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347B1 - 카세트 장진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 장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347B1
KR940011347B1 KR1019910701720A KR910701720A KR940011347B1 KR 940011347 B1 KR940011347 B1 KR 940011347B1 KR 1019910701720 A KR1019910701720 A KR 1019910701720A KR 910701720 A KR910701720 A KR 910701720A KR 940011347 B1 KR940011347 B1 KR 940011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assette
door
gear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1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1965A (ko
Inventor
히로시 가와까미
사또시 오오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오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오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오시바
Publication of KR920701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1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3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7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1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i.e. front loading
    • G11B15/67536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i.e. front loading of cassette inside draw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11B15/67547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 G11B25/06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adapted for use with containers of different sizes or configurations; adaptor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카세트 장진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카세트 장진장치의 슬로트 아웃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슬로트 인 중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슬로트 인 완료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세트 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제1도를 캐비닛에 수용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사시도.
제6도는 제6a도, 제6b도, 제6c도, 제6d도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배치도.
제6a도 및 제6d도는 각각 제1도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7도는 제1도의 트레이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트레이 어셈블리의 일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제9도는 제1도의 트레이 프레임과 C카세트 어댑터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일부사시도.
제10도는 C카세트 어댑터를 트레이 어셈블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11도는 제1도의 제어계를 나타낸 블럭도.
제12도는 트레이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
제13도는 트레이 어셈블리의 트레이 레일과 샤프트기어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제14a도 및 제14b도는 각각 제13도의 트레이 레일과 샤프트기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제15a도 내지 제15d도는 각각 샤프트기어와 래크 슬라이더 및 트레이 레일과의 절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제16도는 트레이 드라이브기어와 트레이 어셈블리의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
제17도는 제1도의 카스테 오삽입 방지기구를 나타낸 일부사시도.
제18a도 및 제18b도는 각각 제17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19도는 제1도의 퍼프업기구를 나타낸 일부사시도.
제20도는 제1도의 퍼프업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제21도는 제19도 및 제20도의 퍼프업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제22도는 제19도 및 제20도의 퍼프업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사시도.
제23도는 제1도의 트레이 어셈블리의 카세트 스토퍼를 나타낸 평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25도는 제23도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26도는 제1도의 리프터를 나타낸 사시도.
제27a도 및 제27b도는 각각 제26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제28도는 제11도의 제어부의 동작타이밍을 나타낸 타이밍도.
제29도는 제1도의 트레이 어셈블리와 리프터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30도는 제29도의 래크 슬라이더를 떼어내어 나타낸 측면도.
제31도는 제1도의 테이프 앤드 검출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제32도는 제31도의 테이프 앤드 검출수단을 이용한 트레이 위치검출 수단을 나타낸 측면도.
제33도는 제32도의 다른 동작타이밍을 나타낸 타이밍도.
제34도는 제32도의 다른 동작타이밍을 나타낸 타이밍도.
제35도는 제1도의 후측 보강판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36도는 제1도의 앞측 보강판의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
제37도는 카세트 도어 로크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제38a도 및 제38b도는 각각 제37도의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
제39도는 제37도의 캐비닛으로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40도는 제1도의 트레이 어셈블리를 이송하기 위한 트레이 드라이브기어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41도는 제40도의 트레이 드라이브기어에 의한 트레이 어셈블리의 이송구동계를 나타낸 측면도.
제42도는 제40도의 트레이 드라이브기어와 콘넥트기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43a도 내지 제43c도는 각각 제42도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44도는 댐퍼를 나타낸 사시도.
제45도는 제42도의 댐퍼를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46a도 및 제4bB도는 각각 제42도의 댐퍼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예를들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등의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기테이프가 감겨진 카세트를 테이프 구동부에 장진하는 카세트 장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VTR의 카세트 장진장치로서는, 삽입구에서 거의 수평상으로 삽입된 카세트를 이송기구로 받고, 이 이송기구에 의해서 테이프 구동부로 이송되고, 이 테이프 구동부로 이송된 카세트를 착탈하는 소위 프론트 로딩방식과, 테이프 구동부 전체가 기기내부에서 캐비닛 외부로 이송되어 노출되고, 이 테이프 구동부에 대하여 직접 카세트를 착탈할 수 있는 소위 리니어 스케이팅방식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전자의 프론트 로딩방식에서는, 사용자가 단지 카세트를 캐비닛내의 이송기구에 건네주고 또 받는 것 뿐이어서, 그 후의 카세트 장착동작의 확인이 곤란하기 때문에 장착의 신뢰성이란 점에서 만족치 못했다.
또, 후자의 리니어 스케이팅방식에 있어서는, 사용자에 의한 카세트의 확실한 장착이 실현된다는 점에서는 만족하지만, 테이프 구동부 전체가 캐비닛의 내외부로 이동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그 이송기구를 포함하는 테이프 구동부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리니어 스케이팅방식과 같이 카세트의 장착을 확인할 수 있고 또 구성의 간단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카세트 장진장치의 개발이 요청되어 왔다.
이와같은 요청을 만족시키는 카세트 장진장치로서는, 카세트를 장착할 수 있는 이송유지용의 트레이(Tray)를 캐비닛에 출입이 자유롭도록 설치하고, 이 트레이를 이용하여 테이프 구동부로의 카세트의 착탈을 실현하는 트레이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이 트레이방식의 카세트 장진장치에 있어서는, 단지 트레이를 캐비닛에 대하여 출입이 자유롭도록 설치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 트레이에 장착된 카세트를 테이프 구동부까지 이송하여 착탈하는 것이기 때문에, 트레이와 테이프 구동부를 유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각종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트레이와 테이프 구동부를 유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종래의 프론트 로딩방식이나 리니어 스케이팅방식의 구조를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간단한 취급조작으로 카세트의 확실한 이송을 실현하는 구성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세트의 정확한 또한 확실한 착탈동작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트레이식의 카세트 장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자기테이프가 감겨진 카세트와, 이 카세트가 장착되는 테이프 구동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캐비닛과, 이 캐비닛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카세트가 착탈되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제1위치 및 상기 카세트를 상기 테이프 구동부에 장착하는 제2위치로 이송되는 트레이와, 이 트레이를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이동제어하는 이송기구와, 상기 트레이가 출입하는 상기 캐비닛의 트레이 출입구에 개폐가 자유롭도록 설치되는 카세트 도어와, 이 카세트 도어를 상기 트레이가 상기 캐비닛내에 수용된 상태인 폐(閉)위치에서 로크하는 것이고, 상기 트레이의 상기 캐비닛내의 위치에서 제1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이송기구에 작동되어 상기 로크를 해제하는 도어로크수단을 구비하여 카세트 장진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캐비닛의 트레이 출입구에 개폐가 자유롭도록 설치된 카세트 도어를 폐위치에서 로크 및 로크해제하는 도어로크수단과 트레이를 이송하는 이송기구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안전성이 높은 트레이 이송을 실현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카세트 장진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자기테이프가 감겨진 카세트의 착탈이 가능한 트레이 슬로트 아웃(Tray Slot Out)상태를 나타내며, 제2도는 수평이동 완료상태를 나타내며, 제3도는 제2도의 상태에서 카세트를 테이프 구동부에 장착하는 트레이 슬로트 다운상태(수직이동 완료상태)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카세트 장진장치는, 제4도에 나타낸 카세트(200)가 착탈되는 트레이 어셈블리(59)를,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닛(210)에서 돌출시키는 슬로트 아웃위치와, 상기 카세트(200)가 슬로트 아웃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이송된 후, 승강기구부에 의해서 수직방향으로 이송되어 테이프 구동부에 장착되는 슬로트 다운위치와의 사이를 왕복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주요한 구성은 트레이 어셈블리(59)를 왕복 안내하는 안내부와 트레이 어셈블리(59)를 왕복구동하는 동작기구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트레이를 슬로트 아웃상태에서 슬로트 다운상태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캐비닛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슬로트 인』이라 한다. 또, 여기서는 편의상 VTR세트를 수평상태로 놓았을때에 사용자가 VTR세트에 있어서의 카세트(200)의 취출구측에 대향하여서 있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VTR세트의 전면(A방향), 후방(B방향), 좌(C방향), 우(D방향), 상(E방향), 하(F방향)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트레이부에 대하여 제6도에 나타낸 배치관계로 되어 있는 제6a도 내지 제6d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트레이 어셈블리(59)는 주요한 요소로서 트레이 프레임(60), 트레이 플레이트(61), 퍼프업(pop-up) 슬라이더(62, 66), 퍼프업 슬라이더 스프링(64, 68), 좌우 1쌍의 퍼프업레버(70), 좌우 1쌍의 퍼프업 레버 스프링(71), 카세트 덮개 로크해제레버(72), 해제레버 스프링(73), 클릭레버(74, 78), 클릭레버 스프링(75, 79), 트레이 레일(76, 80), 카세트 스토퍼(82), 카세트 스토퍼 스프링(83)으로 구성되어 있다.
트레이 프레임(60)에는 트레이 플레이트(61)가 나사고정되어 있으며, 카세트 유지부를 형성하는 트레이 어셈블리(59)가 형성된다. 트레이 플레이트(61)의 중앙 후방에는 카세트(200)가 전후 및 상하로 역전되어 오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측방향으로 절곡부(61a)가 형성되어 있다. 또, 트레이 플레이트(61)에는 카세트 장착시의 전후방향의 스토퍼를 위한 절곡부(6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 플레이트(61)에는 슬로트 다운상태에서 테이프 구동부와 이 트레이 플레이트(61)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한 복수의 통공(6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공(61c)은 슬로트 아웃상태, 즉 캐비닛 전면에서 돌출되어 손 또는 손가락이 관통하는 크기의 면적으로 되어 있으며, 캐비닛 전면에서 돌출되는 트레이 프레임(60)의 전면측(배출측)의 측벽에 이르는 곳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 통공(61c)의 형상은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한 것으로, 만일 사용자의 손이나 손가락이 끼워진 경우에 트레이 플레이트(61)의 얇은 단면에 끼워지지 않고 폭이 넓은 앞측 프레임(60)과의 사이에 끼워져서 상처입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는 통공(61c)의 단위면적당의 힘이 크게 감소됨으로써 손이나 손가락이 손상되는 위험성이 거의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통공(61c)의 형상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구멍이 작아지게 되는 방향에 대해서는, 전후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대략 45도 이하의 각도가 되도록 한 것이다. 이것은 각도가 커지게 되면 경사부분의 얇은 단면과 캐비닛(210) 사이에 끼워져서 손상을 입을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이것의 방지책이다. 또, 통공(61c)을 복수개로 분할하지 않고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트레이 플레이트(61)가 채널형상이 되도록 1개로 크게 형성하여도 된다. 그리고 이 통로(61c)은 상기 안전대책과 함께 예를들면 VHS-C카세트등의 이물이 수용된 경우, 구멍을 통하여 아래로 떨어지게 함으로써 정규 카세트 이외의 장착을 방지하는 기능도 갖는다.
트레이 프레임(60)에는 래크기어부(60a, 60b)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 53)에 의해서 수평이동 동작을 한다. 트레이 프레임(60)의 좌우에는 각각 트레이 레일(76, 80)이 나사고정되어 있으며, 이들 트레이 프레임(60) 및 트레이 레일(76, 80)에 형성되는 홈(60c, 60c : 제7도 참조) 및 (76a, 80a : 제6c도 참조)에 의해서 수평이동의 가이드(안내)가 이루어진다. 트레이 레일(76, 80)의 홈(76a, 80a)에는 후술하는 트레이 리프터 어셈블리(1)의 리프터(2)의 양측판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롤러(4)가 걸어맞춰진다.
