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125Y1 -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125Y1
KR920002125Y1 KR2019850008660U KR850008660U KR920002125Y1 KR 920002125 Y1 KR920002125 Y1 KR 920002125Y1 KR 2019850008660 U KR2019850008660 U KR 2019850008660U KR 850008660 U KR850008660 U KR 850008660U KR 920002125 Y1 KR920002125 Y1 KR 9200021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sub
tape
main
componen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8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011U (ko
Inventor
히사야 나리따
히로야스 끼사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20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0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1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1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63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erpendicular to its main side, i.e. top loading
    • G11B15/6756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erpendicular to its main side, i.e. top loading of the cassette with holder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의 일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부분 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예의 주요부에 있어서의 각부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이용되는 부분 개략단면도.
제 3 도 및 제 4 도는 종래의 신축 외장 케이스를 갖는 카셋트식 테이프 플리이어와 그것에 장착되는 테이프 카셋트를 함께 도시한 투시도 및 개략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장 케이스 1a : 본체측 부분
1b : 덮개측 부분 2 : 주구성부
3 : 부구성구 9 : 테이프 카셋트 수용부
10 : 안내판 부재 11 : 핀
13 : 검출 레버 부재 15 : 검출부
본 고안은, 소형화 및 경량화가 도모되어서 휴대에 편리한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컴팩트 카셋트 테이프를 사용하여 음성신호등의 기록 및 재생, 또는, 재생만을 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그 외장 케이스가 카셋트, 테이프에 대한 구동 기구등의 주요부를 내장한 주구성부와 이것으로부터 인출되거나 또는 이것에 압착 삽입되도록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부구성부로 구성되어, 테이프 카셋트가 장착될 때에는 부구성부가 인출되어서 테이프 카셋트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테이프 카셋트가 장착되지 않았을 때에는 부구성부가 압착 삽입되어서 외형 칫수가 축소되는, 소형의 휴대에 편한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가 제안되어 있다.
제 3 도 및 제 4 도는, 이와같은 신축 외장 케이스를 갖는 카셋트식 테이프 플리에어와 그것에 장착되는 테이프 카셋트를 함께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서, 오장 케이스(1)는 본체측 부분(1a)과 덮개측 부분(1b)으로 분할되어 있고, 본페측(1a)은 주구성부(2)와 부구성부(3)로 형성되어 있으며, 부구성부(3)는 주구성부(2)에 대하여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주구성부(2)내에는 테이프 카셋트 TC가 적재되는 섀시(4)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섀새시(4)의 아랫쪽에는 카셋트 테이프에 대한 구동 가구나 기록 및 재생 회로등의 주요 구성부가 내장되고, 또한, 섀시(4)상에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적재된 테이프 카셋트 TC에 재장된 테이프 리일과 걸어 추어지는 2개의 리일축 부재(5)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주구성부(2)의 외측면에는, 동작 모드의 선택, 절환, 해제등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압착 삽입형 조작버튼이 배치되어 구성된 조작 패널부(6)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부구성부(3)에는, 외장 케이스(1)의 덮개측 부분(1b)에 힌지부(8)를 통하여 부착되어서, 본체측 부분(1a)에 대해 개폐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테이프 카셋트 TC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구성부(3)가 주구성부(2)측으로 압착 삽입되어서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유지되어, 외장 케이스(1)의 화살표 a방향으로의 칫수, 즉 안쪽으로의 칫수가, 예를 들면, 테이프 카셋트 TC의 안쪽으로의 칫수와 같은 정도까지 축소된다.
그리고, 테이프 카셋트 TC가 장착될 때에는, 부구성부(3)가 주구성부(2)로부터 인출되어서 제 3 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로 되고, 외장 케이스(1)의 안쪽으로의 칫수가 확대되어, 본체측 부분(1a)내의 섀시(4)상에 테이프 카셋트 수용부(9)가 형성되며, 이 테이프 카셋트 수용부(9)에 테이프 카셋트 TC가 장착되어, 테이프 카셋트 TC에 내장되는 테이프 리일과 리일측 부품(5)이 걸어맞추어진다.
