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741B1 -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741B1
KR940006741B1 KR1019910000601A KR910000601A KR940006741B1 KR 940006741 B1 KR940006741 B1 KR 940006741B1 KR 1019910000601 A KR1019910000601 A KR 1019910000601A KR 910000601 A KR910000601 A KR 910000601A KR 940006741 B1 KR940006741 B1 KR 940006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ignal
output
frequency
mod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0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179A (ko
Inventor
잇페이 칸노
세이지 사까시따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이니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64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21307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64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21307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64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21307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64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213078A/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이니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5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one television signal, i.e. both picture and sound, by a single carrier
    • H04N7/045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one television signal, i.e. both picture and sound, by a single carrier the carrier being frequency modu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송장치
제1도는 본발명이 제1실시예에 있어서 위성방송신호의 발생으로부터 재생까지의 공정을 도시한 송신측에 부착된 누화저감회로를 가지는 전송장치의 블록선도.
제2도는 본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공통인 위성방송신호의 변조신호 주파수 배열을 도시한 선도.
제3도는 본발명의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송신측상의 주신호 처리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 4도는 본발명의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송신측상의 부신호처리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 5도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화상부반송파 변조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6도는 본발명의 송신측상의 음성신호처리회로이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7도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주파수 멀티플레스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8도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주파수디멀티플렉스회로의 일레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9도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수신측상의 주영상신호 처리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10도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수신측상의 부영상신호처리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11도는 본발명의 수신측상의 음성신호처리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12도는 본발명의 제l실시예에 있어서 누화저감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13도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누화저감회로를 구성하는 소자로서 검출회로이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14도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평균치 AFC방법에 의한 주반송파의 전송의 경우 누화저감회로를 구성하는 소자로서 검출회로이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15도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평균치 AFC방법에 의한 주반송파전송의 경우 누화저감회로를 구성하는 소자로서 검출회로의 변형예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16도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부반송파의 주파수변조의 경우 누화저감회로를 구성하는 소자로서 보정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17도는 본발명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변조의 경우 보정회를 구성하는 소자로서 가변감쇠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로선도.
제18도는 본발명에 있어서 부반송파의 주파수변조의 경우 보정회로를 구성하는 소자로서 가변감쇠회로의 변형에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19도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부반송파의 진폭 또는 위상변도의 경우 누화저감회로를 구성하는소자로서 보정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20도는 본발명에 있어서 부반송파의 지폭 또는 위상변조의 경우 보정회로를 구성하는 소자로서 가변감쇠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21도는 본발명의 있어서 부반송파의 진폭 또는 위상변조의 경우 보정회로를 구성하는 소자로서 가변감쇠회로의 변형예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22도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위성방송신호의 발생으로부터 재생까지의 공정을 도시한 수신측상에 부착된 누화저감회로를 가지는 전송장치의 블록선도.
제23도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송신측상의 주신호처리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24도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송신측상의 부신호처리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25도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화상부반송파 변조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26도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주파수멀티플렉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27도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주파수디멀티플렉스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28도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수신측상의 부영상신호 처리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29도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수신측상의 부영상신호처리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30도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누화저감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31도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누화저감회로를 구성하는 소자로서 검출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32도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평균치 AFC방법에 의한 주반송파의 전송의 경우 누화저감회를 구성하는 소자로서 검출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33도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평균치 AFC방법에 의해 의한 주반송파의 전송의 경우 누화저감회로를 구성하는 소자로서 검출회로의 변형예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34도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부반송파의 주파수변조의 경우,누화저감회로를 구성하는 소자로서 보정회로이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35도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부반송파의 진폭 또는 위상변조의 경우 누화저감회로를 구성하는 소자로서 보정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4, 7, 12, 13, 17, 20, 23 : 단자 2, 16 : 주영상신호처리회로
3, 24 : 누화저감회로 5, 19 : 부영상신호처리
6 :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 8, 22 : 음성신호처리회로
9 : 음성부반송파변조회로 10 : 주파수멀티플렉스회로
11 : 주반송파주파수변조회로 14 : 주반송파복조회로
15 : 주파수디멀티플렉스회로 18 : 화상부반송파복조회로
21 : 음성부반송파복조회로 25, 28, 33, 35, 40, 44, 52 : 저역통과필터
26, 27 : 프리엠퍼시스 29 : 변조회로
30, 31, 36, 37 : 대역통과필터 32 : 파우어조합회로
34 : 파우어분리회로 38, 39 : 디엠퍼시스
41, 58 : A/D변화기 42 : PCM부호기
43 : 로울오프필터 45 : PCM해독기
46, 60 : D/A변화기 47 : 검출회로
48 : 보정회로 49 : 지연회로
50 : 기준전압발생회로 51 : 감산회로
53 : 캐패시턴스 54 : 증폭회로
55 : 가변감쇠회로 56 : 미분회로
57 : 합성회로 59 : 메모리
61 : 마이크로컴퓨우터
본발명은 다중신호의 송수신시에 위성방송이나 위성통신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중전송방법으로, 종래의위성방송수신기에 간섭함이 없이 보다 높은 선명도 및 증가된 가로세로비를 위해 부가정보와 같은 부영상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것은, 주영상신호 및 음성부반송파보다 높은 주파수세트를 가지는 화상부반송파를 부영상신호에 의해서 변조하여 얻어진 베이스배드신호를 사용한 주반송파의 주파수를 변조하기 위한 전송방법이다. 그러나, 1988년 11월 9월 출원된 미국특허출원번호 07/268,966에 이미 개시된 상기 방법은 주영상신호로부터 부영상신호에의 누화가 발생하는 문제를 수반한다.
이와같은 누화발생의 메카니즘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주반송파 전송로지폭 및 그루우프지연 주파수응답은, 전송로이 중심주파수가 기원인 그의 변수로써 주파수를 가지는 n차다항의 합으로, 표시된다. 그러한 경우에는 진폭응답지수의 3차 및 그루우프 지연응답 1차항이, 전송된 베이스밴드신호(변조신호)에 있어서 발생된 2차상호변조와 연합된다. 이 메카니즘은, 닛깐고교신문사의 "FM무선공학(수가와라외저) 546∼552페이지에 개시되어 있다.
이 상호변조는, 전송로이 내역폭이 카아슨(carson)의 법칙으로 표시되는 주반송파의 점유내역폭보다도 작을때에 특히 증대한다. 여기에서, BW 또는 카아슨의 법칙으로 표시되는 주파수변조신호의 저유대역폭은 다음 방정식으로 주어진다. 즉,
Figure kpo00001
여기에서, △f는 주반송파의 최내주파수편차, fm은 변조신호의 최고주파수이다. 현재, 위성방송은 다중신호에 대해 fm l0MHZ, △f 17MHZ p-p, 전송라인의 내역폭 27MHZ를 사용한다. 이때 BW를 계산하면 37MHZ가 되며, 변조신호에 있어서 생기는 2차 상호변조의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주반송파 전송진폭및 그루우프지연응답은 송신기, 수신기 및 위성트렌스폰터의 대역통과필터(BPF)특성에 크게 의존한다. 만약 주반송파가 BPF의 중심에 있고 BPF의 진폭 및 그루우프지연응답이 축대칭이라면, 진폭응답의 3차 및 그루우프지연응답의 1차항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은 변조신호에 있어서 2차상호변조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만약 주반송파가 주파수변조에 의해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경우는, 진폭응답의 3차 및 그루우프지연응답의 1차항이 발생하여, 변조신호에 있어서 2차 상호변조를 발생한다.
