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600B1 - 적응 변조기의 적응상수 발생방법 및 회로 - Google Patents

적응 변조기의 적응상수 발생방법 및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600B1
KR940011600B1 KR1019910023058A KR910023058A KR940011600B1 KR 940011600 B1 KR940011600 B1 KR 940011600B1 KR 1019910023058 A KR1019910023058 A KR 1019910023058A KR 910023058 A KR910023058 A KR 910023058A KR 940011600 B1 KR940011600 B1 KR 940011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ive
maximum value
reference value
value
con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3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5829A (ko
Inventor
신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3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11600B1/ko
Priority to US07/992,824 priority patent/US5319458A/en
Publication of KR930015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5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6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8Adaptive-dynamic-range coding [ADR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적응 변조기의 적응상수 발생방법 및 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적용된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어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상수 발생회로의 구성도.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대역압축하기 위한 적응변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신호의 윤곽부분의 화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적응 변조기의 적응상수 발생방법 및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적응 변조기(Adaptive Modulator)는 HDTV(High Definition TV) 등에서 영상 대역 압축 방법으로써 서브밴드 코딩(Subband Coding)을 사용하는 경우에 데이타 전송시의 채널 잡음을 억압시키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적응 변조기의 적응변조(Adaptive Modulation)는 미국향 고화질 TV(HDTV) 방식 중 MIT방식에서 서브 밴드 코딩된 영상신호를 전송시 부가되는 채널 잡음의 영향을 줄이는 방법으로 제안되었다. 또한, 본원 출원인에 의해 1991년 1월 22일자로 국내 출원된 출원번호 91-1023호의 "적응변조에 의한 영상신호 송수신 방식 및 회로"는 입력된 밴드 신호를 일정한 크기의 블럭으로 나누고, 블럭내의 최고치를 구한 다음 주어진 적응상수 테이블을 사용하여 적응상수를 구하고 이 값을 직접 블럭내의 모든 화소들에 곱하여 채널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 및 회로는 제1a도의 경우처럼 블럭내에 소수의 높은 레벨의 화소(A1)가 존재하고 대부분의 화소(A2-A6)의 값이 작을 경우 제1b도처럼 소수의 높은 레벨의 화소(B1)로 인해 낮은 레벨의 화소들(B1-B6)이 충분히 증폭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노이즈 면역성(Noise Immunity)이 양호하지 않아 채널 잡음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이러한 경우는 수신측에서 화상을 복원하였을 때 윤곽(Edge) 부분에 블로킹 효과(Blocking Effect)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신호의 윤곽부분의 화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적응상수 발생방법 및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신호에 대한 채널잡음의 영향을 감쇠시킬 수 있는 적응상수 발생방법 및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블럭내의 화소로 부터 검출된 최대치가 미리 설정된 제1기준값보다 클 경우에 상기 블럭내의 미리 설정된 제2기준값 이하인 화소수를 계산하는 제1과정과, 상기 화소수가 미리 설정된 갯수 M보다 많은 경우에 상기 최대치를 미리 설정된 상수 N으로써 제산하고 그 제산되어진 값에 대응되는 적응상수를 적응상수 메모리에서 출력시키는 제2과정이 방법이 마련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적용된 설명도로서, 제1a도와 같이 적응상수 발생회로로 입력되는 블럭데이타가 있을 경우에, 제1b도와 같이 처리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제1c도와 같이 처리함에 의해 낮은 레벨의 화소들을 충분히 증폭시키는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어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202)단계에서 (207)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상수 발생회로의 구성도이다.