또한, 이 롤러(4)는 전도성이 있는 재질로 되어 있어 트레이 레일(76, 80)과 트레이 리프터 어셈블리(1)의 전도성을 확보하고 있다. 상기 홈(46a, 80a)의 개방단은 상하로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어 가이드 롤러(4)와 걸어맞추기 쉽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홈(60c, 60d)은 후술하는 도어로크레버(86, 87)와 걸어맞춰져서 수평이동이 안내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도어로크레버(86, 87)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상기 홈(60c, 60d)의 개방단은 상하와 내측으로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어 도어로크레버(86, 87)와 쉽게 걸어맞춰지며 신뢰성이 높은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 프레임(60)의 높이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면측은, 카세트(200)가 놓여졌을 때에, 카세트(200)가 약간 보이도록 낮게 설정되어 있으며 또 전면 중앙부분은 좌우부분보다도 더 낮게 설정되어 있다. 또, 트레이 프레임(60)의 좌우 양 측벽에는 카세트(200)를 장착하기 쉽도록 아래에서 위로 점차 면적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60m)를 형성하여 카세트(200)의 착탈성을 고려하고 있다. 또, 트레이 프레임(60)의 좌우 양 측벽의 후방부에는 트레이 어셈블리(59)가 출입하는 캐비닛(210)의 트인구멍과 약간의 틈을 둔 카세트가 거의 가리워질 정도의 볼록부(60e)가 단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볼록부(60e)에는 아래에서 위로 점차 폭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60n)와 전면에서 후방으로 점차 폭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60p)를 단부에 형성하여 카세트(200)의 착탈성을 고려하고 있다. 또, 이들 경사부(60n, 60p)는 카세트(200)를 장착할때에 캐비닛(210)의 트인구멍의 주위에 카세트(200)가 맞닿아서 캐비닛(210)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캐비닛(210)에 맞닿기 전에 정규장소로 안내하는 효과가 있다. 트레이 프레임(60)의 전면측 좌우의 상하의 코너부는 소정의 R을 가진 만곡상으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처를 입지 않도록 안전성을 고려하고 있다.
또, 트레이 프레임(60)의 전면측의 내측 벽의 코너에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카세트(200)의 일측단(후방단부) 코너의 R과 거의 같은 형상의 만곡부(60K)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카세트(200)의 전후역전 오삽입방지의 하나로서 카세트(200)가 전후역전되어 오삽입된 경우에는 이 R이 형성되지 않은 외형부가 상기 트레이 프레임(60)의 만곡부(60K)와 대향하기 때문에 삽입되지 않는다. 카세트(200)의 전후역전 오삽입 방지로서는 그외 여러형태로 실시되고 있으나 이것에 의하여 일층 확실하게 된다.
또한, 트레이 프레임(60)의 좌측에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는 구멍(60f)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60f)은 주지의 VHS-C카세트용 C카세트 어댑터(250)의 C카세트 언로딩 검출레버(251)의 수납장소로서, 높이적으로 좌우측의 홈(60c)과 일치되어 외관을 손상시키기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만일 C카세트가 언로딩된 C카세트 어댑터(250)를 슬로트 인한 경우에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C카세트 언로딩 검출레버(251)가 좌측의 홈(60c)을 통하여 트레이 레일(76)의 홈(76a)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슬로트 인 도중에 트레이 리프터 어셈블리(1)의 가이드 롤러(4)에 걸려서 그 이상 슬로트 인 할 수 없게 되고, 후술하는 제어부(300 : 제11도 참조)의 이상검출에 의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C카세트 어댑터(250)를 손상시키거나 VTR본체의 부품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상기 트레이 프레임(60)의 구멍(60f)에는 전면측이 낮고 슬로트 인 방향이 높게 되도록 경사진 검출레버 안내용 경사부(601)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601)는 C카세트가 언로딩된 C카세트 어댑터(250)가 착오로 슬로트 인되어 이상검출에 의해서 배출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바와같이 퍼프업되면 C카세트 언로딩 검출레버(251)를 C카세트 어댑터(250)내로 수납하여 C카세트 어댑터(250)의 꺼냄이 가능하게 된다.
또, 트레이 프레임(60)의 좌우 후방에는 각각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는 테이프앤드검출을 위한 투과광이 통과하는 관통구멍(60g, 60h)이 형성되어 있다(제6a도). 이것은 높이적으로 하측의 홈(46a, 80a)과 일치하여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트레이 프레임(60)에 나사고정되어 있는 트레이 레일(76, 80)에는 트레이 프레임(60)의 래크기어부(60a, 60b)와 평행하도록 각각 상측에 래크기어부(76b, 80b)가 형성된다. 트레이 프레임(60)과 트레이 레일(76, 80) 사이에는 각각 클릭레버(74, 78)가 회동이 자유롭도록 협지되어 있다. 이 클릭레버(74, 78)는 각각 클릭레버 스프링(75, 79)에 의해서 트레이 프레임(60)의 하측 홈(76a, 80a)의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이 결과,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슬로트 인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종료시에는 트레이 리프터 어셈블리(1)의 가이드 롤러(4)에 걸어맞춰져서 트레이 리프터 어셈블리(1)에 대한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위치를 유지한다. 클릭레버(74, 78)의 가이드 롤러(4)와의 걸어맞춤부는 소정의 각도로 되어 있어 소정이내의 위치 어긋남에서는 트레이 어셈블리(59)를 끌어들여서 유지할 수 있다.
또, 트레이 레일(76, 80)의 후방에는 각각 트레이 레일 위치규제부(77, 81)가 형성되어 있어,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슬로트 인 수평이동 종료후에 수직동작으로 이행할때에 후술하는 사이드샤시 트레이위치 후측 규제부(12, 28)와 걸어맞춰진다. 따라서, 트레이 어셈블리(59)는 클릭레버(74, 78)에 의해서 기본적으로 유지되나, 예상외의 외력이 가해져서 벌어진 경우 그 벌어지는 량이 규제되고, 그 외력이 벗어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끌어당겨서 유지된다.
또, 상기 사이드샤시 트레이위치 후측 규제부(12, 28)의 걸어맞춤초기의 부분이 안내용 만곡부로 형성되어 있어, 트레이 어셈블리(59)가 슬로트 인 수평이동 종료후에 수직동작으로 이행할때에, 수평이동량이 약간 부족해도 이 안내에 의해서 끌어들일 수 있다. 따라서, 슬로트 다운시의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위치를 항상 고정밀도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슬로트 아웃시에는 후술하는 이송절환용 샤프트기어(18, 34)와 트레이 레일(76, 80)의 후방 상부의 래크기어부(76b, 80b)가 위치어긋남을 발생시킴이 없이 이맞물림할 수 있어 안정한 동작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레일 위치규제부(77, 81)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트레이 어셈블리(59)가 슬로트 아웃된 상태에서, 사이드샤시(10, 26)에 설치된 사이드샤시 트레이위치 앞측 규제부(13, 29)의 상단면(13a, 29a)에 올라타게 된다. 따라서, 트레이 어셈블리(59)는 그 홈(60c, 60d)과 가이드롤러(4), 도어로크레버(86, 87)의 클리어런스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탄지되어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슬로트 아웃상태에서의 상하 흔들림(덜거덕거리는 현상)이 적어져서 상품으로서의 품위가 높아진다. 좌우의 흔들림에 대해서는 트레이 리프터(2)에 의한 가이드 이외에 사이드샤시 트레이위치 앞측 규제부(13, 29)의 각각의 내측과 사이드샤시(10, 26)의 각각의 후방 내측에 형성된 1쌍의 조임부(10a, 26a)에 의해서 정밀도 좋게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좌우를 가이드함으로써 이동동작의 원활함을 확보한다(제13도 참조).
또, 슬로트 아웃상태에서는 후술하는 트레이 검출레버(89)의 탄성을 이용하여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좌우 흔들림을 일방향으로 탄지하도록 하여 좌우 흔들림을 작게함으로써 상품으로서의 품위를 향상시키고 있다. 즉, 트레이 레일(76, 80)은 그 래크기어부(76b, 80b)를 상기 샤프트기어(18, 34)에 맞물리기 전에 가이드 롤러(4)의 전면측의 1쌍이 상측방향으로 시프트된 홈(60c, 60d)에 가이드되어 트레이 어셈블리(59)의 후방측이 일단 밀어올려진다(제14a도참조). 따라서, 트레이 레일(76, 80)은 그 래크기어부(76b, 80b)의 후방부의 평탄부가 래크슬라이더(14, 30)의 래크기어부(14f, 30f)에 맞물려 있는 샤프트기어(18, 34)의 평탄부(18a, 34a)를 규제하여 이 샤프트기어(18, 34)의 자세를 수정한다(제15a도, 제15b도, 제15c도 참조). 그 후, 샤프트기어(18, 34)는 트레이 레일(76, 80)의 래크기어부(76b, 80b)와 맞물리고, 여기서 후술하는 바와같이 래크슬라이더(14, 30)가 작동하여(제15d도 참조) 트레이 어셈블리(59)가 하강한다.
그리고, 제14b도에 나타낸 슬로트 아웃시에 있어서는, 트레이 프레임(60)의 하측의 래크기어부(60a, 60b)가 제1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일단 이동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안내되므로써 그 백래시(backlash)가 흡수된다. 따라서, 래크기어부(60a, 60b)는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 53)의 소기어부(52a, 53a)와 맞물리기 시작할때 발생하기 쉬운 기어의 튕김이 방지된다.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우측 후방의 프레임내부에는 트레이 프레임(60)과 트레이 플레이트(61)에 축지지되도록 카세트 덮개 로크해제레버(72)가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 덮개 로크해제레버(72)는 덮개로크해제부(72a), 돌기부(72b)를 가지며, 좌우로 회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해제레버 스프링(73)에 의하여 트레이 어셈블리(59)의 내측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제17도 참조). 따라서, 카세트 덮개 로크해제레버(72)는 카세트(200)가 트레이 어셈블리(59)에 수용되었을 때, 카세트(200)의 덮개로크해제버튼(202)을 눌러 덮개로크를 해제한다. 카세트 덮개 로크해제레버(72)의 덮개로크해제부(72a)는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전후좌우로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세트(200)의 착탈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와같이 카세트 덮개 로크해제레버(72)는 트레이 어셈블리(59)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로크해제를 위한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카세트 덮개 로크해제레버(72)는, 덮개로크해제부(72a)가 트레이 프레임(60)의 내측면과 거의 같게 외측으로 탄지된 경우, 그 돌기부(72b)가 트레이 프레임(60)의 홈부(60d)로 돌출된다(제18도참조). 따라서, 카세트의 상하역전되어 오삽입되는 것이 검출된다.
즉, 카세트가 상하역전되어 오삽입되면, 제18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카세트 덮개 로크해제레버(72)는 덮개로크해제부(72a)가 카세트 중간측면에 의해 눌러져서 트레이 프레임(60)의 내측면과 거의 같게 탄지되므로 카세트 덮개 로크해제레버(72)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72b)가 트레이 프레임(60)의 우측의 홈부(60d)로 돌출된다. 이 결과, 돌기부(72b)는 슬로트 인 도중에 트레이 리프터의 가이드롤러(4)에 걸려서 그 이상 슬로트 인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을 상기 제어부(300 : 제11도참조)가 검출하여 그 이상검출이 작동하므로 제어부(300)는 트레이 어셈블리(59)를 배출한다. 물론, 정규의 삽입상태에서는 카세트 덮개 로크해제레버(72)의 덮개로크해제부(72a)가 카세트의 덮개로크해제부에 걸어맞춰지기 때문에, 회동탄지되지 않고 그 돌기부(72b)가 트레이 프레임(60)의 홈부(60d)의 바닥보다 내측에 위치되어 이후의 이송동작이 허용된다(제18a도참조).
트레이 플레이트(61)는 트레이 프레임(60)의 하측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카세트의 중간 대전(帶電)을 어스하기 위하여 도전성의 금속판이 사용된다.
트레이 플레이트(71)의 일면측(이면)에는 선택식 퍼프업기구가 대부분 이 트레이 플레이트(61) 하측 혹은 트레이 프레임(60)내에 상측에서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설치된다(제19도 및 제20도 참조). 즉, 트레이 플레이트(61)의 이면측에는 1쌍의 퍼프업 슬라이더(62, 66)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 플레이트(61)의 전면측의 좌우에는 각각 외측에 스페이서 슬립(65)이 나사고정되며, 이 스페이서 슬립(65)은 퍼프업 슬라이더(62, 66)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긴 구멍(62a, 66a)에 걸어맞춰져서 퍼프업 슬라이더(62, 66)를 좌우방향에 상하방향을 규제하고 전후로 미끄럼동작이 자유롭도록 유지한다. 트레이 플레이트(61)에 나사고정된 스페이서 슬립(65)은 퍼프업 슬라이더(62, 66)의 내측단부의 상하방향을 규제한다.