이 주파주변조에서는, 변조신호의 순간전압에 의해 반송파의 순간 주파수가 결정된다. 여기에서, 변조신호는 주영상신호에 음성 및 화상부 반송파가 중첩되는 다중신호이므로, 주영상신호는 전송로상에서의 부반송파의 동작점을 결정한다. 주반송파의 전송을 위하여 현행의 위성방송에서 사용되는 평균치 자동주파수제어(AFC)방법에서는, 변조신호의 DC레벨(Vo)(평균치 화상레벨, APL)에 상당하는 주파수(fo) 가 BPF의중심주파수와 동등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발생된 2차상호변조의 크기는, 주영상신호의 순간 전압(Vi)에의해 결정된 순간 주파수(fi)와 (fo)의 차에 의존한다. 선발(keyed)AFC방법이 주반소파의 전송용으로 이용된다면,2차상호변조의 크기는,(fo')가 BPF의 중심이 되도록 설정되는 경우 주영상신호의 선발부분에 있어서 전압(Vo')에 상당하는 주파수(fo')와 (fi)의 차의 함수가 된다.
화상부반송파주파수가(fs) 이고 주영상신호주파수 스펙트럼의 임의 성분이(fb) 이면,2차상호변조가 발생하는 변조신호에 있어서의 주파수의 위치는 fs±fb로 표시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주영상신호 스펙트럼은 중심에 위치된 화상부반송파의 양쪽에 배치된다. 주파수 fs±fb에 있어서 2차상호변조진폭 Vfs+fb 및 Vfs-fb은, fi-f0 또는 vi-v0의 함수로써 다음의 방정식으로 주어진다. 즉,
Figure kpo00002
여기에서, UFi는 복소수로써 초기와 같이 전송로이 중심의 주파수(Fi)에 있어서 전송로이 진폭 및 위상응답을 나타낸다. mfs 밋 mfb는 주파수(fs)(fb)에 있어서 주반송파이 변조지수이며, △fm은 주반송파의 최대 주파수편차이고, Jn(X)는 n차 배셀함수이다. 이 이론은 닛깐고교신문사의 "FM무선공학"(수가와라외저) 538∼539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변조신호에 있어서 2차상호변조이 화상부반송파에 대해서 간섭 방해한다.
먼저, 화상부반송파의 주파수변조의 경우에 있어서, 부영상신호를 발생하는 간섭방해의 진폭(Vc)은, 주반송파의 진폭(D)에 대한 2차상호변조의 진폭(U)의 비가 작을때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Figure kpo00003
여기에서, fd는 화상부반송파의 순간주파수, fu는 2차상호변조의 순간주파수, △fs는 부반송파의 최대주파수 편차이다. 이 이론은 닛깐고교신문사의 "FM무선공학"(수가와라외저 456∼457페이지 및 604페이지에 개시되어 있다. 식(4)에 대해 식(2)(3)에서 유도된 Vfs十fb 및 Vfs-fb를 치환하면 다음식이 얻어진다.
즉,
Figure kpo00004
여기에서, KFM은 (1/△fs)(Vfs+fb-Vfs-fb)/D이다. 식(5)에 의하면, 주파수(fb)를 가지는 주영상신호는 또한 부영산신호상에주파수(fb)를 가지는 간섭방해를 발생하며, 그 크기는 2차상호변조의 진폭에 비례한다. 화상부반송파 주파수가 파수변조에 의해 변동하여도, 2차상호변조화 화상부반송파간의 주파수차는 변화하지 않고 유지되므로 방해신호에 있어서도 변화는 없다. 그래서, 주영상신호의 각 주파수성분에 의한 방해가 부여상신호상에서 가산되어서, 부영상신호로부터 부영상신호에의 누화로된다. 그러나, 식(5)에서 방해의 각 서분은 주파수를 다중화하므로써 연산되므로, 누화는 주신호의 미분파형으로 된다. 또 누화는 계수항KFM에 의하여 감쇠를 받는다. 이 계수항의 값은 전송로상의 주반송파의 동작점에 이해 결정된다. 이 동작점은 이미 언급한 바와같이 주영상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다음에, 화상반송파가 위상변조를 받는 경우에 대하여 고려한다. 변조신호에 있어서 2차 상호변조에 의해 화상부반송파의 위상(θ)은 변동된다. 또한 부영상신호로 발생하는 간섭방해의 진폭(Vc)은 화상부반송파의·진폭(D)에 대한 2차상호변조의 진폭(U)의 비가 작은 경우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즉,
Figure kpo00005
여기에서, △θ는 화상부반송파의 최대위상편차이다. 이 이론은, 닛깐코교신문사의 "FM무선공학"(수가와라외저) 449∼451페이지에 개시되어 있다. 식(6)에 대해서 식(2)(3)으로부터 유도된 VfS十fb 및 Vfs-fb를치환하면 다음식을 얻는다. 즉,
Figure kpo00006
여기에서, KPM은(1/△θ)(Vfs+fb-Vfs-fb)/D이다. 식(7)에 의하면, 주파수(fb)를 가지는 주영상신호는 또한 부영상신호상에 주파수(fb)의 방해를 발생하고, 그 크기는 2차상호변조의 진폭에 비례한다. 주영상신호의 각 주파수성분에 의해 방해가 부영상신호상에 가산되어서, 주영상신호로부터 부영상신호에의 누화로 된다. 또한, 누화는 계수항 KPM에 의해 감쇠를 받는다. 이 계수항의 값은 전송로상의 주반송파의동작점에 의해 결정된다. 이 동작점은 상기 언급한 바와같은 주영상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다음에, 화상부반송파의 진폭변조의 경우에 대해 고려한다. 변조신호에 있어서 2차상호변호에 의해 화상부반송파의 진폭(D)은 변동되며, 이는 진폭(D)에 대한 2차상호변조의 진폭(U)의 비가 작은 경우 다음식에 의해 표현될수 있다.즉,
Figure kpo00007
이 이론은 닛깐신문사의 "FM무선공학"(수가와라외저) 447∼449 페이지에 개시되어 있다. 식(8)에 의하면, 화상부반송파는 주파수 |fu-fd| 및 변조도 U/D에 의해 진폭변조를 받는다. 따라서, 누화신호(Vc)는 식(8)과 식(2)(3)으로부터 유도된 Vfs+fb, Vfs-fb를 사용하여 다음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즉,
Figure kpo00008
여기에서 KAM은 (Vfs十fb一Vfs-fb)/D이다. 식(9)에 의하면, 주파수(fb)를 가지는 주영상신호는 또한 부영상신호상에서 주파수(fb)의 방해를 발생하고, 이 방해의 크기는 2차상호변조의 진폭에 비례한다. 주영상신호의 각 주파수성분에 의한 방해가 부영상신호상에 가산되어서 주영상신호로부터 부영상신호에의 누화로된다. 또한, 누화는 계수항 KAM에 의해 감쇠를 받는다. 이 계수항의 값은 전송로상의 주반송파의 동작점에 의해 결정되고, 이 동작점은 상기 언급한 바와같이 주영상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지금까지 공지된 유사한 현상은, FM-FM의 다중화된 TV 음성다중방송파의 다중전송시에 발생하는 주영상신호로부터 부음성신호에의 누화이다. 이 누화를 개선하기 위하여, FM-FM 다중파가 AM 복조기,미분기, 감쇠기 및 변환기를 경우하여 준비된 누화보전신호를 FM-FM 다중파엔빌로우프 곡선의 미분파형이 누화와 마찬가지인 임시 이득의 세기상의 부음성신호에 가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방법은 일본국 특허공보 소 57-26469호(l982년)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성전송에 있어서는 FM 다중파엔빌로우프 곡선으로부터 보정신호를 얻기가 곤란한다. 