이와같이 하여, 테이프 카셋트 TC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외장 케이스(1)의 안쪽으로의 칫수가 축소되어서 전체의 외형 칫수가 더욱 작아지게 되고, 휴대에 상당히 편리하게 되지만, 이같은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테이프 카셋트 TC가 장착되어 동작 모드의 절환이나 해제등을 행하도록 조작 패널부(6)의 조작 버튼이 조작될때에는, 통상, 조작자가 장치 전체를 한 손으로 지지하고,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 버튼중 선택된 것을 누르며, 나머지 손가락은 본체측 부분(1a)의 부구성부(3)와 덮개측 부분(1b)의 힌지부(8)를 통한 결합부에 첨부된 상태로 하며, 선택된 조작 버튼이 엄지 손가락에 의해서 압착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때, 본체측 부분(1a)의 부구성부(3)가 덮개측 부분(1b)을 따라서 본체측 부분(1a)의 주구성부(2)측으로 압착 삽입되는 방향으로 눌려지게 되고, 덮개측 부분(1b)은 그 내측면이 테이프 카셋트 TC의 측면에 맞닿아 위치가 규제되지만, 부구성부(3)는 그 내측이 공간부로 되어 있으므로, 힌지부(8)가 고정된 상태로서 주구성부(2)측으로 압착 삽입되도록 변형이 이동되고, 부구성부(3)가 뒤틀릴 염려가 있음과 동시에, 조작자가 손 동작에 불안을 느낀다고 하는 불합리한 경우가 생긴다.
이와같은 점을 감안한 본 고안은, 카셋트 테이프에 대한 구동 기구등의 주요부를 내장한 주구성부와 이것에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부구성부를 구비한 신축 구성을 갖도록 외장 케이스를 구성하고, 부구성부가 주구성부로터 인출된 상태로 되어 테이프 카셋트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부구성부가 주구성부측으로 압착 삽입되는 방향으로 눌려진 경우에, 부구성부의 변형 이동이 현저하게 저감하도록 한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는, 카셋트 테이프에 대한 구동 기구등을 내장한 주구성부에 마주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부구성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부구성부가 주구성부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주구성부 및 부구성부내에 테이프 카셋트 수용부를 형성하는 외장 케이스를 구비한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테이프 카셋트 수용부에 테이프 카셋트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여 걸어맞춤 부재(11)와 맞닿는 위치로 이동된 방향으로 압착 삽입되는 슬라이드 이동을 저지하는 검출 레버 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시킴으로써, 테이프 카셋트의 장착시에는, 부구성부가 주구성부측으로 압착 삽입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예를들면, 조작 버튼의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부구성부가 주구성부측으로 압착 삽입되는 방향으로 눌려진다고 해도, 부구성부의 변형 이동이 극히 작은 것으로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의 일례의 주요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예에서, 전체의 외관이나 외장 케이스의 축소 및 확대를 가능하게한 구조등의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주요부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된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1 도 및 제 2 도에 있어서,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된 각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 3 도 및 제 4 도와 공통의 부호를 붙여서 표시한다.
