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027Y1 - 네온사인등 구동회로장치 - Google Patents

네온사인등 구동회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027Y1
KR940007027Y1 KR92007180U KR920007180U KR940007027Y1 KR 940007027 Y1 KR940007027 Y1 KR 940007027Y1 KR 92007180 U KR92007180 U KR 92007180U KR 920007180 U KR920007180 U KR 920007180U KR 940007027 Y1 KR940007027 Y1 KR 940007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apacitor
neon
voltage
osci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7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625U (ko
Inventor
이명준
Original Assignee
이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준 filed Critical 이명준
Priority to KR92007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027Y1/ko
Publication of KR9300246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6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0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네온사인등 구동회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의 (a)도는 구형파발진회로 출력 파형도, (b)도는 트랜지스터 (Q3) 콜렉터 파형도, (c)도는 콘덴서(C12) 전답 파형도.
제3도는 종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부 2,9 : 정류회로
3 : 스위칭회로 4 : 네온사인등
5 : 전원공급부 6 : 정전압회로
7 : 멀티바이브레터 8 : 발진회로
10 : 구형파 발진회로 11 : 충방전회로
TS1-TS2: 트랜스 NF : 노이즈 필터
Q1-Q3: 트랜지스터 R1-R7: 저항
D1-D5: 다이오드 ZD : 제너다이오드
C1-C12: 콘덴서 L1-L3: 코일
B. D1, B. D2: 브리지정류기
본 고안은 네온사인등의 구동회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네온사인점멸회로와 초자(유리관) 점등이 순차적으로 되는 기능과 네온사인의 밝기가 점등적으로 최대 밝기가 되는 회로장치가 고압회로에 부하가 단락(SHORT) 또는 단선(OPEN) 될때의 출력을 정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온사인등을 점등하기위한 회로는 여러가지 형태로 제안 사용되어 왔으나, 특히 본인의 선출원(출원번호 제89-4087호)인 네온사인등 구동회로장치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회로(8)의 멀티바이브레이터(7) 구동전원은 고압트랜스(TS4)와 연결된 감지코일(L)과 정류회로(9)(22) 및 정전압회로(21)의 상호작용으로 공급되고 이의 전원으로 인해 발진회로(8)가 동작하여 트랜스(TS3)를 동작시킴에 따라 네온사인등(4)이 점등되게 되어 있으며 멀티바이브레이터(7)로 공급되는 전원은 저항(Rx)을 통해 스위칭회로(3)를 구동하는 트랜스(TS3)에 연결되어 네온 사인등(4)의 상태변화에 따라 스위칭회로(3) 출력 전류를 제어하여 부하상태에 능등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네온사인등 구동회로장치는 내부사인등(4)의 파손으로 인한 단락 또는 개방시에도 고압이 출력될뿐만 아니라 부하 변동에 의한 보호회로가 없고 부피가 크고 무거우며 소비전력이 많이 드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기존의 회로에 구형파 발진회로와 스위칭트랜지스터 및 충방전회로와 다이오드(D1)(D2)를 역방향으로 설치하여 점멸신호를 출력시켜 안정된 동작은 물론 전력 손실을 줄이고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고안의 구성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부(1), 정류회로(2) (9), 스위칭회로(3) 전원공급부(5) 발진회로(8)와 트랜스(TS2)(TS3)가 상호 접속된 통상의 네온사인등 구동회로장치에 있어서 트랜스(TS3)의 코일(L2)에 다이오드(D1)와 콘덴서(C8)를 병렬연결하고 다이오드(D2)와 콘덴서(C9)를 병렬접속 하되 상기 다이오드(D1)(D2)를 역방향으로 하여 네온사인등(4)에 인가하며 전원공급부(5)를 저항(R2)(R3)과 콘덴서(C10)(C11)를 통해 초저주파를 발진시키는 구형파발진회로(10)에 연결하되 구형파발진의로(10)를 저항(R4)를 거쳐 트랜지스터(Q3) 베이스에 접속시키고 이의 콜렉터에 저항(R5)(R6)을 두며 다이오드(D4)(D5)와 저항(R7)과 콘덴서(C12)로서, 충, 방전회로(11)를 구성하여 발진회로(8)의 멀티바이브레이터(7) 5번단자 및 7번단자에 인가하여서된 네온사인등 구동회로장치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회로장치에 네온사인등(4)이 연결되어 정상동작할 경우에는 교류(AC) 상용전압이 전원부(1)의 노이즈필터(NF)와 콘덴서(C4)에 의해 각종 불필요한 신호가 제거되어 정류회로(2)를 경유함에 따라 직류(DC) 전압으로 변화되어 스위칭회로(3)로 인가된다.
