y purga-atrapamiento, y su modulo basico correspondiente.
DE19717043C2 (de) * 1997-04-23 2003-05-22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zum Entwässern und/oder Entgasen von Hydraulikflüssigkeiten,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nd Verwendung der Vorrichtung
US6365041B1 (en) 1997-12-23 2002-04-02 Jonathan Hoadley Filtration process utilizing heat exchanger apparatus
US6867851B2 (en) * 1999-11-04 2005-03-15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Scanning of biological samples
US6784982B1 (en) 1999-11-04 2004-08-31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Direct mapping of DNA chips to detector arrays
US7364625B2 (en) * 2000-05-30 2008-04-29 Fsi International, Inc. Rinsing processes and equipment
US6544477B1 (en) 2000-08-01 2003-04-08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Apparatus for generating a temperature gradient
US6842998B2 (en) * 2001-04-06 2005-01-18 Akrion Llc Membrane dryer
KR100863782B1 (ko) * 2002-03-08 2008-10-16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기판처리장치 및 기판처리방법
DE10216786C5 (de) * 2002-04-15 2009-10-15 Ers Electroni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ditionierung von Halbleiterwafern und/oder Hybriden
US20040079629A1 (en) * 2002-10-29 2004-04-29 Jim Wu Distillation and recycling treatment device
US6986802B2 (en) * 2003-08-28 2006-01-17 Bp Corporation North America Inc. Selective separation of fluid compounds utilizing a membrane separation process
US8128826B2 (en) * 2007-02-28 2012-03-06 Parker Filtration Bv Ethanol processing with vapour separation membranes
JP4427572B2 (ja) * 2007-03-15 2010-03-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脱水装置
JP2008221176A (ja) * 2007-03-15 2008-09-25 Mitsubishi Heavy Ind Ltd 脱水システム及び脱水方法
JP4898502B2 (ja) * 2007-03-15 2012-03-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流体の運搬方法
JP5325418B2 (ja) * 2007-12-28 2013-10-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脱水システム及び脱水方法
JP5484677B2 (ja) * 2008-01-18 2014-05-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脱水装置
US8585904B2 (en) * 2008-03-14 2013-11-1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Dehydration system and dehydration method
US20100065496A1 (en) * 2008-09-12 2010-03-18 Milton Roy Company Membrane distillation press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30175218A1 (en) 2011-12-16 2013-07-11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olymeric nanofibrous composite membranes for energy efficient ethanol dehydration
US20140298854A1 (en) * 2013-04-04 2014-10-09 General Electric Company Dual evaporator refrigeration system with zeotropic refrigerant mixture
CN103342631B (zh) * 2013-07-09 2015-04-22 南京工业大学 一种双膜耦合技术分离丙二醇单甲醚水溶液的工艺
US9353037B2 (en) 2013-11-19 2016-05-31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Graphene oxide-based composite membranes
JP6440156B2 (ja) 2014-07-29 2018-12-19 オルガノ株式会社 有機溶剤精製システム及び方法
US9662616B2 (en) * 2015-03-26 2017-05-30 Uop Llc Aromatic alkyl-substituted polyethersulfone and UV-cross-linked aromatic alkyl-substituted polyethersulfone membranes for gas sepratations
CN108430606B (zh) * 2015-10-07 2021-11-02 戴斯分析公司 使用选择性转移膜的蒸发冷却系统和方法
US10239770B2 (en) * 2016-04-29 2019-03-26 Kookmin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Multi-stage submerged membrane distillat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CN110302676B (zh) * 2019-07-29 2022-03-15 南京工业大学 一种能量循环利用渗透汽化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6630A (ja) * 1985-11-05 1987-05-18 Hitachi Ltd 処理装置
DE3610011A1 (de) * 1986-03-25 1987-10-08 Geesthacht Gkss Forschung Verfahren zur trennung der komponenten eines fluessigkeitsgemisches voneinander
US4978430A (en) * 1986-12-06 1990-12-18 Ube Industries, Ltd. Method for dehydration and concentration of aqueous solu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
