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830Y1 - 시동 전동기 - Google Patents

시동 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830Y1
KR940007830Y1 KR2019900018811U KR900018811U KR940007830Y1 KR 940007830 Y1 KR940007830 Y1 KR 940007830Y1 KR 2019900018811 U KR2019900018811 U KR 2019900018811U KR 900018811 U KR900018811 U KR 900018811U KR 940007830 Y1 KR940007830 Y1 KR 9400078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tor
movable contact
coil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8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777U (ko
Inventor
교헤이 야마모또
가쯔노리 야기
다까시 기노시따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914030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78972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914030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78973U/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17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7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8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065Relays having a pair of normally open contacts rigidly fixed to a magnetic core movable along the axis of a solenoid, e.g. relays for starting automobi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동 전동기
제 1 도 내지 제 3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 1 도는 결선도, 제 2 도는 요부 종단면도, 제 3 도는 일부 사시도.
제 4 도는 동일하게 일부를 변형한 사시도.
제 5 도는 종래의 시동 전동기의 결선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요부 측단면도.
제 7a 도는 제 6 도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7b 도는 제 7a 도의 부분 측면도.
제 8 도는 종래의 시동 전동기의 결선도.
제 9 도는 종래의 시동 전동기의 요부 측단면도.
제 10a 도는 제 9 도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10b 도는 제 10a 도의 일부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동 전동기 2 : 전동기
3 : 전자 스위치 6 : 격벽
33, 133 : 전류 코일 34, 134 : 전압 코일
211, 212, 311, 312 : 평상시 개방 접점
214, 215, 321, 322 : 평상시 폐쇄 접점
213, 313 : 제 1 가동 접점 323 : 제 2 가동 접점
본 고안은 시동 전동기, 특히, 직류 전동기 및 이것을 제어하는 전자 스위치를 구비하고 기관을 시동하기 위한 시동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제 5 도 및 제 8 도 내지 10 도는 종래의 시동 전동기이며, 시동 전동기(1)는 직류 전동기(2)와 이것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스위치(3)를 구비하고 있다.
직류 전동기(2)의 자극(21)은 영구자석으로 형성되고, 전기자(32)를 여자 가동시킨다. 양, 음극 전기솥(23, 24)은 전기자(22)에 습접하고 있다.
전자 스위치(3)와 주접점(31)은 가동철심(32)에 결합된 가동 접점(213)의 양측에 각 한쌍의 평상시 개방 고정 접점(311, 312)과 평상시 폐쇄 고정 접점(321, 322)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철심(32)이 전류 코일(33)로 흡인 가동되어 가동 철심(32)의 흡착 상태는 전압 코일(34)로 보존된다. 코일(33, 34)은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그 직렬 회로의 양단은 접지와 고정 접점(312, 322)에 접속되어 있다. 고정 접점(312, 322)은 전기자(22)를 개재해서 접지되어 있다.
전류 코일(33)과 전압 코일(34)의 접속점은 차량의 키 스위치(5)를 개재해서 전지(4)의 양측에 접속되어 있다. 고정 접점(311)도 전지(4)의 양측에 접속되어 있다. 가동 철심(32)은 후술하는 플랜져에 의해 이동(가동)된다.
또한, 전류 코일(33)은 전류 유출선(331)이 고정 접점(312)을 거쳐 전기자(22)에 접속되어 있다.
제 8 도 내지 제 10b 도를 참조하면, 플랜져(135)를 도시하지 않은 이동 레버를 개재해서 전기자(122)의 출력회전축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피니언에 걸어맞춤 형성된다.
전자 스위치(3)의 케이스(136)에 결합된 캡(137)에 고정 접점(211, 212)이 고정되어 있다. 참조번호 138은 코어이며 고정 접점(214)이 압입 등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0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접점(215)은 동판 등의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되며 전류 코일(133)의 일단과 리드선(216)에 접속되어 있다. 가동접점(213)은 캡(137)에 형성된 통로(137a)를 따라 작동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키스위치(5)가 폐쇄되면 전류 코일(33) 및 전압 코일(34)이 통전 가동되어 가동철심(32)이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한다. 가동 접점(313)이 고정 접점(311, 312)에 접속되고 전지(4)에서 전기자(22)가 공전되고 피니언이 회전되어, 기관이 시동된다.
