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028B1 - 마찰견뢰도가 우수한 염색인조스웨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찰견뢰도가 우수한 염색인조스웨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028B1
KR940007028B1 KR1019910022760A KR910022760A KR940007028B1 KR 940007028 B1 KR940007028 B1 KR 940007028B1 KR 1019910022760 A KR1019910022760 A KR 1019910022760A KR 910022760 A KR910022760 A KR 910022760A KR 940007028 B1 KR940007028 B1 KR 940007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artificial suede
dyeing
compound
sue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2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3357A (ko
Inventor
김우섭
박주철
Original Assignee
동양나이론 주식회사
공정곤
동양폴리에스터 주식회사
배 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나이론 주식회사, 공정곤, 동양폴리에스터 주식회사, 배 도 filed Critical 동양나이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2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028B1/ko
Publication of KR930013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0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N3/042Acrylic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ultra-fine two-component fibres, e.g. island/sea, or ultra-fine one component fibres (< 1 deni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0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28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silic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10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mechanical properties
    • D06N2209/108Slipping, anti-blocking, low fric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12Decorative or sun protection articles
    • D06N2211/28Artificial l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찰견뢰도가 우수한 염색인조스웨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로 복합방사한 분할형 복합섬유를 시용하여 천연 피혁과 유사한 외관과 촉감을 가지며 마찰견뢰도가 우수한 염색인조스웨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특허공고 소53-66402등에는 분할형 복합섬유를 이용한 인조스웨드의 제조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즉 상기 방법은 분할형 복합섬유를 사용하여 직, 편 혹은 부직포를 만들어 한쪽 방향으로 기모한 후 분산염색을 하고 환원세정을 하며, 이어서 폴리우레탄 습식코팅을 하고 이온계 염료로 재염을 하고 버핑을 함으로써 인조스웨드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분산염색 후 폴리우레탄 코팅시 용제로 사용되는 디메틸포름 알데하이드에 의하여 분산염료가 추출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 이온계 염료로 폴리아미드를 염색할때 이온계 염료에 의하여 폴리에스테르 부분이 오염되어서 염색견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공정간의 균일성이 보장되지 않는한 색상의 재현성을 얻기가 극히 곤란하며 세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형 폴리우레탄을 사용함으로써 이온계 염료로 재염할때 많은 양의 폴리우레탄이 탈락되어 천연 피혁과 유사한 촉감을 내려는 본래의 목적을 만족시킬 수 없었으며, 네째, 공정이 길고, 염색을 폴리우레탄 습식코팅 전후에 1회씩 총 2회에 걸쳐서 실시하므로 제조원가 상승으로, 불량품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 89-20137의 발명은 상기 발명의 문제점들을 개선한 인조스웨드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즉 분할형 복합섬유를 사용하여 직, 편 혹은 부직포를 만들어 기포의 한면 또는 양면에 한쪽 방향으로 기모를 하고 적절한 감량가공을 통하여 분할시킨 후 원단을 열고정하여 형태안정성울 부여한다. 다음 공정으로 내열성과 내가수분해성이 양호한 폴리에테르 폴리올형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여서 습식코팅을 하고 버핑을 실시한다.
다음에 분산염색을 하고 환원세정을 실시하면서 동시에 이온계 염료를 투입하여 폴리아미드 부분을 염색한다. 마지막으로 열고정처리를 하고 브러싱 가공을 한다. 이 방법에서의 문제점은 마지막 열고정처리시 탄력은 유지시키되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처리하는 유연제에 의한 견뢰도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즉,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지막 열고정처리시에 유연제로 처리하게 되면 유연성은 향상되나 염색견뢰도가 저하된다.
이러한 현상은 이온계 염료로 건염염료를 사용하였을때 특히 심하였으며 그 원인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유연제의 성분이 실리콘계 제품으로서 섬유에 처리시 유연성 및 방수, 발수 효과는 양호하나 섬유와 친화성이 없기 때문에 마찰에 의해 쉽게 탈락되어 결과적으로 마찰견뢰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한국특허출원 89-20137의 방법대로 인조스웨드를 제조하고, 뻣뻣한 촉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유연제를 처리하되, 유연제로 처리할때 발생되는 마찰견뢰도 저하를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폴리에스테르를 폴리아미드와 복합방사한 분할형 복합섬유를 사용하여 직,편하거나 부직포를 만든다.
제1차 공정으로서 기포의 한 면 또는 양면에 한쪽 방향으로 기모를 하고 적절한 감량가공을 통하여 분할시킨 후 원단을 열고정시켜서 후공정에서의 형태안정성을 부여한다. 분할후 단사섬도는 0.5데니어 이하가된다.