이때 전원부(1)의 노이즈필터(NF)를 거친 전압을 전원공급부(5)의 트랜스(TS1)에 인가되어 적정전압으로 재감소압된후 브리지정류기(BD2)를 거쳐 정류된 후 정전압회로(6)를 경유하므로서 안정된 일정전압을 발진회로(8)의 주제어발진을 하는 멀티바이브레이터(7)에 공급하게된다.
따라서 발진회로(8)의 동작으로 인한 출력신호가 트랜스(TS2) 일차측 코일에 전송됨에 따라 스위칭회로(3)의 트랜지스터(Q1)(Q2)가 교대로 온(ON) 오프(OFF) 작용이 반복되어 트랜지스터(Q1)가 온(ON)이 되면 콘덴서(C7)에 충전이되고 트랜지스터(Q2)가 온(ON)이 되면 콘덴서(C7)는 방전이 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Q1)(Q2)의 온, 오프 작용에 의해 콘덴서(C7)는 연속적으로 충, 방전을 교차시켜 3개의 권선(L1,L2,L3)으로 이루어진 트랜스(TS3)에서 고전압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권선비율은 코일(L1)을 80T로 하고 코일(L2)을 4000T로 하며 코일(L3)의 권선비율을 1T로 한다면 트랜스(TS3) 코일(L2)에 걸린 고전압이 ⓐ점으로 +파형의 출력될때 병렬연결된 콘덴서(C8)의 Xc값과 다이오드(D1)의 순방향으로 전류가 도통되어 네온사인등(4)을 통해 콘덴서(C9)의 Xc값과 병렬연결된 다이오드(D2)의 역방향 내부저항 값에 의해 도통되고 트랜스(TS3) 고전압이 ⓑ점으로 +파형이 출력될때는 콘덴서(C9)의 Xc값과 다이오드(D2)의 순방향으로 전류가 도통되어 네온사인등(4)을 통해 콘덴서(C8)의 Xc값과 병렬연결된 다이오드(D1)의 역방향 내부저항 값에 의해 도통된다.
즉, 다시 말해서 다이오드(D1)를 거친 전압은 네온사인등(4)과 콘덴서(C9)를 통해 도통되고 반대로 다이오드(D2)를 거친 전압은 네온사인등(4)과 콘덴서(C8)를 통해 도통되므로 네온사인등(4)을 점등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트랜스(TS3) 일차측에 전압이 발생될때 코일(L3)에도 전압이 유기되며 이의 전압은 정류회로(9)를 거쳐 정류 및 안정된 레벨로 되나 저항(R1)과 제너다이오드(ZD)를 도통시킬만큼 높지 않은 관계로 주제어발진부인 멀티바이브레이터(7)를 클리어시키지 않으므로서 발진회로(8)는 계속 구동되어 트랜스(TS3)는 고전압발생이 지속된다.
따라서 전원공급부(5)에 연결된 초저주파를 발진시키는 구형파발진회로(10)의 발진주기는 저항(R2)(R3)을 통해 합성된 전류가 콘덴서(C10)에 충전되어 발진하게되며 구형파발진회로(10)의 발진출력은 제2도의 (a)도와 같이 구형파펄스로 출력되어 저항(R4)을 통해 구형파펄스를 하이(HIGH)기간과 로우(LOW) 기간을 4대1로하여 스위칭트랜지스터(Q3) 베이스에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3)는 바이어스(BIAS)되어 위상이 180도 전환된 출력을 콜렉터에서 얻는다.
이때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전위가 "하이"일때는 제2도의 (b)도와 같이 약 8.6가 되여 충, 방전회로(11)의 다이오드(D4)를 거쳐 콘덴서(C12)에 충전되고 저항(R8)을 거친신호는 주파수가 약 25KHz정도의 주제어발진부인 멀티바이브레이터(7)에 바이어스전압발생을 정지시켜 컷오프(CUT OFF) 전압이 되어 네온사인등(4)을 오프(OFF)시키고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전압이 로우(LOW)로 되어 0.6정도가되면 콘덴서(C12)에 충전된 전압은 다이오드(D5)와 저항(R7)을 경유하여 멀티바이브레이터(7)의 발진주파수를 결정하는 전압이 되며 서서히 방전하고 방전전압이 8.6에서 7로 낮아지면서 발진주파수도 낮아진다.
즉, 네온사인등(4)을 점등시키는데 필요한 "하이"전압이 발생하고 (c)도와 같이 완전방전전압(2.1)까지 내려가면 완전 밝기의 전압이 되어 다시 콘덴서(C12)가 충전되면 네온사인등(4)을 다시 오프(OFF)된다.
또한 트랜지스터(Q3) 콜렉터전압이 "로우" 즉 2이하가 되면 저항(R6)을 통해 흐르는 전압은 낮아져 주제어 발진부인 멀티바이브레이터(7)에 바이어스전압이 발생되어 네온사인등(4)을 점등시킨다.