이것에는 다음의 2가지 이유가 있다. 첫번째 이유는, 위성내의 트랜스폰더(TWTA)의 비선형증폭행등이 FM다중파의 진폭상의 정보를 변형시키기 때문이다. 두번째, 이유는, 위성전송에 있어서, 신호수신이 FM다중파를 전송하는 극소의 파우어가 S/N비를 낮추어서 FM다중파의 AM복조출력이 FM에 의해 전송된 복조된 영상신호보다도 휠씬 낮은 S/N비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래의 누화저감방법은 위성전송의경우에 적용시킬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반송파가 주신호보다도 높게 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부반송파를 부신호에 의해서 변조하므로써 얻어진 베이스밴드신호에 의해 주파수변조를 받는 경우 다중전송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송로의 제한된 대역폭에 의해 발생된 주신호로부터 부신호에의 누화를 개선한 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송장치는 전송로의 진폭 및 위상주파수응답과 주신호에 의거하여 주신호로부터 부신호에의 누화와 같은 크기이나 역상인 누화보정신호를 발생하는 회로를 송신측이나 수신측중의 한쪽에 부착한다. 송신측상에 이 회로를 부착한 경우에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쇄되도록 복조를 수행한 후에 발생하는 누화가 가능하므로, 보정신호를 부신호에 부가한 후 변조, 전송한다면 이 보정신호에의해 상기 누화를 부신호에 부가한 후 변조,전송한다면 이 보정신호에 의해 상기 누화를 개선할 수 있다. 그러한 회로를 수신측에 부착한 경우에는 수신해서 복조된 주신호로부터 수신기내에 발생하는 누화보정신호가 복조된 부신호에 가산된다면 누화는 개선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송신측에 누화저감회로가 부착된 본 발명의 전송장치의 블록선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주영상신호는 단자(1)에서 주영상신호처리회로(2)로 입력되어 대역제한 및 프리엠퍼시스처리를 받는다. 이와같이 해서 위성전송에 적합한 영상신호로 변환된 주영상신호는 누화저감회로(3)로 출력된다. 한편, 부영상신호는 단자(4)에서 부영상신호처리회로(5)로 입력되어,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가 주파수변조회로이면 프리엠퍼시스처리를 받는다. 이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5)에서 어떠한 처리도 받지 않고 누화저감회로(3)로 출력된다. 이 누화저감회로(3)에 있어서, 주영상신호로부터 부영상신호에의 누화와 동일 크기이고 역상인 신호가 주영상신호처리회로(2)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거하여 준비되어 부영상신호처리회로(2)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거하여 준비되어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2)의 출력신호를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누화저감회로(3)에 의해 지연된 주영상신호처리회로(2)의 출력신호는 주파수멀티플렉서회로(10)로 출력된다. 동시에, 누화저감신호가 가산된 부영상신호처리회로(5)의 출력신호는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로 입력된다. 이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에서는 주영상신호 및 음성부반송파의 주파수보다도 높은 주파수의 화상부반송파가 발생되어 진폭,주파수 또는 위상변조를 받는다. 그후, 신호는 주파수멀티플렉서회로(10)로 출력된다. 한편, 음성신호는 단자(7)에서 음성신호처리회로(8)로 입력되어 에널로그 음성신호로부터 PCM 디지틀 음성신호로 변환된다. 음성부반송파 변조회로(9)에서는, 발생된 5,727272M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성부반송파가 OPSK 변조를 받아서 주파수멀티플렉서회로(10)로 출력된다. 주파수멀티플렉서회로(10)에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영상신호, 변조된 부영상신호 및 변조된 음성신호가 베이스밴드주파수축에 따라 주파수다중화를 받는다. 주반송파 주파수변조회로(11)에서는 주반송파가 발생되어 주파수멀티플렉서회로(10)에서 발생된 다중신호에 의해 주파수변조를 받는다. 그후, 신호는 단자(12)로부터 방송위성으로 출력된다. 방송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단자(13)로 들어가서 주반송파(주파수)복조회로(14)로 입력된다. 주반송파복조회로(14)에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파수다중화를 받은 신호가 재생된후, 주파수멀티플렉서회로(15)로 입력되어, 주영상신호, 변조된 부영상신호 및 변조된 음성신호로 분리된다. 주영상신호성분은 주영상신호처리회로(16)로 입력되어 디엠퍼시스처리를 받고, 복조된 주영상신호로서 단자(17)로 출력된다. 변조된 부영상신호성분은, 화상부반송파복조회로(18)에서,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에서의 변조방법에 대응하는 복조방법에 의해 복조된다. 복조된 신호는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에서 주파수변조를 받은 경우, 부영상신호처리희로(19)에서 디엠퍼시스 및 대역제한 처리를 받고, 복조된 부영상신호로서 단자(20)로 출력된다. 그러나,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에서 진폭 또는 위상변조를 받은 신호는 부영상신호처리회로(l9)에서 대역제한 처리만을 받고, 복조된 부영상신호로서 단자(20)로 출력된다. 한편, 변조된 음성신호성분은 음성부반송파 변조회로(21)에서 OPSK변조를 받아서 PCM디지틀음성신호가 재생된다. 음성신호처리회로(22)에서는 PCM 디지틀음성신호가 해독되어 에널로그신호로 변환되고, 변조된 음성신호로서 단자(23)로 출력된다. 상기 도시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 주반송파의 전송로상에 발생된 주신호로부터 부신호에의 누화는, 송신측상의 누화저감회로에 의해서 부신호에 가산된 누화보정신호와 함께 상쇄되기 때문에 개선된다. 또한, 누화저감회로는 송신측에만 설치되는 구성이므로, 수신측상은 전혀 변화시킬 필요가 없다.
