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009B1 - 지편(紙片)의 반송정리장치 및 지편(紙片)의 정리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지편(紙片)의 반송정리장치 및 지편(紙片)의 정리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009B1
KR940008009B1 KR1019880005931A KR880005931A KR940008009B1 KR 940008009 B1 KR940008009 B1 KR 940008009B1 KR 1019880005931 A KR1019880005931 A KR 1019880005931A KR 880005931 A KR880005931 A KR 880005931A KR 940008009 B1 KR940008009 B1 KR 940008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ulley
paper piece
piec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148A (ko
Inventor
소우이치 다케모토
다카토시 다케모토
가즈나리 가와시마
다카지 류우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에이스 덴켄
다카토시 다케모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에이스 덴켄, 다카토시 다케모토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에이스 덴켄
Priority to KR1019880005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8009B1/ko
Publication of KR890017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2Members rota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direction of article movement, e.g. hel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편(紙片)의 반송정리장치 및 지편(紙片)의 정리수납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지편 반송정리장치의 정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II-II선 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III-III선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지편 반송정리장치의 정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II-II선 단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III-III선 단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접촉자의 사시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반송기의 측면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VI-VI선 단면도.
제10도는 종래의 지편 반송 정리장치의 부분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반송장치의 수직 종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누름 회전체의 정면도.
제13도 및 제14도는 본 발명의 정렬기구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편 반송정리장치 11 : 하우징
14 : 피버트축 14a∼14d : 요동아암
15 : 회전운동풀리 16 : 회동전달밸트
20 : 삽입기구 21 : 이송통
21a, 21b : 개구부 22 : 지편 안내부재(지폐 안내부재)
23 : 접촉자 23a : 앞 끝단부
24 : 전동기 25 : 아암
30 : 반송기 31 : 풀리
32 : 고무링 33a, 33b, 33c : 로울러
40 : 정리 수납장치 41 : 이송부
42 : 지폐(지편)분리부 42a : 분리카운터(매수검지센서)
43 : 수납부(매거진) 43a, 44 : 받아 넣는 입구
46 : 이송 풀리 46a, 73a : 거는 홈
47 : 핀치 로울러 48 : 구동 전달 밸브
50 : 누름부 51 : 감는 풀리
52 : 누름 밸브 52a, 72a∼72c : 안내풀리
53 : 탄성누름판 54 : 누름부재
55 : 누름풀리 56 : 누름 회전체
57 : 누름 풀리부 58 : 핀기어
58a : 핀 60 : 받이부
61 : 받이 밸트 61a : 풀리
61b : 스타 휘일 62, 73 : 이송 풀리
63 , 77a∼77c : 누름 풀리 64 : 이송 밸트
65 : 아암 70 : 반송부
71 : 큰 풀리 74 : 주벨트
75, 76 : 안내판 76a : 끝단부
78a∼78d : 핀치로울러 79a, 79b : 스프링
M : 지편
본 발명은 지편을 가로로 세운 자세로 이송하는 반송기의 말단을 가져서 설치되고, 이 반송기로부터 투입되는 지편을 계수(計數)하여 정리시키는 지편의 반송 정리 장치 및 벨트에 의하여 지편을 끼워서 이송하고, 정리 또는 수납하는 지편의 정리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들면, 지폐등을 회수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종래, 지편의 반송 정리 장치 및 지편의 정리 수납장치에 있어서는 반송기로부터 투입되는 지편을 정리하여 낙하시키는 지편의 반송 정리 장치로서는 예를들어,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 있다.
풀리(3)에 의하여 구동되는 고무링(5)과 로울러(4a),(4b) 사이에 끼워져서 세워진 자세 그대로 반송되어 오는 지편(6a)은 이송통(1)의 입구에서 반송기(2)의 최말단 로울러(4a)로부터 떨어진 순간 아래쪽으로 자유롭게 낙하하고, 정리 수납 장치 사이를 연락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지편의 정리 수납 장치는 받아 들인 지편을 겹치지 않고, 차례차례 나란하도록 정렬시키고, 정렬한 지편을 1장씩 분리하여 정리하며, 또한 지편을 잘 정리 정돈하고, 모아서 수납할 수가 있는 특성이 요구된다.