한편 네온사인등(4)이 연결되지 않았거나 파손으로 인해 단락(SHORT) 또는 단선(OPEN) 되었을 경우에는 고압발생 트랜스(TS3)의 일차측전압이 급격히 높아지고 코일(L3)의 전압도 동시에 상승되며 이의 전압은 정류회로(9)를 거쳐 제너다이오드(ZD)로 인가되나 이때의 전압은 제너다이오드(ZD) 설정전압보다 높게되어 턴온상태가 되므로서 발진회로(8)의 멀티바이브레이터(7)에 클리어(CLR)신호를 공급하여 발진을 중단케한다.
그러므로 트랜스(TS2)의 구동은 정지됨과 동시에 스위칭회로(3)가 오프(OFF) 상태가 되므로서 트랜스(TS3)의 고압출력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은 네온사인등의 초자(유리관)점등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네온사인등의 밝기가 점등적으로 최대 밝기가 되고 고압회로에 부하가 단락 또는 단선될때의 출력을 정지시져 전력소모를 현저히 감소시킬뿐만 아니라 회로구성이 간단하고 안정된 동작으로 네온사인등을 점등 또는 점멸시켜 신뢰성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전원부(1) 정류회로(2)(9) 스위치회로(3) 전원공급부(5) 멀티바이브레터(7) 발진회로(8) 및 트랜스(TS1-TS3)를 상호 연결하여서된 통상의 네온사인등 구동회로 장치에 있어서 전원공급부(5)를 저항(R7)(R3)과 콘덴서(C10)를 통해 구형파 발진회로(10)에 연결하고 이의 출력단을 저항(R4)을 거쳐 스위칭 트랜지스터(Q3) 베이스에 접속시키되 이의 콜렉터를 저항(R6)을 통해 발진회로(8)에 인가하여 멀티바이브레터(7)에 발진정지 또는 발진하도록하고 다이오드(D4)(D5)와 저항(R7) 및 콘덴서(C12)로된 충, 방전회로(11)를 거쳐 주제어발진부인 멀티바이브레터(7)에 연결시켜 주파수를 가변시켜 순차점등과 밝기를 조절하도록하며 트랜스(TS3) 코일(L2)에 다이오드(D1)와 콘덴서(C8)를 병렬 연결하고 다이오드(D2)와 콘덴서(C9)를 병렬 접속시켜 네온사인등(4)에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온사인등 구동회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트랜스(TS3) 코일(L3)에 다이도드(D1)(D2)를 역방향으로 접속하여 네온사인등(4)에 연결시킨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온사인등 구동회로장치.
KR92007180U 1992-04-29 1992-04-29 네온사인등 구동회로장치 KR940007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180U KR940007027Y1 (ko) 1992-04-29 1992-04-29 네온사인등 구동회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180U KR940007027Y1 (ko) 1992-04-29 1992-04-29 네온사인등 구동회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625U KR930024625U (ko) 1993-11-27
KR940007027Y1 true KR940007027Y1 (ko) 1994-10-07

Family

ID=19332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7180U KR940007027Y1 (ko) 1992-04-29 1992-04-29 네온사인등 구동회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0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156A (ko) * 2000-03-14 2000-11-06 이강수 전자식 네온 트랜스포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625U (ko) 199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6214A (en) Ballast circuit for gas discharge lamp
US5463283A (en) Drive circuit for electroluminescent lamp
US5952790A (en) Lamp ballast circuit with simplified starting circuit
US5493181A (en) Capacitive lamp out detector
US5438243A (en) Electronic ballast for instant start gas discharge lamps
JPH08124687A (ja) 放電灯点灯装置
KR940007027Y1 (ko) 네온사인등 구동회로장치
WO1994006262A1 (en) Power supply for a gaseous discharge device
KR100351436B1 (ko) 고압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
JP2000268992A (ja) 放電灯点灯装置
KR930003932Y1 (ko) 네온 사인등 구동회로 장치
JP2001319798A (ja) 電源装置
JP2868240B2 (ja) 放電灯点灯装置
JP2721523B2 (ja) インバータ回路
JP2688411B2 (ja) インバータ装置
KR960002456Y1 (ko) 전자식 형광등용 안정기의 저전압 스위칭회로
JPH1022083A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520986B1 (ko) 전력제어가 가능한 혼합형 게이트 구동 방식의 전자식안정기 및 그 제어방법
JPH1121U (ja) フリッカー回路付表示灯
JP2746271B2 (ja) インバータ装置
JP2617499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880002181Y1 (ko) 트라이악을 이용한 절환식 절전회로
JP2729077B2 (ja) El点灯回路
JP2563053Y2 (ja) プリント基板実装構造
JPH03116696A (ja) 放電灯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