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500B1 -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신호변조방법 및 회로 - Google Patents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신호변조방법 및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500B1
KR940007500B1 KR1019920003563A KR920003563A KR940007500B1 KR 940007500 B1 KR940007500 B1 KR 940007500B1 KR 1019920003563 A KR1019920003563 A KR 1019920003563A KR 920003563 A KR920003563 A KR 920003563A KR 940007500 B1 KR940007500 B1 KR 940007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ferroelectric liqui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3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0333A (ko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박경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박경팔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3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500B1/ko
Publication of KR930020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0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신호변조방법 및 회로
제 1 도는 일반적인 액정표시소자의 블럭도를 나타낸 것이고,
제 2 도는 액정표시소자의 도트 매트리스를 갖는 전극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고,
제 3 도는 종래에 있어서 STN구동용 종전극(COLUMN)구동 IC로서, 제3-a도는 종전극 구동 IC칩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제3-b도는 상기 제3-a도의 입력값에 대한 출력값을 나타낸 진리표이고, 제3-c도는 상기 제3-b도의 진리값을 파형으로 나타낸 것이고,
제 4 도는 종래에 있어서 STN구동용 횡전극(ROW)구동 IC로서, 제4-a도는 횡전극 구동 IC칩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제4-b도는 상기 제4-a도의 입력값에 대한 출력값을 나타낸 진리표이고, 제4-c도는 상기 제4-b도의 진리값을 파형으로 나타낸 것이고,
제 5 도는 강유전성 액정판넬에서의 파형도로서, 제5-a도는 종전극과 횡전극에 인가되는 파형과 그의 각 경우에 있어서 액정에 인가되어지는 파형을 나타낸 것이고, 제5-b도는 상기 제 2 도로 구성되는 종전극과 횡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타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좇 인가도어지는 파형을 나타낸 것이고, 제5-b도는 상기 제 2 도로 구성되는 종전극과 횡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타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쫍유전성 액정을 구동하기 위하여 각 구동 IC에 인가하여야 하는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로서, 제6-a도는 종전극에 인가하여야할 신호의 파형도이고, 제6-b도는 횡전극에 인가하여야 할 신호의 파형도이고,
제 7 도는 상기 제 6 도와 같은 신호를 인가하여 주기 위한 신호변조회로의 블럭도이고,
제 8 도는 상기 제 7 도에서의 각부 파형도이다.
본 발명은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에 STN구동용 IC를 이용하여 상기 강유전성 액정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변조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STN(Super Twisted Nematic)이라고 불리우는 액정과 강유전성 액정(Ferroelectric Liquid Crystal)의 성질을 살펴보면 STN은 단안정상태를 가지며절대값이 일정이상인 전압이 인가되면 일정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으로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대한 광학적응답속도는 50∼300ms이며 강유전성 액정(Ferroelectric Liquid Crystal)은 2가지의 안정상태를 가지는 것을 절대값이 일정이상이고 서로 반대의 극성을 가지는 전압은 상기 강유전성 액정(Ferroelectric Liquid Crystal)이 서로 다른 배열을 가지도록 변화시키며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대한 광학적인 응답속도는 20∼200㎲ 정도가 된다. 