종래의 지편 반송 정리장치에서는 이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복잡한 각종 기구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반송정리장치에서는 지편이 반송기의 말단에서 떨어지면, 이후에는 정리 수납장치까지 자유롭게 천천히 낙하하여 가므로, 예를들면, 지편(6b)과 같이 로울러(4a)를 떨어뜨린 때에 지편이 가로 방향의 자세 그대로 낙하하는 것이며, 이 경우에 이송통(1)의 내벽에 닿을 때에는 지편이 접혀지고, 강하게 접혀진 지편은 접힘 자국이 생기고, 이 자국에 의해 지편에는 때때로 지편(6d)과 같이 본래의 접힌선으로 접혀 버리고, 이송통(1)의 출구를 막아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정리수납장치에서는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보수가 귀찮고 복잡하며 고가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가로방향의 자세로 보내져 온 지편을 반송기의 말단에서 항상 아래쪽을 향하여 세로방향의 자세로 되도록 자세를 조정하여, 종래 장치에서 보는 바와 같은 출구가 막히는 고장의 발생이 없는 반송 정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요구특성을 만족할 수가 있는 정리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것은, 통형상으로 되고 하부가 뚫린 개구부를 가지는 이송통과, 이 이송통의 상기 개구부 끝단 테두리부는 정리수납장치의 입구와 접속되는 삽입기구와, 소정수단에 의하여 구동되는 고무링과, 이 고무링의 이동과 함께 자유롭게 회전하는 여러개의 로울러로 구성하는 반송기와, 이송부와 분리부 및 수납부로 이루어지는 정리수납장치로 구성되는 지편의 반송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기구는, 상기 이송통(21)의 내부에 탄성을 가지는 대략 반원통 형상의 지편 안내부재와, 지편 진행방향으로 평행하는 스파이어럴 형상의 접촉자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반송기로부터 보내져오는 지편은 아직 반송기로부터 완전하게 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접촉자의 스파이럴 운동에 의하여, 진행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고, 상기 지편 안내부재의 가장 바깥쪽 모선에 지편의 진행 앞 끝단이 튀어 오르는 순간 아래쪽의 정리 수납장치의 받아 넣는 입구를 향하여 떨어지도록, 상기 접촉자의 스파이럴 운동에 의하여 지편 안내부로 보내고, 이 지편 안내부재위로 밀리게 된다.
이 순간, 상기 지편 안내부재의 위 표면을 청소하도록 회전하고, 있는 마찰재료로 덮혀진 상기 접촉자의 앞끝단에서 제거하도록 하여 아래쪽의 정리 수납장치의 받아 넣는 입구를 향하여 제거되어 떨어지기 때문에, 지편은 항상 진행 앞 끝단을 아래쪽으로 향한다. 즉, 세로방향 자세로 되어 아래쪽으로 낙하된다.
또한, 반송장치에 받아 넣어진 지편은 먼저 정렬기구의 이송 풀리와 누름 풀리와의 틈새로 들어가고, 만약에 2장이 동시에 틈새로 들어간 때에는 누름 풀리가 역회전하여, 접촉된 지편을 되돌려서 1장 만이 틈새를 통과하여 정렬되고 , 정렬하여 차례차례로 좋게 반송된 지편은 지편 분리부에서 고속으로 이송부로 보내어질 때에, 그 앞단계와의 보내는 속도와의 차이에 의하여 근접하여 정렬하고 있던 4변이 서로 떨어지고, 또 매거진 내로 반입되며, 반입된 지편은 누름 풀리에 의하여 뒤 끝단 테두리가 매거진의 안쪽 바닥으로 모아져서 들어가고, 다음의 지편에 장애가 되지 않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도, 제 4 도 및 제1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지편의 반송 정리장치(10)는 전행정에 반송기(30), 그리고 반송정리를 담당하는 삽입기구(20) 및 후행정으로 배치된 정리 수납장치(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송기(30)는 제 8 도,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풀리(31)에 의하여 구동되는 고무링(32)과 이 고무링(32)을 양쪽에서 가볍게 밀어 누르면서 상기 고무링(32)의 이동과 함께 자유롭게 회전하는 여러개의 로울러(33a),(33b),(33c)…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삽입기구(20)는 제 1 실시예의 제 1 도, 제 2 도 및 제 2 실시예의 제 4 도,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반송기(30)와, 정리 수납장치(40)의 중간에 설치하여, 반송기(30)에서 배출되는 지편(M)을 정리 수납장치(40)로 보내주는 기능을 가지며, 반송기(30)의 마지막 끝단부를 소정 형상으로 뚫린 이송통(21)은 수직 아래쪽으로 연이어 지고, 아래쪽 개구부(21b)는 정리 수납장치(40)의 받아 넣는 입구(44)내로 뚫려 있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의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송통(21)의 개구부(21a)의 근방에서 지편 진입 방향과 평행하는 한쪽벽에 단면이 반달형상을 이룬 지편 안내부재(22)가 설치되어 있다.