제3도는 송신측상의 주영상신호처리회로(2)의 블록선도이다. 단자(1)로부터 입력된 주영상신호는 저역통과필터(25)로 들어가서 4.5MHZ로 대역제한처리를 받는다. 계속해서 프리엠퍼시스회로(26)에서는 이 신호가 보다 높은 주파수상에 프리엠퍼시스처리를 그리고 보다 낮은 주파수상에 감쇠처리를 받고서 베이스밴드주파수축을 따라 고주파수영역에서 S/N비의 저하의 원인이 되는 주파수복조를 보상한 후 다음 단계의 누화저감회로(3)로 출력된다. 참조로서, 프리엠퍼시스의 특징은, 라디오공학 및 전자공학 연합(1983년 6월)의 연구논문, 위성방송 송수신기의 위성방송신호수신기술(타아게트율) 1부 부록, 9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제4도는 송신측상의 부영상신호출력신호(5)의 블록선도이다. 단자(4)로부터 입력된 부영상신호는 처리되어 다음 단계의 누화저감회로(3)로 출력된다. 부영상신호출력신호(5)에서는 상기 신호는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가 주파수변조회로이면 프리엠퍼시스처리를 받는다. 프리엠퍼시스의 특징은, 영상신호의 한 대역에서의 제로이득 주파수가 다른 대역에서의 제로이득주파수와 다른 것처럼 주영상신호출력신호(2)에서의 프리엠퍼시스 특징과 다르다. 한편,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가 진폭 또는 위상변조회로인 경우, 부영상신호출력신호(5)에서는 어떠한 처리도 행하지 않는다.
제5도는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의 블록선도이다. 전단계의 누화저감회로(3)로부터 입력된 부영상신호가 가산된 누화보정신호는 저역통과필터(28)에 의해 대역제한을 받는다. 변조회로(29)에서의 주영상신호 및음성부반송파보다도 높은 주파수를 가진 화상부반송파가 발생된다. 이 화상부반송파는 저역통과필터(28)로부터의 출력신호와 함께 진폭, 주파수 또는 위상변조방법에 의해 변조된다. 이 변조된 부영상신호는 다음단계의 주파수 멀티플렉서회로(10)로 출력된다.
제6도는 송신측상의 음성신호처리회로(8)의 블록선도이다. 단자(7)로부터 입력된 애널로그 음성신호는 32KHZ 또는 48KHZ의 샘플링주파수를 사용하는 A/D변환기(41)에 의해 디지틀신호로 변환된다. 그후, 이신호는 프레임동기화신호, 제어코우드, 독립데이터 및 에러보정코우드의 연속부가용의 PCM 부호기(42)에 의해 PCM신호로 부호화되어 2.048Mbps의 디지틀신호가 된다. 이 결과 생긴 디지틀신호는 로울오프필터(43)에 의해 대역제한을 받고, 다음 단계의 음성부반송파 변조회로(9)로 출력된다.
제7도는 주파수멀티플렉서회로(l0)의 블록선도이다. 전단계의 누화저감회로(3)로부터 입력된 주영상신호가 파우어조합회로(32)로 들어간다. 전단계의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로부터의 출력신호는 대역통과필터(30)에 의해 대역제한처리를 받은후 파우어조합회로(32)로 입력된다. 동시에, 전단계의 음성부반송파변조회로(9)로부터의 출력신호는 대역통과필터(31)에 의해 대역제한처리를 받은후 파우어조합회로(32)로 입력된다. 상기의 주영상신호, 변조된 부영상신호 및 변조된 음성신호는 서로 방해하지 않고, 베이스밴드 주파수측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 결과 생기는 다중신호는, 그 다음 단계의 주반송파주파수변조회로(11)로 계속 출력되기 위하여 저역통과필터(33)에 의해 대역제한을 받는다. 참조로, 파우어조합회로중의 하나는 연산증폭기를 사용한 가산기 또는 합성저항회로이다.
제8도는 주파수디멀티플렉서회로(15)의 블록선도이다. 전단계의 주방송파복조회로(14)로부터 입력된 복조신호는 파우어분리회로(34)로 들어가서 3성분으로 분리되어 저역통과필터(35), 대역통과필터(36) 및 대역통과필터(37)로 분배된다. 그의 대역제한 4.5MHZ에 의해 저역통과필터(35)는 주영상신호성분을 분리만하여 다음 단계의 주영상신호출력신호(16)로 출력한다. 주파수멀티플렉서회로(10)에서 사용된 대역통과필터(30)와 같은 주파수응답을 가지는 대역통과필터(36)는 변조된 부영상신호성분을 분리만 하여 다음의 화상부반송파복조회로(18)로 출력한다. 한편, 주파수멀티플렉서회로(10)내에서 사용된 대역통과필터(31)와 같은주파수응답을 가지는 대역통과필터(37)는 변조된 음성신호성분을 분리만 하여 다음 단계의 음성부반송파복조회로(21)로 출력한다. 참고로 파우어분할회로중의 하나는 분배저항회로로 알려져 있다.
제9도는 수신측상의 주신호출력신호(16)의 블록선도이다. 전단계의 주파수디멀티플렉서회로(15)로부터입력된 주영상신호 성분은, 디엠퍼시스회로(38)에서 프리엠퍼시스회로(26)에서의 특징과 반대의 처리를 받는다. 이와같이 해서 본래의 특징을 가지는 평탄한 주파수응답신호로 복귀된 신호는 복조된 주영상신호로서 단자(17)로 출력된다.
제10도는 수신측상의 부영상신호출력신호(19)의 블록선도이다. 만약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 가 주파수변조회로라면, 전단계의 화상부반송파복조회로(18)로부터 입력된 부영상신호는, 디엠퍼시스회로(39)에서, 프리엠퍼시스(27)에서의 특징과 반대의 처리를 받는다. 그러므로, 이 신호는 본래의 특징을 가지는 평탄한 주파수응답신호로 복귀되어, 저역통과없이(40)에서 대역제한을 받은후, 복조된 부영상신호로서 단자(20)로 출력된다.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가 진폭 또는 위상변조회로인 경우, 디엠퍼시스회로(39)는 필요가 없으며,전단계의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18)로부터 입력된 부영상신호가 저역통과필터(40)에 의해 대역제한을 받은후 복조된 부영상신호로서 단자(20)로 출력된다.