상기 강유전성 액정이 상기 STN과 다른 또하나의 특징은 기억기능으로서 변환된 배열상태를 상당기간동안 유지하는 성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STN액정구동용 IC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STN 액정 구동용 IC를 이용하여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STN 액정 구동용 IC에 인가하여 주는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신호변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신호변조회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신호변조방법은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1-랫치신호로써 1-화소기간에 4회 인에이블되는 제2-랫치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각 전극구동 IC로 인가하는 제 1 공정과 ; 1-화소기간에서 2회의 구형펄스인 DF-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액정표시소자의 각 전극구동 IC로 인가하는 제 2 과정과 ; 시스템클럭을 주파수가 4배가 되는 클럭으로 변환하여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각 전극구동 IC로 인가하는 제 3 과정 ; 및 제어부의 상기 제1-랫치신호마다 데이타(DE)를 상기 제2-랫치신호마다 DE, 1,, 0인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종전극구동 IC의 데이타단자로 인가되는 제 4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신호변조회로는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1-랫치신호를 입력하여 1-화소기간에 4회 인에이블되는 제2-랫치신호를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각 전극구동 IC로 출력하는 랫치신호변조부와 ; 1-화소기간에서 2회의 구형펄스인 DF-신호를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각 전극구동 IC로 출력하는 DF-신호발생부와 ; 시스템클럭을 입력하여 주파수가 4배가 되는 클럭으로 변환하여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각 전극구동 IC로 출력하는 주파수체배기 ; 및 제어부의 상기 제1-랫치신호마다 데이타(DE)를 입력하여 상기 제2-랫치신호마다 DE, 1,, 0인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종전극구동 IC의 데이타단자로 인하가는 데이타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는 일반적인 액정표시소자의 블럭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어부는 동기신호와 표시되어야 하는 화상에 대한 데이타와 각 구동부가 데이타를 일정단위로 입력하게 하는 랫치신호등을 출력하며 종전극 구동부는 제어부로부터 동기신호와 화상에 대한 데이타와 상기 랫치신호등을 입력하여 랫치신호마다 데이타에 따른 신호를 m개의 종전극을 통하여 나타내고 황선극 구동부는 제어부로부터 등기신호와 랫치신호등을 입력하여 상기 랫치신호마다 순차적으로 n개의 횡전극을 순차적으로 인에이블하는 신호를 나타내게 된다.
제 2 도는 액정표시소자의 도트 매트리스를 갖는 전극의 분포를 나타낸 것으로서 종으로는 m개의 전극이 분포하고 항으로는 n개의 전극이 분포하며 이들은 서로 액정을 중심으로 상반된 쪽에 위치하고 투명한 물질로 구성되며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은 m개의 종전극과 n개의 횡전극에 인가되는 전위치가 된다. 이와같은 전극의 구동방식은 일반적으로 상기 종전극으로는 화상의 데이타를 인가하고 상기 횡전극으로는 순차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신호를 인가하여 1-화소기간에 횡으로 한 줄씩의 화상이 구동되어 표시되게 된다.
제 3 도는 종래에 있어서 STN구동용 종전극(COLUMN)구동 IC로서, 제3-a도는 종전극 구동 IC칩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화상에 대한 데이타를 입력하는 m1개의 입력단자(D)와 제어부의 랫치신호를 입력하도록 되어있는 랫치단자(LATCH)와 STN구동시 제어부로부터 일반적으로 변조신호라고 불리우는 M-신호를 입력하는 DF단자와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는 바이어스단자(V1, V3, V4, VEE)와 인에이블단자와 상기 m개의 종전극 각각에 신호를 출력하는 m개의 출력단자(O1-Om)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랫치신호에 대하여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STN 종전극구동 IC는 내부적으로 랫치수단을 구비하여 데이타를 일정단위(m1)로 입력하여 m개의 종전극을 구동할 수 있는 데이타가 모두 입력되는 싯점에서 데이타에 따른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랫치신호는 상기 m개의 종전극을 구동할 수 있는 데이타가 모두 입력되는 싯점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종전극 구동 IC의 기능은 제3-b도를 가지고 알아보기로 하자.
제3-b도는 상기 제3-a도의 입력값에 대한 출력값을 나타낸 진리표로서 입력되는 데이타와 DF단자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레벨이 상기 바이어스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중 하나의 레벨로 됨을 알 수 있다. 특히 바이어스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지게 된다.