지편 안내부재(22)는 지편 진행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편을 맞이하도록, 또한 원통모선을 수직방향으로 되도록 상기 측벽에 설치되는데, 재료는 예를들어 마이라(상품명) 또는 매우 얇은 스테인리스 스프링 판재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대하여서는,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송통(21)의 개구부(21a)의 근방에 지편 진입 방향과 병행하는 일측벽에 지폐 안내 부재(22)가 설치되고, 지폐 안내부재(22)는 지편 진행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편을 받아 들이기 위하여 스파이럴 앞 끝단에 탄성을 가지고 접촉하도록 상기 측벽에 고정 형성되는데, 재료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마이라(상품명)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이송통(21)의 윗쪽에 상기 지폐 안내 부재(22)를 붙박이 하는 벽면과 직교 및 대향하는 벽면에서 이 벽면에 수직으로 원통형상의 스파이럴 형상을 이룬 접촉자(23)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튀어 나오게 설치하고, 기초 끝단을 상기 벽면을 관통하여 배면에 설치된 전동기(24)와 연결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자(23)의 회전 원통면은 상기 지편 안내부재(22)의 가장 바깥쪽 모선에 가볍게 접촉하도록 배치하여 있고,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자(23)는 앞 끝단부(23a)를 마찰재료, 예를들어 고무등으로 피복하고 있다.
또한, 접촉자(23)의 회전방향은 그 스파이럴 바깥쪽의 진행 방향이 지편(M)의 진행방향, 다시 말하면, 상기 지편(M)을 끌어들이도록 한 방향으로 하고,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촉자(23)는 회전시 그 스파이럴의 감긴선 사이에 들어간 지폐가 상기 지폐 안내부재(22)쪽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동기(24)는 동기 회전수보다 저속으로 되도록 감속기와 같은 것을 설치하고 있다.
다른 구성예로서는 변속 모터를 사용하여 회전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새롭게 전동기를 부착하는 일이 없이, 정리 수납장치(40)의 동력계로부터 밸트나 기어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하여도 좋다.
한편, 정리 수납장치(40)는 삽입기구(20)로부터 보내져 오는 지편(M)을 매 장수마다 보내는 이송부(41)와, 연속하여 보내져 오는 지편에 분리 간격을 부여하고, 통상 장수를 헤아려서 기록하는 분리카운터(42a)등으로 이루어진 지폐 분리부(42)와, 테두리를 가지런히 쌓아 올리는 수납부(43)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 받아 넣는 입구(44)를 향하여 받이부(60)가 설치되고, 지편(M)의 흐름 방향에서 받이부(60)의 뒤에 반송부(70)가 설치되며, 반송부(70)의 마지막 끝단부에는 지편 분리부(42)와 수납부(43)로의 누름부(50)가 설치되어 있다.
받이부(60)에는, 먼저 받아넣는 입구(44)를 향하여 받이벨트(61)가 풀리(61a), 스타 휘일(61b)에 감겨져 설치되고, 받이벨트(61)의 뒤에 정렬기구를 이루는 이송풀리(62)와 누름풀리(63)가 설치되어 있다.