제2차 공정으로 폴리에테르 폴리올형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여 습식코팅을 하고 버핑을 실시하여 원단의 포면을 고르게 하여준다.
제3차 공정으로 분산염색을 실시하고 이산화티오요소와 론가리트를 염색기에 투입하고 동시에 이온계 염료를 투입하여 환원세정을 한후 냉각시키지 않은채 염색기내의 pH를 적정하게 조정하여 레벨링 시간을 줌으로써 염색을 완료한다. 환원세정과 이온계 염료의 염색이 끝나면 쇼핑과 수세를 2회 반복하여 색조의 선명성과 염색견뢰도를 증진시킨다.
이후 열고정과 브러싱가공을 하여 인조스웨드를 만든다. 상기 방법은 한국특허출원 89-20137에 이미 제시된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중 환원세정과 이온계 염료의 염색이 끝단 후 2회의 소핑과 수세를 함에 있어서, 마지막 수세공정시 아래의 일반식[I]과 같은 화합물을 원단 중량 대비 0.5∼8중량% 투입하여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일반식[I]의 화합물의 첨가량이 0.5% 미만이면 마찰견뢰도 증가효과가 없으며, 8%를 초과하면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할 뿐이다.
R' : 수소 또는 메틸기
R" :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한 것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일반식[I]의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 그리고 실로콘계 유연제와 친화력이 있으며 원단에 처리시 폴리에스테르의 수산화기 및 폴리아미드의 아미노기와 아래와 같이 결합되게된다.
다음에 마지막 열고정처리시에 실리콘계 유연제를 원단 중량 대비 0.5∼8중량% 처리하면 아래와 같이 결합한다.
단, Si : 실리콘 유연체
본 발명은 섬유 및 실리콘 유연제에 모두 친화력이 있는 일반식[I]의 화합물에 의하여 실리콘 유연제가 섬유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마찰견되도가 우수하며 유연효과는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실리콘 유연제를 0.5% 미만 사용하면 유연효과가 저하되며 8%를 초과 사용하면 실리콘계 화합물의 특성 때문에 원단 표면이 미끄러워져서 상품 가치를 저하시킨다.
마지막으로 브러싱가공을 하여 부드러우면서도 마찰견뢰도가 우수한 인조스웨드를 제조한다.
본 발명은 기포의 소재가 실리콘 유연제 처리시 마찰견뢰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직물에 유용하게 사용될수 있다.
즉 1데니어 이상의 100%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제직된 원단은 염색 후 실리콘 유연제를 처리하여도 마찰견뢰도가 크게 저하되지 않으므로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 사용된 기포처럼 0.5데니어 이하의 단사 섬포로 된 기포나,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가 혼합된 기포는 염색 후 실리콘 유연제 처리에 의하여 마찰견되도가 급격히 저하되므로 본 발명이 활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로 구성되며 분할 후의 단사섬도가 0.5데니어 이하인 분할형 복합섬유를 사용하여 제편한 트리코트지를 양면 기모후 벤질알콜 4% o.w.s 용액 90℃에서 30분간 처리하여 수축 및 분할시킨 후 160℃에서 열고정하여 형태안정성을 부여한다. 열고정된 원단을 폴리에테르 폴리올형 폴리우레탄의고형분이 원단 중량의 10%가 되도록 폴리우레탄 습식코팅을 한다.
이어서 버핑하여 원단 표면을 고르게 하여 주고, 폴리에스터 섬유 중량에 대하여 12%의 분산염료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부분의 염색을 실시한다. 분산염색을 실시한 후 환원제로 이산화티오요소와 론가리토를동량 사용한 12g/ι의 환원액을 사용하고, 여기에 가성소다와 폴리아미드 섬유 중량에 대하여 12%의 이온계 염료를 동시에 투입하여 환원세정의 공정을 행하면서 100℃에서 30분간 처리가 끝나면 냉각하지 않고 이온계 염료의 적정 염색 조건대로 pH를 조정하여 폴리아미드 섬유를 염색하고 30분간 레벨링 시간을 거친후에 냉각한다. 이후에 소핑 및 수세를 2회씩 실시하는데 마지막 수세시 일반식[I]의 화합물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를 원단 중량 대비 4중량%를 투입하여 처리한다.
