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327B1 - 구 두 창 - Google Patents

구 두 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327B1
KR940010327B1 KR1019910019413A KR910019413A KR940010327B1 KR 940010327 B1 KR940010327 B1 KR 940010327B1 KR 1019910019413 A KR1019910019413 A KR 1019910019413A KR 910019413 A KR910019413 A KR 910019413A KR 940010327 B1 KR940010327 B1 KR 940010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plate
cover
bottom plat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9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349A (ko
Inventor
오사무 시바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미고
오사무 시바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3161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9184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2194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428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미고, 오사무 시바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미고
Publication of KR920009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3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2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구 두 창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부 절개한 정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
제 3 도는 플레이트의 확대단면도.
제 4 도는 홈부의 확대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밑판 2 : 카바
10 : 플레이트 10a : 왜이브
10b : 홈부 11 : 요부
12 : 벽부 13 : 박편부
21 : 후육부
본 발명은 발바닥을 자극하여 맛사지 효과를 갖는 구두의 중창 또는 밑창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구두의 중창 또는 구두의 밑창에는 구두 밑창의 외형으로 된 밑판의 표리양면에는 벽부에 의하여 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양 요부내에는 각각 복수의 플레이트가 이 밑판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는 같은 방향으로 경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 상하의 양 플레이트의 경사방향에 상호 반대방향이며, 상기 밑판의 전후부에는 연결홈이 형성되었으며, 전기 밑판의 상, 하의 양면이 가장자리부에는 가연성의 카바가 점착되었고 밑판과 카바에 의하여 싸여진 밑판의 상,하의 공간에 유체가 주입되어 밀봉되어 있는 것이 있다.
그리하여 이와같은 구두중창으로는 플레이트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이나 그 때문에 유체의 이동방향은 이 플레이트에 의하여 상부의 공간에서 하부의 공간으로 다시 하부의 공간에서 상부의 공간으로 일방향으로 순환하는 것이고, 이 유체의 순환이동에 의하여 발바닥으로 맛사지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두의 중창은 복잡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조코스트가 높고, 또한 유체의 순환이동으로 발바닥을 맛사지 하는 것이나, 이 유체의 이동은 구둥중창의 중앙부로 집중하고 그러기 때문에 맛사지의 효과가 낮으며 그리고 구조상 카바와 밑판과의 접착강도가 약하여 유체의 누출이 생기기 쉽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구우중창 또는 밑창은 밑판의 상면에만 벽부에 의하여 요부를 형성하고 플레이트를 이 요부내에 상기 벽부의 높이보다 약간 높에 형성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각각의 외단을 상기 벽부의 내단에 왜이브를 주어 연결하고 그 왜이브는 상기 플레이트보다 낮은 것이며, 유체의 이동이 가능할 정도의 크기이다. 융착되어 있는 상기 밑판의 박편부와 상기 카바의 후육부와는 거의 같은 두께로 구성하였다.
그리하여 본 발명 목적은 구조를 간단히 하여 발바닥의 맛사지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플레이트의 강성에 의하여 발의 바닥을 전면적으로 자극하여 구두의 중창 또는 구두 밑창을 제공케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체를 순환시키지 않고 전후 좌우로 자유로 이동시켜 플레이트에 의한 발바닥의 자극을 이 유체의 이동에 의하여 완화시켜 장시간의 보행을 용이하게 하는 구두중창 또는 구두밑창을 제공함에 있다.
다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체가 구두중창이나 밑창에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두중창 또는 구두밑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밑판의 상면에만 벽부에 의하여 요부를 형성하고 플레이트를 이 요부내에 상기 벽부의 높이보다 높이 형성하며, 상기 플레이트의 각각의 외단을 벽부의 내단에 왜이브를 주어 연결하고, 이 왜이브는 플레이트보다 낮은 것이며, 유체의 이동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 전기 플레이트의 중간부에는 홈부를 뚫었고, 이 홈부는 유체의 이동을 가능케 하는 크기이다. 융착되어 있는 상기 밑판의 벽편부와 카바의 후육부는 거의 같은 두께이다. 밑판의 형상은 구두밑창의 외형으로 되고 또한 상면에는 벽부에 의하여 요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소성의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다. 그리하여 이 벽부의 바깥둘레에는 단차를 주어 박편부가 형성되어 있다.
밑판의 상기 요부내에는 이 밑판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플레이트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플레이트는 같은 방향으로 경사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의 각각의 외단은 왜이브를 주어 밑판의 벽부의 내벽에 연결되었고 이 왜이브는 유체의 이동을 가능케 한 것이다.
다시 전기 플레이트의 중간부는 홈부가 뚫어져 있고, 이 홈부는 유체의 이동을 가능케 한 크기이다.