이송풀리(62)와 스타 휘일(star wheel)(61b)에는 이송벨트(64)가 감겨져서 설치되고, 누름풀리(63)는 끝단이 피버트 축(14)으로 하우징(11)에 요동 가능하게 피버트 고정된 아암(25)의 앞끝단에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송풀리(62)에 붙이고 땔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누름풀리(63)에 근접하여 회전운동풀리(15)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운동풀리(15)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구동 모터(도시생략)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큰 풀리(71)를 통하여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게 되어 있다.
누름풀리(63)와 회전운동풀리(15)와의 틈새는 지편(M)의 대략 1장의 절단 정도로 설정되고, 통상은 누름풀리(63)와 회전운동풀리(15)는 떨어져 있으며, 누름풀리(63)와 이송풀리(62) 또는 이송벨트(64)와의 사이에 2장의 지편(M)이 동시에 이송될 때에 밀어올려진 누름풀리(63)가 회전운동풀리(15)에 맞닿아서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누름풀리(63)에 접촉한 지편(M)을 받아넣는 입구(44)쪽으로 되돌아가도록 설정되어 있다.
반송부(70)는, 이송풀리(62)와 큰 풀리(71)와 안내풀리(72a)∼(72c)와 이송풀리(73)와에 주벨트(74)가 걸쳐진 것이 주요부를 이루고, 큰 풀리(71)와 상기 회전운동풀리(15)의 사이에서 회전운동 전달벨트(16)가 걸쳐져 있다.
주벨트(74)가 지편(M)을 보내는 부분을 따라서 안내판(75),(76)이 배치되고, 안내판(75),(76)을 따라서 누름풀리(77a)∼(77c)가 배치되며, 누름풀리(77a)∼(77c) 및 이송풀리(73)에 대향하며, 주벨트(74)를 사이에 두고서 핀치 로울러(78a)∼(78d)가 배치되어 있다.
핀치 로울러(78a)∼(78d)는, 피버트축(14)에 끝단이 피버트 지지된 요동아암(14a)∼(14d)의 앞에 장착되고, 요동아암(14a)∼(14d)사이에 탄성력을 가지도록 설치된 스프링(79a, 79b)에 의하여 누름풀리(77a)∼(77c) 또는 이송풀리(73)에 주벨트(74)를 사이에 두고서 맞닿도록 힘을 가하고 있다.
지편 분리부(42)는, 이송풀리(73)와,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에 직접회전 구동되는 이송풀리(46)로써 구성되고, 안내판(76)의 끝단부(76a)는 이송풀리(46)를 따라서 굴곡하여 연이어지며, 이송풀리(46)에 탄성있게 접촉하는 핀치로울러(47)가 끝단부(76a)의 사이에서 이송풀리(46)에 대향하고 있다.
이송풀리(73)의 큰 직경의 거는 홈(73a)과 이송풀리(46)의 작은 직경의 거는홈(46a)과의 사이에 구동전달벨트(48)가 걸처져 있고, 이송풀리(46)의 주속도는 이송풀리(73)의 주속도보다 상당히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이송풀리(46)의 바깥둘레는 고속으로 보내는 부를 이루고 있다. 이송풀리(46)의 주속도는 이송풀리(73)의 둘레속도보다 충분히 크게 하면 좋기 때문에, 거는 홈의 직경의 크기에 관계없이 자체의 외경의 차이에 의하여도 좋다.
또한, 이송풀리(73)와 이송풀리(46)와의 사이에는 안내판(76)을 따라서 매수 검지센서(42a)가 형성되어, 매수 검지부를 이루고 있다. 누름부(50)는, 이송풀리(46)와 감는풀리(51)와의 사이에 누름 벨트(52)가 감겨져 형성되고, 수납부(43)의 한쪽면으로부터 그의 내부로 삽입하는 탄성누름판(53)과 그 뒤에 누름부재(54)가 설치되어 있다.