다음에 마지막 열고정 처리시 실리콘 유연제를 원단 중량 대비 4중량%를 처리한 후 브러싱을 하여 기모방향을 고르게 하여 줌으로써 라이팅 효과를 부여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일반식[I]의 화합물과 실리콘 유연제를 원단 중량 대비 2%씩 처리하여 인조스웨드를 만든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일반식[I]의 화합물과 실리콘 유연제를 원단 중량 대비 6%씩 처리하여 인조스웨드를 만든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일반식[I]의 화합물과 실리콘 유연제 처리를 하지 않고 인조스웨드를 제조한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일반식[I]의 화합물은 처리하지 않고 실리콘 유연제만 처리하여 인조스웨드를 제조한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일반식[I]의 화합물은 처리하되 실리콘 유연제는 처리하지 않고 인조스웨드를 제조한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환원세정 및 이온계 염료의 염색을 생략하고 일반식[I]의 화합물과 실리콘 유연제를 처리하여 인조스웨드를 제조한다.
실시예 1∼3과 비교예 1∼4의 염색견뢰도 및 유연성을 비교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 : 매우 양호 ○ : 양호 × : 불량)
* 견뢰도는 아래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마찰견뢰도 : JIS L 0844 A-2호
세탁견뢰도 : JIS L 0842
열광견뢰도 : JIS L 0849 II형

Claims (2)

  1.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로 구성되며 분할 후의 단사섬도가 0.5데니어 이하인 분할형 복합섬유로 된 기포를 폴리우레탄으로 코팅하고 염색하여 인조스웨드를 제조함에 있어서, 실리콘 유연제 처리전의 마지막 수세공정에서 일반식[I]의 화합물로 인조스웨드를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견뢰도가 우수한 염색인조스웨도의 제조방법.
    단, R'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R"는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한 것.
  2.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I]의 화합물과 실리콘 유연제의 사용량이 인조스웨드 중량에 대하여 각각0.5∼8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견뢰도가 우수한 염색인조스웨드의 제조방법.
KR1019910022760A 1991-12-12 1991-12-12 마찰견뢰도가 우수한 염색인조스웨드의 제조방법 KR940007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2760A KR940007028B1 (ko) 1991-12-12 1991-12-12 마찰견뢰도가 우수한 염색인조스웨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2760A KR940007028B1 (ko) 1991-12-12 1991-12-12 마찰견뢰도가 우수한 염색인조스웨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357A KR930013357A (ko) 1993-07-21
KR940007028B1 true KR940007028B1 (ko) 1994-08-03

Family

ID=1932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2760A KR940007028B1 (ko) 1991-12-12 1991-12-12 마찰견뢰도가 우수한 염색인조스웨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0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357A (ko) 199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4058B1 (en) Comfort melamine fabrics and process for making them
US5885307A (en) Dyeing articles composed of melamine fiber and cellulose fiber
EP0874081A1 (en) Dyeing articles composed of melamine and aramid fibers
CN101215790A (zh) 一种棉/牛奶蛋白混纺拉舍尔织物的染整方法
US4447489A (en) Filament yarns of multicomponent fibers and utilization therefor in textile fabrics
US4342565A (en) Brushed stretch denim fabric and process therefor
US4283194A (en) Brushed stretch denim fabric and process therefor: indigo dyeing
EP0875620A1 (en) Process for dyeing melamine fibers and melamine fibers so dyed
CN113481740A (zh) 染色牛仔面料及其制备方法
KR940007028B1 (ko) 마찰견뢰도가 우수한 염색인조스웨드의 제조방법
JPH0860563A (ja) 染色編織物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編織物
US3800375A (en) Cross dyeing fiber blends of polyurethane, polyacrylate or butadiene-acrylonitrile copolymer coated cotton fibers with disperse and reactive dyes
CN111364149B (zh) 一种三合一面料的加工工艺
JP2749284B2 (ja) 植毛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70062176A (ko) 폴리에스테르 인조스웨드의 제조방법
KR100216553B1 (ko) 천연스웨드와 유사한 촉감 및 외관을 갖는 환편지의 제조방법
KR940011473B1 (ko) 레이욘-합성섬유 교직물 및 그 제조방법
JPH1025670A (ja) 割繊型複合繊維を含む構造物の染色方法
JPH0770873A (ja) カットパイル織物
JPH11152642A (ja) カシミヤ調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960023482A (ko) 색내구성 및 촉감이 우수한 인공피혁의 제조 방법
KR100225608B1 (ko) 섬유형성성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로 구성된 분할형 복합섬유의 분할방법
JPH08246210A (ja) 剣道着の製造方法
US2031245A (en) Method of dressing fabrics
JPS5938352B2 (ja) カツトパイル布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