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606Y1 - 조립식 화분 받침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화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606Y1
KR940007606Y1 KR92010607U KR920010607U KR940007606Y1 KR 940007606 Y1 KR940007606 Y1 KR 940007606Y1 KR 92010607 U KR92010607 U KR 92010607U KR 920010607 U KR920010607 U KR 920010607U KR 940007606 Y1 KR940007606 Y1 KR 940007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tand
support
flower pot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0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013U (ko
Inventor
박진호
Original Assignee
박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호 filed Critical 박진호
Priority to KR92010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606Y1/ko
Publication of KR9400000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0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6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화분 받침대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취 분리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부분 확대도.
제 3 도는 본 고안이 조립된 상태의 요부 발췌 횡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이 조립된 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형 지지대 2, 2' :형 경사내입공
3, 3', 3"…, 4, 4', 4"… : 환요부 5, 5', 6, 6', 7, 7" : 지지간
8, 8' : 핸들볼트 9, 9', 9" : 받침봉
10 : 손잡이대 11 : 로라
12 : 받침대
본 고안은 조립식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분 받침대는 대개 일체화로 고정이 되었으므로 화분의 크기에 따라 높이와 폭의 조절이 불가능하여 사용에 불편하였고, 일단 설치하면 이동이 불가능하였으며 수직형으로 형성된 화분걸이대는 상측의 화분에 물을 주면 배수되는 물이 아래에 있는 화분으로 떨어져 좋지 않았으며 균형이 맞지 않으면 넘어지기 쉬운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화분 받침대를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화분의 대. 소 크기에 따라 높이와 화분 받침폭을 간편히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형 지지대(1) (1')에형 경사내입공(2) (2')이 있고 다수의 환요부(3) (3') (3")…(4) (4') (4")…가 요설된 지지간(5) (5') (6) (6') (7) (7')을 대향되게 내입하여 핸들볼트(8) (8')로 각각 고정하고 환요부에는 다수개의 받침봉(9) (9') (9")…을 착설하며 위에는 손잡이대(10)와 아래에는 로라(11)가 부착된 받침대(12)를 끼워 넣어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3, 13'"는 돌부, "14"는 용접부, "15"는 넛트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조립이 된 상태에서 화분(도시하지 않았음)을 올려 놓으면 화분의 크기에 따라형 지지대(1) (1')에 내입고정된 지지간(5) (5')에 다수개 요설된 환요부(3) (4)에 내입된 받침봉(9)을 꺼내어 간격을 적정폭이 유지되게 조정해 놓고 화분을 올려놓으면 되고 화분이 높아 층간의 간격을 조정해 주려면 지지간(6) (6')을 고정한 핸들볼트(8) (8')을 나해한 뒤 화분이나 꽃의 높이를 감안해서 지지간(6) (6')을 위로 올려주면형 경사내입공(2) (2')이형 지지대(1) (1')를 따라 올라가 수평이 유지되게 한 뒤 핸들볼트(8) (8')를 고정해 주면 지지간(5) (5')과 지지간(6) (6')의 간격이 원하는 대로 쉽게 조절이 되는 것이며, 지지간(6) (6')에 요설된 환요부(3') (4')에 내입된 받침봉(9')은 화분의 크기에 따라 안정감이 있게 좁히거나 넓히면 쉽게 되고 상측의 지지간(7) (7')을 낮게 조정하려면 지지간(7) (7') 내측의 핸들볼트(8) (8')를 풀고 지지간(7) (7')을 아래로 밀면형 지지대(1) (1')에 끼워진형 내입공(2) (2')과 일체로 형성된 지지간(7) (7')이 하측으로 오게 되므로 다시 핸들볼트(8) (8')를 조여주면 높낮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화분을 안치하는 받침봉(9")은 다수개 등간격으로 요설된 환요부(3") (4")에 내입하여 간격 조절을 해주면 되는 것이며 화초의 일광 조절을 위해 차광을 시킬 때에는 손잡이대(10)를 약간 눌러주면 받침대(12)의 로라(11)가 부착된 타측의 지면과의 접촉 부분이 약간 들리게 됨과 동시에 손잡이대(10)를 당겨주면 로라(11)는 회전되므로 쉽게 그늘진 원하는 위치로 이동을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조립식 화분 받침대를 해체하여 이동할 때에는 손잡이대(10)를 뽑아내고 다수개의 받침봉(9") (9') (9)…을 들어낸 뒤 핸들볼트(8) (8')를 나해하고 지지간(7) (7') (6) (6') (5) (5')을 잡고형 지지대(1) (1')에서 뽑아내면 일체로된형 경사내입공(2) (2')이 미끌어지듯 자연스럽게형 지지대(1) (1')에서 빠져나오며 나머지 받침대(12)를 뽑아주면 완전히 분해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화분을 안치할 때에 대. 소의 크기에 관계없이 높이와 폭을 간편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며 완전히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해체, 운반, 보관이 용이하고 화분이 경사진 상태로 배열되므로 위에서 배수되는 물이 아래 화분으로는 떨어지지 않고 물주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형 지지대(1) (1')에형 경사내입공(2) (2')이 있고 다수의 환요부(3) (3') (3")…(4) (4') (4")…가 요설된 지지간(5) (5') (6) (6') (7) (7')을 대향되게 내입하여 핸들볼트(8) (8')로 각각 고정하고 환요부에는 다수개의 받침봉(9) (9') (9")…를 착설하며 위에는 손잡이대(10)와 아래에는 로라(11)가 부착된 받침대(12)를 끼워 넣어서 된 조립식 화분 받침대.
KR92010607U 1992-06-12 1992-06-12 조립식 화분 받침대 KR940007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0607U KR940007606Y1 (ko) 1992-06-12 1992-06-12 조립식 화분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0607U KR940007606Y1 (ko) 1992-06-12 1992-06-12 조립식 화분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013U KR940000013U (ko) 1994-01-03
KR940007606Y1 true KR940007606Y1 (ko) 1994-10-22

Family

ID=1933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0607U KR940007606Y1 (ko) 1992-06-12 1992-06-12 조립식 화분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6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013U (ko) 199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76289A (en) Flower pot
US6983561B2 (en) Vertical plant stand
US20040010971A1 (en) Grow pole
AU2014299351A1 (en) Pot device and method related thereto
US5259141A (en) Tree planter
KR940007606Y1 (ko) 조립식 화분 받침대
US2756541A (en) Container for growing strawberry plants
US4381838A (en) Support system for potted plants
EP0181328A1 (en) FLOWERPOT.
KR101925243B1 (ko) 작물지지대
KR101334706B1 (ko) 수경재배용 지지대
US20020059750A1 (en) Flowerpot and flowerpot / support stick assembly
EP0250945B1 (en) Large vase for plants
KR200257496Y1 (ko) 식물재배용 다단식 선반
KR102291085B1 (ko) 식재틀
CN209201651U (zh) 一种用于降低病害传染的草莓栽培架
KR950010193Y1 (ko) 화분용 선반
KR200183627Y1 (ko) 도로 장식용 화분
JP3816574B2 (ja) 育苗棚
CA3152811A1 (en) Universal cascading watering tray rolling rack system with leveling and locking mechanisms.
JPH0520549U (ja) プランタ用植物棚
KR200456170Y1 (ko) 걸이형 화분
JP3011050U (ja) 観葉植物のディスプレイスタンド
JPS62228212A (ja) 園芸用支柱
KR840000378Y1 (ko) 받침다리가 형성된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