기관시동후 키 스위치(5)가 개방되어 전압 코일(34)로의 통전이 없어지므로 주 접점(31)이 개방되고 원상으로 되돌아간다. 피니언과 링기어의 걸어맞춤도 해제되어 가동 접점(313)은 고정 접점(321, 322)을 폐쇄하고, 전기자(22)의 타성 회전에 의한 발전 전압을 단락해서 전기자(22)를 재빨리 정지시킨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시동 전동기에서는 전자 스위치가 시동 가동시의 전류 개폐뿐만이 아니라 키 스위치를 끊은 후의 타성 회전시의 단락(발전제동)도 행하기 때문에, 1회의 시동당 2배의 개폐 동작으로 되어 접점이 마모분의 양도 약 2배로 되어, 마모분에 의한 누설 전류로 전자 스위치의 구조체(주로 캡)가 소손되는 등의 위험성이 있었다. 특히 제 5 도중, 전지축 고정 접점(311)(상기 +)과 가동 접점(313)(시동시 이외는-), 과의 연면 거리 L1또는, 고정 접점(321)(상시-), 고정 접점(322)(시동시 이외는 -)과의 L2등의 연면 거리가 짧고, 시동시이외, 즉 기관 운전중 또는 정지중에 누설 발생이 우려가 있었다.
또한, 제 10a 도에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213)이 캡의 통로에 접할대 까지 회전하므로 연면거리(ℓ)가 적어진다. 캡(137) 내벽에는 고정 접점(211, 212)이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 접점(211)이 평상시이므로, 가동 접점(213)이 캡 통로(137a)의 내벽에 접하면 코일 해제시 가동 접점(213)은에 접촉 누설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누설 전류를 방지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킨 시동 전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가동 접점의 회전을 규제하여 전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스위치를 구비한 시동 전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라 시동 전동기는 전자 스위치의 제 1 가동 접점과 제 2 가동 접점 사이에 절연체인 격벽이 설치되어 있다. 전자 스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평상시 폐쇄 접점중의 고정 접점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걸림편으로 가동접점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가동 접점을 2개로하여 그 사이에 격벽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접점이 양음간이 분리되어 연면 거리가 증가한다. 또한 가동 접점이 회전을 규제 하였으므로, 가동 접점과 캡 통로 벽과의 접촉이 없어진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 2 도에서 중심선보다 하측은 코일 가동전(소거시), 중심선보다 상측은 코일 가동시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가동 철심(35)에는 제 1 및 제 2 가동 접점(313, 323)이 나란히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 고정 접점(311, 312 와 321, 322)에 대응하고 있다. 제 1, 제 2 가동 접점(313, 323)사이에는 고무와 같은 절연체의 격벽(6)이 설치되어 있다.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6)은 상면에 가동 철심(35)의 외경보다 조금 큰 구멍(6a)과 조립 작업용의 슬릿(6b)이 형성된 직방체부와, 방수 패킹을 겸한 플랜지부(6c)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가동 접점(313)을 초과해서 내장시킬 수 있다.
전류 코일(33)에 의해 이동되는 플랜져(36)에는 후크(36a)가 설치되어 있다. 참조번호 37은 캡 참조번호 38은 케이스이다.
제 6 도, 제 7a 및 7b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고정 접점(215)은 동판등의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되며 접점(215)으로서 작용함과 더불어 걸림판(215a)을 일체로 절곡 형성하여 다시 전류 코일(133)과의 접속편(216)을 일체로 형성하게 되어 있다. 고정 접점(215)의 면적은 누설에 대한 안정성에 유의하여 가급적 적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 도와 동일부호는 동일 부분이며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키 스위치(5)를 투입하면 전류 코일(33), 전압 코일(34)이 부가되어 가동 철심(35)이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1 가동 접점(313)은 고정 접점(311, 312)에 맞대여지므로 진동기(2)가 가동된다. 이때, 플랜져(36)의 후크(36a)에 걸어맞춤 되어 있는 레버에 의해 피니언이 기관의 링기어에 이 맞물려서 기관을 시동 가동시킨다.
키 스위치(5)를 해제하면 원상으로 복귀하여, 타성 회전에 의한 발전 전압을 부호(23)→(312)→(331)→(322)→(323)→(321)→(24)의 루트로 단락시켜 제동된다.
이상의 기본 동작은 종래 장치의 경우와 같다.
그러나, 같이 작동하는 2개의 가동 접점(313, 323)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격벽(6)을 설치하여 고정 접점(311, 312) 측과 고정 접점(321, 322)측을 분리하므로서, 연면 거리가 증대되어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관의 시동에 관한 동작은 종래의 장치와 같으나 걸림편(215a)에 의해 가동 접점(213)의 회전을 규제하므로, 캡(137)의 통로(137a)벽에 가동 접점(213)이 접촉되지 않는다. 그래서 연면거리(L)는 커져 누설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한다.