제11도는 수신측상의 음성신호출력신호(22)의 블록선도이다. 음성부반송파복조회로(21)로부터 입력된 디지틀신호는, 저역통과필터(44)에 의해 대역제한을 받는다. 이 신호는 PCM해독기(45)에 의해 에러보정과같은 처리를 받고서 디지틀음성신호로서 재생된 후, D/A 변환기(46)에 의해 애널로그음성신호로 변환되어 단자(23)로 출력된다. 참고로 저역통과필터(44)는 수신측상의 간단한 로울로프필터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누화저감회로(3)의 블록선도이다. 전단계의 주영상신호출력신호(2)에 있어서 대역제한 및 프리엠퍼시스처리를 받은 주영상신호는 검출회로(47) 및 지연회로(49)로 입력된다. 전송로상의 중심주파수로부터 주반송파주파수의 순간주파수편차량은 주영상신호로부터 부영상신호에의 누화량을 결정한다. 이것은, 검출회로(47)가 이 순간 주파수편차를 검출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주반송파의순간주파수편차는, 주반송파가 주파수변조를 받는 바와같이 변조신호의 순간전압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한편, 변조신호는 음성 및 화상부산송파가 중첩된 주영상신호이다. 이것은, 주반송파의 전송로상의 동작점이,부영상신호에의 누화에 대한 기초로써, 주영상신호처리회로(2)에서 처리된 주영상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검출회로(47)는 주반송파의 주파수변조후에, 전송로상의 중심주파수에 상당하는 전압과 주영상신호의 순간전압 사이의 차를 검출하는 것을 필요로 할 뿐이다. 보정회로(48)는 검출회로(47)의 출력에 따라 주영상신호를 감쇠하여 누화정보신호를 준비한다. 참고로, 검출회로(47)의 출력은 그러한 출력이 d-c레벨상에서만 변화를 받는 주영상신호이므로 주영상신호로서 사용되어 보정회로(48)로 입력된다. 그결과, 생기는 누화보정신호는 전단계의 부영상처리회로(5)의 출력에 가산되어 다음 단계의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로 출력된다. 지연회로(49)에서는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로 출력된다. 지연회로(49)에서는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에서와 같은 양의 지연이 발생한다. 전단계의 주영상신호처리회로(2)로부터의 입력신호는 지연회로(49)에 의해 부영상신호측으로부터의 시간차의 조정을 받고, 다음 단계의 주파수멀티플렉스회로(10)로 출력된다. 이 지연시간이 조정되지 않는다면, 시간차는 가산된 누화보정신호와 생성될 실제 누화사이에 발생되어,누화저감을 방해한다. 또한, 무시되지 않는다면 검출회로(47)와 보정회로(48)에서의 전체지연시간(
Figure kpo00009
2)을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지연회로(49)에서의 지연시간(
Figure kpo00010
1)은 (
Figure kpo00011
0)인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에서의 지연시간과 함께 식
Figure kpo00012
1=
Figure kpo00013
0+
Figure kpo00014
2로 주어진다.
제13도는 본발명의 전송장치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검출장치(47)의 블록선도이다. 전단계의 주영상신호처리회로(2)로부터의 출력은 감산회로(51)로 입력된다. 이 감산회로(51)에서는 기준전압발생회로(50)로부터의 차가 검출되어 다음 단계의 보정회로(48)로 출력된다. 이 기준전압발생회로(50)에서는 주반송파의 주파수변조후에 전송로상의 중심주파수에 대응하는 주영상신호전압이 발생된다. 즉, 주반송파가 평균치 AFC방법에 의해 전송되면, 주영상신호의 평균 d-c레벨로서 APL이 발생된다. 한편, 주반송파가 선발 AFC방법에 의해 전송된다면, 주영상신호의 선발부전압이 발생된다. 참고로, 연산증폭기는 감산회로중의 하나이다.
제14도는 본발명의 전송장치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평균치 AFC방법에 의해 주반송파를 전송하는 경우 검출회로(47)의 블록선도이다. 전단계의 주영상신호처리회로(2)로부터 입력된 주영상신호는 감산회로(51)및 저역통과필터(52)로 입력된다. 협대역을 가지는 DC성분만을 특징적으로 추출하는 저역통과필터(52)는 주영상신호의 APL을 검출한다. 감산회로(51)에서는 주영상신호처리회로(2)의 출력과 저역통과필터(52)의 출력사이의 이용가능한 차가 주영상신호의 순간 전압과 주영상신호와 APL사이의 차를 결정한다. 이 차는 다음 단계의 보정회로(48)로 출력된다. 연산증폭기는 감산회로중의 하나이다.
제15도는 본발명의 전송장치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평균치 AFC방법에 의해 주반송파를 전송하는 경우 검출회로(47)의 변형예를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전단계의 주영상신호처리회로(2)로부터 입력된 주영상신호는 커패시터에 의해 증폭회로(54)로 입력된다. 증폭회로(54)의 입력임피이던스와 커패시터(53)는 고역통과필터를 형성한다. 이 고역통과필터는 커패시터(53)의 커패시턴스치가 임의로 선택된다면 DC성분만을 제거한다. 따라서, 증폭회로(54)의 출력은 주영상신호의 순간전압과 주영상신호의 APL사이의 차이다. 이 차는 다음단계의 보정회로(48)로 출력된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전송장치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가 주파부변조회로인 경우보정회로(48)의 블록선도이다. 전단계의 검출회로(47)의 출력은 가변감쇠회로(55)로 입력된다. 가변감쇠회로(55)에서는 주영상신호가 검출회로(47)의 출력에 따라 감쇠되어 극성을 전환한다. 식(5)의 KFM은 감쇠특성용으로 사용된다. 검출회로(47)의 출력은 그러한 출력이 DC레벨상에만 변화를 받는 주영상신호이므로 주영상신호로서 사용된다. 가변감쇠회로(55)의 출력은 미분회로(56)로 입력되어 시간축을 따라 미분된다. 상기는 주영상신호로부터 부영상신호에의 누화와 크기는 동일하나 역상인 누화보정신호를 준비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 보정신호는 합성회로(57)에 있어서 전단계의 부영상신호처리회로(5)로부터의 출력에 가산되어 다음 단계의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로 출력된다. 참고로, 미분회로는 고역통과필터의 기울기부 +6dB/oct. 또는 인접한 샘플점 사이의 차를 계산하는 디지틀차회로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연산증폭기는 합성회로중의 하나이다.
제17도는 본발명의 전송장치에 있어서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가 주파수변조회로인 경우 가변감쇠회로(55)의 블록선도이다. 제17도에 있어서 가변감쇠회로(55)는 누화저감회로의 위치가 송신측상이든 수신측상이든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동일방식으로 구성된다. 전단계의 검출회로(47)로부터 입력된 신호는 D/A변환기(58)에 의해 디지틀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입력신호는 메모리(59)의 어드레스라인으로 전송된다. 메모리(59)에서는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바와같이 위치된 데이터가 독출되어 데이터라인으로 출력된다. 데이터출력은 D/A변환기(60)에 의해 애널로그신호로 변환되어 다음단계의 미분회로(56)로 출력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비선형 입출력 및 출력특성을 가지는 감쇠회로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전단계의 검출회로(47) 및 다음 단계의 미분회로(56)에 있어서 디지틀처리는 A/D변환기(58) 및 D/A변환기(60)의 위치에 있어서 상당하는 변화를 필요로 한다.