V1〉V3〉V4〉VEE
제3-c도는 상기 제3-b도의 진리값을 파형으로 나타낸 것으로 인에이블되었을때 DF단자에 인가되는 신호와 입력되는 데이타에 따라 출력레벨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제 4 도는 종래에 있어서 STN구동용 횡전극(ROW)구동 IC로서 제4-a도는 횡전극 구동 IC칩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일반적으로 프레임신호라고 불리우는 동기신호를 입력하는 I단자와 바이어스 전압을 입력하는 바이어스 단자(V1, V2, V5, VEE)와 STN액정구동시 변조신호를 입력하는 DF단자와 인에이블단자(E)와 STN구동시 상기 제어부의 제1-랫치신호를 입력하는 랫치단자(LATCH)와 상기 n개의 횡전극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n개의 출력단자(O1-On)를 구비하며 내부적으로 n비트-쉬프트레지스터를 구비하여 I단자로 인가되는 신호는 상기 n비트-쉬프트레지스터에 입력되어 상기 랫치단자(LATCH)로 인가되는 신호마다 1씩 쉬프트되어 n개의 횡전극을 구동하는 주사데이타(STROBE)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바이어스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V1〉V2〉V5〉VEE상기 횡전극 구동 IC칩의 기능을 제4-b도를 가지고 설명하기로 하자.
제4-b도는 상기 제4-a도의 입력값에 대한 출력값을 나타낸 진리표로서 n개의 출력단자에는 인에이블 신호가 "하이"레벨인 구간에서 DF단자로 인가되는 신호와 상기 주사데이타(STROBE)에 따라 V2,VEE, V5, V1의 신호가 인가되어짐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사데이타는 일반적으로 n개중 하나만이 "1"의 값을 가짐으로써 화상의 1줄씩 표시되어진다.
제4-c도는 상기 제4-b도의 진리값을 파형으로 나타낸 것으로 인에이블되었을 때 DF단자에 인가되는 신호와 주사데이타(STROBE)에 따라 출력레벨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전극구동 IC칩을 이용하여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에 사용하기 위하여 인가되어야 하는 파형에 대하여 제 5 도를 이용하여 알아보기로 하자.
제 5 도는 강유전성 액정판넬에서의 파형도로서, 제5-a도는 종전극과 횡전극에 인가되는 파형과 그의 각 경우에 있어서 액정에 인가되어지는 파형을 나타낸 것으로 액정에 인가되는 파형은 강유전성 액정이 안정배열상태를 변하게 하는 전압의 절대값이 V1이라고 할때 화상데이타가 표시되는 부분에서는 1화소기간의 반주기동안 전압레벨이 -V1과 V1이 되는 구형펄스를 인가하고 나머지 반주기동안은 안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전압레벨인 -V3와 V3로 되는 펄스가 인가되며 화상데이타가 표시되는 1화소기간동안에는 전압레벨이 -V5 와 V5인 펄스가 인가되어진다. 구체적인 파형의 형태는 도면을 통하여 확실히 알 수 있다. 이러한 파형이 인가되기 위하여 상기 종전극과 횡전극에 인가되는 파형의 형태는 각각 도면과 같게된다. 즉 종전극은 종전극에 인가되는 화상데이타가 "1"인 경우에는 전압레벨이 1-화소기간동안 순차적으로 VEE, V1, V4, V3로 변하는 파형을 나타내며 종전극에 인가되는 화상데이타가 "0"인 경우에는 전압레벨이 1-화소기간동안 순차적으로 V4, V1, VEE, V3로 변하는 파형을 나타내고 횡전극은 주사데이타(STROBE)가 "1"인 경우에는 전압레벨이 1-화소기간동안 순차적으로 V1, VEE, V1, VEE으로 변하는 파형을 나타내고 주사데이타(STROBE)가 "0"인 경우에는 전압레벨이 1-화소기간동안 순차적으로 V5, V2, V5, V2로 변하는 파형을 나타내게 된다. 구체적인 파형은 도면을 통하여 확실히 알 수 있으며 상기 전압레벨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V1〉V2〉V3〉V4〉V5〉VEE
제5-b도는 상기 제 2 도로 구성되는 종전극과 횡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타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종전극과 횡전극을 통하여 강유전성 액정에 인가되어지는 파형을 나타낸 것으로 이때 종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타는 화상에 대한 데이타이고 횡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타는 주사데이타(STROBE)로서 상기 종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타는 상기 주사데이타(STROBE)가 "1"이 되는 줄의 화상데이타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성질을 갖는 신호파형을 상기 STN구동용 IC칩을 이용하여 구동시키기 위하여 각 입력단자에 인가하는 신호의 성질을 제 6 도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6 도는 상기 제 4 도와 제 5 도의 STN구동용 IC로서 강유전성 액정을 구동하기 위하여 각 구동 IC에 인가하여야 하는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로서 이와같은 파형이 얻어지는 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한다.