블럭단위로 래치 입력되는 디지탈 영상신호의 최대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최대치와 미리 설정된 제1기준값을 비교하기 위한 제1수단과, 상기 디지탈 영상신호중에서 미리 설정된 제2기준값 이하인 화소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화소와 미리 설정된 갯수 M을 비교하기 위한 제2수단과, 상기 제1, 2수단의 비교논리에 대응하여 상기 검출된 최대치를 미리 설정된 상수 N으로써 제산후 출력하거나 상기 최대치를 그대로 출력하기 위한 제3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도에서 상기 제1수단은 피크치 검출회로(4) 및 제2비교기(8)로 구성되고, 상기 제2수단은 카운트회로(5) 및 제1비교기(6)로 구성되며, 상기 제3수단은 카운트회로(5) 및 제1비교기(6)로 구성되며, 상기 제3수단은 앤드게이트(11), 멀티 및 디멀티플렉서(10,14) 제산기(12), 지연부(13)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제3수단의 출력은 적응상수 메모리(15)로 인가되며, 상기 적응상수 메모리(15)는 상기 출력값에 대응되는 적응상수를 래치(16)로 출력하며, 적응상수 인덱스를 래치(17)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술한 구성에 의거 동작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적응상수를 구할때, 블럭내의 화소의 최대치 뿐만 아니라 화소의 레벨 분포도 고려함으로써 블럭내의 소수의 큰 값으로 인하여 충분히 증폭되지 못하는 낮은 레벨의 화소들을 충분히 증폭시켜 채널 잡음 억업효과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제2도에서와 같이 (201)단계에서 우선 블럭내의 최대치 Pb를 검출한 다음 (202)단계에서 상기 Pb가 미리 정해진 제1기준값(예를들어 LOW BAND:64, HIGH BAND:32)보다 작으면 (206)단계에서 기존의 방식과 같이 Pb로부터 적응상수를 구하지만, 상기 제1기준값보다 크면 그 블럭내에서 제2기준값(예를들어 LOW BAND:9, HIGH BAND:6) 이하인 레벨을 갖는 화소수(Nb)를 계산하여 (203)단계, 이값이 설정된 갯수 M(예를들어 4×3 블럭인 경우, 9개)보다 작으면 상기 (206) 단계로 이행하고, 크면 (205)단계의 Pb/N으로 부터 적응상수를 구함으로써 적응상수를 증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 대한 결과가 제1c도에 나타나 있다. 상기 제1c도를 참조하면, 몇개의 화소에서는 최대치 128을 넘기 때문에 열화가 발생하지만 대부분의 낮은 레벨 화소들은 충분히 증폭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송 채널 잡음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제3도에서 적응상수 발생회로로 입력된 블럭 데이타는 블럭 클럭 발생기(BLOCK CLOCK GENERATOR)(3)에 의해 제어되는 래치(1)에 입력되어 피크치 검출 회로(4)에 의해 블럭내에서의 영상신호의 최대치(Pb)가 구하여지게 된다. 또한 상기 블럭 데이타는 카운트회로(5)에 입력되어 블럭내의 제2기준값보다 작은 화소수(Nb)가 계산되고, 그 결과가 제1비교기(6)에 입력되어 미리 설정된 갯수 M과 비교되어진다. 피크치 검출회로(4)에서 검출된 블럭내의 최대치는 제2비교기(8)에 입력되어 제1기준값과 비교된다.
상기 제1비교기(6)에서, 상기 화소수(Nb)가 상기 M보다 크고 제2비교기(8)에서 최대치(Pb)가 제1기준값보다 클 때는 멀티플렉서(14)와 디멀티플렉서(10)가 각각 출력라인(OUT1)과 입력라인(IN1)에 스위칭된다. 따라서 상기 디멀티플렉서(10)에 입력된 상기 최대치(Pb)는 계산기(12)에서 1/N, 예를들어 (1/2)되어 적응상수 메모리(15)에 입력됨으로써 원래의 값보다 큰 적응상수가 출력된다.
또한, 제1, 2비교기(6, 8)의 출력이 상기와 반대일 경우에는 디멀티플렉서(10) 멀티플렉서(14)는 각각 상기 라인(OUT2),(IN2)에 연결되어 상기 최대치(Pb)는 지연부(13)를 통해 그대로 적응상수 메모리(5)에 입력되어 기존의 방식에서와 같이 적응상수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3개의 래치(1, 16, 17)는 상기 블럭 클럭 발생기(3)에서 발생하는 클럭에 의해 작동되기 위해 데이타의 입출력의 타이밍을 맞추어 주는 작용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신호의 윤곽부분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Claims (5)

  1. 영상신호를 대역 압축 전송하기 위한 적응상수 발생방법에 있어서, 블럭내의 화소로 부터 검출된 최대치가 미리 설정된 제1기준값보다 클 경우에 상기 블럭내의 미리 설정된 제2기준값 이하인 화소수를 계산하는 제1과정과, 상기 화소수가 미리 설정된 갯수 M보다 많은 경우에 상기 최대치를 미리 설정된 상수 N으로써 제산하고 그 제산되어진 값에 대응되는 적응상수를 적응상수 메모리에서 출력시키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변조기의 적응상수 발생방법.
  2. 영상신호를 대역압축 전송하기 위한 적응상수 발생회로에 있어서, 블럭단위로 래치 입력되는 디지탈 영상신호의 최대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최대치와 미리설정된 제1기준값을 비교하기 위한 제1수단과, 상기 디지탈 영상신호중에서 미리 설정된 제2기준값 이하인 화소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화소와 미리 설정된 갯수 M을 비교하기 위한 제2수단과, 상기 제1, 2수단의 비교논리에 대응하여 상기 검출된 최대치를 미리 설정된 상수 N으로써 제산후 출력하거나 상기 최대치를 그대로 출력하기 위한 제3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변조기의 적응상수 발생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값이 로우밴드일 경우 64이며, 하이밴드일 경우 32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변조기의 적응상수 발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갯수 M이 4×3블럭인 경우 9개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변조기의 적응상수 발생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 N이 2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변조기의 적응상수 발생방법.