또, 트레이 플레이트(61)의 좌우 후방에는 스페이서 슬립(69)이 나사고정되며, 이 스페이서 슬립(69)은 퍼프업 슬라이더(62, 66)에 각각 형성된 사각구멍(62b, 66b)에 걸어맞춰져서 이 퍼프업 슬라이더(62, 66)의 상하방향을 규제한다. 상기 퍼프업 슬라이더(62, 66)는 사각구멍(62b, 66b)과 스페이서 슬립(69)의 클리어런스분만큼 상기 트레이 플레이트(61)의 앞측 스페이서 슬립(65)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할 수 있다. 퍼프업 슬라이더(62, 66)에는 각각 카세트 검출돌기(63, 67)가 트레이 플레이트(61)의 도피구멍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카세트 검출돌기(63, 67)가 외측으로 탄지되었을 때에는 트레이 프레임(60)의 좌우에 형성된 수납장소에 수납된다. 퍼프업 슬라이더(62, 66)는 각각 퍼프업 슬라이더 스프링(64, 68)에 의해서 내측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그리고, 카세트(200)가 트레이 어셈블리(59)에 장착되면, 퍼프업 슬라이더(62, 66)는 카세트(200)의 좌우 중간측면에 의해서 퍼프업 슬라이더 스프링(64, 68)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외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퍼프업 슬라이더(62, 66)는 각각 트레이 플레이트(61)와 트레이 레일(76), 트레이 플레이트(61)와 트레이 레일(80)에 접촉되어 있어 도전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이 카세트(200)에 대전된 정전기는 카세트 중간에서 퍼프업 슬라이더 스프링(64, 68), 트레이 레일(76, 80)을 거치고, 가이드 롤러(4)에서 트레이 리프터(2), 트레이 리프터 동작부(3), 사이드샤시(10, 20) 및 메인샤시의 경로로 어스된다.
트레이 플레이트(61)의 전면측 좌우에는 1쌍의 트인구멍(61d)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트인구멍(61d)에는 1쌍의 퍼프업 레버(70)가 설치된다. 퍼프업 레버(70)는 트레이 프레임(60)의 전면측에 축(70b)에 의해서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 퍼프업 레버(70)는 퍼프업 레버 스프링(71)에 의해서 선단이 하향으로 탄지된 상태에서, 그 선단이 트레이 플레이트(61) 상면보다도 약간 위가 될 정도의 거의 동일면상에 위치하도록 퍼프업 슬라이더(62, 66)의 퍼프업 레버 수납구멍(62d, 66d)내에 수납된다. 따라서, 카세트(200)가 장진되었을 때, 카세트(200)는 트레이 플레이트(61)에 맞닿기 전에 퍼프업 레버(70)에 맞닿게 되며, 그 쿠션효과에 의해서 장착시의 충격음의 발생이 경감된다. 그리고, 이 퍼프업 레버(70)가 트레이 플레이트(61)의 퍼프업레버 수납구멍(62d, 66d)에 수용되어 트레이 플레이트(61)의 내측에 약간 위가 될 정도의 거의 동일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므로써, 트레이 어셈블리의 박형화의 촉진에 기여한다.
상기 퍼프업 레버(70)는 그 전단부에 만곡부(7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만곡부(70a)가 퍼프업 슬라이더(62, 66)와 걸어맞춰져 있다. 따라서, 퍼프업 슬라이더(62, 66)가 후방으로 미끄럼동작하면, 퍼프업 레버(70)는 그 선단이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퍼프업 슬라이더(62, 66)가 전방으로 되돌아가면, 퍼프업 레버(70)의 선단은 하강하여 통상위치로 되돌아간다.
퍼프업 슬라이더(62, 66)는 각각의 후방선단에 절곡부(62c, 66c)가 형성되어 있으며, 카세트(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슬로트 아웃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카세트(200)에 의해서 절곡부(62c, 66c)가 외측으로 탄지되기 때문에, 이 절곡부(62c, 66c)가 슬로트 아웃 도중에 후술하는 퍼프업 제어레버(57)에 걸어맞춰진다. 따라서, 퍼프업 슬라이더(62, 66)는 트레이 어셈블리(59)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미끄럼동작하여 퍼프업 레버(70)를 구동시켜서 카세트(200)의 선단을 들어올린다. 따라서, 슬로트 아웃상태에서는 카세트(200)의 앞측이 들어올려져서 꺼내기 쉬운 상태로 된다(제21도 참조).
즉, 카세트(200)가 없는 상태에서 슬로트 아웃된 경우에는 퍼프업 슬라이더(62, 66)가 퍼프업 슬라이더 스프링(64, 68)에 의하여 내측으로 탄지되기 때문에, 각각의 절곡부(62c, 66c)가 퍼프업 제어레버(57)의 내측으로 도피한다. 따라서, 퍼프업 레버(70)는 그 선단이 하강한 상태에서 슬로트 아웃되므로 카세트(200)의 원활한 장착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슬로트 아웃시의 카세트(200)의 앞측이 들어올려져 있는 상태에서 카세트(200)를 꺼내면, 퍼프업 슬라이더(62, 66)는 퍼프업 슬라이더 스프링(64, 68)에 의하여 내측으로 탄지되어 각각의 절곡부(62c, 66c)가 퍼프업 제어레버(57)의 내측으로 도피한다. 따라서, 퍼프업 레버(70)는 퍼프업 레버 스프링(71)에 의하여 초기위치까지 되돌아가고 이것에 수반하여 퍼프업 슬라이더(62, 66)도 전면방향으로 되돌아간다.
또, 퍼프업 슬라이더(62, 66)에는 카세트 검출돌기(63, 67)가 전후방향의 위치를 소정의 간격만큼 벗어난 위치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카세트 검출돌기(63, 67)는 카세트(200)가 트레이 어셈블리(59)에 장착되면 외측으로 타이밍을 늦추면서 밀려나기 때문에 장착시의 밀어내는 힘을 분산하여 원활한 카세트장착을 실현한다. 또, 카세트 검출돌기(63, 67)는 전후방향의 위치를 소정의 간격만큼 벗어난 위치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사용자가 카세트(200)의 꺼냄을 실패한 경우라도 1쌍의 퍼프업 레버(70)중 적어도 하나의 선단이 들어올려진 상태로 되어 계속해서 카세트(200)의 앞측이 떠오른 상태가 유지되므로써, 카세트를 꺼내기 쉬운 상태로 유지되어 용이한 카세트 꺼냄을 실현한다.
상기 퍼프업 슬라이더(62, 66)는 그 사각구멍(62b, 66b)과 스페이서 슬립(69)의 클리어런스를 설정함으로써, 카세트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각 선단의 절곡부(62c, 66c)가 퍼프업 제어레버(57)의 내측에 걸어 맞춰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슬로트 아웃상태에 있어서, 퍼프업 레버(70)는 선단이 들어올려진 상태가 된다. 카세트(200)가 장착되어 카세트(200)에 의해서 눌려 내려지면, 퍼프업 레버(70), 퍼프업 슬라이더(62, 66), 퍼프업 제어레버(57)가 반전되어 트레이 어셈블리(59)가 장착된다. 이 결과, 트레이 어셈블리(59)는 상기한 바와같이 슬로트 인이 가능해진다.
또한, 일련의 퍼프업기구의 설명에서는 좌우 1쌍의 기구를 전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기구적으로는 좌우 어느 일측의 기구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그리고, 퍼프업 슬라이더(62, 66)는 상기한 바와같이 각 퍼프업 슬라이더 스프링(64, 68)에 의해서 내측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따라서, 퍼프업 슬라이더(62, 66)는 슬로트 다운상태에서 카세트(200)가 테이프 구동부에 장착되어 있으면, 퍼프업 슬라이더 스프링(64, 68)의 탄지력을 카세트 검출돌기(63, 67)에 주어 카세트(200)를 협지시킨다. 이 결과, 카세트(200)는 진동이 억제되어 와우플레터(wow and flatter)의 향상, 지터(jitter)의 향상, 소음의 저감등 세트성능의 개선이 이루어진다.
또, 트레이 어셈블리(59)에는 예를들면 VTR세트 출하시에 제2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퍼프업 메모카드라 불리우는 표시부재(91)가 착탈이 자유롭도록 수용된다. 이 표시부재(91)는 예를들면 취급설명등이 기재되어 있으며, 앞측(전면측)에서 되접은 상하 2매로 되어 있으며, 통상은 닫히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제21도의 2점쇄선으로 나타냄). 표시부재(91)의 하면측은 도시하자 않은 퍼프업 레버동작용의 도피구멍을 가지며, 카세트(200)의 저면과 거의 동등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트레이 어셈블리(59)와 거의 같은 압압느낌으로 장착된다. 표시부재(91)의 상면측은 슬로트 아웃상태에서 트레이 어셈블리(59)와 접촉함이 없이 개폐할 수 있도록 약간 작게 되어 있고, 그 표면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취급설명등의 각종 디자인 문자 및 도안이 인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선택식 퍼프업기구의 작동에 의해서 슬로트 아웃상태에서 표시부재(91)는 퍼프업 레버(70)에 의해서 상측방향으로 열려서 구입자의 눈앞에 나타나게 된다.
트레이 프레임(60)의 후방에는 내부 가리개를 겸하는 카세트 스토퍼(82)가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도록 축지지되어 있다(제23도 참조). 카세트 스토퍼(82)에는 회동지지점으로서 축(82a, 82b)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축(82a, 82b)이 그 몰도의 탄성을 이용하여 트레이 프레임(60)의 지지점 구멍(60i, 60j)에 삽입된다. 그리고, 카세트 스토퍼(82)는 제2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트레이 레일(76, 80)이 나사(111)에 의하여 트레이 프레임(60)에 나사고정되면, 이 나사(111)에 의하여 축(82a, 82b)의 빠짐량이 규제되어 그 이탈이 저지된다. 카세트 스토퍼(82)는 카세트 스토퍼 스프링(83)에 의해서 닫히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으며, 슬로트 인의 동작에 연동하여 후술하는 후측 보강판(37)에 설치된 카세트 덮개 오프너(38)에 의해서 카세트(200)의 덮개(201)와 함께 개방된다.
상기 카세트 스토퍼(82)의 회동지지점은 제2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카세트(200)의 덮개(201)의 지지점과 전후상하의 위치를 같게 설정하고 있으며, 장착된 카세트(200)의 덮개(201)와 함께 회동한다. 카세트 스토퍼(82)에는 슬로트 다운에서 개방되었을 때에 상측에서 테이프 구동부의 테이프 주행부품(350)을 볼 수 있는 창부(窓部 : 82c)가 형성되어 있다(제6b도 참조). 한편, 후측 보강판(37)에도 상기 창부(82c)와 같은 구멍(3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장치의 조립상태에 지장없이 테이프 구동부의 테이프 주행조정등의 검사 및 시험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카세트 스토퍼(82)는 슬로트 아웃시에 테이프 구동부를 가려서 사용자의 손가락등이 테이프 구동부로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도 한다. 또, 제2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트레이 플레이트(61)의 후방 좌우에 형성되어 있는 카세트의 전후방향의 스토퍼인 절곡부(61b)를 타고 넘어서 장착된 경우의 최종적인 스토퍼로서도 겸용된다.
이어서, 동작기구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작기구부는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59)를 수납하여 상하로 동작시키는 트레이 리프터 어셈블리(1), 사이드샤시 어셈블리(9, 25), 사이드샤시 어셈블리(9, 25)를 결합유지하는 후측 보강판(37), 앞측 보강판(85), 앞측하단 보강판(55), 구동모터(35)를 감속하여 전달하는 트레이 드라이브 어셈블리(39), 이 구동력을 사이드샤시 어셈블리(9, 25)동기하여 전달하는 구동전달부로 구성되어 있다.