먼저 종전극의 신호를 알아보면 화상데이타가 "1"인 경우에 전압레벨은 순차적으로 VEE, V1, V4, V3로 변환하는 것으로 이러한 출력을 얻기 위해서 DF단자와 데이타입력단자(D)에 인가하여야 하는 데이타는 각각 (1, 1)(0, 1)(1, 0)(0, 0)가 되며 홧데이타가 "0"인 경우에 전압레벨은 순차적으로 V4,V1, VEE, V3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이러한 출력을 얻기 위해서 DF단자와 데이타입력단자(D)에 인가하여 하는 데이타는 각각 (1, 1)(0, 1)(1, 1)(0, 0)가 된다. 즉 DF단자의 신호는 화상데이타와 상관없이 1, 0, 1, 0의 데이타를 인가하여야 하며 데이타입력단자(D)에는 화상데이타를 DE라고 할때 DE, 1,, 0의 데이타를 각각 인가해 주어야하는 것으로 이를 각각 파형으로 나타내면 제6-a와 같게 된다.
횡전극의 신호를 알아보면 주사데이타가 "1"인 경우에 전압레벨은 V1, VEE, V1, VEE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이러한 신호를 나타내기 위하여 DF단자에 인가해 주어야 할 데이타는 1, 0, 1, 0가 되며 주사데이타가 "0"인 경우에 전압레벨은 V5, V2, V5, V2로 변환하는 것으로 이러한 신호를 나타내기 위하여 DF단자에 인가해주어야 할 데이타는 1, 0, 1, 0가 된다. 즉 주사데이타와 관계없이 DF단자에는 1, 0, 1, 0의 데이타를 인가해 주어야 하며 이 파형을 각각 제6-b도에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이 STN구동용 IC칩을 이용하여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제어부의 제1-랫치신호로써 1-화소기간에 4회 인에이블되는 제2-랫치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각 전극구동 IC로 인가하는 제 1 과정과 1-화소기간에서 2회의 구형펄스인 DF-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각 전극구동 IC로 인가하는 제 2 과정과 시스템클럭을 주파수가 4배가 되는 클럭으로 변환하여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각 전극구동 IC로 인가하는 제 3 과정 및 제어부의 상기 제1-랫치신호마다 데이타(DE)를 상기 제2-랫치신호마다 DE, 1,, 0인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종전극구동 IC의 데이타단자로 인가하는 제 4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신호변조방법으로써 구동시킬 수 있다.
