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507B1 - 파이프 자동결속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자동결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507B1
KR940008507B1 KR1019910014707A KR910014707A KR940008507B1 KR 940008507 B1 KR940008507 B1 KR 940008507B1 KR 1019910014707 A KR1019910014707 A KR 1019910014707A KR 910014707 A KR910014707 A KR 910014707A KR 940008507 B1 KR940008507 B1 KR 940008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veyor
sliding panel
pipes
bin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4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157A (ko
Inventor
조재승
Original Assignee
한양화학 주식회사
박원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화학 주식회사, 박원배 filed Critical 한양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4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8507B1/ko
Publication of KR930004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5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이프 자동결속 장치
제l도는 본 발명 파이프 자동결속 장치의 측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쪽에서 바라본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공정 블럭다이어그램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프터 2 : 적재함
3 : 제1미끄럼판넬 4 : 경사이송수단
5 : 제2미끄럼판넬 6 : 호퍼
7 : 제l컨베이어 8 : 밴딩기
9 : 제2컨베이어 10 : 파이프
11 : 이동조정판 12 : 보조프레임
13 : 센터링판넬 14 : 에어실린더
15 : 모우터 16 : 베벨기어
l7 : 하부스프로켓 18 : 체인
19 : 상부스프로킷 20 : 이송팔렛
21 : 센서 22,22' : 모우터
23 : 에어실린더 24 : 정렬판
25 : 에어실린더 26 : 스톱퍼
본 발명은 소구경 파이프를 소정갯수씩 다발로 자동적으로 묶어주도록 한 파이프 자동결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구경파이프를 다발로 묶어주기 위해 먼저 이 파이프의 갯수를 계수한 다음 이 파이프의 소정 위치를 끈으로 묶어주어야 하는바, 이렇게 사람이 일일이 세어준 다음 이를 결속해주기란 많은 공수가들 뿐만 아니라, 파이프의 결속위치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 다발로 묶인 파이프를 이송해줄 때 낱개의 파이프가 빠져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도 다발의 파이프를 묶어주는 밴딩(Banding)장치가 사용되는바, 이 밴딩장치는 4각 형상의 프레임 한쪽에 노끈이 감겨진 훨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측면 모서리와 상부부재에는 상기 노끈을 잡아 주는 고리가 설치되며, 이 프레임의 하부에는 파이프를 결속한 상태에서 노끈에 소정의 온도를 가해줌으로써 노끈에 매듭을 만들어주는 히이터가 장착되는 한편, 이 히이터 측면에는 히이터의 동작이 완료된 다음 노끈을 절단해주는 컷터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이 벤딩장치의 프레임에 다수의 파이프를 공급한 다음 동작 버튼을 눌러주게 되면 프레임 주변과 상부에 구비된 고리가 풀려지면서 이 고리에 걸려진 노끈이 내려와 파이프를 감싸 묶어주게 되고, 다음 이렇게 묶여진 노끈을 히이터가 가열하여 매듭을 형성해준 후 컷터가 수평이동되면서 상기 노끈을 끊어 1회의 동작을 끝마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벤딩장치는 사람이 다수개의 파이프를 일일이 들고서 공급해주어야 하므로 역시 많은 공수가 들어갈 뿐만 아니라 파이프의 결속 위치를 일일이 계산하면서 파이프를 묶어주기란 많은 번거로움이 뒤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재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파이프의 수량을 계수하고나서 이 계수된 다수개의 파이프를 정확한 위치에 자동적으로 결속해 주도록 한 파이프 자동결속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프터가 구비된 적재함에 제l미끄럼 판넬을 매개로 