수납구(43)의 받아넣는 입구(43a)를 향하여, 누름 벨트(52)에 의하여 회동되는 누름 풀리(55)와 그것에 대향하는 누름 회전체(56)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누름 벨트(52)는 또한 안내풀리(52a)에 안내된다.
누름 회전체(56)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누름 벨트(52)에 눌러 접촉하는 누름풀리부(57),(57)와 누름 벨트(52)로부터 분리된 위치의 핀기어(58),(58)…가 일체적으로 조합되어 이루어지고, 핀기어(58)의 핀(58a),(58a)…은 누름 풀리부(57)의 바깥둘레 보다 돌출하고, 다음에 오는 지편(M)이 들어오기 쉽게하기 위하여, 앞서 삽입된 지편(M)의 뒤끝단을 윗쪽으로 뛰어오르도록 되어 있다.
수납부(43)은 단순한 상자로써, 받아넣는 입구(43a)를 가지며, 한쪽면에 탄성누름판(53)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납부(43)의 대신에 일정매수(예를들면 100매 마다) 저류되면 클립등이 나와서 그것으로써 지편(M)을 일정매수로 끼워서 유지하는 것도 고려되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통상의 지편(M)은 고무링(32)의 양쪽에 각각 1매식 끼워져서 보내지게 조작한다.
단, 양쪽의 지편(M)의 위상은 가지런히 할 필요는 없다.
반송기(30)의 말단 로울러(33a)로부터 배출되는 지편(M)은 제 3 도 및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접촉자(23)에 접촉하면서 진행하고, 또 접촉자(23)의 스파이럴 운동에 의하여 접촉자(23)의 앞끝단에서 상기 지편 안내부재(22)의 상에 맞닿는 순간, 접촉자(23)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제거되어 떨어진다.
접촉자(23) 또는 앞끝단부(23a)에 의한 지편(M)의 낙하시의 지편(M)의 접촉 부분은 진행방향 앞끝단부에 가깝기 때문에, 이 앞끝단부를 아래쪽으로 향하여 강하게 떨어지는 것으로써,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지편(M3),(M4)과 같이 위,아래로 세로방향의 자세로 되어 낙하하여 가는 것이다.
또한, 반송기(30)의 고무링(32)의 양쪽에서 2매의 지편(M)이 동시에 보내져온 때에는, 접촉자(23)에 접하고 있는 예의 지편(M)에서 앞서 제거되어 떨어져 간다.
즉, 종래에서와 같이 지편이 구겨져서 이송통(21)의 개구부(21b)를 막는 일은 없게 된다.
다음에 정리 수납장치(4)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송풀리(46)가 구동 모우터에 의하면 회동되면, 반송장치(1)의 전체의 동작부위는 직접으로 이송풀리(46)에 접속되므로써, 전체가 기동한다.
받아넣는 입구(44)로부터 받아 넣어진 지편(M)은 받이벨트(61) 및 스타 휘일(61b) 및 이송벨트(64)에 의하여, 정렬기구를 이룬 이송풀리(66)와 누름풀리(63)의 사이에 보내주게 된다.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지편(M)이 1내 정도 이송풀리(62)와 누름풀리(63)사이에 들어간 경우에, 누름풀리(63)와 회전운동풀리(15)에 접촉하는 일은 없고, 누름풀리(63)는 보내는 풀리(62) 또는 주벨트(74)에 따라서 구동하고, 1매의 지편(M)이 이송풀리(62)와 누름풀리(63)의 사이를 통과하여 뒤쪽으로 보낸다.
만약에 2매의 지편(M)이 이송풀리(62)와 누름풀리(63)의 사이에 들어가면, 제1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누름풀리(63)가 밀어올려서 회전운동풀리(15)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누름풀리(63)에 접촉하고 있는 지편(M)을 받아넣는 입구(44)쪽으로 강제적으로 되돌리며, 결국 제13도에 나타낸 상태로 하여 지편(M)을 1매씩 정렬시킨다.