제 7 도는 상기 제 6 도와 같은 신호를 인가하여 주기 위한 신호변조회로의 블럭도로서 제1-랫치신호를 입력하여 1-화소기간에 4회 인에이블되는 제2-랫치신호를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각 전극구동 IC로 출력하는 랫치신호변조부와 1-화소기간에서 2회의 구형펄스인 DF-신호를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각 전극구동 IC로 출력하는 DF-신호발생부와 시스템클럭을 입력하여 주파수가 4배가 되는 클럭으로 변환하여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각 전극구동 IC로 출력하는 주파수체배기 및 제어부의 상기 제1-랫치신호마다 데이타(DE)를 입력하여 상기 제2-랫치신호마다 DE, 1,, 0인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종전극구동 IC의 데이타단자로 인가하는 데이타변환부로 구성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데이타 변환부는 제어부의 데이타를 입력하여 랫치하는 랫치수단과 상기 상기 제2-랫치신호를 4까지 계수하는 2-카운터 및 상기 랫치수단에 연결되어 데이타(DE)를 입력하여 상기 2진-카운터의 출력에 따라 데이타(DE), 1, 반전 데이트, 0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데이타 선택부로 구성되며 상기 데이타 선택부는 상기 랫치수단에 연결되어 데이타를 반전하는 인버터와 모드 1인 데이타를 출력하는 항진수단과 모두 0인 데이타를 출력하는 모순수단 및 4개의 입력단자와 2개의 제어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랫치수단과 상기 항진수단과 상기 인버터 및 상기 모순수단에 4개의 입력단자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2진 카운터의 출력이 상기 2개의 제어단자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어단자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단자로 인가되는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항진수단은 상기 랫치수단의 출력과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OR게이트나 NAND게이트로 구성하면 그 출력값이 항상 "1"이 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모순수단은 상기 랫치수단의 출력과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논리곱하는 AND게이트나 논리합하여 반전하는 NOR게이트로 구성하면 그 출력값이 항상 "0"이 되게 할 수 있다. 상기 DF-신호발생기는 T-입력단자로는 "하이"레벨을 입력하고 클럭단자로는 상기 제2-랫치신호를 입력하는 T-플립플롭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T-플립플롭의 진리표는 다음과 같다.
[표]
상기와 같은 T-플립플롭에 있어서 클럭단자에 상기 제2-랫치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T-플립플롭은 상기 제2-랫치신호마다 토글동작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T-플립플롭의 셋트단자를 두어 상기 제1-랫치신호마다 상태를 "1"로 셋트하도록 한다.
제 8 도는 상기 제 7 도에서의 각부파형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1프레임신호는 한 화면이 표시되는 동기신호이고 제1-랫치신호는 화면을 한 라인씩 표시하는 경우에 한 라인에 대한 동기신호로서 한 라인의 황상데이타는 상기 제1-랫치신호의 동작싯점 사이에서 제어부로부터 출력하게 된다. DF신호 및 제2-랫치신호는 변조회로로부터 생성되는 것이고 데이타 2는 상기 신호변조회로를 통하여 각 전극구동 IC로 인가되는 신호로서 상기 데이타 1즉 화상데이타(DE)가 DE, 1, DE, 0의 순으로 상기 종전극으로 인가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신호변조회로는 시스템 클럭인 클럭 1을 입력하여 4체배한 클럭 2를 출력하게 되며 그 파형은 상기 제 8 도와 같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 신호변조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STN 구동용 IC를 이용하여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를 구동할 수 있게 하는 잇점이 있다.

Claims (9)

  1.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1-랫치신호로써 1-화소기간에 4회 인에이블되는 제2-랫치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각 전극구동 IC로 인가하는 제 1 과정과 ; 1-화소기간에서 2회의 구형펄스인 DF-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각 전극구동 IC로 인가하는 제 2 과정과 ; 시스템클럭을 주파수가 4배가 되는 클럭으로 변환하여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각 전극구동 IC로 인가하는 제 3 과정 ; 및 제어부의 상기 제1-랫치신호마다 데이타(DE)를 상기 제2-랫치신호마다 DE, 1,, 0인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종전극구동 IC의 데이타단자로 인가하는 제 4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신호변조방법.
  2.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1-랫치신호를 입력하여 1-화소기간에 4회 인에이블되는 제2-랫치신호를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각 전극구동 IC로 출력하는 랫치신호변조부와 ; 1-화소기간에서 2회의 구형펄스인 DF-신호를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각 전극구동 IC로 출력하는 DF-신호발생부와 ; 시스템클럭을 입력하여 주파수가 4배가 되는 클럭으로 변환하여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각 전극구동 IC로 출력하는 주파수체배기 ; 및 제어부의 상기 제1-랫치신호마다 데이타(DE)를 입력하여 상기 제2-랫치신호마다 DE, 1,, 0인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지자의 종전극구동 IC의 데이타단자로 인하가는 데이타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신호변조회로.