연결된 경사이송수단에는 모우터로 구동되는 상부 및 하부 스프로킷에 감겨진 체인에 고정된 이송팔렛이 구비되고, 이 경사이송장치의 상부 스프로킷의 한쪽에는 이 상부스프로킷을 넘어 지나가는 파이프를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스프로킷에 제2미그럼판넬을 매개로 직교하는 측방으로 연결되면서 호퍼로 둘러쌓여진 제1, 제2컨베이어의 중앙에는 공지의 밴딩장치가 설치되는 한편, 이 밴딩장치 앞, 뒷쪽에는 에어실린더로 동작하는 정렬수단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적재함에 쌓인 다수개의 파이프를 리프터가 들어올려 제l미끄럼판넬을 통해 경사이송수단 쪽으로 이송시켜주면 이 경사이송장치가 모우터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팔렛으로 상기 파이프를 1개씩 상방으로 이동해 주게 되는데, 이때 상부 파이프를 1개씩 상방으로 이동해 주게 되는데, 이때 상부 스프로킷 한쪽에 설치된 센서가 이 센서를 통과하는 파이프의 갯수를 계수하게 되는바, 이센서가 소정갯수(본 발명에서는 20개로 가정함)를 감지하면 이 20개의 파이프는 호퍼의 안쪽 컨베이어에 쌓여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정렬 수단의 에어실린더가 동작하여 정렬판을 밀어주게 되면 20개의 파이프가 모두 밀려져 그 선단이 스톱퍼에 의해 멈춰짐으로써 정렬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이때 밴딩장치가 동작하여 상기 파이프를 l차로 묶어주고, 다음 콘베이어가 소정 핏치간격만 이송하면서 2차 및 3차 결속해준 다음, 이렇게 결속된 파이프 다발을 낙하시켜 주면 파이프의 결속 1싸이클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리프터(1)가 구비된 적재함(2)에 제1미끄럼판넬(3)을 매개로 연결된 경사이동수단(4)과, 이 경사이송수단(4)의 상부에 제2미그럼판넬(5)을 매개로 연결되면서 호퍼(6)가 구비된 제1컨베이어(7) 및, 이 제1컨베이어(7)에 밴딩기(8)를 매개로 연결설치된 제2컨베이어(9)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제1미끄럼판넬(3)에는 이 제1미끄럼판넬(3)위로 1개의 파이프(10)만 굴러 지나가도록 보조프레임(12)에 체결 설치된 이동조정판(1l)이 구비되고, 이 제l미끄럼판넬(3)의 경사이송수단(4)의 양쪽에는 파이프(6)의 폭방향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주도록 에어실린더(14)를 매개로 설치된 센터링판넬(13)이 갖추어져 있다.
또한 상기 경사이동수단(4)에는 모우터(15)에 베벨기어(16)를 매개로 회전하는 하부스프로킷(17)과, 이 하부 스프로킷(l7)에 체인(18)을 매개로 회전하는 상부 스프로킷(19) 및, 이 체인(18)에 고정되면서 상기 파이프(10)를 경사진 상방으로 이송 해주는 이송팔렛(20)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스프로킷(19)의 옆 소정부위에는 이 상부 스프로킷(19)을 넘어 지나가는 파이프(10)를 감지하여 그 갯수를 계수하는 센서(2l)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이송수단(4)의 상부 스프로킷(19)에 제2미끄럼판넬(5)을 매개로 연결된 제1컨베이어(1l)한쪽에는 이 제1컨베이어(7)를 구동시키는 모우터(22)가 설치되고, 또 제l컨베이어(7)에 밴딩기(6)를 매개로 설치된 제2컨베이어(9)에도 모우터(22')가 설치되어 있는바, 이 모우터(22,22')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면서 소정의 시간(본 발명에서는 약 7초)동안만 구동하는 스텝핑(stepping)모우터로 되어 있는 한편, 이 제1컨베이어(7)와 제2컨베이어(9)사이 설치된 밴딩기(8)는 공지의 곳으로, 그 내부에 히이터(도시안됨)과 컷터(도시안됨)가 구비되어 이 밴딩기(8)내부를 지나는 물건을 자동적으로 결속해주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밴딩기(8)의 앞, 뒤쪽 제1, 제2컨베이어(7,9)에는 다수의 파이프(10)를 정렬해주는 정렬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바, 이 정렬수단은 제1컨베이어(7)의 한쪽에 설치되어 에어실린더(23)로 수평이동 동작을 하는 정렬판(24)과, 제2컨베이어(9)의 한쪽에 설치되어 또다른 에어실린더(25)에 의해 수직이동 동작을 하는 스톱퍼(26)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적재함(2)의 리프터(1)가 이 적재함(2)에 사출성형되어 적재된 파이프(10)다수개를 들어올려주게 되면 이 리프터(1)위의 파이프(10) 다수개가 제1미끄럼판넬(3)위로 굴러가게 되다가 보조프레임(12)에 설치된 이동조정판(11)에 걸려져 파이프(10) 1개씩만 이 이동조정판(11)아래로 굴러가게 되고, 다음 이 제1미끄럼판넬(3)의 앞쪽에 멈취지게 되면 파이프(10)의 양쏙 선단에 설치된 센터링판넬(13)이 에어실린더(14)에 의해 마주다가와 이 파이프(10)의 폭방향위치를 잡아주게 된다.