정렬된 지편(M)은, 누름풀리(77a)와 핀치로울러(78a) 사이, 핀치 로울러(78b)와 누름풀리(77b)사이를 통과하고, 큰풀리(71)와 주벨트(74)에 끼워져 유지되어 반회전하며, 누름풀리(77c)와 핀치로울러(78c)와의 사이를 통과하여 차례차례 보내지며, 이송풀리(73)와 핀치로울러(78d)의 사이에서 지폐 분리부(42)로 들어간다.
이송풀리(73)와 핀치 로울러(78d)와의 사이를 통과한 지편(M)이 이송풀리(46)와 핀치 로울러(47)와의 사이로 들어가면 보내는 속도가 크게 되므로, 계속해서 이송풀리(73)와 핀치 로울러(78d)와의 사이에 있는 지편(M)을 떼어 놓고서 떨어뜨린다. 떨어뜨린 경계가 계산된 양으로 된 바, 매수 검지센서(42a)가 지편(M)의 통과수를 헤아린다. 이 데이터는 수납부(43)의 수납량등을 제어하는 것에 이용된다.
다음에 지편(M)은 안내판(76)의 끝단부(76a)에서 반전되어 누름풀리(55)와 누름 회전체(56) 사이를 통과하고, 받아넣는 입구(43a)에서 수납부(43)내로 밀어주게 된다.
누름 풀리(55)와 누름 회전체(56)의 사이에서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누름 풀리부(57)와 누름 벨트(52)와의 사이에 지편(M)이 끼워져 유지되어 보내지며, 핀기어(58),(58)…가 지편(M)의 단면을 정렬한다.
핀기어(58),(58)…의 핀(58a),(58a)…은 앞서 지편(M)을 수납부(43)의 바닥부로 보내줌과 동시에, 다음의 지편(M)의 삽입의 방해를 하지 않도록 삽입 완료의 지편(M)의 뒤끝단을 위쪽으로 튀어오르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차례차례 지편(M)은 수납부(43)내에 수납되며, 매수 검지센서(42a)의 수치로써 수납부(43)이 가득찬 것을 알게 되면 수납부(43)가 다음의 빈 수납부(43)으로 교환된다.
교환은, 예를들어, 간헐적인 계단부를 형성한 벨트 콘베이어로써 행하던가, 로보트, 핸드로써 행하던가 또는 피스턴 등으로써 밀어내는 등의 각종의 방법으로써 행하여진다.
세운 자세로서 반송기에서 보내준 지편이 자연적인 낙하보다 빠르게 강제적으로 가로 길이의 자세에서 세로의 길이의 자세로 조정되어 낙하하여 가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꾸겨진 자국이 있는 지편도 재빠르게 정리기로 보내주게 되고, 종이 막힘을 일으키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지편의 반송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써, 받아넣는 지편을 겹치지 않게 차례차례 좋게 나란히 정렬시키고, 정렬한 지편을 1매씩 분리하여 취급하며, 더욱이 지편을 정연하게 한데 모아서 수납할 수가 있어 값싸고 보수가 손 쉬운 지편의 반송장치로 된다.

Claims (4)

  1. 통형상으로 되고 하부가 뚫린 개구부(21b)를 가지는 이송통(21)과, 이 이송통(21)의 상기 개구부(21b) 끝단 테두리부는 정리수납장치(40)의 입구(44)와 접속되는 삽입기구(20)와, 소정수단에 의하여 구동되는 고무링(32)과, 이 고무링(32)의 이동과 함께 자유롭게 회전하는 여러 개의 로울러(33a),(33b),(33c)로 구성되는 반송기(30)와, 이송부(41)와 분리부(42) 및 수납부(43)로 이루어지는 정리수납장치(40)로 구성되는 지편의 반송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기구(20)는, 상기 이송통(21)의 내부에 탄성을 가지는 대략 반원통 형상의 지편 안내부재(22)와, 지편(M) 진행방향으로 평행하는 스파이어럴 형상의 접촉자(23)로 이루어지는 지편의 반송정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이송통(21)의 개구부(21a)의 근방에 지편 진입 방향과 병행하는 일측벽에 지폐 안내 부재(22)가 설치되고, 지폐 안내부재(22)는 지편 진행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접촉자(23)를 가지는 지편의 반송정리장치.