제18도는 본 발명의 전송장치에 있어서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가 주파수변조회로인 경우 가변감쇠회로(55)의 변형예를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제18도에 있어서 가변감쇠회로(55)는 누화저감회로의 위치가 송신측이든 수신측상이든지의 여부에 무관하게 동일방식으로 구성된다. 이 구성은, 메모리(59)의 데이터가 마이크로컴퓨우터(61)로부터 메모리(59)로 데이터를 전송하므로써 언제든지 변화될 수 있다는 점만이 제17도의 구성과 다르다. 이것은 주반송파전송로의 상태의 변동에 의해 누화의 변화량을 고려하여 누화정보신호를 조절할 수 있다. 누화보정회로가 수신측상에 배설된 경우에는 수신측상의 잔여누화량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신혈하므로서, 잔여누화량을 최소화하도록 때때로 메모리(59)의 데이터를 변화하는 페루우프의 형성을 통하여 누화의 개선을 또한 가져온다.
제19도는 본발명의 전송장치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가 진폭 또는 위상변조인 경우 보정회로(48)의 블록선도이다. 전단계의 검출회로(47)로부터의 출력은 가변감쇠회로(55)로 입력된다. 이가변감쇠회로(55)에서는 주영상신호가 검출회로(47)의 출력에 따라 감쇠되어 극성이 전환된다. 감쇠의 특성상, 식(7)의 KPM은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가 의상변조회로인 경우 사용되고, 식(9)의 KAM은 그러한회로가 진폭변조회로인 경우에 사용된다. 검출회로(47)의 출력은 그러한 출력이 DC레벨상에서만 변화를 받는 주영상신호이므로 주영상신호로 사용된다. 상기 설명은 주영상신호로부터 부영상신호에의 누화와 크기는 같으나, 역상인 누화보정신호를 준비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 보정신호는 합성회로(57)에 있어서 전단계의 부영상신호처리회로(5)로부터의 출력에 가산되어 다음 단계의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로 출력된다.
제20도는 본발명의 전송장치에 있어서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가 진폭 또는 위상변조회로인 경우의 가변감쇠회로(55)의 블록선도이다. 제20도에서의 가변감쇠회로(55)는 누화저감회로의 위치가 송신측상이든 수신측상이든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동일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 구성은, 미분회로가 사용되지 않고 가변감쇠회로(55)의 출력이 직접 합성회로(57)로 입력되는 점을 제외하고 제17도의 구성과 전반적으로 동일하다.
제21도는 본발명의 전송장치에 있어서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가 진폭 또는 위상변조회로인 경우의 가변감쇠회로(55)의 변형예를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제21도에 있어서 가변감쇠회로(55)는 누와저감회로의 위치가 송신측상이든 수신측상이든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동일방식으로 구성된다. 이 구성은 미분회로를 사용하지 않고 가변감쇠회로(55)의 출력이 합성회로(57)로 직접 입력되는 점을 제외하고 제18도의 구성과 전체적으로 동일하다.
제22도는 누화저감회로가 수신측상에 부가되어 있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제22도에 있어서,주영상신호는 단자(l)에서 주영상신호처리회로(2)로 입력되어 대역제한 및 프리엠퍼시스처리를 받는다. 이와같이 해서 위성전송에 적합한 영상신호로 변환된 주영상신호는 주파수멀티플렉스회로(10)로 출력된다. 한편, 부영상신호는 단자(4)에서 부영상신호처리회로(5)로 입력되어,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 가 주파수변조회로이면 프리엠퍼시스처리를 받는다.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가 진폭 또는 위상변조회로인 경우에는 부영상신호가 부영상신호처리회로(5)에서 어떠한 처리도 받지 않고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로 출력된다.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에서는 주영상신호 및 음성부반송파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화상부반송파가 발생되어 진폭, 주파수 또는 위상변조를 받는다. 그러고 나서 이 신호는 주파수멀티플렉스회로(10)로 출력된다. 한편, 음성신호는 단자(7)에서 음성신호처리회로(8)로 입력되어 애널로그음성신호로부터 PCM디지틀음성신호로 변환된다. 음성부반송파변조회로(9)에서는 발생된 5.727272M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성부반송파가 QPSK변조를 받고 주파수멀티플렉스회로(10)로 출력된다. 주파수멀티플렉스회로(10)에서는 주영상신호, 변조된 부영상신호 및 변조된 음성신호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밴드 주파수축을 따라 주파수다중화를 받는다. 주반송파 주반송파주파수변조회로(11)에서는 주반송파가 발생되어 주파수멀티플렉스회로(10)에서 발생된 다중신호에 의해 주파수다중화를 받는다.
그리고 나서, 이 신호는 단자(12)로부터 방송위성으로 출력된다. 방송위성으로붙 수신된 신호는 단자(13)로 입력되어 주반송파복조회로(14)로 입력된다. 주반송파복조회로(14)에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파수다중화를 받은 신호가 재생된 후, 주파수디멀티플렉스회로(15)로 출력되어 주영상신호, 변조된 부영상신호 및 변조된 음성신호로 분리된다. 주영상신호성분은 누화저감회로(24)로 입력된다. 변조된 부영상신호성분은 화상부반송파복조회로(18)에서,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에서의 변조방법과대응하는복조방법에의해, 복조된다. 복조된 신호는 누화저감회로(24)로 출력된다. 누화저감회로(24)에서는 주파수디멀티플렉스회로(15)로부터 입력된 주영상신호성분이 화상부반송파복조회로(18)에서의 지연량에 의해 첫번째로 지연된다. 그후, 주영상신호로부터 부영상신호에의 누화와 같은 크기이나 역상인 누화보정신호가 상기 지연된 신호에의거하여 준비된다. 이 누화보정신호는 화상부반송파복조회로(18)로부터 입력된 부영상신호에 가산되어 부영상신호처리회로(19)로 출력된다. 동시에, 지연된주영상신호는직접주영상신호처리회로(16)로 출력되어 디엠퍼시스처리를 받고, 복조된 주영상신호로서 단자(17)로 출력된다. 부영상신호처리회로(19)로 입력된 신호는 만약 이 신호가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에서 주파수다중화를 받았다면, 디엠퍼시스 및 대역제한처리를 받고 복조된 부영상신호로서 단자(20)로 출력된다. 그러나,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에서 진폭 또는 위상변조를 받은 신호는, 부영상신호처리장치(19)에서는 대역제한처리만 받고 복조된 부영상신호로서 단자(20)로 출력된다.