이 상태에서 경사이송수단(4)의 모우터(15)구동에 의해 체인(18)이 회전하면서 이 체인(l8)에 다수 고정된 이송팔렛(20)이 이 경사이송수단(4)앞쪽에 위치된 파이프(10)를 1개씩 들어올려 경사진 상방으로 이송시켜주게 되고, 이어 상부 스프로킷(19)의 한쪽에 설치된 센서(21)가 이 상부스프로킷(19)을 넘어선 파이프(l0)를 계수해주게 되는바, 이 센서(2l)가 소정의 갯수 20개를 계수해주게 되면 모우터(15)의 동작을 멈추게 하고, 또 이 센서(11)를 통과한 20개의 파이프는 제2미끄럼판넬(5)을 지나 제1컨베이어(7)위에 쌓이게 되는데, 이때, 이 제1컨베이어(7)한쪽에 설치된 정렬수단의 정렬판(24)이 에어실린더(23)에 의해 제1컨베이어(7)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가와 상기 20개의 파이프(10)를 제2컨베이어(9)한쪽에 설치된 스톱퍼(26)까지 밀어주게 된다.
이렇게 스톱퍼(26)까지 밀려 이송된 파이프(10)다수개가 선단이 가지런히 정렬되게 되면서 상기 밴딩기(8)의 내부를 가로질러 위치하게 되는바, 이때 밴딩기(8)가 동작하여 이 파이프(10)를 결속해주게 된다.
이렇게 파이프(10) 1차 결속이 이루어진다음 스톱퍼(26)구동용 에어실린더(25)가 후퇴하여 이 소톱퍼(26)가 제2컨베어어(9)보다 아랫쪽으로 내려간다음 제1컨베이어(7)의 모우터(22)와 제2컨베이어(9)의 모우터(22')가 소정시간(본 발명에서는 약 7초) 동작하여 이 제1, 제2컨베이어(7,9)를 구동시켜줌으로써 한쪽이 결속된 파이프(10)를 1핏치 이송시켜 이 파이프(10)의 중간부위를 밴딩기(8)중앙에 위치시켜 주고, 이어 이 밴딩기(8)가 다시 동작하여 2차로 파이프(10)를 결속시켜주며, 다시 상기 모우터(22,22')가 약 7초간 다시 동작하여 파이프(10)를 다시 1핏치 이송시켜 준 다음 밴딩기(8)로 파이프(10)를 결속해 준다음, 다시 모우터(22,22')를 구동시켜 결속이 끝난 파이프(10)다발을 제2컨베이어(9)측방에 구비된 별도의 적재함(도시안됨)으로 이송시켜주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동작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 파이프 자동결속장치는 각각의 에어실린더(14,23,25)나 모우터(l5,22,22')등이 조절기(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에 연결되어, 본 발명 프레임(F) 한쪽에 설치된 조작판넬(도시안됨)에 설치된 다수개의 버튼으로 상기 조절기(PLC)의 동작을 조작해주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조작판넬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 센서(21)의 계수량과 제1,제2컨베이어(7,9)의 모우터(22,22')의 동작시간(예컨대 7초)을 셋팅시켜준 다음 시작 버튼을 눌러주게 되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l)의 리프터(2)가 리프팅 동작을 하고 다음 센터링판넬(13)의 에어실린더(l4)동작에 의해 파이프(10)의 폭방향 위치가 결정되며, 경사이송수단(4)의 한쪽센서(2l)가 파이프(10)의 통방향을 계수하되, 20개가 되면 경사이송수단(4)의 모우터(15)가 정지하고, 이렇게 호퍼(6) 내부에 위치한 20개의 파이프(10)를 정렬판(24)용 에어실린더(25)를 동작시켜 파이프(10)를 정렬시킨 후 제1,제2컨베이어(7,9)의 모우터를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이송시키면서 벤딩기(8)로 결속시켜 주게되면 파이프(10)의 결속 1싸이클이 완료되게 되는 바, 다음 다시 경사이송수단(4)의 모우터(15)를 동작시켜 다시 파이프(10) 상부이송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파이프(10) 다발을 3곳에서 결속해주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결속 횟수는 파이프의 길이와 제l,제2컨베이어(7,9)의 모우터(22,22')의 동작 시간에 따라 가변시켜 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은 경사이송수단(4)이 파이프(10)다수개를 1개씩 경사진 상방으로 이송해주면서 센서(21)가 이를 계수하고, 이렇게 계수하여 모인 파이프(l0) 다수개를 정렬시킨 뒤 소정 간격의 핏치로 이송시켜 주면서 결속해주도록 되어, 파이프(l0)의 이송과 정렬 및 결속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생산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리프터(1)가 구비된 적재함(2)에 연결된 제1미끄럼판넬(3)과, 이 제1미끄럼판넬(3)에 연결되어 파이프(l0)를 경사진 상방으로 이송시켜주는 경사이송수단(4), 이 경사이송수단(4)의 한쪽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파이프(10)를 감지하는 센서(21), 상기 경사이송수단(4) 한쪽에 제2미끄럼판넬(5)를 매개로 설치된 제1컨베이어(7) 및, 이 제1컨베이어(7)에 파이프(l0)를 결속시켜 주는 벤딩기(8)를 매개로 연결된 제2컨베이어(9)로 이루어진 파이프 자동결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이송수단(4)이 모우터(l5)에 베벨기어(l6)를 매개로 연결된 하부스프로킷(17)과, 이 하부스프로킷(17)에 체인(18)을 매개로 회전하는 상부스프로킷(19) 및, 상기 체인(18)에 고정되어 파이프(10)를 1개씩 상방으로 이송시켜주는 다수개의 이송팔렛(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자동결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미끄럼판넬(3)의 