  3. 지편(M)의 반송정리장치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밸트로 지편(M)을 끼워 유지하여 이송함과 동시에 수납하는 지편의 정리 수납장치에 있어서, 지편의 받이부(60)에 보내는 풀리(62)와 미는 풀리(63)를 대향하여 형성하고, 미는 풀리(63)는 지편(M)의 대략 1매의 절반의 틈새가 있을 정도까지 상기 보내는 풀리(62)에 대하여 붙이고 뗄 수 있도록 지지되며, 양쪽 풀리(62),(63)에 여러 장의 지편(M)이 들어가서 상기 미는 풀리(63)를 밀어 올린 때에는, 미는 풀리(63)가 그것에 접촉한 지편(M)을 되돌림 방향으로 역회전하도록 구성한 정렬기구를 형성하고, 지편(M)을 이송하는 경로에 그 앞의 이송부(41)의 보내는 속도보다 고속으로 지편(M)을 보내는 지편 분리부(42)를 구성하며, 지편(M)을 이송경로의 말단에 있어서, 지편(M)을 수납하는 수납부(43)를 배치하며, 이 수납부(43)의 받아넣는 입구(43a)를 향하여 지편(M)의 뒤 끝단 테두리를 이 수납부(43)의 안쪽부로 반입하여 밀어 주는 회전체(5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편의 정리수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기구는, 끝단이 비퍼트축(14)에 의하여 하우징(11)에 요동가능하게 피버트 고정된 아암(25)의 앞끝단에 누름풀리(63)가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누름풀리(63)에 근접하여 회동풀리(15)가 설치되어, 회전운동 풀리(15)와 큰 풀리(71) 사이에 회전운동 전달 밸트(16)가 걸쳐져서 반시계 방향으로 역회전하도록 구성한 지편의 정리 수납장치.
KR1019880005931A 1988-05-20 1988-05-20 지편(紙片)의 반송정리장치 및 지편(紙片)의 정리수납장치 KR940008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5931A KR940008009B1 (ko) 1988-05-20 1988-05-20 지편(紙片)의 반송정리장치 및 지편(紙片)의 정리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5931A KR940008009B1 (ko) 1988-05-20 1988-05-20 지편(紙片)의 반송정리장치 및 지편(紙片)의 정리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148A KR890017148A (ko) 1989-12-15
KR940008009B1 true KR940008009B1 (ko) 1994-08-31

Family

ID=19274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931A KR940008009B1 (ko) 1988-05-20 1988-05-20 지편(紙片)의 반송정리장치 및 지편(紙片)의 정리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80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148A (ko) 198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24295B1 (en) Device for conveying a bundel of sheets
EP0148877B1 (en) Paper currency dispenser apparatus
US5083769A (en) Dual collating machine
US4618302A (en) Device for accumulating and delivering paper sheets
US3866905A (en) Separator and transfer device for paper napkins, towels and the like
KR900000787B1 (ko) 종이의 집적장치
US42855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cking sheets such as paper currency
US6132554A (en) Integrated compact folder/sealer/inserter
EP078167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documents into envelopes
KR940008009B1 (ko) 지편(紙片)의 반송정리장치 및 지편(紙片)의 정리수납장치
JPH01139308A (ja) 硬貨包装装置
CA2241287A1 (en) Variable cut sheet stacker
US4736571A (en) Envelope stacker
JPS59102761A (ja) 用紙処理装置
JPS6356139B2 (ko)
JPS6058145B2 (ja) カ−ド集積装置
JPS63252868A (ja) 紙片搬送整理装置
EP0600083B1 (en) Device for conveying and arranging paper sheet
US5259605A (en) Sorter with trays having guide plates and return springs
JPH05186126A (ja) 紙葉類の収納装置
US4221372A (en) Machine for collating sheet material
JPH02305736A (ja) 紙片の搬送装置
JPH01172175A (ja) 紙葉集積装置
JPH0476892B2 (ko)
EP2000324B1 (en) Envelope fill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