트레이 리프터 어셈블리(1)는 승강기구를 구성하는 것으러서 리프터(2), 가이드롤러(4), 카세트지지용 판스프링(5), 홀드롤러(6), 롤러축(7), 카세트검출스위치(8)로 구성되어 있다. 리프터(2)에는 전후 4곳에 가이드롤러(4)가 회동이 자유롭도록 축지지되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 어셈블리(59)의 홈(76a, 86a)에 걸어맞춰져서 트레이 리프터 어셈블리(1)의 좌우방향의 위치를 규제함과 동시에 전후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상하방향을 유지한다. 리프터(2)에는 좌우전후 4곳에 리프터 동작핀(3)이 설치되어 있다. 이 리프터 동작핀(3)은 후술하는 사이드샤시(10, 26)의 4곳의 가이드구멍(10b, 10c, 26b, 26c)을 관통하여 래크슬라이더(14, 30)의 4곳의 리프트 홈(14a, 14b, 30a, 30b)에 걸어맞춰진다. 샤이드샤시(10, 26)의 가이드구멍(10b, 10c, 26b, 26c)은 리프터 동작핀(3)을 상하로 안내한다. 래크슬라이더(14, 30)의 리프트 홈(14a, 14b, 30a, 30b)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프트 동작핀(3)을 상하로 안내한다. 따라서 트레이 리프터 어셈블리(1)는 전후방향으로 위치규제된 상태에서, 이 래크슬라이더(14, 30)가 후방위치에서는 업 위치로, 앞측위치에서는 다운 위치로 이동안내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샤시(10, 26)의 가이드구멍(10b, 10c, 26b, 26c)은 그중 전후방향의 어느 일방의 리프터 동작핀(3)과 클리어런스가 작게 설정되고, 타방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부품의 제조분산을 흡수하고 또 트레이 리프터 어셈블리(1)의 전후방향 위치규제의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리프터(2)에는 2개의 큰 구멍(2a, 2b)이 형성된다. 이 구멍(2a, 2b)은 세트 조정시의 토크 감시용으로서, 카세트 장진장치를 VTR에 설치한 상태에서 각종 검사등을 실현한다. 또한, 리프터(2)의 구멍(2a, 2b)은 그 주위가 굽힘가공 및 드로잉가공에 의해소 보강이 이루어져 있으며, 판스프링(5)의 유지를 실현하도록 되어 있다.
또, 리프터(2)에는 제2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홀드롤러(6)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설치되어 있다. 이 홀드롤러(6)는 각 롤러축(7)에 의해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판스프링(5)에 축지지되어 트레이 리프터 어셈블리(1)상부의 중앙부근과 좌우단 부군의 3곳에 나사고정되어 카세트 유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판스프링(5)은 이미 휘어져 있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슬로트 인 동작에서 카세트(200)가 삽입되면, 소정량 휘어지면서 카세트(200)를 눌러 유지한다. 홀드롤러(6)는 슬로트 인 동작에서의 카세트 삽입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와 카세트(200)의 상면이 미끄럼동작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카세트 유지부는 상기 C카세트 어댑터(250)의 덮개(252 : 제9도 참조)가 닫히지 않는 상태에서 삽입된 경우에, 덮개(252)를 닫는 동작도 한다. 그리고, 홀드롤러(6)의 위치는 좌우단 부근의 2곳에 대하여 중앙부근을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지게 배치하여 카세트(200)의 평면상의 3점의 면(面)을 누르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카세트 유지의 안정성이 매우 향상된다. 또, 홀드롤러(6)를 중앙부근에 배치하는 것 및 면을 누르는 효과에 의해서 카세트(200)의 진동이 억제되어 와우플레터의 향상, 지터의 향상, 소음의 저감등 세트성능의 향상이 이루어진다. 또, 홀드롤러(6)는 적어도 중앙부근의 것을 고무등의 탄성재 또는 제진재(制振材)로 형성하거나 혹은 중앙부근의 카세트 유지부를 제진구조로 함으로써 더욱 상기 세트성능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상기 세트성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카세트검출돌기(63, 67)에 의한 카세트(200)의 협지와 홀드롤러(6)에 의한 면(面)누름을 하여 카세트(200)의 좌우상하방향의 입체적인 누름을 실현하고 있는 점에서도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 트레이 리프터 어셈블리(1)에는 그 상부의 좌우 후방에 각각 리프터(2)와 판스프링(5) 사이에 끼워지는 2개의 카세트검출스위치(8)가 설치되어 있다. 카세트검출스위치(8)는 제27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스프링(5)에 의하여 동작되며, 통상 판스프링(5)에 눌려서 온(ON)상태로 되어 있고, 카세트(200)가 있으면 판스프링(5)이 소정량 휘어져서 오프상태로 된다(제27b도 참조).
상기 2개의 카세트검출스위치(8)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00)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트레이 어셈블리(59)가 슬로트 인 되었을 경우, 쌍방 모두 오프일 때에만 제어부(300)가 「카세트 있음」이라고 판단하고 트레이 어셈블리(59)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로트 다운위치까지 구동한다. 이때 카세트검출스위치(8)중 어느 일방 혹은 양방이 온 상태에 있을 때에는, 트레이 어셈블리(59)는 후술하는 슬로트 아웃위치와 슬로트 다운위치 사이인 제3정지위치에서 정지된다. 타이밍적으로는 제2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세트검출을 제3정지위치에 도달할때까지 실행할 수 있도록 판스프링(5), 홀드롤러(6), 카세트검출스위치(8)의 위치가 설정되며, 제3정지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특별한 드라이브제어를 할 필요는 없다. 이 제3정지위치는 트레이 어셈블리(59)가 캐비닛(210)내로 수납된 위치이고,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수평이동 종료 위치부근 혹은 상하이동 개시위치부근에 설정된다.
트레이 어셈블리(59)는 카세트(20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캐비닛(210)에 수납할 목적으로 슬로트 인된다. 여기서, 카세트(200)가 수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트레이 어셈블리(59)를 슬로트 다운위치가 아니고 제3정지위치에 정지, 대기시킴으로써 이젝트신호에서 슬로트 아웃종료까지의 시간단축을 도모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리고, 2개의 카세트검출스위치(8)가 트레이 리프터 어셈블리(1)의 좌우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카세트(200)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거나 혹은 정규 카세트 이외의 예를들면 C카세트, β카세트등이 삽입된 경우에도 양측 모두 오프되지 않음으로써 트레이 어셈블리(59)는 제3정지위치를 지나 슬로트 다운위치까지 가는 일이 없다. 또한, 카세트검출스위치(8)는 통상 온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 카세트검출스위치(8)가 고장나서 오프 상태로 되었을 경우에서도 제어부(300)는 「카세트 있음」이라고 판단함으로써, 이후의 통상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카세트(200)가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슬로트 다운위치까지 가게 되나, 후술하는 테이프앤드검출용의 포토센서(23, 47)가 양측 모두 온 됨으로써, 제어부(300)가 이상을 검출하여 트레이 어셈블리(59)를 배출시킨다.
상기 사이드샤시 어셈블리(9)는 사이드샤시(10), 래크슬라이더(14), 래크탄지용 스프링(15), 드라이브기어(16), 샤프트기어 스프링(17), 샤프트기어(18), 센서셔터(19), 셔터 스프링(20), 셔터축 나사(21), 센서홀더(22), 포토센서(23), 트레이 다운 검출스위치(24)로 구성되다. 사이드샤시 어셈블리(25)는 사이드샤시(26), 래크슬라이더(30), 래크탄지용 스프링(31), 드라이브기어(32), 샤프트기어 스프링(33), 샤프트기어(34), 구동모터(35), 구동풀리(36)로 구성된다. 이들 사이드샤시 어셈블리(9, 25)는 도시하지 않은 메인샤시에 나사고정되며, 후측 보강판(37), 앞측 보강판(85), 앞측하단 보강판(55)등에 의하여 문형(門形)의 구조로 조립결합된다.
상기 래크슬라이더(14, 30), 스프링(15, 31), 샤프트기어(18, 34), 샤프트기어 스프링(17, 33)은 좌우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래크슬라이더(14, 30)는 제2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샤시(10, 26)의 외측에 설치되며, 각각에 형성된 수평방향이동 가이드홈(14c, 14d, 30c, 30d)에는 사이드샤시(10)의 래크슬라이더 가이드돌기(11)와 샤이드샤시(26)의 래크슬라이더 가이드돌기(27)가 걸어맞춰져 있다. 이 수평방향이동 가이드홈(14c, 14d, 30c, 30d) 사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 리프터 어셈블리(1)를 상하로 동작시키기 위한 리프트 홈(14a, 14b, 30a, 30b)이 전후로 형성되어 있으며, 리프터(2)의 리프터 동작핀(3)이 걸어맞춰져 있다.
리프트 홈(14a, 14b, 30a, 30b)은 예를들면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평행배치되는 상측 및 하측 수평부를 경사부에서 연설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각 하측 수평부에는 핀 이탈방지용 돌부(141, 142, 301, 302) 및 압착용 단부(143, 144, 303, 304)가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단, 여기서는 제30도에만 도시함). 따라서, 트레이 어셈블리(59)가 테이프 구동부까지 이송되면, 리프터 동작핀(3)은 하측 수평부의 돌부(141, 142, 301, 302)를 넘어서 단부(143, 144, 303, 304)에 도달되어 약간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위치규제된다. 이 결과, 예를들면 후술하는 구동계의 벨트(44)의 반동이나 예기치 않은 진동등의 외력이 래크슬라이더(14, 30)에 가해진 경우, 리프터 동작핀(3)은 단부(143, 144, 303, 304)에 올라타고 있음에 의한 부하에 의하여 그 이동이 방지됨으로써 카세트(200)의 압착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더욱 큰 외력이 가해져서 리프터 동작핀(3)이 단부(143, 144, 303, 304)에서 이동한 경우에는, 리프터 동작핀(3)이 돌부(141, 142, 301, 302)에 걸려서 경사부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리프터 동작핀(3)이 경사부로의 이동에 따른 부상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카세트(200)의 압착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형상은 4개의 리프트 홈(14a, 14b, 30a, 30b) 전부에 형성하였으나 적어도 1곳에 형성하여도 된다.
래크슬라이더(14, 30)는 각각 스프링(15, 31)에 의해서 후방으로 탄지되어 있다. 래크슬라이더(14, 30)의 각각 전방 하측에는 래크기어부(14e, 30e)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드라이브기어(16, 32)와 맞물려서 수평방향으로 동작한다. 래크슬라이더(14, 30)의 각각 후방 상측에는 래크기어부(14f, 30f)와 그 후방부에 평탄부(14g, 30g)가 형성되어 있다. 이 래크슬라이더(14, 30)는, 그 래크기어부(14f, 30f)가 샤프트기어(18, 34)와 맞물려서 수평방향으로 동작됨과 동시에 샤프트기어(18, 34)를 회전동작시킨다. 여기서, 평탄부(14g, 30g)는 래크기어부(14f, 30f)가 샤프트기어(18, 34)가 맞물리기 전에 샤프트기어(18, 34)의 평탄부(18a, 34a)에 맞닿음으로써 샤프트기어(18, 34)의 자세를 수정한다. 그후, 샤프트기어(18, 34)는 래크슬라이더(14, 30)의 래크기어부(14f, 34f)와 맞물린다. 래크슬라이더(14, 30)의 각각의 후방 상측의 래크기어부(14f, 30f)와 그 후방부의 평탄부(14g, 30g)의 상방부는 후측 보강판(37)에 의해서 상방향을 규제함으로써 수평이동이 가이드된다. 또, 래크슬라이더(14, 30)는 래크기어부(14f, 30f)가 샤프트기어(18, 34)와 맞물릴때에는, 그 래크기어부(14e, 30e)의 상단부측이 사이드샤시(10, 26)의 절곡조임부(10d, 26d)에 의해서 상방향이 규제되어 수평이동이 가이드된다. 따라서, 각각의 기어부의 이맞물림을 정밀도 좋게 개시하고 또 계속시킨다.
래크슬라이더(14, 30)의 각 후방에는 제2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앤드검출을 위한 투과광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구멍(14h, 30h)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14h, 30h)은 제2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에 있어서 A-B의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며, 래크슬라이더(14, 30)가 후방에서 앞측으로 수평이동함에 따라서 테이프앤드검출용 광원(400)에서의 투과광이 후방위치에서는 투과, 중간에서는 차폐, 앞측위치에서는 투과시킨다. 이 타이밍으로서는, 예를들면 관통구멍(14h)을 래크슬라이더(14)가 후방위치에서 움직이기 시작한 직후에 투과에서 차폐로 절환되며, 관통구멍(30h)을 관통구멍(14h)이 차폐하고서 약간 경과한 후에 차폐에서 투과로 절환되도록 설정한다. 이것은 제2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토센서(23, 47)의 출력시간차를 갖게하고, 이 테이프앤드검출용의 포토센서(23, 47)의 출력시간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3정지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이다.