밑판의 상면의 가장자리는 가소성의 카바가 점착되어 있으며 이 카바의 소재는 밑판과 같은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그리하여 상기 카바의 바깥둘레에는 단차를 주어 후육부가 형성되었다. 그리하여 상기 밑판과 카바와는 같은 두께인 박편부와 후육부등이 용착되어 접착되는 것이다.
유체 예를 들면 물이 밑판과 카바에 의하여 싸여 있는 공간에 주입되어 밀봉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레이트에 의하여 보행자의 발바닥을 맛사지 하는 효과가 높고 보행자의 체중의 이동에 의하여 유체는 주로 각 플레이트간의 간격을 왕복이동하고 다시 왜이브와 홈부를 플레이트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며, 즉, 유체는 4방으로 자유로 이동하여 플레이트에 의한 발바닥의 자극을 완화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두중창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 제 1,2 도에 있어 중창의 구성은 구두밑창의 외형과 같은 밑판(1)과 그 밑판(1)의 바깥둘레에 접착되어 있는 카바(2)와 이 밑판(1)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플레이트(10)과, 상기 밑판(1)과 카바(2)의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유체 예를 들면 물로 되어 있다.
밑판(1)은 열가소성수지의 폴리염화비닐로 성형한 것으로 제 1 도에 표시됨과 같이 구두밑창의 외형을 이루고 이 밑판(1)의 상면에는 발바닥에 알맞은 면적의 요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11)는 벽부(12)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다. 더욱 밑판(1)의 상반부와 외주부(다음 설명하는 밑판(1)의 벽편부(13)와 카바(2)의 후육부(21))가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은 구두의 각 크기에 맞추어서 절단가능케 하고, 각 크기에 알맞게 조정가능케 한 것이다.
또한 제 2 도에 표시함과 같이 밑판(1)의 벽부(12)의 외부에는 단차를 주어 박편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박편이라는 것은 벽부(12)에 대하여 엷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요부(11)의 저면의 상면에는 복수의 플레이트(10)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각 플레이트(10)의 각각의 양단은 왜이브(10a)로 되고 있고, 이 왜이브가 각 플레이트(10)의 양단과 벽부(12)의 양단과를 연결되어 있다. 왜이브(10a)는 제 3 도에 표시함과 같이 플레이트(10)보다 엷고 낮은 것으로 이 왜이브(10a)는 물이 자유스럽게 이동가능케 되어 있다. 플레이트(10)는 밑판(10의 길이방향으로 직교되는 방향(제 1 도의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었으며, 제 2 도에 표시함과 같이 일정방향, 즉, 하측방향으로 경사되어 있고 플레이트(10)의 높이는 벽부(12)의 높이보다 약간 높게 되어 있다. 플레이트(10)의 중간부에는 3개의 홈부(10b)가 뚫어져 있고 이 홈부(10b)(도면 제 4 도)의 크기는 물이 용이하게 유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밑판(1)의 바깥둘레에는 가소성의 카바(2)의 고주파에 의하여 용착되어 있다. 카바(2)는 밑판(1)과 같은 소재의 폴리염화비닐로 성형한 것으로 이 바깥둘레에는 단차를 주어 후육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 후육이란 것은 카바(2)의 두께에 대한 것으로 이 후육부(21)의 두께는 밑판의 (1)의 박편부(13)와 거의 같다.
카바(2)를 밑판(1)의 바깥둘레 가장자리에 고주파 용착방법을 실시하면 박편부(13)와 후육부(21)가 같은 두께이기 때문에 상호의 접합면에 이 고주파가 균일하게 작용하여 용융시켜 용착효과를 보다 완전하게 상호를 일체화 시킨다.
그리하여 이 밑판(1)과 카바(2)에 의하여 싸여 있는 공간은 밀폐상태로 되어 내부는 중공상태로 된다. 그리하여 이 중공부내에는 밑판(1)의 박편부(13)와 카바(2)의 후육부(21)와의 접착면에 형성되어 있는 주입구(도시않됨)에서 물을 주입한후에 밀봉한다.
이와같이 밑판(1)의 박편부(13)와 벽부(12)의 외주면에는 단차로 되어 있고, 카바(2)에도 후육부(21)가 단차로 되어 두껍게 되어 있고, 동일두께의 이들 박편부(13)와 후육부(21)는 고주파 용착방법에 의하여 완전히 용착시킨다. 더욱 밑판(1)과 카바(2)가 같은 소재이면 양자는 그 용착력이 더욱 좋으며 완전히 일체화된다. 벽부(12)외 외주면과 후육부(21) 내주면의 접합면에 의하여 접착면이 넓게 되어 있기 때문에 용착강도를 높게 하고 있다.