한쪽에는 보조프레임(12)에 체결고정되어 이 제1미끄럼판넬(3)위로 파이프(l0)가 1개씩만 지나가도록 제어하는 이동조정판(1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자동결속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l컨베이어(7)에 파이프(l0)다수개를 한곳에 쌓이도록 해주는 호퍼(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자동결속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기(8) 앞, 뒷쪽에는 다수개의 파이프(l0)를 정렬시키는 정렬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자동결속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정렬수단이 제1컨베이어(7)의 한쪽에 설치되어 에어실린더(23)로 수평이동 동작을 하는 정렬판(24)과, 제2컨베이어(9)한쪽에 설치되어 또 다른 에어실린더(25)에 의해 수직이동동작을 하는 스톱퍼(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자동결속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컨베이어(7,9)를 구동시키는 모우터(22,22,)가 스텝핑 모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자동결속장치.
KR1019910014707A 1991-08-24 1991-08-24 파이프 자동결속 장치 KR940008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4707A KR940008507B1 (ko) 1991-08-24 1991-08-24 파이프 자동결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4707A KR940008507B1 (ko) 1991-08-24 1991-08-24 파이프 자동결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157A KR930004157A (ko) 1993-03-22
KR940008507B1 true KR940008507B1 (ko) 1994-09-22

Family

ID=1931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4707A KR940008507B1 (ko) 1991-08-24 1991-08-24 파이프 자동결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85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3842A (zh) * 2017-10-23 2019-04-30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龙骨自动打包设备及其打包方法
KR102098366B1 (ko) * 2019-01-31 2020-05-29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파이프 자동 포장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3842A (zh) * 2017-10-23 2019-04-30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龙骨自动打包设备及其打包方法
KR102098366B1 (ko) * 2019-01-31 2020-05-29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파이프 자동 포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157A (ko) 199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9388A (en) Load former--palletizer
US4586326A (en) Spinning machine with roving-bobbin feeder
KR101300366B1 (ko) 결속선 다발 자동 묶음장치
US6397738B1 (en) Hay bale stacking and bundling method
US3700127A (en) Method for assembling layers of packages on a pallet
US4049260A (en) Apparatus for feeding sheets
CN103144794B (zh) 全自动纸币接聚捆扎系统
US4354788A (en) Automatic system for the formation and distribution of layers of groups of sheets
US3086640A (en) Article handling apparatus
CN208102433U (zh) 连续自动整理捆扎装置
CN110182524A (zh) 一种配网应急物资智能化储备库
EP0606495A1 (en) Packaging bag arranging apparatus
KR940008507B1 (ko) 파이프 자동결속 장치
KR0149990B1 (ko) 랩롤러의 자동운반시스템
KR20090101586A (ko) 골판지포장판재의 적재장치
JPH0696410B2 (ja) 自動パレタイザ装置
JPH0120363Y2 (ko)
CN208007450U (zh) 一种线缆盘具包装流水线
KR0123382Y1 (ko) 포장박스 다발 묶음기
US3591167A (en) Sheet feeding apparatus
US3471994A (en) Wrapper dispenser
JP3663020B2 (ja) 鉄線束送り込み装置
GB1603537A (en) Package-forming apparatus
US3420515A (en) Machine for automatically loading and unloading fabric creasers
US4187773A (en) Bundle ty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