제 1 도는, 본 예의 외장 케이스가 축소된 상태에 대한, 제 3 도에 있어서 파선 X선으로 둘러싸여진 부분에 상당하는 부분의 내측을 도시한 투시도이고, 또한, 제 2 도는 외장 케이스가 확대된 상태에 대한 동일한 부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외장 케이스(1)를 구성하는 본체측 부분(1a)의 부구성부(3)의 힌지부(8)가 설치된 측면부의 내측에 안내판 부재(10)가 나사 멈춤등에 의해 부착되어 부구성부(3)와 함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안내판 부품(10)은, 본체측 부분(1a)의 주구성부(2)의 측면부의 내측에 고착된 핀(11)과 주구성부(2)의 저면부와에 샌드위치된 상태로서 배치되고, 그 선단부에는, 핀(11)과 걸어 맞추어져, 부구성부(3)가 주구성부(2)로부터 소정 이상으로 인출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는 걸어맞춤 돌출 부재(1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부구성부(3)가 주구성부(2)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또는, 주구성부(2)측으로 압착 삽입되는 경우,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구성부(3)의 저면부와 안내판 부재(10)가 주구성부(2)의 저면부률 샌드위치하고, 또한, 핀(11)과 주구성부(2)의 저면부가 안내판 부재(10)를 샌드위치하므로, 부구성부(3)는 화살표 a방향으로 안정한 자세로서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안내판 부품(10)에, 전체적으로 L자형의 검출 레버 부재(13)가 축(14)을 통하여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검출 레버 부재(13)의 한쪽의 암부(13a)는, 안내판 부재(10)에 따르는 방향으로 안내판 부재(10)보다 짧은 길이로서 뻗어 있고, 안내판 부재(10)와 마찬가지로, 핀(11)과 주구성부(2)의 저면부로서 샌드위치되며, 또한, 다른쪽의 암부(13b)는 상방으로 향하여 뻗어 있고, 그 선단에는, 테이프 카셋트의 장착시에 테이프 카셋트의 측면부에 의해 압착되는 판형의 검출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검출 레버 부재(13)는 스프링(16)에 의해 항상 제 2 도에 있어서 축(14)을 중심으로 좌회전하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고 있고, 통상, 그 한쪽의 암부(13a)가 안내판 부재(10)에 병행하는 상태를 갖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같은 안내판 부재(10) 및 검출 레버 부재(13)을 구비한 구성은, 부구성부(3)의 한쪽의 구석에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이것에 대한 다른쪽의 구석에도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과 함께,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구성부(3)가 주구성부(2)로부터 인출되고, 안내판 부재(10)에 설치된 걸어맞춤 둘출 부재(12)가 핀(11)에 걸어맞추어진 상태로 되면, 주구성부(2)내에 배치된 섀시(4)상에 테이프 카셋트 TC를 수용할 수 있는 테이프 카셋트 수용부(9)가 형성된다. 또한, 섀시(4)의 아래쪽에는, 전술한 바와같이, 카셋트 테이프에 대한 구동 기구등의 주요 구성부가 내장되어 있다. 이상태에 있어서, 검출 레버 부재(13)는, 그 암부(13a)가 안내관 부재(10)보다 짧게 되어 있으므로, 암부(13a)가 핀(11)과 주구성부(2)의 저면부로서 샌드위치된 상태로부터 개방되어, 핀(11)에 규제되고, 제 2 도에 있어서 부구성부(3)에 형성된 축(14)을 중심으로 우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같은 상태에서 테이프 카셋트 TC가 테이프 카셋트 수용부(9)에 장착되면, 스프링(16)의 스프링력에 의해 제 2 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에 있는 검출 레버 부재(13)의 검출부(15)가 테이프 카셋트 TC의 측면부에 의해서 압착되고, 이에 따라 검출 레버 부재(13)는 스프링(16)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대항하여 축(14)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 2 도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은 위치를 취하게 된다. 그 결과, 검출 레버(13)의 암부(13a)의 선단부가 주구성부(2)로부터 뻗어 있는 핀(11)에 맞닿는 위치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부구성부(3)를 주구성부(2) 측으로 압착 삽입하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검출 레버 부재(13)의 암부(13a)의 선단부가 핀(11)에 맞닿아져 부구성부(3)의 이동 위치를 규제하고, 부구성부(3)가 주구성부(2)측으로 압착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저지한다. 즉, 이때, 부구성부(3)의 변형 이동이 저지되는 것이다.