래크슬라이더(14, 30)의 각 외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수평한 오목부(14i, 30i)가 형성되며, 이 오목부(14i, 30i)에는 상기 관통구멍(14h, 30h)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오목부(14i, 30i)에는 제3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홀더(22, 45)에 형성된 볼록부(22b, 45b)가 클리러런스를 가지고서 세트 위에서 보아 중복되도록 삽입된다. 이 볼록부(22b, 45b)에는 테이프앤드검출을 위한 투과광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구멍(22a, 45b)이 형성되어 있고, 그 좌우 외측에 테이프앤드검출용 수광소자, 포토센서(23, 47)가 설치된다. 따라서, 예를들면 도시하지 않은 상면 캐비닛의 공기배출구멍등에서 외부 광원이 관통구멍(22a, 45a)을 통과하여 포토센서(23, 47)에 도달하므로 제어부(300)를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 사이드샤시(10)의 후방 내측에는 센서셔터(19)가 셔터축 나사(21)에 의해서 회동이 자유롭도록 축지지되어 있다(제32도 참조). 센서셔터(19)는 상기 광원(400)으로부터의 빛을 포토센서(23)로 투과시키는 투과구멍(10f)을 차폐 혹은 투과하도록 동작하는 레버로서, 통상은 셔터 스프링(20)에 의해서 투과하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센서셔터(19)는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슬로트 인에 연동하여 제3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수평이동이 종료하는 약간 앞측위치, 전면 캐비닛내에 수납된 위치에서, 이 트레이 어셈블리(59)의 형상(16j)에 의해서 작동되어 래크슬라이더(14)의 관통구멍(14h)을 투과하는 투과광을 차폐 혹은 투과시켜 상기 제3정지위치를 소망한 위치로 설정한다. 따라서, 예를들면 제3정지위치를 수평에서 수직으로 동작절환을 하기 이전에 설정하면, 수평동작시에 비해 비교적 큰 구동력이 요구되는 수직동작으로의 구동력의 절환이 가능하게 되어 에너지 절약을 도모한다.
상기 포토센서(23, 47)의 출력은 제어부(300)에 입력된다(제11도 참조). 제어부(300)는 슬로트 인이 개시되고서 제3정지위치에 도달할때까지의 시간을 카운트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동작이상이라 판단하여 구동모터(35)를 반전시키는 이상검출로직(logic)이 짜여져 있다. 이 소정의 시간으로서는 환경변화, 경시(經時)변화, 분산등을 고려하여 통상 몇배의 시간이 설정된다. 예를들면 트레이 플레이트(61)의 구멍(61c)에 손 또는 손가락을 넣은 상태에서 슬로트 인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셔터(19)의 효과에 의해 작은 구동력으로 단시간에 제3정지위치로 이동되게 되고, 그 틈새에 끼이는 힘은 작고 또 구동모터(35)의 반전해제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매우 짧아지게 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안정성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센서셔터(19)를 이용한 이상검출(안전대책)의 수단으로서는, 트레이 프레임(60)의 좌측 후단부의 형상을 바꾸어서, 트레이 어셈블리(59)가 전면 캐비닛에 수용될때까지의 사이에 센서셔터(19)의 차폐, 투과의 동작을 제34도에 나타내는 타이밍으로 수회 반복하는 감시구간을 형성함으로써, 검출의 신속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는 센서셔터(19)의 수회의 차폐, 투과에 의하여 슬로트 인 개시에서 제3정지위치까지를 미세하게 분할하여 각각의 구간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제어부(300)에서 판정하여 이상을 검출하는 것으로, 검출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손 또는 손가락이 끼워진 경우에는 거의 순간적으로 구동모터(35)의 반전이 가능하게 되어 더욱 그 안정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슬로트 인 개시에서 제3정지위치까지의 이상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트레이 어셈블리(59)의 동작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도시하지 않은 슬릿이 형성된 회전판 또는 슬라이드판과 광검출장치의 조합, 트레이 어셈블리(59)에 형성된 복수의 동작부와 스위치의 조합에 의해서 얻어지는 신호로 분할하여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사이드샤시(10, 26)의 후방에는 샤프트기어(18, 34)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각각 축지지되어 있다. 샤프트기어(18, 34)는 각각 샤프트기어 스프링(17, 33)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샤프트기어(18, 3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 레일(76, 80)의 래크기어부(76b, 80b) 및 래크슬라이더(14, 30)의 래크기어부(14f, 30f)에 맞물릴 수 있기 때문에, 트레이 레일(76, 80)의 후방으로의 동작에 의해서 래크슬라이더(14, 30)를 전면방향으로 동작시키고, 래크슬라이더(14, 30)의 후방으로의 동작에 의하여 트레이 레일(76, 80)을 전면방향으로 동작시켜, 트레이 레일(76, 80)과 슬라이더(14, 30)의 동작절환을 한다.
또, 사이드샤시(10, 26)의 각 외측에는 드라이브기어(16, 32)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지지되어 있다. 드라이브기어(16, 32)는 각각 래크슬라이더(14, 30)의 래크기어부(14e, 30e)와 맞물려서 이것들을 동작시키는 기어부(16a, 32a)와, 후술하는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 53)와 맞물려서 구동되는 기어부(16b, 32b)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어부(16a, 32a)와 기어부(16b, 32b)는, 그 기어의 잇수비(gear ratio)가 1:2로 형성되어, 기어의 위상맞춤을 할때, 2개의 기어 이(tooth)마다 위상이 맞는 장소가 있도록 설정되어 조립작업의 간략화를 기하고 있다. 또한, 이 기어의 잇수비가 1:2가 아니더라도 1:정수(整數)로서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 53)의 작은 기어부(52a, 53a)와 큰 기어부(52b, 53b)의 잇수비와 동일하다면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드라이브기어(16, 32)의 외측 기어부(16b, 32b)는 래크 슬라이더(14, 30)의 부상방지의 역할도 겸하고 있으며, 회전시에 래크 슬라이더(14, 30)에 간섭하지 않도록 도피 테이퍼가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샤시(10, 26)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1쌍의 조임부(10a, 26a)가 형성되어 있어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좌우를 정밀도 좋게 안내하고 있다. 또 사이드샤시(10, 26)의 각 후방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1쌍의 사이드샤시 트레이 위치 후측 규제부(12, 28)가 형성되어 있어, 트레이 리프터 어셈블리(1)의 확실한 전후방향의 위치규제와, 트레이레일(76, 80)의 래크기어부(76b, 80b)와 시프트기어(18, 34)와의 정밀도 좋은 기어의 맞물림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사이드샤시(10, 26)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1쌍의 사이드샤시 트레이위치 앞측 규제부(13, 29)가 형성되어 있어, 슬로트 아웃상태에서 트레이 레일위치 규제부(77, 81)와 맞닿아서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좌우를 정밀도 좋게 안내함과 동시에 슬로트 아웃상태에서의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상하유동을 저감시키고 있다.
또, 사이드샤시 어셈블리(25)에는 트레이 다운 검출용의 스위치(24)가 설치된다. 스위치(24)는 수평이동 중인가 상하이동중인가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래크 슬라이더(30)의 하단면(30j)에 의하여 구동되며, 래크 슬라이더(30)가 후방에 있을때, 즉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슬로트 아웃위치에서 수평이동종료때까지는 오프(OFF)된다. 그리고 우측 래크 슬라이더(30)가 앞쪽방향으로 동작한 직후에서 앞쪽방향 동작종료까지의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상하이동개시되어 슬로트 다운 위치까지는 온(ON)된다. 슬로트 아웃위치, 슬로트 다운위치의 판별은 스위치(24)와 트레이 검출스위치(90)와의 조합에 의해서, 트레이 검출스위치(90)만이 온일때는 슬로트 아웃 위치, 트레이 검출 스위치(90)와 스위치(24) 양측이 온일때는 슬로트 다운 위치와 제어부(300)에서 판별한다. 따라서, 예를들면 동작중에 정전 또는 콘센트가 빠져서 검출회로가 리셋된 경우에도, 트레이 어셈블리(59)가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판단하기 위하여 특별한 회로 프로그램을 짤 필요가 없어 신속한 제어가 실현된다.
상기 사이드샤시(10)에는 센서홀더(22)가 고정되어 있다. 센서홀더(22)에는 래크 슬라이더(14)에 대응하여 복수의 볼록부(2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볼록부(22b)에 의해서 래크 슬라이더(14)의 좌측 외부로의 부상을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래크 슬라이더(14)는 단순한 형상의 래크 슬라이더 가이드 보스(11)와의 걸어맞춤만에 의하여, 특히 와셔등의 부착부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확실한 부착이 실현되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센서홀더(22)에는 그 외측에 중계기판(23a)이 부착된다. 이 중계기판(23a)에는 상기 포토센서(23)의 단자가 납땜에 의하여 접속된다. 중계기판(23a)은 캐비닛(210)의 좌측의 공기누출구멍등에서 입사된 광(光)이 투과하여 포토센서(23)를 오동작시키는 일이 없도록 표면이 흑색으로 도장되어 있다. 따라서 포토센서(23)는 외부로부터의 광의 침입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사이드샤시 어셈블리(25)의 후방에는 구동모터(35)가 나사고정되어 있다. 구동모터(35)는 그 샤프트에 구동풀리(36)가 끼워져 있으며, 이 구동풀리(36)에 감겨진 벨트(44)를 통하여 풀리기어(42)를 회전구동한다. 이 벨트(44)에는 도시하지 않은 벨트커버가 씌워지며, 배선재등의 접촉을 방지하고 있다.
또, 사이드샤시 어셈블리(25)의 우측 외부에는 구동모터(35)의 구동력을 감속하여 전달하는 트레이 드라이브 어셈블리(39)가 설치되어 있다. 이 트레이 드라이브 어셈블리(39)는 트레이 드라이브 베이스(40), 감속기어(41), 풀리기어(42), 중계기어(43), 벨트(44), 센서홀더(45), 중계기판(46), 포토센서(47)로 구성되어 있다.
트레이 드라이브 베이스(40)에는 감속기어(41), 풀리기어(42), 중계기어(43)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지지되어 있다. 벨트(44)에 의해서 풀리기어(42)에 전달된 구동력은 풀리기어(42)에 의해서 제1단의 감속이 이루어진 후 감속기어(41)에 전달되고, 감속기어(41)에 의해서 제2단의 감속이 이루어진 후 중계기어(43)에 전달된다. 중계기어(43)는 구동력을 후술하는 콘넥터 기어(50)에 전달한다. 또한, 트레이 드라이브 베이스(40)는 사이드샤시(26)에 고정된다.
또, 트레이 드라이브 베이스(40)의 우측에는 센서홀더(45)가 고정된다. 센서홀더(45)에는 복수의 볼록부(도면 사정상 도시생략)가 래크 슬라이더(30)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 복수의 볼록부는 트레이 드라이브 베이스(40)의 도피구멍에 각각 관통되어 래크 슬라이더(30)의 우측 외부로의 부상을 규제한다. 따라서 래크 슬라이더(30)는 단순한 형상의 래크 슬라이더 가이드 보스(27)와의 걸어맞춤만에 의하여, 특히 와셔등의 부착부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확실한 부착이 실현되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센서홀더(45)에는 그 외측에 중계기판(46)이 부착된다. 이 중계기판(46)에는 상기 포토센서(47)의 단자가 납땜에 의하여 부착된다. 이 중계기판(46)은 캐비닛(210)의 우측의 공기누출구멍에서 입사된 광이 투과하여 포토센서(47)를 오동작시키는 일이 없도록 표면이 흑색으로 도장되어 있다. 따라서 포토센서(47)는 포토센서(23)와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의 광의 침입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 보강판 후부는 후측 보강판(37)과 카세트 덮개 오프너(38)로 구성된다. 후측 보강판(37)은 제3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좌우의 전후에 형성된 4개이상의 위치결정구멍(37b)이 사이드샤시(10, 26)의 상측에 형성된 위치결정부(10g, 26g)에 걸어맞춰지며, 사이드샤시(10, 26)에 나사고정된다. 이 후측 보강판(37)의 4개이상의 위치결정구멍(37b)은 1공정에 의하여 대략 동시가공되어 사이드샤시(10, 26)를 고정밀도의 폭 및 서로의 평행토록 고정밀도로 유지한다. 또, 후측 보강판(37)에는 상기 메인샤시(도시생략)에 탑재된 테이프 주행 부품을 볼 수 있는 구멍(37a)이 형성되며, 이 구멍(37a)는 세트조정작업용 창으로서 제공된다. 카세트 덮개 오프너(38)는 후측 보강판(37)의 하측에 나사고정되어 있으며, 슬로트 인 동작시에 카세트(200)의 덮개(201)와 카세트 스토퍼(82)를 개방하는 동작을 하고 있다(제24도 참조).