  3. 상기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변환부는 제어부의 데이타를 입력하여 랫치하는 랫치수단과 ; 상기 제2-랫치신호를 4까지 계수하는 2-카운터 ; 및 상기 랫치수단에 연결되어 데이타(DE)를 입력하여 상기 2진-카운터의 출력에 따라 데이타(DE), 1, 반전 데이트, 0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데이타 선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신호변조회로.
  4. 상기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선택부는 상기 랫치수단에 연결되어 데이타를 반전하는 인버터와 ; 모두 1인 데이타를 출력하는 항진수단과 ; 모두 0인 데이타를 출력하는 모순수단 ; 및 4개의 입력단자와 2개의 제어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랫치수단과 상기 항진수단과 상기 인버터 및 상기 모순수단에 4개의 입력단자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2진카운터의 출력이 상기 2개의 제어단자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어단자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단자로 인가되는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신호변조회로.
  5. 상기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항진수단은 상기 랫치수단의 출력과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입력하여 논리합하여 출력하는 OR-게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신호변조회로.
  6. 상기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항진수단은 상기 랫치수단의 출력과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입력하여 논리곱하여 반전하는 NAND-게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신호변조회로.
  7. 상기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순수단은 상기 랫치수단의 출력과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입력하여 논리곱하여 출력하는 AND-게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신호변조회로.
  8. 상기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순수단은 상기 랫치수단의 출력과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입력하여 논리합하고 반전하여 출력하는 NOR-게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신호변조회로.
  9. 상기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F-신호발생기는 T-입력단자로는 "하이"레벨을 입력하고 클럭단자로는 상기 제2-랫치신호를 입력하는 T-플립플롭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신호변조회로.
KR1019920003563A 1992-03-04 1992-03-04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신호변조방법 및 회로 KR940007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563A KR940007500B1 (ko) 1992-03-04 1992-03-04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신호변조방법 및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563A KR940007500B1 (ko) 1992-03-04 1992-03-04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신호변조방법 및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333A KR930020333A (ko) 1993-10-19
KR940007500B1 true KR940007500B1 (ko) 1994-08-18

Family

ID=19329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3563A KR940007500B1 (ko) 1992-03-04 1992-03-04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신호변조방법 및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50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333A (ko) 199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1465B1 (ko) 액정 패널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US5122790A (en) Liquid crystal projection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4556880A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960002127A (ko) 액정 드라이버와 그것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장치
US5825343A (en)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KR100521576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신호 전송 방법
US4955696A (en) Liquid crystal driving system
KR950020377A (ko) 액정 표시 패널 구동장치
US4701025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driving method to eliminate blur due to frequency dependence
KR960038725A (ko) 액정 구동 장치
KR940007500B1 (ko)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신호변조방법 및 회로
KR100268193B1 (ko) 액정표시장치및그의구동방법
KR0150262B1 (ko) 표시장치의 구동회로
EP0544427A2 (en) Display module drive circuit having a digital source driver capable of generating multi-level drive voltages from a single external power source
US4496219A (en) Binary drive circuitry for matrix-addressed liquid crystal display
JPH0782167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365657B1 (ko)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구동회로
JP3482646B2 (ja) 液晶素子の駆動方法、液晶素子の駆動回路及び表示装置
KR950005569B1 (ko) Stn 구동용 ic를 이용한 강유전성 액정의 구동방법 및 구동회로
KR100453186B1 (ko) 강유전성액정표시장치및그구동방법
JP2501462B2 (ja) 液晶階調表示を行なう装置
KR100332333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H11184436A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H0469392B2 (ko)
KR950005948B1 (ko) 확대 계조 표현 구동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