KR1019910023058A 1991-12-16 1991-12-16 적응 변조기의 적응상수 발생방법 및 회로 KR940011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058A KR940011600B1 (ko) 1991-12-16 1991-12-16 적응 변조기의 적응상수 발생방법 및 회로
US07/992,824 US5319458A (en) 1991-12-16 1992-12-16 Method and circuit for generating an adaptive constant for band compression of video sig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058A KR940011600B1 (ko) 1991-12-16 1991-12-16 적응 변조기의 적응상수 발생방법 및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829A KR930015829A (ko) 1993-07-24
KR940011600B1 true KR940011600B1 (ko) 1994-12-22

Family

ID=19324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3058A KR940011600B1 (ko) 1991-12-16 1991-12-16 적응 변조기의 적응상수 발생방법 및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319458A (ko)
KR (1) KR9400116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08271D0 (en) * 1996-04-22 1996-06-26 Electrocraft Lab Video compess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1884A (ja) * 1982-01-14 1983-07-20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Tv映像信号帯域圧縮伝送装置
US4956808A (en) * 1985-01-07 1990-09-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al time data transformation and transmission overlapping device
US4798824A (en) * 1985-10-03 1989-01-1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Perfusate for the preservation of organs
JPH0620279B2 (ja) * 1986-08-20 1994-03-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自動利得制御装置
JP2553534B2 (ja) * 1986-12-26 1996-11-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レビジヨン映像信号制御装置
JP2508439B2 (ja) * 1987-05-29 1996-06-19 ソニー株式会社 高能率符号化装置
JP2534276B2 (ja) * 1987-10-09 1996-09-1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リジナル・イメ−ジのペル信号の処理方法
US4953019A (en) * 1987-11-27 1990-08-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ignal encoding apparatus
US5040060A (en) * 1987-12-01 1991-08-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with compression based on still-image redundancy
US4813056A (en) * 1987-12-08 1989-03-14 General Electric Company Modified statistical coding of digital signals
FR2636802B1 (fr) * 1988-09-19 1993-10-22 Etat Francais Cnet Procede de quantification a seuil variable dans un codage par transformation pour la transmission de signaux d'image
US4953023A (en) * 1988-09-29 1990-08-28 Sony Corporation Coding apparatus for encoding and compressing video data
US4959843A (en) * 1989-05-08 1990-09-25 Allied-Signal Inc. Content induced transaction overlap (CITO) block transmitter
US4969040A (en) * 1989-10-26 1990-11-06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fferential sub-band coding of video signals
KR930003203B1 (ko) * 1990-06-30 1993-04-23 삼성전자 주식회사 고화질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소회로
JPH0474063A (ja) * 1990-07-13 1992-03-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の符号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829A (ko) 1993-07-24
US5319458A (en) 1994-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4611A (en) Image coding system which limits number of variable length code words
JP2969867B2 (ja)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高能率符号化装置
US4636856A (en) Arrangement for two-dimensional DPCM coding
KR100370704B1 (ko) 의사윤곽 보정 장치 및 방법
GB854026A (en) Bandwidth reduction systems
US20240089532A1 (en) Scrambling device and scrambling method
KR940011600B1 (ko) 적응 변조기의 적응상수 발생방법 및 회로
GB1269379A (en) A pcm transmission system
US3343087A (en) Quantization noise reduction system using chirp network prior to quantizing
JP2840678B2 (ja) 高能率符合化装置
JPH0440754A (ja) 信号変換装置
KR930003203B1 (ko) 고화질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소회로
US5214510A (en) Adaptive digital aperture compensation and noise cancel circuit
KR940000468B1 (ko) 적응 변조에 의한 영상신호 송수신 방식 및 회로
JP3009898B2 (ja) データ帯域圧縮符号化方法及び画像信号の帯域圧縮符号化装置
JP3010631B2 (ja) ランレングス符号化方式
KR100425307B1 (ko) 3차원 노이즈 감쇠 장치 및 방법
US5220424A (en) Circuit for imag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adaptive modulation and a method therefor
JP2518454B2 (ja) 帯域圧縮伝送方式
JP2861175B2 (ja) 高能率符号化装置及び符号化方法
JPH06197229A (ja) 復号装置
US5383206A (en) Error correcting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system
SU113632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жати цифровых телевизионных сигналов
SU1570028A1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сигнала
JP2623555B2 (ja) 変換符号化装置及び符号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