상기 보강판 어셈블리(84)는 앞측 보강판(85), 도어 로크레버(86, 87), 2개의 도어 로크레버 스프링(88), 트레이 검출레버(89), 트레이 검출스위치(90)로 구성된다. 앞측 보강판(85)에는 좌우에 위치결정구멍(85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치결정구멍(85a)에는 사이드샤시(10, 26)에 형성된 위치결정부(10e, 26e)가 걸어 맞춰진다. 그리고, 이 앞측 보강판(85)은 사이드샤시(10)(26)에 대하여 나사고정에 의하여 고정밀도의 폭을 갖고서 부착된다. 앞측 보강판(85)은 동작 기구부 케이싱을 보강함과 동시에, 세트 상부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부 캐비닛이 변형될 때의 리미터(limiter)로서의 기능을 겸용한다. 그리고, 카세트(200)를 꺼낼 때에, 예상외의 힘에 의하여 카세트의 앞측이 들어올려졌을 경우에도 앞측 보강판(85)의 전면부가 맞닿아서 규제됨으로써(제36도 참조), 카세트(200)가 캐비닛(210)의 카세트 출입 트인구멍부를 들어올려 변형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앞측 보강판(85)의 전면부를 소정의 각도만큼 상측으로 구부려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 앞측 보강판(85)에는 트레이 검출레버(89)가 회동이 자유롭도록 축지지된다. 또, 앞측 보강판(85)에는 트레이 검출레버(89)에 대응하여 트레이 검출스위치(9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트레이 검출레버(89)는 래크 슬라이더(30)에 의해서 작동제어되며, 트레이 검출스위치(90)를 절환제어한다. 즉, 트레이 검출스위치(90)는 트레이 검출레버(89)의 후방부(89a)가 래크 슬라이더(30)의 볼록부(30k)에 의하여, 또 트레이 검출레버(89)의 전방부(89b)가 트레이 레일(80)의 돌편(80c)에 의하여 작동됨으로써, 슬로트 아웃위치와 슬로트 다운위치의 양 위치에서 온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이 트레이 검출스위치(90)는 상기 위치이외에서 그 복원력에 의하여 트레이 검출레버를 반전시켜 오프상태로 절환된다.
앞측 보강판(85)에는 도어 로크레버(86,87)가 각각 회동이 자유롭도록 축지지된다. 도어 로크레버(86,87)는 동작 포스트(86a,87a), 로크 돌기부(86b,87b), 동작 포스트(86c,87c)를 갖는다. 그리고, 도어 로크레버(86,87)는 상기 트레이 프레임(60)의 홈(60d,60c)에 의하여 제3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됨과 동시에, 이 홈(60d,60c)에 제어되어 캐비닛(210)의 카세트 출입 트인구멍부를 개폐하는 카세트 도어(211)의 로크부재(212)를 로크 또는 해제한다(제38a도, 제38b도, 제39도 참조).
카세트 도어(211)는 캐비닛(210)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축지지되어 있으며, 스프링(213)에 의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한편, 도어 로크레버(86,87)는 각각 도어 로크레버 스프링(88)에 의하여 카세트 도어(211)의 로크부재(212)를 로크하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그리고, 트레이 어셈블리(59)가 슬로트 인 상태에서 슬로트 아웃동작이 개시되면, 트레이 어셈블리(59)에 눌려서 카세트 도어(211)가 스프링(88)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열린다(제38B도 참조). 이때, 도어 로크레버(86,87)는 그 동작 포스트(86c,87c)가 트레이 프레임(60)의 홈(60d,60c)에 걸어맞춰짐으로써,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슬로트 아웃에 수반하여 도어로크레버(86,87)의 로크 돌기부(86b,87b)가 카세트 도어(211)의 로크부재(212)에서 이탈되어 해제된다.
즉 트레이 어셈블리(59)는 슬로트 아웃동작에 수반하여 그 홈(60d,60c)에 도어 로크레버(86,87)의 동작 포스트(86a,87a)가 걸어맞춰짐으로써, 도어 로크레버(86,87)를 도어 로크레버 스프링(88)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회동시켜서 로크 돌기부(86b,87b)에 의한 카세트 도어(211)의 로크부재(212)의 로크를 해제한다. 그후, 트레이 어셈블리(59)가 슬로트 아웃되면, 이 트레이 어셈블리(59)에 의하여 압압됨으로써, 카세트 도어(211)가 스프링(88)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열림위치까지 열려진다.
또한, 카세트 도어(211)의 로크부재(212)의 선단은 도어 로크레버(86,87)의 로크 돌기부(86b,87b)를 밀어 젖히기 위하여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형상은, 가령 카세트 도어(211)가 닫힐 때에 부품 정밀도의 분산등에 의하여 카세트 도어(211)의 로크부재(212)와 도어 로크레버(86,87)의 로크 돌기부(86b,87b)가 간섭하는 일이 있어도 카세트 도어(211)가 최후까지 닫혀지도록 배려한 것이다.
또, 트레이 어셈블리(59)가 슬로트 아웃상태에서 슬로트 인되면, 도어 로크레버(86,87)는 그 동작 포스트(86c,87c)가 트레이 프레임(60)의 홈(60c,60d)에서 빠져나옴으로써 도어 로크레버 스프링(88)에 의하여 회동된다. 이와같이 하면, 도어 로크레버(86,87)는 그 로크 돌기부(86b,87b)가 카세트 도어(211)의 로크부재(212)에 걸어맞춰져서 카세트 도어(211)를 닫는 위치에서 로크한다(제38a도 참조).
이와같이 트레이 어셈블리(59)는 캐비닛(210)내에 수납된 슬로트 인상태에서는, 카세트 도어(211)가 닫힌 상태에서 로크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로트 아웃시에 사용자의 손이 끼워지는 등의 손상방지를 도모한다.
카세트 도어(211)와 캐비닛(210) 사이에는 제2오픈/크로스 스위치(100)가 도시하지 않은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으며(제39도 참조), 카세트 도어(211)가 닫힌 위치에서 이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하여 절환작동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2오픈/크로스 스위치(10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오프상태로 되어 있으며, 카세트 도어(211)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닫히는 방향으로 더 눌러졌을 때에 제2오픈/크로스 스위치(100)가 온된다. 또한, 카세트 도어(211)의 리미터인 탄성부재는 제2오픈/크로스 스위치(100) 그 자체를 겸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카세트 도어(211)가 닫혀있을 때에는, 예를 들면 별도로 설치된 오픈/크로스 스위치(101)을 압압조작함으로써 슬로트 아웃시킬 수 있고, 그외 카세트 도어(211)를 압압 조작함에 의해서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오픈/크로스 스위치(100) 및 오픈/크로스 스위치(101)는 각각의 출력단이 상기 제어부(300)에 접속되며, 그 온-오프에 따라 제어부(300)가 카세트 도어(211)를 개폐한다.
앞측 보강판 어셈블리(54)는 압측하단 보강판(55), 좌우 2개의 퍼프업 제어레버 유지판(56), 좌우 2개의 퍼프업 제어레버(57), 좌우 2개의 퍼프업 제어레버 스프링(58)으로 구성된다. 앞측하단 보강판(55)은 사이드샤시(10,26)와 앞측 보강판(85)에 협지되는 형태로 부착되어 있다. 앞측하단 보강판(55)은 동작기구부 케이싱을 보강함과 동시에, 사이드샤시(10,26) 사이의 고정밀도의 폭을 유지하고, 또 사용자에 대하여 기구내부를 가리는 작용을 한다. 앞측하단 보강판(55)의 좌우부에는 상기 퍼프업 제어레버(57)를 회동이 자유롭도록 축지지한 퍼프업 제어레버 유지판(56)이 나사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퍼프업 제어레버(57)는 트레이 어셈블리(59)의 퍼프업 슬라이더(62,66)의 절곡부(62c,66c)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선택적 퍼프업 기구를 동작한다. 퍼프업 제어레버(57)는 퍼프업 제어레버 스프링(58)에 의하여 퍼프업 슬라이더(62,66)의 절곡부(62c,66c)에 걸어맞춰지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으며, 슬로트 아웃동작에서는 퍼프업 슬라이더(62,66)의 절곡부(62c,66c)에 걸어맞춰져서 이것을 동작시키고, 슬로트 인동작시에서는 퍼프업 슬라이더(62,66)의 절곡부(62c,66c)에 눌려서 도피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구동력을 좌우 사이드샤시부에 동기하여 전달하는 구동전달부는 콘넥트 스프링(49), 콘넥트기어(50), 트레이 드라이브 샤프트(51),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53)로 구성된다. 트레이 드라이브 샤프트(51)는 사이드 샤시(10,26)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그 좌우 양단에는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53)가 축지지된다.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53)는 제4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 프레임(60)의 래크기어부(60a,60b)와 맞물려서 이것들을 동작시키는 작은 기어부(52a,53a)와 이 작은 기어부(52a,53a)의 외경보다도 약간 지름이 크고 사이드샤시(10,26)에 지지되는 축받이부(52d,53d)와, 래크 슬라이더(14,30)의 래크기어부(14e,30e)와 맞물려서 이것들을 동작시키는 큰 기어부(52b,53b)로 구성된다(제41도 참조). 따라서,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53)는 단순한 상하분할 형틀로 수지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53)는 제4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6각의 압출성형된 트레이 드라이브 샤프트(51)에 부착되고, 그 작은 기어부(52a,53a)는 6배수의 잇수로 설정된다. 따라서,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53)는 좌우 기어의 위상을 고려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작은 기어부(52a,53a)와 큰 기어부(52b,53b)의 기어 잇수비는 드라이브기어(16,32)의 기어부(16a,32a)와 기어부(16b,32b)의 기어 잇수비와 같은 1 : 2(예를 들면 12개 : 24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작은 기어부(52a,53a)와 큰 기어부(52b,53b)에는 2개의 기어 잇수마다 위상이 일치하는 마크 X가 서로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으며(제41도 참조), 서로의 마크가 일치되도록 조립된다. 또한, 이 기어의 잇수비는 1 : 2가 아니더라도, 1 : 정수로서 드라이브기어(16,32)의 내측 기어부(16a,32a)와 외측 기어부(16b,32b)의 기어 잇수비와 같다면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53)는 그 작은 기어부(52a,53a)를 드라이브기어(16,32)의 기어(16a,32a)와 같은 잇수로 형성하고 트레이 레일(76,80)의 래크기어부(76b,80b) 및 래크 슬라이더(14,30)의 래크기어부(14f,30f)를 동일한 샤프트 기어(18,34)로 작동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나, 반드시 같은 잇수, 같은 모듈일 필요는 없다. 이 경우에는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53)의 작은 기어부(52a,53a)와 드라이브기어(16,32)의 내측 기어부(16a,32a)의 피치원 지름의 비와 샤프트기어(18,34)의 기어부의 피치원 지름의 비를 같게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드라이브기어(16,32)의 기어부(16a,32a)의 피치원 지름에 대하여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53)의 작은 기어부(52a,53a)의 피치원 지름을 크게 한 경우에는,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53)에 의해서 구동되는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수평이동의 감속비가 커지게 되어 손가락이나 손이 끼워졌을 때의 힘이 약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이동의 동작부하는 상하이동의 동작부하에 비하여 작고,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피치원 지름을 상이하게 하여 각각에 적정한 감속비를 부여함으로써, 구동모터(35)를 1종류의 구동전원으로 안전하고 또 신뢰성이 높은 구동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이동용 구동전압을 상하이동에 비하여 낮게 설정하지 않고, 수평이동 및 상하이동의 쌍방을 1종류의 구동전압으로 설정하여 손가락이나 손이 끼워졌을 때의 힘이 약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슬로트 인동작이 저속화되지 않는다.