한편, 음성부반송파복조회로(21)에서는 변조된 음성신호성분이 QPSK복조를 받고, PCM디지틀음성신호를 재생한다. 음성신호처리회로(22)에서는, 상기PCM디지틀음성신호가 해독되어 애널로그신호로 변환되고, 복조된 음성신호로서 단자(23)로 출력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주반송파의 전송로상에 발생된 주신호로부터 부신호에의 누화는 수신측상에 설치된 누화저감회로에 의해 개선된다. 즉, 이 누화는 복조된 부신호에 가산된 누화보정신호에 의해 상쇄된다. 또한, 누화저감회로의 특징은, 주반송파전송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수신기안쪽의 BPF의 특징에 대항하도록 변화될 수 있으므로, 누화저감회로가 송신측상에 설치된 경우보다도 누화에 대한 개선효과가 한층 높아질 수 있다.
제1실시예와 공통인 각 블록의 기능에 대해서는 간단하게 설명하고, 제 1실시예와 전반적으로 동일한 블록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3도는 송신측상의 주영상신호처리회로(2)의 블록선도이며, 이는 출력이 다음단계의 주파수멀티플렉스회로1(0)와 연결된다는 점만이 제3도의 구성과 다르다.
제24도는 송신측상의 부영상신호처리회로(5)의 블록선도이며, 이는 출력이 다음 단계의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와 연결된다는 점만이 제4도의 구성과 다르다.
제25도는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의 블록선도이며, 신호가 전단계의 부영상신호처리회로(5)로부터 입력된다는 점만이 제5도의 구성과 다르다.
제26도는 주파수멀티플렉스회로(10) 의 블록선도이며, 신호가 전단계의 주영상신호처리회로(2)로부터 입력된다는 점만이 제7도의 구성과 다르다.
제27도는 주파수디멀티플렉스회로(15)의 블록선도이며, 저역통과필터(35)의 출력이 다음단계의 누화저감회로(24)와 연결된다는 점만이 제8도의 구성과 다르다.
제28도는 수신측상의 주영상신호처리회로(16)의 블록선도이며, 신호가 전단계의 누화저감회로(24)로부터 입력된다는 점만이 제9도의 구성과 다르다.
제29도는 수신측상의 부영상신호처리회로(19)의 블록선도이며, 신호가 전단계의 누화저감회로(24)로부터 입력된다는 점만이 제l0도의 구성과 다르다.
제30도는 본발명의 전송장치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누화저감회로(24)의 블록선도이다. 전단계의 주파수디멀티플렉스회로(15)에 있어서 분리된 주영상신호성분이 지연회로(49)로 입력된다. 이 지연회로(49)에서는, 지연이 화상부반송파복조회로(18)와 같은 양만큼 일어난다. 동회로에서는 주영상신호가 부영상신호측과 다른 시간의 조정을 받아 다음단계의 검출회로(47) 및 주영상신호처리회로(16)로 출력된다. 지연된 시간이 조정되지 않으면, 준비되어 가산된 누화보정신호와 발생된 실제 누화사이에 시간차가 발생하여, 누화의 저감을 방해한다. 또한, 무시되지 않는다면 검출회로(47)와 보정회로(48)에서의 전체 지연된 시간(
Figure kpo00015
2)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 지연회로(49)에서 지연된 시간(
Figure kpo00016
1)은 화상부반송파복조회로(18)에서의 지연시간(
Figure kpo00017
0)과 함께 식
Figure kpo00018
1=
Figure kpo00019
0-
Figure kpo00020
2로 주어진다.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 역할을 하는 검출회로(47)는, 주반송파의 주파수변조후에 송신측상에서 중심주파수에 상당하는 주영상신호의 전압과 프리엠퍼시스처리를 받은 주영상신호의 순간전압간의 차를 검출한다. 보정회로(48)에서는 주영상신호가 검출회로(47)의 출력에 따라 감쇠되어 누화보정신호를 준비한다. 참고상, 이 검출회로(47)의 출력은, 그러한 출력이 DC레벨상에서만 변화를 받는 주영상신호이므로 주영상신호로서 사용되어 보정회로(48)로 입력된다. 그결과 생기는 누화보정신호와 전단계의 화상부반송파복조회로(18)로부터의 출력이 가산되어 다음 단계의 부영상신호처리회로(19)로 출력된다.
제31도는 본발명의 전송장치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검출회로(47)의 블록선도이며, 이는 신호가 전단계의지연회로(49)로부터 입력된다는 점만이 제13도의 구성과 다르다.
제32도는 본발명의 전송장치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주반송파를 평균치 AFC방법으로 전송하는 경우 검출회로(47)의 블록선도이며, 이는 신호가 전단계의 지연회로(49)로부터 입력된다는 점만이 제l4도의 구성과 다르다.
제33도는 본발명의 전송장치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주반송파를 평균치 AFC방법으로 전송하는 경우 검출회로(47)의 변형예를 도시한 블록선도이며, 이는 신호가 전단계의 지연회로(49)로부터 입력된다는 점만이 제15도의 구성과 다르다.
제34도는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가 주파수변조회로인 경우의 보정회로(48)의 블록선도이며, 이는 누화보정신호가 합성회로(57)에서 전단계의 파상부반송파복조회로(18)의 출력에 가산되어 다음 단계의 부영상신호처리회로(19)로 출력된다는 점만이 제16도의 구성과 다르다.
제35도는 화상부반송파변조회로(6)가 진폭 또는 위상변조회로인 경우 보정회로(48)의 블록선도이며, 이는 누화보정신호가 합성회로(57)에서 전단계의 화상부반송파복조회로(18)로부터의 출력에 가산되어 다음 단계의 부영상신호처리회로(19)로 출력된다는 점만이 제19도의 구성과 다르다.