또한, 제 4 도는 격벽(6)의 변형이고 제 3 도의 것을 2개로 자른 것으로, 이것을 2개 조합시키기로 하였다. 이 경우는, 딱딱한 수지로 형성하여도 내장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평상시 개방 고정 접점과 평상시 폐쇄 고정 접점이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제 2 가동 접점이 사이에 격벽을 설치하였으므로, 접점의 연면거리가 증대하고 누설 전류의 발생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점을 2개로 하였으므로 접점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가동 접점이 회전을 규제하므로서 가동접점과 캡의 통로 내벽과 접촉이 없어져, 접점의 연면거리가 증가하여 누설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Claims (2)

  1. 기관을 시동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와, 코일 가동시에 폐쇄하여 전동기의 부가 회로를 형성하는 제 1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평상시 개방 접점 및 코일의 해제시에 폐쇄하여 전동기의 정부 단자간을 단락하는 제 2 가동접점을 포함하는 평상시 폐쇄 접점을 구비하는 각기 전자 스위치를 구비한 시동 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 접점과 제 2의 가동 접점 사이에 설치된 절연체인 격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전동기.
  2. 기관을 시동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와, 코일 가동시에 폐쇄하여 전동기의 부가 회로를 형성하는 평상시 개방 접점 및 코일의 해제시에 폐쇄하여 전동기의 양음 단자간을 단락하는 평상시 폐쇄 접점을 갖는 전자 스위치를 구비한 시동 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평상시 폐쇄 접점의 고정 접점과 일체로 형성되어 가동접점의 회전을 규제하는 걸림편을 구비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전동기.
KR2019900018811U 1989-12-05 1990-11-30 시동 전동기 KR94000783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40308(U) 1989-12-05
JP1989140308U JPH0378972U (ko) 1989-12-05 1989-12-05
JP1989140309U JPH0378973U (ko) 1989-12-05 1989-12-05
JP1-140309(U) 1989-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777U KR910011777U (ko) 1991-07-29
KR940007830Y1 true KR940007830Y1 (ko) 1994-10-24

Family

ID=2647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8811U KR940007830Y1 (ko) 1989-12-05 1990-11-30 시동 전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103107A (ko)
KR (1) KR9400078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668B1 (ko) * 2004-12-10 2007-01-19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KR101338725B1 (ko) * 2008-12-03 201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 시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9533A (ja) * 1996-10-09 1998-06-23 Denso Corp スタータ
FR2768259B1 (fr) * 1997-09-09 1999-10-08 Valeo Equip Electr Moteur Contacteur de demarreur comportant une cloison d'etancheite
JP2000217314A (ja) * 1999-01-26 2000-08-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タ―タ
US20050029955A1 (en) * 2003-08-07 2005-02-10 Blake Frederick H. Anti-cycling control system for luminaires
JP2007335117A (ja) * 2006-06-12 2007-12-27 Denso Corp 電磁スイッチ
JP2010192416A (ja) * 2009-01-21 2010-09-0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封止接点装置
JP5569349B2 (ja) * 2009-12-11 2014-08-13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継電器
WO2011115050A1 (ja) * 2010-03-15 2011-09-22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開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696A (en) * 1987-06-30 1989-01-12 Hitachi Chemical Co Ltd Manufacture of circuit boar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668B1 (ko) * 2004-12-10 2007-01-19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KR101338725B1 (ko) * 2008-12-03 201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 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777U (ko) 1991-07-29
US5103107A (en) 199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7830Y1 (ko) 시동 전동기
KR100671668B1 (ko)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US8446238B2 (en) Double contact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starter for thermal engine incorporating it
US7834497B2 (en) Starter
JP2003328908A (ja) スタータ制御装置および制御装置付スタータ
JP3237348B2 (ja) スタータ
EP1429362B1 (en) Accessory device for manual motor starter
EP1353065A2 (en) Magnet switch for starter
JP3750926B2 (ja) 始動用電動機装置
JP3169515B2 (ja) スイッチ
KR910000252Y1 (ko) 전자 스위치
JPS55102751A (en) Inverted operating circuit for wiper housing device
KR100600558B1 (ko) 서지전압 발생 방지용 다이오드를 구비한 마그네트 스위치
CN113851353A (zh) 起动器用电磁开关
RU2244848C2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оборудования автомобиля
JPS6339858Y2 (ko)
JPH0140224B2 (ko)
US4668871A (en) Auxiliary device driving starter motor
JPS6142261Y2 (ko)
JPH0217399Y2 (ko)
JPH0138847Y2 (ko)
KR100217242B1 (ko) 마그네트 스위치의 흡인력을 향상시킨 시동전동기
JPH0130769Y2 (ko)
RU2104181C1 (ru) Устройство включения и/или отключения электропотребителя в автомобиле
KR19990016578U (ko) 자동차용 스타트모터의 브러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