또,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3)에는 콘넥트 스프링(49)을 개재하여 콘넥트기어(50)가 동축적으로 설치된다. 콘넥트기어(50)는 중계기어(43)에서의 구동력이 전달되며,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53), 트레이 드라이브 샤프트(51)에 전달한다. 이와 같이 구동력은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53)은, 트레이 드라이브 샤프트(51)에 전달된 후, 좌우의 사이드샤시부에 전달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중간경로의 기어의 백래시의 영향이 제거되어 원활한 슬로트 인, 슬로트 아웃동작이 얻어진다.
콘넥트 스프링(49)은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3)와 콘넥트기어(50)의 각각에서 돌출되어 있는 보스(53c,53a)에 걸어 붙여진다. 슬로트 아웃상태에서는 콘넥트기어(50)의 구동력이 콘넥트 스프링(49)를 통하여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3)에 전달된다(제43b도 참조). 그리고 슬로트 인상태에서는 콘넥트기어(50)의 구동력이 직접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3)에 전달된다(제43a도 참조). 또 슬로트 아웃상태에서 슬로트 인을 개시하려고 트레이 어셈블리(59)가 압압조작된 경우에는 트레이 어셈블리(59)의 래크기어부(60a,60b)에 의해서 트레이 드라이브 기어(52,53)가 회전된다. 이때, 콘넥트기어(50)는 구동모터(35)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 동작부하가 커서 회전할 수 없으나, 콘넥트 스프링(45)이 휘어짐으로써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53)를 회전시킨다(제43c도 참조).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작동부가 트레이 검출레버(89)에서 벗어나면, 이것에 의해서 상기 트레이 검출스위치(90)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며, 여기서 구동모터(35)가 회전되어 슬로트 인이 개시된다.
또한,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53)는 트레이 검출스위치(90)가 온에서 오프로 절환된 상태에서, 콘넥트기어(50)에 대하여 콘넥트 스프링(49)의 휘어지는 양만큼 상대적으로 더 회전할 수 있는 여유가 있다. 따라서, 콘넥트 스프링(49)을 트레이 어셈블리(59)가 그 탄지력에 저항하여 압압조작하는 만큼의 작은 조작력으로 하면, 그 휘어지는 양만큼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이동을 허용하여 트레이 검출스위치(90)를 온시키며, 상기한 바와 같은 슬로트 인동작이 개시된다.
콘넥트 스프링(49)의 대체안으로서, 트레이 어셈블리(59)에 슬로트 아웃위치를 유지하는 클릭기구등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슬로트 아웃상태에서 클릭기구등으로 슬로트 아웃위치를 유지할때까지 구동모터(35)를 계속 회전시키고, 그후, 트레이 검출스위치(90)가 온에서 오프로 절환된 상태에서 구동모터(35)를 약간 역회전시켜서 콘넥트기어(50)를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5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53)는 슬로트 아웃상태에서 트레이 드라이브 기어(53)와 콘넥트기어(50)의 보스(53a,53a)가 맞닿을때까지 구동모터(35)에서 떨어진다. 따라서, 슬로트 인시키기 위한 삽입력으로서는 클릭기구등을 해체하는 힘만으로 족하며,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작은 조작력으로 슬로트 인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콘넥트 스프링(49)에 있어서는, 상기 클리기구등을 이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슬로트 아웃된 후에도 계속 회전시켜 콘넥트 스프링(49)이 휘어져서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3)와 콘넥트기어(50)의 각각에서 돌출되어 있는 보스(53c,50c)에 의해서 직접 구동력을 전달하여 슬로트 아웃동작을 완료시킨다. 이어서 트레이 검출스위치(90)가 온에서 오프로 절환된 상태에서 구동모터가 약가 역회전되어 정지되며, 콘넥기어(50)는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5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소정각도 회전된다. 따라서, 콘넥트 스프링(49)의 탄지력이 더 경감되어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작은 조작력으로 슬로트 인이 가능해진다.
상기 사이드샤시 어셈블리(25)의 외측에는 댐퍼(92)가 상기 드라이브기어(32)에 맞물리게 설치된다. 댐퍼(92)는 슬로트 아웃동작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예를 들면 일방향 클러치 기능을 갖게 하여 슬로트인할때에 댐퍼기능이 작용하지 않고 슬로트 아웃할때에 댐퍼기능이 작용하도록 하여 슬로트 인을 위한 조작력이 댐퍼분만큼 경감되도록 설치한다. 댐퍼(92)는 제4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라이브기어(32)에 맞물리는 기어부(92a)와 댐퍼본체(92b)로 구성된다. 댐퍼본체(92b)에는 제4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보스(92c)가 기어부(92a)의 회전중심축과 동축이 되도록 설치되어, 이 회전보스(92c)는 상기 사이드샤시(26)에 형성된 안내용 긴구멍(26f)을 관통하여 사이드샤시(26)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 회전보스(92c)에는 사이드샤시(26)의 내측에서 도피부(110a)와 걸림부(110b)를 가진 회전판(110)이 고정되어 있어 댐퍼(92)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또 긴 구멍(25f)을 따라서 미끄럼동작이 자유롭도록 유지되어 있다. 사이드샤시(26)에는 회전판(110)의 걸림부(110b)와 걸어맞춰지는 걸림돌기(26g)가 형성된다.
즉, 제46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라이브기어(32)가 슬로트 아웃방향으로 회전하였을 경우, 댐퍼(92)는 회전보스(92c)와 긴 구멍(26f)의 약간의 회전부하와 드라이브기어(32)의 회전방향에 의하여 전면방향으로 탄지되어 사이드샤시(26)의 걸림돌기(26g)와 회전판(110)의 걸림부(110a)가 걸어맞춰진다. 따라서, 댐퍼(92)는 댐퍼본체(92b)의 회전이 제지되기 때문에 댐퍼기능이 작동한다(제46B도 참조).
또, 드라이브기어(32)가 슬로트 인방향으로 회전되었을 경우, 댐퍼(92)는 드라이브기어(32)이 회전방향과, 회전보스(2c)와 긴 구멍(26f)의 약간의 회전부하 및 회전판(110)의 도피부 형상에 의하여 후측방향으로 탄지되어 회전판(110)의 걸림부(110b)가 사이드샤시(26)의 걸림돌기(26g)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댐퍼(92)는 댐퍼본체(92b)가 기어부(92a)와 함께 회전되어 댐퍼기능이 작동하지 않게 된다(제46a도 참조). 이와 같은 드라이브기어(32)의 회전방향과, 사이드샤시(26)의 긴 구멍(26f)과, 회전보스(92c)와 긴구멍(26f)의 약간의 회전부하와, 사이드샤시(26)의 걸림돌기(26g)와, 회전판(110)이 협동하여 일방향 유효댐퍼를 구성한다.
다음은 카세트(200)의 장착 및 꺼냄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카세트(200)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정지상태에서는, 트레이 어셈블리(59)가 제3정지위치에서 정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트레이 어셈블리(9)를 슬로트 아웃할 경우에는 오픈/크로스 스위치(101) 혹은 카세트 도어(211)를 압압조작한다. 이와 같이 하면, 오픈/크로스 스위치(101) 혹은 카세트 도어(211)에 의해서 작동되는 제2오픈/크로스 스위치(100)가 온되며, 온신호를 제어부(300)에 출력한다(제11도 참조). 제어부(300)는 온신호에 응동하여 구동회로(301)에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구동회로(301)는 구동모터(35)를 전원회로(302)에서의 제1전압으로 구동모터(35)를 회전시켜 트레이 어셈블리(59)를 슬로트 아웃시킨다. 이때, 테이프 카세트(200)가 삽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트레이 어셈블리(59)는 그 선택식 피프업기구의 작용에 의해서 2개의 피프업레버(70)가 하강한 위치에 제어되어 카세트(200)가 수용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59)가 전면방향으로 이동해 가는 도중에 트레이 검출레버(89)가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작동부에 의해서 동작되어 트레이 검출스위치(90)가 오프에서 온으로 절환된다. 제어부(300)는 이것을 검출하여 구동모터(35)를 제1전압으로 소정시간 계속 회전구동시킨 후, 제2전압으로 구동모터(35)를 소정시간 반전시키고, 이어서 구동모터 단자간을 쇼트하여 브레이크를 걸어서 정지시키고, 그후, 구동모터 단자간을 오픈으로 하여 대기시킴으로써 슬로트 아웃상태가 유지된다. 이 슬로트 아웃시에 있어서의 제1전압은 통상의 동작을 하는 전압이고, 제2전압은 안전대책을 위해 설정된 전원회로에 제1전압보다 낮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슬로트 아웃 종료시에 있어서, 소정시간 계속 회전시키는 것은 확실하게 앤드위치까지 밀어내기 위해서이고, 그후 구동모터(35)를 소정시간 반전시키는 것은 콘넥트기어(50)를 트레이 드라이브 기어(52,53)에 대하여 소정량만큼 상대적으로 회전시켜서 다음의 슬로트 인동작을 위한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압압조작을 갖추기 위해서이다. 이 소정량의 상대적 회전은 구동모터(35)의 소정시간 반전을 제2전압으로 하는 것과 그 후의 구동모터 단자간 쇼트 브레이크에 의해서 트레이 어셈블리(59)가 밀어내어졌을 때에 트레이 검출스위치(90)가 온에서 오프로 절환된 후에도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3)가 콘넥트기어(5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소정의 여유가 있는 위치에 정밀도 높게 정지시킬 수 있다.
또, 구동모터의 단자간의 오픈은, 가령 어떤 원인에 의해서 구동모터(35)가 구동되지 않았을 경우의 대책이다. 예를 들면, 매뉴얼 조작에 의해서 트레이 어셈블리(59)를 캐비닛(210)내로 밀어 넣을 경우에는 도중에 구동모터(35)가 동작상태로 되는데, 그때까지 구동모터 단자간이 오픈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압압조작력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세트 전원이 들어오지 않은 상태에서도 구동모터 단자간이 오픈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가벼운 압압조작력으로 트레이 어셈블리(59)를 캐비닛(210)내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이어서, 슬로트 아웃상태에서 슬로트 인시킬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오픈/크로스 스위치(101)를 절환 조작 혹은 트레이 어셈블리(59)를 압압조작함으로써 실시된다. 즉, 오픈/크로스 스위치(101)가 눌려진 경우에는 이 스위치(101)의 온을 제어부(300)가 검출하여 구동모터(35)를 구동회로(301) 및 전원회로(302)를 통하여 제2전압으로 회전시켜 슬로트 인시킨다. 그리고, 트레이 어셈블리(59)가 압압조작된 경우, 트레이 어셈블리(59)의 래크기어부(60a,60b)에 의해서 동작되는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53)는 콘넥트 스프링(49)이 휘어짐으로써, 콘넥트기어(5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구동모터(35)와 떨어지기 때문에 가벼운 압압조작력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트레이 어셈블리(59)가 밀어넣어져서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작동부가 트레이 검출레버(89)에서 벗어나면, 트레이 검출스위치(90)는 온에서 오프로 절환된다. 이와 같이 절환되면, 제어부(300)는 이것을 검출하여 구동모터(35)를 구동회로(301) 및 전원회로(302)를 통하여 제2전압으로 회전시켜 슬로트 인시킨다.
슬로트 아웃 종료시에는 테이프앤드검출을 위한 투과광은 투과상태로 되고, 수평이동의 종료부근인 상기 제3정지위치에서는 래크슬라이더(14) 또는 센서셔터(19)와 래크슬라이더(30)의 동작에 의해서 좌측이 차폐, 우측이 투과로 된다.