본발명에서는 상기의 구조에 의하여 밑판(1)과 카바(2)의 용착이 강력하기 때문에 용착부가 떨어져서 누수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보행중에는 플레이트(10)에 의한 발바닥으로 맛사지 하게 되고 보행자의 체중의 이동에 의한 각 플레이트(10) 왜이브(10a)는 침지되고 그에 의하여 물은 이 각 플레이트의 사이의 간격을 제 1 도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하고 다시 이 왜이브(10a)와 홈부(10b)를 플레이트(10)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제 1 도 상,하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왜이브(10b)에 의하여 플레이트(10)은 굴곡되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의 이동은 원활히 행하여지고 그러므로 플레이트(10)에 의한 발바닥의 자극을 완화하여 장시간의 보행을 용이케 한다.

Claims (4)

  1. 구두밑창의 외형으로 되어 있는 밑창에는 벽부에 의하여 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내에는 복수의 플레이트가 이 밑판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의 동일방향으로 경사된 상태로 형성되었으며 밑판의 상면의 가장자리에는 가소성 카바가 점착되었고 밑판과 카바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공간에 유체가 주입되어 밀봉되어 있는 구두의 중창 또는 밑창에 있어서 요부(11)는 밑판(1)의 상면에만 벽부(12)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플레이트(10)는 벽부의 높이보다 약간 높으며 플레이트의 각 외단을 벽부의 내단에 연결되어 있는 왜이브(10a)는 플레이트보다 낮으며 유체의 이동을 가능케 한 것으로 플레이트의 중간부에 뚫어진 홈부(10b)는 유체의 이동을 가능케 하는 크기이고 용착되어 있는 밑판의 박편부(13)와 카바의 후육부(21)와는 거의 같은 두께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의 중창 또는 밑창.
  2.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밑판과 카바는 가열가소성수지를 소재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의 중창 또는 밑창.
  3.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밑판의 박편부는 벽부에 단차를 주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의 중창 또는 밑창.
  4.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카바의 바깥둘레의 후육부는 단차를 주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의 중창 또는 밑창.
KR1019910019413A 1990-11-22 1991-11-01 구 두 창 KR940010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16195A JPH0691849B2 (ja) 1990-11-22 1990-11-22 靴の中底または靴底
JP90-316195 1990-11-22
JP3121943A JPH074282B2 (ja) 1991-04-25 1991-04-25 靴の中底または靴底
JP91-121943 1991-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349A KR920009349A (ko) 1992-06-25
KR940010327B1 true KR940010327B1 (ko) 1994-10-22

Family

ID=2645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9413A KR940010327B1 (ko) 1990-11-22 1991-11-01 구 두 창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189816A (ko)
EP (1) EP0487221B1 (ko)
KR (1) KR940010327B1 (ko)
CN (1) CN1061898A (ko)
AT (1) ATE122546T1 (ko)
AU (1) AU652966B2 (ko)
BR (1) BR9105115A (ko)
CA (1) CA2055839C (ko)
DE (1) DE69109820T2 (ko)
ES (1) ES2071933T3 (ko)
HK (1) HK52296A (ko)
MX (1) MX9102160A (ko)
PT (1) PT9956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9602B2 (ja) * 1992-05-07 1996-10-30 株式会社卑弥呼 靴の中底または靴底
JPH10504468A (ja) * 1994-04-15 1998-05-06 ザ ダナ カラン シュー カンパニー インソール
TW286269B (ko) 1994-11-28 1996-09-21 Marion Frank Rudy
IT1278358B1 (it) * 1995-02-07 1997-11-20 Scarpa Calzaturificio Spa Suola per calzatura.
US6119370A (en) * 1999-02-11 2000-09-19 Baron; Kyle L. Sole liner for shoe
JP2000236908A (ja) * 1999-02-23 2000-09-05 Himiko Co Ltd 靴の中底または靴底
DE10036100C1 (de) 2000-07-25 2002-02-14 Adidas Int Bv Schuh
DE10234913B4 (de) * 2002-07-31 2005-11-10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chuhsohle
US7401419B2 (en) * 2002-07-31 2008-07-22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tructural element for a shoe sole
DE102005006267B3 (de) * 2005-02-11 2006-03-16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chuhsohle und Schuh
US7622014B2 (en) * 2005-07-01 2009-11-24 Reebok International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inflatable footwear or bladders for use in inflatable articles
DE102006015649B4 (de) * 2006-04-04 2008-02-28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chuh
CN102131417B (zh) * 2008-08-27 2012-07-04 株式会社卑弥呼 鞋底夹层及鞋子
EP2571390B1 (en) * 2010-05-21 2019-03-27 Soxsols, Llc Insole for footwear
CN102697243B (zh) * 2012-06-27 2015-12-09 茂泰(福建)鞋材有限公司 一种减震鞋底和鞋
CN104321118B (zh) * 2013-05-22 2016-05-25 株式会社卑弥呼 鞋的底构件
US9560896B1 (en) 2014-02-12 2017-02-07 Soxsols, Llc Insole for footwear
US10856610B2 (en) 2016-01-15 2020-12-08 Hoe-Phuan Ng Manual and dynamic shoe comfortness adjustment methods
MX2019008270A (es) * 2017-03-17 2019-09-16 Desarrollo Integral Del Molde Sl Suela para calzado.