JPS63232804A (ja) * 1987-03-19 1988-09-28 Nitto Electric Ind Co Ltd 多段浸透気化法
JPH07122672B2 (ja) * 1988-07-09 1995-12-25 東京瓦斯株式会社 磁場の平面分布測定装置
US4962270A (en) * 1989-02-27 1990-10-09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Multi-stage pervaporation process run at progressively higher vacuum, higher temperature or both at each successive retentate stage
DE3936052A1 (de) * 1989-10-28 1991-05-02 Basf Ag Verfahren zur trennung eines gemisches aus 1-methoxy-propanol-2 und wasser in seine bestandteile
JPH03232804A (ja) * 1989-12-01 1991-10-16 Sumitomo Chem Co Ltd 害虫防除用毒餌組成物
JPH03181302A (ja) * 1989-12-12 1991-08-07 Hitachi Ltd 蒸留装置
US5062927A (en) * 1990-01-05 1991-11-05 T And G Technologies, Inc. Method of operating a still
DE4019170A1 (de) * 1990-06-15 1991-12-19 Henkel Kgaa Verfahren zum durchfuehren einer gleichgewichtsreaktion unter anwendung von daempfepermeation
JPH0736887B2 (ja) * 1990-11-26 1995-04-26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溶剤混合排水の処理装置
TW224058B (ko) * 1990-12-27 1994-05-21 Mitsubishi Chemicals Co Ltd
US5256296A (en) * 1990-12-28 1993-10-26 Membrane Technology & Research Membrane process and apparatus for removing a component from a fluid stream
JPH0590240A (ja) * 1991-02-18 1993-04-09 Mitsubishi Kasei Corp 蒸気乾燥装置
US5243768A (en) * 1991-02-18 1993-09-14 Mitsubishi Kasei Corporation Vapor drier
US5417847A (en) * 1991-12-23 1995-05-23 Membrane Technology And Research, Inc. Pervaporation apparatus and process
JPH05168865A (ja) * 1991-12-26 1993-07-02 Mitsubishi Kasei Eng Co 有機物水溶液の脱水方法
US5288712A (en) * 1992-10-07 1994-02-22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Pervaporation process employing permeate recy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2078B2 (en) 2014-05-22 2017-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10508380B2 (en) 2014-05-22 2019-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82721A (en) 1996-12-10
MY111204A (en) 1999-09-30
US5556539A (en) 1996-09-17
US5616247A (en) 1997-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9347A (ko) 혼합 액체의 분리 장치 및 분리 방법
US7297236B1 (en) Ethanol distillation process
US10850210B2 (en) Production water desalinization via a reciprocal heat transfer and recovery
KR950000636A (ko) 메탄올 플랜트용 중간 리보일러
NO752773L (ko)
US20130264185A1 (en) Method and Means of Production Water Desalination
NO132785B (ko)
US4213830A (en) Method for the transfer of heat
US4292744A (en) Separation apparatus for a condensation-drying plant
US20230322652A1 (en) Ethanol production via distillation and dehydration
US3574066A (en) Multistage evaporation unit and gasliquid direct contact distillation apparatus
JP7468587B2 (ja) 混合物の分離方法及び装置
US8496731B2 (en) Method for transporting fluid
US5238540A (en) Method of obtaining a pure aromatic hydrocarbon from a sump product of an extractive distillation of a hydrocarbon mixture
US20140012058A1 (en) Distillation column pressure control
US20120228116A1 (en) Vacuum Evaporator / Distillation System
JP6511933B2 (ja) 混合物の分離方法及び装置
FI124532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lämmön talteenottamiseksi etanolin väkevöinnissä pervaporaatioprosessilla
RU2432984C1 (ru)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и концентрирования органических веществ из водных сред
KR100216413B1 (ko) 추출 증류에 의한 방향족의 분리방법
KR20190140270A (ko) 이소프로필알코올 함유 폐수로부터 이소프로필알코올의 농축 및 폐수처리를 위한 증기투과막 분리공정
RU2077910C1 (ru) Способ дистилляции смеси вещест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SE429647B (sv) Sett och anordning for att minska behovet av tillford energi vid destillationsprocesser
JPS6359308A (ja) 有機液体の分離装置
GB1026375A (en) Process for evaporation of liquid and condensation of vapo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