또한, 카세트(200)가 장착되지 않고 슬로트 인된 경우에는 제3정지위치의, 테이프앤드검출을 위한 투과광의 좌측이 차폐로 절환된 위치에서, 카세트 검출스위치(8)가 오프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어부(300)가 이것을 검출하여 제3정지위치에서 구동모터(35)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카세트(200)를 장착하고서 슬로트 인되면, 카세트 검출스위치(8)는 제3정지위치 바로 앞에서 온에서 오프로 절환된다. 이와 같이 절환되면, 제어부(300)는 테이프앤드검출을 위한 투과광의 좌측이 차폐로 절환된 위치를 제3정지위치라 판단하고, 구동모터(35)의 전압을 제2전압에서 제1전압으로 절환하는 절환 신호를 구동회로(301)에 출력한다. 구동회로(301)는 전원회로(302)에서의 전압을 제1전압으로 절환하여 구동모터(35)를 구동제어함으로써 더 슬로트 인동작시킨다. 트레이 어셈블리(59)는 그 래크기어부(50a,60b)와 맞물려 있는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53)에 의해서 후방으로 수평동작되는데, 트레이 레일(76,80)은 수평이동의 종료위치에서 그 래크기어부(76b,80b)가 샤프트기어(18,34)와 맞물려서 이것을 동작시킨다. 따라서, 샤프트기어(18,34)가 래크슬라이더(14,30)의 래크기어부(14f,30f)와 맞물리므로 래크슬라이더(14,30)가 전면방향으로 동작된다. 트레이 어셈블리(59)의 트레이 프레임(60)의 래크기어부(60a,60b)는 트레이 드라이브기어(52,53)에서 벗겨지고, 래크슬라이더(14,30)가 드라이브기어(16,32)에 절환식으로 맞물려서 더욱 전면방향으로 동작되므로 트레이 어셈블리(59)가 트레이 리프터 어셈블리(1)에 수용되어 유지된다. 이와 같이 래크슬라이더(14,30)가 전면방향으로 동작하면, 래크슬라이더(14,30)의 리프트 홈(14a,20a,20b)에 의해서 리프터 동작부(3)가 안내되어 트레이 리프터 어셈블리(1)가 하강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트레이 어셈블리((59)가 하강하여 카세트(200)를 테이프 구동부에 장착한다. 이 래크슬라이더(14)의 전면방향의 이동에 연장하여 스위치(24)는 오프에서 온으로 절환된다. 동시에 래크슬라이더(30)는 전면방향의 이동종료위치에서 트레이 검출레버(89)를 동작하여 트레이 검출스위치(90)를 오프에서 온으로 절환한다. 여기서, 제어부(300)는 스위치(24)가 온상태이고 트레이 검출스위치(90)가 오프에서 온으로 절환된 것을 검출하여 구동모터(35)를 정지시킴으로써 슬로트 인 동작을 종료시킨다.
또한, 제어부(300)는 슬로트 인개시에서 제3정지위치까지의 소용시간을 감시하고 있기 때문에, 통상의 동작시간에 여유계수를 곱하여 설정되는 이상 검출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는 이상검출이 작동하여 구동모터(35)를 반전시킴으로써 트레이 어셈블리(59)를 배출시킨다. 따라서, 카세트(200)가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수로 손 또는 손가락을 넣은 상태로 슬로트 인되어 캐비닛(210)과 트레이 프레임(60) 사이에 끼워진 경우에는, 이상검출이 작동하여 구동모터(35)를 반전시켜 해제함으로써, 슬로트 아웃된다. 이때, 슬로트 인의 수평이동은 제2전압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만일 손이나 손가락이 끼워진 경우에도 사용자의 안전이 보장된다.
상기 감시하는 시간으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슬로트 인개시시에서 제3정지위치까지의 시간으로 하지 않고, 슬로트 인개시에서 카세트 검출스위치(8)가 온에서 오프로 절환될때까지를 감시구간으로서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카세트 검출스위치(8)가 절환되는 위치를 제3정지위치의 약간 앞이 되는 위치 또는 트레이 어셈블리(59)가 캐비닛(210)내로 들어가는 위치로 설정하고, 이 카세트 검출스위치(8)가 절환될때까지를 감시하는 시간으로 한다. 따라서, 통상의 동작시간에 여유계수를 곱하여 설정되는 이상검출시간이 단축되어 더욱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 카세트가 장착된 경우의 슬로트 인 도중에 구동모터(35)의 제2전압에서 제1전압으로의 절환을 카세트 검출스위치(8)의 절환위치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도 카세트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슬로트 인에 있어서의 제3정지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우선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슬로트 인된 트레이 어셈블리(59)에서 카세트를 꺼내고자 할때에는 제차 오픈/크로스 스위치(101)를 절환조작하거나, 또는 트레이 어셈블리(59)를 압압조작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어부(300)는 오픈/크로즈 스위치(101) 또는 제2오픈/크로스 스위치(100)가 온된 절환신호를 검출하여 구동모터(35)를 제1전압으로 슬로트 아웃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슬로트 인의 경우와는 반대의 수순에 의하여 드라이브기어(16), 드라이브기어(32)에서 트레이 레일(76), 트레이 레일(80)로 동작절환되어 트레이 어셈블리(59)가 슬로트 아웃된다. 그리고 슬로트 아웃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식 퍼프업기구가 작용하여 퍼프업레버(70)의 일측 단부를 상승시켜 트레이 어셈블리(59)내의 카세트의 전면측을 밀어 올린다. 여기서, 사용자는 카세트를 트레이 어셈블리(59)내에서 꺼낼 수 있다. 카세트(200)가 꺼내지면, 상기 퍼프업레버(70)는 재차 선택식 퍼프업기구의 작용에 의해서 일측 단부가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되어 수용됨으로써 다음의 카세트 장착에 대비된다.
이와같은 상기 카세트 장진장치는, 캐비닛(210)의 트레이 출입구에 카세트 도어(211)를 개폐가 자유롭도록 설치하고, 이 카세트 도어(211)를 폐위치에서 로크하는 도어로크해제(86,87)를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슬로트 인 슬로트 아웃동작에 연동하여 안내용 홈(60c,60d)에 의하여 작동제어되게 함으로써 로크 및 로크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이것에 의하면, 도어로크레버(86,87)가 트레이 어셈블리(59)의 이송기구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카세트 도어(211)의 로크 및 로크해제동작이 실현된다. 이 결과 안정성이 높은 슬로트 인 및 슬로트 아웃동작이 실현된다. 또, 도어로크레버(86,87)를 이송기구의 작동에 연동시킴으로써, 구성부품의 겸용이 가능하게 되어 구성의 간략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카세트 도어(211)가 슬로트 아웃된 트레이 어셈블리(59)에 의해서 열려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 트레이 어셈블리(59)에 의하지 않고서 카세트 도어(211)를 열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그외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의 변형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산업상의 이용분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카세트 장진장치에 의하면, 카세트 도어를 로크하기 위한 도어로크수단을 트레이 이송기구와 유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트레이슬로트 인 및 슬로트 아웃동작에 연동하는 도어로크 및 로크 해제가 실현된다. 따라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적합한 안정성이 높은 트레이식의 카세트 장진 시스템의 구책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4)

  1. 자기테이프가 감겨진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가 장착되는 테이프 구동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카세트가 착탈되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제1위치와 상기 카세트를 상기 테이프 구동부에 장착하는 제2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이동제어하는 이송기구와, 상기 트레이가 출입하는 상기 캐비닛의 트레이 출입구에 개폐가 자유롭도록 설치되는 카세트도어와, 상기 카세트도어를 닫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것으로, 상기 트레이의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트레이에 의해서 상기 카세트도어가 열려지는 것을 허용하는 탄지수단과, 상기 카세트도어를, 상기 트레이가 상기 캐비닛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폐위치에서 로크하는 도어로크수단과,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의 상기 캐비닛내의 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도어로크수단을 작동시켜서 그 로크를 해제하여 상기 트레이의 제1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도어해제수단을 구비한 카세트 장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로크수단은, 상기 카세트도어를 폐위치에서 로크하는 것으로서, 상기 로크해제수단에 작동되어 상기 카세트도어의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부재와, 상기 로크부재를 로크방향으로 탄지하는 것으로, 상기 트레이의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도어로크해제수단에 의한 상기 로크부재의 로크해제를 허용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트레이를 제1위치로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도어는, 상기 로크부재의 로크부에 대향하여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된 피(被)로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진장치.
KR1019910701720A 1990-03-31 1991-03-29 카세트 장진장치 KR940011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82956A JPH03286457A (ja) 1990-03-31 1990-03-31 カセット装填装置
JP90-82956 1990-03-31
PCT/JP1991/000415 WO1991015846A1 (en) 1990-03-31 1991-03-29 Device for loading casset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965A KR920701965A (ko) 1992-08-12
KR940011347B1 true KR940011347B1 (ko) 1994-12-05

Family

ID=13788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1720A KR940011347B1 (ko) 1990-03-31 1991-03-29 카세트 장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43478A (ko)
EP (1) EP0478791B1 (ko)
JP (1) JPH03286457A (ko)
KR (1) KR940011347B1 (ko)
DE (1) DE69109597T2 (ko)
WO (1) WO19910158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08097B1 (en) * 1991-03-11 1996-08-14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capable of loading a plurality of cassettes
US5430588A (en) * 1993-02-25 1995-07-04 Wangda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atching an access door of a magazine loading tape drive
DE19511858A1 (de) * 1995-03-31 1996-10-02 Nsm Ag Wiedergabe-/Aufzeichnungs- und/oder Ausgabegerät für Informationsträger
KR0170305B1 (ko) * 1995-11-08 1999-04-15 김광호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도어 잠금장치
JP3114636B2 (ja) * 1996-12-25 2000-12-04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2002260319A (ja) * 2001-02-28 2002-09-13 Pioneer Electronic Corp 記録媒体挿入口の開閉装置
KR100464422B1 (ko) * 2002-07-03 2005-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잠금수단을 갖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프런트 패널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JP3918766B2 (ja) * 2003-04-22 2007-05-23 日本電気株式会社 媒体自動交換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6164A (ja) * 1985-05-30 1986-12-06 Pioneer Electronic Corp カセツトロ−デイング装置
DE3644284A1 (de) * 1985-12-23 1987-06-25 Gold Star Co Bandkassetten-lademechanismus fuer ein kassetten-videobandgeraet
JPS62295291A (ja) * 1986-06-14 1987-12-22 Alps Electric Co Ltd ドア装置
JPS63214954A (ja) * 1987-03-03 1988-09-07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EP0307917B1 (en) * 1987-09-17 1992-02-19 Sanyo Electric Co., Ltd. Front door mechanism for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use with cassette
CA1309801C (en) * 1987-09-18 1992-11-03 Elizabeth A. Boggs Process for olefin polymerization
US4972278A (en) * 1987-10-15 1990-11-20 Victor Company Of Japan, Ltd. Tape cassette driving system compatible with two cassette types of different siz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965A (ko) 1992-08-12
EP0478791B1 (en) 1995-05-10
EP0478791A4 (en) 1992-06-17
EP0478791A1 (en) 1992-04-08
DE69109597T2 (de) 1995-10-26
WO1991015846A1 (en) 1991-10-17
US5243478A (en) 1993-09-07
JPH03286457A (ja) 1991-12-17
DE69109597D1 (de) 1995-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1348B1 (ko) 카세트 장진장치
KR940011347B1 (ko) 카세트 장진장치
US4628382A (en) Cassette loading device for VTR
KR940011350B1 (ko) 카세트 장진장치
EP0431966B1 (en) Cassette loading device for video cassette recorder
KR940011349B1 (ko) 카세트 장진장치
KR940011351B1 (ko) 카세트 장진장치
JPH03286463A (ja) カセット装填装置
JPH03286456A (ja) カセット装填装置
JPH03286461A (ja) カセット装填装置
JPH03286462A (ja) カセット装填装置
JPH03286458A (ja) カセット装填装置
JPH0419861A (ja) カセット装填装置
JPH03286455A (ja) カセット装填装置
JPH03286464A (ja) トレイ移送機構
JPH03286454A (ja) 歯車伝達機構
US5295025A (en) Cassette data detecting apparatus of system for mounting a plurality of cassettes
JPH059335B2 (ko)
KR200147773Y1 (ko) 카세트테이프삽입및취출장치
RU2125742C1 (ru) Кассетный блок магнитофона
JPH05258422A (ja) トレイ方式カセット装填機構の扉開閉装置
KR920002125Y1 (ko)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JPS6222262A (ja) ビデオテ−プレコ−ダ
JPH04241081A (ja) カード取扱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