Claims (28)

  1. 주신호에 의거하여 주신호로부터 부신호에의 누화와 같은 크기이나, 역상인 보정신호를 준비하여 이보정신호를 부신호에 가산하는 누화저감회로와, 누화저강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해 주신호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부반송파를 변조하는 제1의 변조회로와, 주신호와 제1의 변조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주파수다중화하는 주파수멀티플렉스회로와, 주신호를 주파수변조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해 주파수변조하는 제2의 변조회로로 구성된 전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변조회로에서는 부반송파가 주파수변조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변조회로에서는 부반송파가 진폭변조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변조회로에서는 부반송파가 위상변조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화저감회로는 주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로상의 중심주파수로부터 주반송파주파수의 편차를 검출하는 검출회로와, 상기 검출회로로부더의 출력에 의거하여 누화보정신호를 준비하여 이 누화보정신호를 부신호에 가산하는 보정회로와, 상기 검출회로, 상기 보정회로 및 상기 제1의 변조회로에서 지연된 총시간과 같은 시간의 양에 의해 검출회로의 입력단자로부터 분기된 주신호를 지연하고 이 신호를 상기 주파수멀티플렉스회로로 출력하는 지연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회로는 주반송파의 주파수변조시에 전송로상의 중심주파수에 대응하는 주신호의 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발생회로와, 상기 기준전압발생회로의 출력과 주신호간의 차를 결정하는감사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회로는 주신호의 직류전류만을 통과시키는 저역통과필터와, 저역통과필터의 출력과 주신호간의 차를 결정하는 감산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2의 변조회로는 평균치 AFC방법에 의해 주반송파를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회로는 입력 및 출력신호로서 주신호를 가지는 커패시턴스결합 증폭기로구성되고, 상기 제2의 변조회로는 평균치 AFC방법에 의해 주반송파를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회로는 검출회로의 출력에 따라 주신호를 감쇠하는 가변감쇠회로와, 상기가변감쇠회로의 출력을 시간으로 미분하는 미분회로와, 상기 미분회로의 출력과 부신호를 합성하는 합성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1의 변조회로에서는 부반송파가 주파수변조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감쇠회로는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디지틀화된 신호출력을 어드레스에 입력하고 지정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회로는 상기 검출회로의 출력에 따라 주신호를 감쇠하는 가변감쇠회로와, 상기 가변감쇠회로의 출력과 부신호를 합성하는 합성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1의 변조회로에서는 부반송파가 진폭변조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감쇠회로는,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디지틀화된 신호출력을 어드레스에 입력하고 지정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회로는 상기 검출회로의 출력에 따라 주신호를 감쇠하는 가변감쇠회로와, 상기 가변감쇠회로의 출력과 부신호를 합성하는 합성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1의 변조회로에서는 부반송파가 위상변조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감쇠회로는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디지틀화된 신호출력을 어드레스에 입력하고 지정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15. 주반송파를 복조하는 제1의 복조회로와, 주신호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부신호에 의해 변조된 부반송파와 주신호가 주파수다중화를 받은 제1의 복조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를 분리하는 주파수디멀티플렉스회로와, 상기 주파수디멀티플렉스회로에 의해 분리된 부반송파를 복조하는 제2의 복조회로와, 상기 주파수디멀티플렉스회로에 의해 분리된 주신호에 의거하여 주신호로부터 부신호에의 누화와 같은 크기이나 역상인 보정신호를 준비하고, 이 보정신호를 부신호에 가산하는 누화저감회로로 구성된 전송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의 복조회로에서는 부반송파가 주파수복조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복조회로에서는 부반송파가 진폭복조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복조회로에서는 부반송파가 위상복조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누화저감회로는 주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로상의 중심주파수로부터 주반송파주파수의 편차를 검출하는 검출회로와,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누화보정신호를 준비하여 이 누화보정신호를 부신호에 가산하는 보정회로와, 상기 검출회로 및 보정회로에서 지연된 총시간과 상기 제2의 복조회로에서 지연된 시간사이의 차와 같은 시간의 양에 의해 주신호를 지연하고, 이 신호를 상기 검출회로로 입력하는 지연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회로는 주반송파의 주파수변조시에 전송로상의 중심주파수에 대응하는 주신호의 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발생회로와, 상기 기준전압발생회로의 출력과 주신호간의 차를 결정하는감산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회로는 주신호의 직류전류만을 통과시키는 저역통과필터와,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출력과 주신호간의 차를 결정하는 감산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1의 복조회로의 평균치 AFC방법에 의해 주반송파를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회로는 입력 및 출력신호로서 주신호를 가지는 커패시턴스결합 증폭기로 구성되고, 상기 제1의 복조회로는 평균치 AFC방법에 의해 주반송파를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회로는 상기 검출회로의 출력에 따라 주신호를 감쇠하는 가변감쇠회로와,상기 가변감쇠회로의 출력을 시간으로 미분하는 미분회로와, 상기 미분회로의 출력과 부신호를 합성하는 합성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의 복조회로에서는 부반송파가 주파수복조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감쇠회로는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디지틀화된 신호출력을 어드레스에 입력하고 지정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회로는 상기 검출회로의 출력에 따라 주신호를 감쇠하는 가변감쇠회로와,상기 가변감쇠회로의 출력과 부신호를 합성하는 합성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2의 복조회로에서는 부반송파가 진폭복조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감쇠회로는,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디지틀화된 신호출력을 어드레스에 입력하고 지정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회로는 상기 검출회로의 출력에 따라 주신호를 감쇠하는 가변감쇠회로와,상기 가변감쇠회로의 출력과 부신호를 합성하는 합성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2의 복조회로에서는 부반송파가 위상복조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감쇠회로는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디지틀화된 신호출력을 어드레스에 입력하고 지정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KR1019910000601A 1990-01-18 1991-01-16 전송장치 KR940006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644 1990-01-18
JP2008642A JPH03213076A (ja) 1990-01-18 1990-01-18 伝送装置
JP2-8642 1990-01-18
JP2-8646 1990-01-18
JP864490 1990-01-18
JP2008643A JPH03213077A (ja) 1990-01-18 1990-01-18 伝送装置
JP2-8647 1990-01-18
JP864590 1990-01-18
JP2008647A JPH03213079A (ja) 1990-01-18 1990-01-18 伝送装置
JP2-8645 1990-01-18
JP2-8643 1990-01-18
JP2008646A JPH03213078A (ja) 1990-01-18 1990-01-18 伝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179A KR910015179A (ko) 1991-08-31
KR940006741B1 true KR940006741B1 (ko) 1994-07-27

Family

ID=27548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0601A KR940006741B1 (ko) 1990-01-18 1991-01-16 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7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179A (ko) 199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22657B1 (en) Receiver for rf signals comprising a pair of parallel signal paths
US4139866A (en) Stereophonic television sound transmission system
US4078245A (en) System for multiplexing information channels adjacent to a video spectrum
CA1120582A (en) Stereophonic television sound transmission system
US4470071A (en) Television sound detection system using a frequency translation phase-locked loop
US4943849A (en) Television transmission system having improved separation of audio and video spectra
US4523328A (en) FM-receiver including a frequency-locked loop
EP1158676B1 (en) Interference reducing circuit and television broadcasting receiver
US4158858A (en) Television system with two FM sound carriers
US4302626A (en) Low frequency AM stereophonic broadcast and receiving apparatus
US4470070A (en) Frequency translation phase-locked loop television sound detection system
GB2129241A (en) Television sound signal processing
US5241538A (en) Transmission apparatus
KR940006741B1 (ko) 전송장치
JPH04227382A (ja) 信号処理装置
US5510855A (en) Satellite television broadcasting receiver including improved clamping circuit
US6590619B1 (en) Broadcast sound signal processing circuit
JPH0761147B2 (ja) 伝送信号再生装置
Rzeszewski A system approach to synchronous detection
GB2237710A (en) CATV terminal extracts digital stereo audio signal
JPH04211530A (ja) 伝送装置
JP2702912B2 (ja) 伝送信号送信方法および装置
JP2865881B2 (ja) 伝送信号再生装置
CA1145032A (en) Receiver for stereophonic television sound transmission
JP2705579B2 (ja) 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