EP4342321A3 (en) * 2019-05-23 2024-05-15 Ltwhp, Llc Sole for a sport footwear, a work footwear or a footwear for the leisure ti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39283A (en) * 1924-03-12 1925-05-26 Rudolph C G Staats-Oels Shoe heel and sole lift
US2968105A (en) * 1959-03-03 1961-01-17 Olympio C Rizzo Pneumatic jump boot construction
US3087262A (en) * 1961-04-24 1963-04-30 Forward Slant Sole Company Resilient shoe sole
BE766530A (fr) * 1970-05-05 1971-09-16 Dall Ava Yvan A Semelle interieure a coussin d'air
US4075772A (en) * 1975-04-21 1978-02-28 Amilcare Cavalieri Insole for footwears
US4229889A (en) * 1978-06-06 1980-10-28 Charles Petrosky Pressurized porous material cushion shoe base
FR2508779A1 (fr) * 1981-07-01 1983-01-07 Mauger Jean Semelles de chaussures assurant le massage du pied
CA1223122A (en) * 1984-01-16 1987-06-23 Bjýrn M. Gustavsen Footwear
DE8418324U1 (de) * 1984-06-16 1984-09-13 Hanrath, Josef Schuh
FR2591441B1 (fr) * 1985-12-13 1988-03-18 Mauger Jean Semelle ou premiere de chaussure avec circulation d'un fluide incorpore
IT1204662B (it) * 1987-05-29 1989-03-10 Armenak Moumdjian Soletta a camera pneumatica per calzature,stampo e metodo di formatura relativi
FR2628946B1 (fr) * 1988-03-28 1990-12-14 Mauger Jean Semelle ou premiere de chaussure avec circulation d'un fluide incorpore
IT214929Z2 (it) * 1988-04-01 1990-07-04 Al Vi Srl Soletta in p.v.c. con sottofondo piatto e con la parte superiore formata da rilievi di forme varie (cilindrici o semisferici) vuoti
US4864737A (en) * 1988-07-14 1989-09-12 Hugo Marrello Shock absorb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55839C (en) 1997-09-30
KR920009349A (ko) 1992-06-25
AU8687891A (en) 1992-05-28
HK52296A (en) 1996-03-29
CN1061898A (zh) 1992-06-17
EP0487221B1 (en) 1995-05-17
PT99564A (pt) 1994-01-31
DE69109820D1 (de) 1995-06-22
EP0487221A2 (en) 1992-05-27
CA2055839A1 (en) 1992-05-23
DE69109820T2 (de) 1995-09-21
MX9102160A (es) 1992-07-08
BR9105115A (pt) 1992-07-21
ES2071933T3 (es) 1995-07-01
AU652966B2 (en) 1994-09-15
US5189816A (en) 1993-03-02
EP0487221A3 (en) 1992-10-28
ATE122546T1 (de)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0327B1 (ko) 구 두 창
US3812604A (en) Shoe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hoe
EP0571103B1 (en) Mid-sole or sole of shoes
GB1278990A (en) Improvements in footwear
KR840000208A (ko) 신 밑 창
US6367174B1 (en) Insole or sole of sho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TE25497T1 (de) Schuhe.
JP2554829Y2 (ja) 靴の中底または靴底
JPH074282B2 (ja) 靴の中底または靴底
JP2566628Y2 (ja) 靴の靴底
DE60206834D1 (de) Wasserdichter Schuh mit einer an das Oberleder gespritzter Sohle
KR200183136Y1 (ko) 신발깔창용 에어쿠션
KR870000228Y1 (ko) 공기 밀폐식 중창
JPH04187101A (ja) 靴の中底または靴底
JPH0111045Y2 (ko)
JPS5855763B2 (ja) 射出成形靴の製造方法
TH6682B (th) พื้นชั้นกลางหรือพื้นของรองเท้า
JPS6254645B2 (ko)
KR960020836A (ko) 방수 및 보온 구두
JPH0123122B2 (ko)
KR20020090993A (ko) 신발밑창
KR860003804A (ko) 전면 또는 부분 접지판이 있는 구두뒷굽 및 앞창의 제조방법
JPH0675202U (ja) ゴム質等で構成される健康履物及びその中敷
IT1258322B (it)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ciabatte e di calzature aperte, nonche' calzature ottenute in base allo stesso
ITMI940756U1 (it) Suola in gomma o similgomma o altro materiale con fondo in cuoio per calz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