또한, 테이프 카셋트 TC가 테이프 카셋트 수용부(9)로부터 이탈되면, 검출 레버 부재(13)는 스프링(16)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 2 도에 있어서 축(14)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좌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2 도에서 실선에 의해 도시된 원위치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검출 레버부재(13)의 암부(13a)의 선단부가 핀(11)에 맞닿는 위치로 되기 때문에 부구성부(3)를 주구성부(2)측으로 압착 삽입할 수 있고, 외장 케이스(1)의 화살표 a방향, 즉 안쪽 방향의 칫수가 축소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검출 레버 부재(13)가 외장 케이스(1)를 구성하는 본체측 부분(1a)의 부구성부(3)에 설치되고, 핀(11)이 본체측 부분(1a)의 주구성부(2)에 고착되어 있지만, 이같은 구성 대신에, 검출 레버 부재(13)에 상당하는 검출 수단이 본체측 부분(1a)의 주구성부(2)에 설치되고, 핀(11)에 상당하는 부품이 본체측 부분(1a)의 부구성부(3)에 고착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는, 외장 케이스가 카셋트 테이프에 대한 구동 기구등의 주요 구성부를 내장한 주구성부와 이것에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저지된 부구성부로 구성되어, 부구성부를 주구성부에 압착 삽입함으로써, 테이프 카셋트가 장착되지 않을때의 외형 칫수를, 테이프 카셋트가 장착되어 있을때에 비해 한측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구성부가 주구성부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되어서 테이프 카셋트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이것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어, 부구성부가 그 주구성부측으로 압착 삽입되는 방향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위치 규제되므로, 주구성부속으로 압착 삽입되는 방향의 힘이 부구성부에 가해지는 경우에도, 부구성부의 변형 이동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구성부가 비틀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조작 버튼을 조작할때, 손동작에 불안한 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Claims (1)

  1. 테이프 카셋트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등을 내장한 주구성부(2)와, 상기 주구성부에 마주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부구성부(3)로 구성되고, 상기 부구성부(3)가 상기 주구성부(2)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상기 주구성부 및 부구성부(2, 3)내에 테이프 카셋트 수용부(9)를 형성하는 외장 케이스(1)를 구비한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카셋트 수용부(9)에 테이프 카셋트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여 걸어맞춤 부재(11)와 맞닿는 위치로 이동된 상기 부구성부(3)가 상기 주구성부(2) 방향으로 압착 삽입되는 슬라이드 이동을 저지하는 검출 레버 수단(13, 15)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KR2019850008660U 1984-07-14 1985-07-10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KR92000212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4106687U JPS6124844U (ja) 1984-07-14 1984-07-14 カセツト式テ−ププレ−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011U KR860002011U (ko) 1986-03-15
KR920002125Y1 true KR920002125Y1 (ko) 1992-03-28

Family

ID=30665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8660U KR920002125Y1 (ko) 1984-07-14 1985-07-10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24844U (ko)
KR (1) KR9200021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37167Y2 (ko) 1991-08-06
JPS6124844U (ja) 1986-02-14
KR860002011U (ko) 198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62506B2 (ja)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の録画予約機能ボタンの露出及び閉鎖を選択的に行うためのドア開閉装置
KR920002125Y1 (ko)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WO1991015847A1 (en) Device for loading cassette
US6201660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EP1225096A2 (en) Electronic device
JPS6338507Y2 (ko)
JP2523583B2 (ja) カセツト蓋エジエクト装置
JPH03286460A (ja) カセット装填装置
JPS6346914Y2 (ko)
KR100256102B1 (ko) 스위치기구
US5880903A (en) Cassette loading device in a video cassette recorder using a pressing member having a gear structure
JPH0355163Y2 (ko)
KR960002594Y1 (ko) 선풍기
JP2931506B2 (ja) スイッチ機構
JPS633015Y2 (ko)
JP2519467Y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7235415A (ja) プランジャによる係止機構
JPH0313886Y2 (ko)
JPH0237134Y2 (ko)
KR200396454Y1 (ko) 푸시 푸시형 카메라 모듈을 갖는 슬라이드식 휴대형 단말기
JPH0441469Y2 (ko)
JPH06309982A (ja) 電源スイッチ操作機構
JPH0341304Y2 (ko)
JP2816278B2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ク装置
JP2917452B2 (ja) カセットテープレコー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